KR100607668B1 -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 Google Patents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668B1
KR100607668B1 KR1020050097277A KR20050097277A KR100607668B1 KR 100607668 B1 KR100607668 B1 KR 100607668B1 KR 1020050097277 A KR1020050097277 A KR 1020050097277A KR 20050097277 A KR20050097277 A KR 20050097277A KR 100607668 B1 KR100607668 B1 KR 100607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box
slope
pa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표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을 따라 형성된 비탈면에 한 쌍의 기초구조물을 소정깊이 매설하고, 상기 한 쌍의 기초구조물에 상기 비탈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기 비탈면의 소정구간 상/하부를 한번에 마감할 수 있는 단일체로 형성된 호안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의 비탈면에 설치되어 이를 통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록은
상기 비탈면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소정깊이 매설되어, 일측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기초구조물;
상기 설치공에 타측이 볼트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비탈면에 매설되어, 상기 비탈면에 매설된 측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원뿔형상 돌부가 형성된 고정핀;
상기 한 쌍의 기초구조물에 다수개가 삽입/설치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홈부와, 상부에 형성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공간, 배수공 및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제1 연결공을 갖는 식재박스와, 하부에 형성되어 하천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어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서식처를 제공하는 공간부와 제2 연결공을 갖는 생태박스가 구비된 본체;
상기 식재박스의 하부에 볼트결합되어 있되, 내부에 하천수를 저수할 수 있도록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부에 하천수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이 일체로 형성된 저수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식재박스, 생태박스, 식생공간, 하천, 저수박스

Description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EMBANKMENT BLOCK OF RIVER}
도 1은 종래 호안블록이 설치된 하천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을 나타낸 설치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기초구조물 111 : 설치공
113 : 체결공 120 : 고정핀
122 : 돌부 130 : 본체
131 : 식재박스 132 : 식생공간
134 : 배수공 136 : 생태박스
137 : 공간부 139 : 고리
140 : 저수박스 141 : 저수공간
143 : 유입공
본 발명은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을 따라 형성된 비탈면에 한 쌍의 기초구조물을 소정깊이 매설하고, 상기 한 쌍의 기초구조물에 상기 비탈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기 비탈면의 소정구간 상/하부를 한번에 마감할 수 있는 단일체로 형성된 호안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의 제방 비탈면에 생성된 각종 절개지의 법면에는 자체 경사로 인한 토사의 자연유실 및 폭우와 강설 등과 같은 외압에 의한 토사의 강제유실을 막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호안블럭을 시공된다.
도 1은 종래 하천에 호안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호안블록(10)은 하천(R) 제방의 비탈면(S)을 따라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호안블록(10)은 앵커볼트(B)를 이용하여 상기 비탈면(S)에 고정함으로써, 토사의 유실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호안블록은 시공 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하천의 비탈면을 따라 설치되는 호안블록들은 비탈면의 한 구간에 다수개의 호안블록들이 서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설치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호안블록에는 하천의 생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종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생공간이나, 물고기들이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생태공간이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호안블록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천을 따라 형성된 비탈면에 한 쌍의 기초구조물을 소정깊이 매설하고, 상기 한 쌍의 기초구조물에 상기 비탈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기 비탈면의 소정구간 상/하부를 한번에 마감할 수 있는 단일체로 형성된 호안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친환경구조를 갖는 하천의 호안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호안블록의 상/하부에 각각 각종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박스와 각종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하는 생태박스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에 따른 하천의 생태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하천의 생태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구조를 갖는 하천의 호안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천의 비탈면에 설치되어 이를 통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록은
상기 비탈면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소정깊이 매설되어, 일측에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기초구조물;
상기 설치공에 타측이 볼트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비탈면에 매설되어, 상기 비탈면에 매설된 측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원뿔형상 돌부가 형성된 고정핀;
상기 한 쌍의 기초구조물에 다수개가 삽입/설치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홈부와, 상부에 형성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공간, 배수공 및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제1 연결공을 갖는 식재박스와, 하부에 형성되어 하천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어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서식처를 제공하는 공간부와 제2 연결공을 갖는 생태박스가 구비된 본체;
상기 식재박스의 하부에 볼트결합되어 있되, 내부에 하천수를 저수할 수 있도록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부에 하천수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이 일체로 형성된 저수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식생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를 한 쌍의 기초구조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고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구조를 갖는 하천의 호안블록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구조를 갖는 하천의 호안블록(100)은 한 쌍의 기초구조물(110), 고정핀(120), 본체(130) 및 저수박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천(R)의 비탈면(S)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소정깊이 매설되어 있는 한 쌍의 기초구조물(110)은 그 일측에 설치공(1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공(113)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111)의 내주연에는 너트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설치공(111)에 볼트결합되는 고정핀(120)은 그 타측에 너트부가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다수개의 원뿔형상 돌부(1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뿔형상 돌부(122)는 상기 비탈면(S)에 매설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탈면(S)에 매설되는 원뿔형상 돌부(122)에 의해 상기 기초구조물(110)이 비탈면(S)에 대해 지지력을 갖게 됨으로써, 상기 기초구조물(110)이 비탈면(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본체(130)는 그 일측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홈부(135)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각종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박스(13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각종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하는 생태박스(136)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식재박스(131)는 그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식생공간(132)이 형성되며, 상기 식생공간(132)의 바닥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제1 연결공(133)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다수개의 배수공(13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생태박스(136)는 그 내부에 일측이 개구되어 각종 어류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부(137)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복수개의 제2 연결공(13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공(133)과 제2 연결공(138)은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체결공(113)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식생공간(132)의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130)를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고리(13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재박스(131)의 하부에 볼트결합되는 저수박스(140)는 그 내부에 하천수를 저수할 수 있는 저수공간(141)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부에는 하천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입공(143)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공(143)은 상기 저수공간(141)의 바닥면과 소정높이 위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공(143)을 통해 유입된 물은 배수되지 않고 유입공(143)의 높이보다 낮은 수위를 유지하며 저수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구조를 갖는 하천의 호안블록의 설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을 나타낸 설치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한 쌍의 기초구조물(110)을 비탈면(S)에 소정깊이 매설한다. 이때, 상기 기초구조물(110)에 형성된 체결공(113)은 상기 비탈면(S)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매설한다.
이후,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돌출된 부위를 다수개의 본체(130) 각각의 홈 부(135)를 삽입/설치하고, 이때, 연통되는 제1 연결공(133)과 체결공(113) 및 제2 연결공(138)과 체결공(113)에 볼트체결 함으로써, 상기 기초구조물(110)에 본체(13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생태박스(136) 하부는 상기 하천(R)의 바닥면과 접촉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생태박스(136)는 상기 하천(R)에 서식하는 각종 어류들에게 서식처를 제공한다.
이후, 상기 식재박스(131)의 하부에 저수박스(140)를 볼트/결합한다. 이때, 상기 식생공간(132)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공(134)의 위치는 상기 저수박스(140)의 저수공간(141)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식재박스(131)의 식생공간(132)에 토양을 일정높이 충진시킨 후 상기 토양에 각종식물을 식재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구조를 갖는 하천의 호안블록은 비탈면의 소정구간 상/하부를 한 장의 호안블록을 이용하여 마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상/하부에 식재박스 및 생태박스를 형성하여 하천의 생태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술된 설치관계에 따라 설치된 본체(130)의 식재박스(131)는 상시 하천의 수위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형성된 생태박스(136)는 상시 하천의 수위 하부 위치하고, 상기 저수박스(140)는 평상시에는 하천(R)의 상부에 위치하나, 우천시와 같이 하천수위가 높아질 경우 하천에 잠긴다. 이때, 우천시 저수박스(140)의 유입공(143)을 통해 저수공간(141)에 유입된 하천수는 소정기간 동안 저수공간(141)에 머물게 된다.
이에 따라, 장기간 식생공간(132)에서 식재되는 각종식물의 뿌리가 배수공(134)을 통해 저수공간(141)으로 유입되며, 상기 저수공간(141)으로 유입된 뿌리는 저수공간(141)에 저수된 하천수를 통해 수분을 공급받아 성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안블록은 그 설치관계가 용이함과 동시에 각종식물이 식재되는 식생공간과 각종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를 동시에 제공하여 한 번의 시공으로 호안블록의 기능뿐만 아니라 하천의 생태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에 따라, 하천의 제방 구조를 친환경 구조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을 따라 형성된 비탈면에 한 쌍의 기초구조물을 소정깊이 매설하고, 상기 한 쌍의 기초구조물에 상기 비탈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기 비탈면의 소정구간 상/하부를 한번에 마감할 수 있는 단일체로 형성된 호안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호안블록의 상/하부에 각각 각종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박스와 각종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하는 생태박스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에 따른 하천의 생태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하천의 생 태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천(R)의 비탈면(S)에 설치되고 고정핀으로 기초구조물이 체결고정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록(100)은
    상기 비탈면(S)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소정깊이 매설되어, 일측에 설치공(1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체결공(113)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기초구조물(110);
    상기 설치공(111)에 타측이 볼트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비탈면(S)에 매설되어, 상기 비탈면(S)에 매설된 측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원뿔형상 돌부(122)가 형성된 고정핀(120);
    상기 한 쌍의 기초구조물(110)에 다수개가 삽입/설치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홈부(135)와, 상부에 형성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공간(132), 배수공(134) 및 상기 체결공(113)과 연통되는 제1 연결공(133)을 갖는 식재박스(131)와, 하부에 형성되어 하천(R)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어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서식처를 제공하는 공간부(137)와 제2 연결공(138)을 갖는 생태박스(136)가 구비된 본체(130);
    상기 식재박스(131)의 하부에 볼트결합되어 있되, 내부에 하천수를 저수할 수 있도록 저수공간(141)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부에 하천수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143)이 일체로 형성된 저수박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구조를 갖는 하천의 호안블록.
  2. 삭제
KR1020050097277A 2005-10-15 2005-10-15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KR100607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277A KR100607668B1 (ko) 2005-10-15 2005-10-15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277A KR100607668B1 (ko) 2005-10-15 2005-10-15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668B1 true KR100607668B1 (ko) 2006-08-01

Family

ID=3718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277A KR100607668B1 (ko) 2005-10-15 2005-10-15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826B1 (ko) 2013-06-28 2014-03-26 주식회사 옥토기술단 식생블록을 이용한 하천 호안 녹화 및 보강시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642Y1 (ko) * 2000-12-21 2001-06-01 극동엔지니어링주식회사 법면 보호 블록
KR20020025642A (ko) * 2000-09-29 2002-04-04 니시무로 타이죠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76256A (ko) * 2002-03-20 2003-09-26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히터가 부착된 진공밸브
KR20030095340A (ko) * 2002-06-10 2003-12-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영동 표시장치
KR200376256Y1 (ko) * 2004-12-03 2005-03-11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KR200395340Y1 (ko) * 2005-06-20 2005-09-08 장문석 호안구조물용 다공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642A (ko) * 2000-09-29 2002-04-04 니시무로 타이죠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225642Y1 (ko) * 2000-12-21 2001-06-01 극동엔지니어링주식회사 법면 보호 블록
KR20030076256A (ko) * 2002-03-20 2003-09-26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히터가 부착된 진공밸브
KR20030095340A (ko) * 2002-06-10 2003-12-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영동 표시장치
KR200376256Y1 (ko) * 2004-12-03 2005-03-11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KR200395340Y1 (ko) * 2005-06-20 2005-09-08 장문석 호안구조물용 다공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256420000
2003762560000
200395340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826B1 (ko) 2013-06-28 2014-03-26 주식회사 옥토기술단 식생블록을 이용한 하천 호안 녹화 및 보강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518Y1 (ko) 생태 식생옹벽블럭
KR200383918Y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KR100607668B1 (ko)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KR100650516B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566667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매트 블록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100719520B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KR200418550Y1 (ko) 친환경 식생 파이프
KR100467288B1 (ko) 하천제방 시공구조
KR100689662B1 (ko)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8531A (ko) 호안 블럭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333396Y1 (ko) 식생 호안용 블록
KR200408158Y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100604674B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200352883Y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200262760Y1 (ko) 물고기 보호를 위한 호안기초 사각박스 구조
KR101075105B1 (ko) 어소겸용 식생블록
KR200312007Y1 (ko) 제방 축조 기능을 갖는 호안블럭
KR200356149Y1 (ko) 옹벽블럭
KR200358557Y1 (ko) 식생 호안 블럭
KR200369896Y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KR200306397Y1 (ko) 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