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642Y1 - 법면 보호 블록 - Google Patents

법면 보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642Y1
KR200225642Y1 KR2020000035943U KR20000035943U KR200225642Y1 KR 200225642 Y1 KR200225642 Y1 KR 200225642Y1 KR 2020000035943 U KR2020000035943 U KR 2020000035943U KR 20000035943 U KR20000035943 U KR 20000035943U KR 200225642 Y1 KR200225642 Y1 KR 200225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block
partition wall
hexagonal
surface prot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행래
Original Assignee
극동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극동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642Y1/ko

Links

Landscapes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마루 및 경사지를 보호하기 위한 법면 보호 블록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경사면의 토사 유실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법면 보호블록에 있어서: 육각격벽과, 상기 육각격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육각격벽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각 격벽이 연접되는 모서리까지 연결되는 분리판과, 상기 육각격벽과 분리판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육각격벽의 각 평편면에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격벽과 각 분리판의 내주 공간의 하부인 삼각형상의 바닥판에 배수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보호블록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법면 보호 블록{block for protecting slope surface}
본 고안은 연약한 토사 등으로 경사진 사면(이하 '법면'이라 함)표면에 설치되어 법면이 붕괴되거나 유실되지 못하도록 하는 법면 보호 블록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종의 토목공사로 형성된 법면이 풍우에 의해 침식이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법면 상에 잔디나 초목류를 이식하여 법면을 녹화하는 방법과 법면 상에 통상의 보도블록과 유사한 블록을 부설하는 방법이 널리 행하여지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에 있어서는, 잔디종자의 발아 초기에는 풍우에 의한 법면의 침식이나 유실을 방지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였고, 잔디가 성장한 후에도 풍우에 의해 법면이 침식 또는 유실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바람에 대한 법면의 보호에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우천시에는 블록과 법면 사이로 흐르는 우수에 의해 도랑이 형성되어 법면이 유실되거나, 블록의 내주공간인 토사 채움 부분이 너무 넓어 우수에 의하여 블록에 채워 넣었던 토사가 흘러내리고 그 결과 블록의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법면 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법면 부위가 우수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법면에 잔디나 초목류의 뿌리가 쉽게 착근하는데 도움을 주며, 블록에 채워 넣은 토사가 쉽게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법면 보호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고 운반이 용이한 법면 보호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의 설치 평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의 평면도이고,
도4는 도3을 AA'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며,
도5는 인접한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법면 보호 블록 12: 바닥판
14: 분리판 16: 육각격벽
18: 볼트관통공 22: 배수공
32: 유지돌기 34: 수용홈
42: 운반고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사면의 토사 유실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법면 보호블록에 있어서: 육각격벽과, 상기 육각격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육각격벽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각 격벽이 연접되는 모서리까지 연결되는 분리판과, 상기 육각격벽과 분리판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육각격벽의 각 평편면에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격벽과 각 분리판의 내주 공간의 하부인 삼각형상의 바닥판에 배수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보호블록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의 설치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6각 형상의 법면 보호 블록(10)이 서로 결합되어 법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법면 보호 블록(10)을 6각형 형태로 세분 제작하여 결합하는 것이 각 법면 보호 블록(10)을 상호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운반 및 작업에 있어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법면 보호 블록은 6각 형상이 아니라 4각 형상 등 여러 가지 다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의 평면도이고, 도4는 도3을 'AA'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5은 인접한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은 상부가 개방된 육각기둥 형상으로서 육각격벽(16)과, 상기 육각격벽(16)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육각격벽(16)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각 격벽이 연접되는 모서리까지 연결되는 분리판 (14)과, 상기 육각격벽(16)과 분리판(14)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바닥판 (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육각격벽(16)의 각 평편면에는 볼트관통공(18)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법면 보호 블록(10)의 평편면에 형성된 볼트관통공(18)과 맞추어져 이를 통하여 볼트결합이 되도록 한다. 상기한 볼트결합(24)으로 인접한 법면 보호 블록들은 상호 견고히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분리판(14)은 육각격벽(16)의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각 격벽과 각 분리판(14)으로 둘러싸인 내주 공간에는 토사가 채워지며 채워진 토사 위로 잔디나 초목류가 식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판(14)은 육각격벽(16)의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기 때문에 법면 보호 블록(10) 내에 채워진 토사는 육각격벽(16) 뿐만 아니라 상기 분리판 (14)에 의해서도 아래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아무리 비가 많이 오더라도 법면 보호 블록(10) 내에 채워진 토사는 우수에 의해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각 격벽과 각 분리판(14)으로 둘러싸인 내주 공간의 하부인 삼각형상의 바닥판(12)에는 배수공(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배수공(22)은 비가 오면 법면 보호 블록(10)에 떨어진 우수를 배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는 법면 보호 블록(10)의 하부 지반에 있는 습기를 법면 보호 블록(10) 내에 식수된 잔디나 초목류가 흡입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배수공(22)으로 법면 보호 블록(10)의 내주 공간에 채워진 토사에 식수된 잔디나 초목류의 뿌리가 통과하여 법면 보호 블록(10)의 하부의 법면 지반에 착근될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배수공(22)은 법면 보호 블록(10)과 법면을 견고히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의 중심부의 상부에 운반고리(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운반고리(42)에 운반기구 등을 끼워서 본 고안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본 고안은 용이하게 들고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의 상기 바닥판(12)의 하부 중심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유지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유지돌기(32)는 본 고안의 설치시 법면 지반에 매설되어 본 고안이 법면을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의 상기 육각격벽(16)의 중심부에는 수용홈(34)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34)은 상기 유지돌기(32)와 맞춤되도록 형성되어 본 고안을 법면에 설치하기 전 보관함에 있어서 적재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의 설치방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을 법면으로 운반하여 법면의 아래쪽부터 위치시킨다. 법면 보호 블록(10)을 운반할 때 상기한 운반고리(4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법면 보호 블록(10)의 운반고리(42)에 운반기구를 끼워서 운반한다. 법면에 위치된 법면 보호 블록(10)에 상기한 유지돌기(32)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한 유지돌기(32)를 법면의 지반에 매설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또 다른 법면 보호 블록(10)을 먼저 위치시킨 법면 보호 블록(10)에 인접하게 법면에 위치시키면서 인접하는 법면 보호 블록(10)의 볼트관통공(18)이 상호 맞춤되도록 하고, 상기 볼트관통공(18)을 통하여 볼트결합(24)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볼트결합(24)으로서 법면에 설치되는 인접하는 법면 보호 블록(10)은 상호 견고히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은 설치하고자 하는 법면의 면적에 해당되는 만큼 법면의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차례차례 결합하여 나간다.
그 후, 설치된 법면 보호 블록(10)의 내부에 토사를 채워 넣고 그 위로 잔디 또는 초목류 등을 식수한다.
만약, 법면의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법면을 상하 및/또는 좌우로 가로지르는 콘크리트 배수로를 먼저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배수로를 제외한 법면 부분에 상기한 방식으로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은 법면의 토사를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법면을 덮고 있는 한편 법면 보호 블록(10) 내부에 채워진 토사에 식수된 잔디나 초목류의 뿌리가 본 고안의 하부 바닥판(12)에 형성된 배수공 (22)을 통과하여 법면의 지반에 착근하게 되어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과 법면의 지반과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게 되어, 그 결과 법면 부위의 토사가 우수에 의해 흘러내리거나 붕괴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법면 보호 블록(10)은 내부에 분리판(14)이 구비되므로 법면 보호 블록(10) 내에 채워진 토사는 상기 분리판(14)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지지되어 법면 보호 블록(1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법면 보호 블록(10)을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법면 부위가 양호하게 보존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법면 보호 블록으로서 법면 부위가 우수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법면에 잔디나 초목류의 뿌리가 쉽게 착근하는데 도움을 주며, 법면 보호 블록 내에 채워진 토사가 우수에 의해 쉽게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법면의 토사가 유실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경사면의 토사 유실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법면 보호 블록에 있어서:
    육각격벽과, 상기 육각격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육각격벽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각 격벽이 연접되는 모서리까지 연결되는 분리판과, 상기 육각격벽과 분리판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육각격벽의 각 평편면에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격벽과 각 분리판의 내주 공간의 하부인 삼각형상의 바닥판에 배수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보호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격벽의 중심부의 상부에 운반고리를 더욱 설치하여 운반시 끼워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보호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하면 중심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유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육각격벽의 중심부의 상부에는 상기 유지돌기와 맞춤되는 수용홈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보호 블록.
KR2020000035943U 2000-12-21 2000-12-21 법면 보호 블록 KR200225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943U KR200225642Y1 (ko) 2000-12-21 2000-12-21 법면 보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943U KR200225642Y1 (ko) 2000-12-21 2000-12-21 법면 보호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642Y1 true KR200225642Y1 (ko) 2001-06-01

Family

ID=7309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943U KR200225642Y1 (ko) 2000-12-21 2000-12-21 법면 보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6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668B1 (ko) * 2005-10-15 2006-08-01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668B1 (ko) * 2005-10-15 2006-08-01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친환경구조를 갖는 일체형 하천의 호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2935A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widening roadways
KR102311276B1 (ko) 배수기능이 향상된 토낭 결속판
KR100801017B1 (ko) 조립식 수로용 옹벽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200225642Y1 (ko) 법면 보호 블록
KR100689761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0568120B1 (ko)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0523962B1 (ko) 건축용 옹벽 보호 시설물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KR100536411B1 (ko) 도로용 법면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JPH08205691A (ja) 植樹帯
KR100778808B1 (ko)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KR100515788B1 (ko) 건축 단지용 조립식 비탈 보호 옹벽
KR100542617B1 (ko) 담장 벽면 및 사면 녹화용 조립식 콘크리트 식생옹벽과그의 시공방법
KR100616245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설치구조
KR100592185B1 (ko) 도로용 엘형측구 설치구조
KR100566668B1 (ko) 도로 사면용 슬라이딩 보강구조
KR200268873Y1 (ko) 도로 경사면의 조립식 유형 측구의 연결구조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200313315Y1 (ko) 조립식 배수로
KR100620326B1 (ko) 도로용 보강토 옹벽 설치구조
KR200290728Y1 (ko) 떼붙임 시공사각틀
KR100724286B1 (ko) 식생블럭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