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120B1 -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 Google Patents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120B1
KR100568120B1 KR1020050099484A KR20050099484A KR100568120B1 KR 100568120 B1 KR100568120 B1 KR 100568120B1 KR 1020050099484 A KR1020050099484 A KR 1020050099484A KR 20050099484 A KR20050099484 A KR 20050099484A KR 100568120 B1 KR100568120 B1 KR 100568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planting
slope
sp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용
Original Assignee
씨엠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씨엠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50099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상부에 기초블록을 체결하고, 상기 기초블록에 저수공간과 식재공간을 갖는 별도의 식재박스를 설치하여 다양한 식물을 식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이 설치되는 도로 및 주택단지의 경관을 미려하게 가꿀 수 있는 식재박스를 구성한 비탈면 옹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비탈면과 도로의 경계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비탈면의 토양유실 및 이에 따른 붕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의 상부에는 등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옹벽의 상부에 안착되어 앵커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부에 상기 체결홈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일체로 형성된 장척의 기초블록,
상기 기초블록의 일측에 각종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내측이 분리판에 의해 저수공간과 식재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분리판에 저수공간과 식재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급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의 일측벽에 한 쌍의 개구공이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식재박스,
상기 한 쌍의 개구공에 각각 삽입/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저수공간의 내벽과 볼트결합을 이루는 연결플레이트가 형성되고, 내측에 연결홈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식재박스를 기초블록에 견고히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식재공간, 저수공간, 기초블록, 연결대, 집수홈, 옹벽

Description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Retaining wall block with vegetation box}
도 1은 종래 비탈면에 설치된 옹벽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를 구성한 비탈면 옹벽구조 중 식재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를 구성한 비탈면 옹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를 구성한 비탈면 옹벽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를 구성한 비탈면 옹벽구조를 나타낸 설치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옹벽 120 : 기초블록
130 : 식재박스 132 : 저수공간
133 : 식재공간 140 : 연결구
150 : 연결대
본 발명은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상부에 기초블록을 체결하고, 상기 기초블록에 저수공간과 식재공간을 갖는 별도의 식재박스를 설치하여 다양한 식물을 식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이 설치되는 도로 및 주택단지의 경관을 미려하게 가꿀 수 있는 식재박스를 구성한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도로, 철도, 항만, 방조제, 교대, 재개발 아파트 등 용지의 제한에 따른 토지의 최적 이용을 목적으로 시공하며, 주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옹벽 구조물로는 도로와 경계를 이루는 주택부지, 산기슭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미리 제조된 콘크리트 패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공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 5840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각패널, I자형 패널, L자형 패널 등을 조합하여 조적하고, 이 내부를 속채움하여 옹벽을 완성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비탈면에 설치된 옹벽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옹벽(10)은 비탈면(20)과 도로(30)의 경계부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옹벽(10)은 그 일측면이 비탈면(20)과 접촉을 이루어 우천시 비탈면(20)의 토사유실 및 비탈면이 붕괴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시공되는 종래 옹벽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토사의 유실 및 비탈면의 붕괴방지와 같이 그 기능적인 측면은 우수하지만, 이와 같이 기능적인 측면만을 위주로 시공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접하고 있는 도로 및 주택단지의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천시 내리는 우수가 비탈면을 따라 흘러 내려 우수 및 이에 포함되어 있는 비탈면의 토사가 옹벽을 넘어 차도로 유입됨으로써, 차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옹벽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상부에 기초블록을 체결하고, 상기 기초블록에 저수공간과 식재공간을 갖는 별도의 식재박스를 설치하여 다양한 식물을 식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이 설치되는 도로 및 주택단지의 경관을 미려하게 가꿀 수 있도록 한 식재박스를 이용한 비탈면 옹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초블록에 설치하는 식재박스를 상기 기초블록에 맞닿도록 설치하여 비탈면을 타고 흘러 내려오는 우수를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우수 및 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가 차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차도가 토사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비탈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우수를 저수하여 상기 식재공간에 식재된 식물에 원활히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탈면과 도로의 경계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비탈면의 토양유실 및 이에 따른 붕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의 상부에는 등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옹벽의 상부에 안착되어 앵커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부에 상기 체결홈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다수개의 삽입홈이 일체로 형성된 장척의 기초블록,
상기 기초블록의 일측에 각종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내측이 분리판에 의해 저수공간과 식재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분리판에 저수공간과 식재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급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의 일측벽에 한 쌍의 개구공이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식재박스,
상기 한 쌍의 개구공에 각각 삽입/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저수공간의 내벽과 볼트결합을 이루는 연결플레이트가 형성되고, 내측에 연결홈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식재박스를 기초블록에 견고히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초블록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제1 집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식재박스 일측벽에는 각각 상기 제1 집수홈과 서로 연통을 이루는 제2 집수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를 구성한 비탈면에 시공되는 옹벽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를 구성한 비탈면 옹벽구조 중 식재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를 구성한 비탈면 옹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를 구성한 비탈면 옹벽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식재박스를 구성한 일반도로 및 주택단지 내 비탈면 옹벽은 옹벽(110), 장척의 길이를 갖는 기초블록(120), 식재박스(130), 연결구(140) 및 연결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옹벽(110)은 비탈면(20)과 도로(30)의 경계부위 지면에 소정깊이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그 상부에 등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체결홈(112)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초블록(120)은 그 상부에 상/하로 개구된 다수개의 체결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21)의 인접한 일측에는 그 양단이 소정각도 경사각을 갖는 제1 집수홈(123)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삽입홈(125)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121)은 상기 옹벽(110)의 체결홈(112)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공(121)에 앵커볼트(127)를 삽입/연결하면, 상기 앵커볼트(127)의 하부가 상기 체결홈(112)에 삽입/체결됨으로써, 상기 옹벽(110)에 기초블록(120)이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식재박스(130)는 내측이 분리판(131)에 의해 저수공간(132)과 식재공간(133)으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분리판(131)에는 그 내측에 상기 저수공간(132)과 식재공간(133)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급수공(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공간(132)의 일측벽에는 한 쌍의 개구공(135)이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상기 제1 집수홈(123)과 서로 연통되는 제2 집수홈(13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공(135)과 인접한 외측에는 다수개의 볼트공(13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식재공간(133)의 바닥면에는 배수공(138)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138)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수관(139)의 상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수공간(132)에 저수된 물은 상기 급수공(134)을 통해 식재공간(133)으로 유입되어 식재공간(133)의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며, 과잉공급된 물은 상기 배수관(139)을 통해 식재공간(133)의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상기 연결구(140)는 그 일측에 판상체의 연결플레이트(14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42)에는 상기 볼트공(137)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연결공(144)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연결홈(146)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140)의 타측을 저수공간(132)을 통해 개구공(135)에 삽입하면, 상기 연결플레이트(142)의 일측면이 저수공간(132)의 내벽과 접촉을 이루게 되어 볼트공(137)과 연결공(144)이 연통된다. 이와 같이 연통된 볼트공(137)과 연결공(144)에 볼트(148)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식재박스(130)와 연결구(140)가 견고한 결합관계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대(150)는 원형이 봉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삽입홈(125)에 삽입/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홈(146)에 삽입/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식재박스(130)는 상기 연결대(150)에 의해 기초블록(120)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식재박스를 구성한 일반도로 및 건축단지의 비탈면 옹벽은 종래 옹벽에 별도의 식재공간을 마련하여 각종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주위 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를 구성한 비탈면 옹벽구조를 나타낸 설치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옹벽(110)의 상부에 기초블록(120)을 안착시킨 후, 앵커볼트(127)를 통해 옹벽(110)에 기초블록(120)을 체결한다.
이후, 상기 개구공(135)에 연결구(140)를 삽입/결합한 후, 상기 연결대(150)의 일단을 삽입홈(125)에 삽입/연결하고, 그 타단을 연결구(140)의 연결홈(146)에 삽입/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대(150)에 의해 기초블록(120)에 식재박스(130)가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식재박스(130)의 식재공간(133)에는 토양이 충진되며, 이렇게 충진된 토양에 각종 식물 및 이들의 씨앗을 심는다.
이에 따라 우천시 비탈면(20)에 우수가 유입되면, 상기 비탈면(20)을 따라 흐르는 우수는 제1 집수홈(123) 및 제2 집수홈(136)을 통해 저수공간(132)에 저수 된다. 이렇게 저수된 물은 급수공(134)을 통해 식재공간(133)으로 유입되어 식물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식재공간(133)에 식재된 식물들이 생활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이룰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렇게 식재된 식물들을 통해 주위경관을 미려하게 가꿀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옹벽은 도로의 측면 및 하천이 인접한 곳에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상부에 기초블록을 체결하고, 상기 기초블록에 저수공간과 식재공간을 갖는 별도의 식재박스를 설치하여 다양한 식물을 식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이 설치되는 일반도로 및 주택단지의 경관을 미려하게 가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기초블록에 설치하는 식재박스를 상기 기초블록에 맞닿도록 설치하여 비탈면을 타고 흘러 내려오는 우수를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우수 및 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가 차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차도가 토사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비탈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우수를 저수하여 상기 식재공간에 식재된 식물에 원활히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비탈면과 도로의 경계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비탈면의 토양유실 및 이에 따른 붕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옹벽에 있어서,
    상기 옹벽(110)의 상부에는 등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체결홈(112)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옹벽(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앵커볼트(127)에 의해 체결되며, 상부에 상기 체결홈(112)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체결공(12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다수개의 삽입홈(125)이 일체로 형성된 장척의 길이를 갖는 기초블록(120),
    상기 기초블록(120)의 일측에 각종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내측이 분리판(131)에 의해 저수공간(132)과 식재공간(133)으로 구획되고, 상기 분리판(131)에 저수공간(132)과 식재공간(133)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급수공(134)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132)의 일측벽에 한 쌍의 개구공(135)이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식재박스(130),
    상기 한 쌍의 개구공(135)에 각각 삽입/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저수공간(132)의 내벽과 볼트(148)결합을 이루는 연결플레이트(142)가 형성되고, 내측에 연결홈(146)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구(140) 및
    상기 식재박스(130)를 기초블록(120)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삽입홈(125)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홈(146)에 삽입되는 연결대(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블록(12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제1 집수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식재박스(130) 일측벽에는 각각 상기 제1 집수홈(123)과 서로 연통을 이루는 제2 집수홈(136)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20050099484A 2005-10-21 2005-10-21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0568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484A KR100568120B1 (ko) 2005-10-21 2005-10-21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484A KR100568120B1 (ko) 2005-10-21 2005-10-21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8120B1 true KR100568120B1 (ko) 2006-04-05

Family

ID=3718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484A KR100568120B1 (ko) 2005-10-21 2005-10-21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1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00B1 (ko) * 2009-09-30 2010-06-29 주식회사 비엠테크 식생옹벽 시스템
KR101385726B1 (ko) 2013-11-07 2014-04-15 안신철 옹벽 일체형 조명블록
CN108385612A (zh) * 2018-01-25 2018-08-10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稳定性好的混凝土护面板的施工方法
KR102184486B1 (ko) * 2020-05-06 2020-11-30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옹벽용 가변식 조립식 화단
CN117966672A (zh) * 2024-04-01 2024-05-03 浙江绿凯生态环境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河湖面源污染治理生态护岸
CN117966672B (zh) * 2024-04-01 2024-05-31 浙江绿凯生态环境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河湖面源污染治理生态护岸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2129U (ko) * 1989-10-20 1991-06-18
JPH0598656A (ja) * 1991-10-08 1993-04-20 Sekisui House Ltd 擁壁排水口の化粧蓋
JPH06292473A (ja) * 1993-04-08 1994-10-21 Pariteii Jipangu:Kk 緑化擁壁及び緑化擁壁用積みブロック
JPH0726573A (ja) * 1993-07-13 1995-01-27 Ohbayashi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型枠
JPH08302713A (ja) * 1995-05-10 1996-11-19 Kenchi: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擁壁用ブロック体
JPH1018321A (ja) * 1996-07-02 1998-01-20 Showa Concrete Ind Co Ltd 緑化用壁材
JPH11181775A (ja) * 1997-12-24 1999-07-06 Mitsubishi Material Kenzai Corp 植生ブロック
KR20030030808A (ko) * 2001-11-10 2003-04-18 한재명 식재부를 구비한 옹벽용 블럭
KR200345472Y1 (ko) * 2003-12-03 2004-03-19 (주)한석엔지니어링 도로 및 철로 구간에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방음벽
KR20040077635A (ko) * 2004-08-18 2004-09-04 김길평 친환경적인 도로용 옹벽
KR20040078090A (ko) * 2004-08-20 2004-09-08 김길평 도로 옹벽의 조경시설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2129U (ko) * 1989-10-20 1991-06-18
JPH0598656A (ja) * 1991-10-08 1993-04-20 Sekisui House Ltd 擁壁排水口の化粧蓋
JPH06292473A (ja) * 1993-04-08 1994-10-21 Pariteii Jipangu:Kk 緑化擁壁及び緑化擁壁用積みブロック
JPH0726573A (ja) * 1993-07-13 1995-01-27 Ohbayashi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型枠
JPH08302713A (ja) * 1995-05-10 1996-11-19 Kenchi: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擁壁用ブロック体
JPH1018321A (ja) * 1996-07-02 1998-01-20 Showa Concrete Ind Co Ltd 緑化用壁材
JPH11181775A (ja) * 1997-12-24 1999-07-06 Mitsubishi Material Kenzai Corp 植生ブロック
KR20030030808A (ko) * 2001-11-10 2003-04-18 한재명 식재부를 구비한 옹벽용 블럭
KR200345472Y1 (ko) * 2003-12-03 2004-03-19 (주)한석엔지니어링 도로 및 철로 구간에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방음벽
KR20040077635A (ko) * 2004-08-18 2004-09-04 김길평 친환경적인 도로용 옹벽
KR20040078090A (ko) * 2004-08-20 2004-09-08 김길평 도로 옹벽의 조경시설 설치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00B1 (ko) * 2009-09-30 2010-06-29 주식회사 비엠테크 식생옹벽 시스템
KR101385726B1 (ko) 2013-11-07 2014-04-15 안신철 옹벽 일체형 조명블록
CN108385612A (zh) * 2018-01-25 2018-08-10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稳定性好的混凝土护面板的施工方法
CN108385612B (zh) * 2018-01-25 2020-08-18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稳定性好的混凝土护面板的施工方法
KR102184486B1 (ko) * 2020-05-06 2020-11-30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옹벽용 가변식 조립식 화단
CN117966672A (zh) * 2024-04-01 2024-05-03 浙江绿凯生态环境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河湖面源污染治理生态护岸
CN117966672B (zh) * 2024-04-01 2024-05-31 浙江绿凯生态环境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河湖面源污染治理生态护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120B1 (ko)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0592720B1 (ko)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200020543A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101024843B1 (ko) 주택지 또는 도로의 법면에서 조경용 급,배수 장치
KR100734812B1 (ko)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KR20090012490A (ko)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KR2009001959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42410A (ko)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
KR100663207B1 (ko)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단지의 옹벽 구조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549498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럭의 설치구조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100598770B1 (ko) 도로의 가변차로에 설치되는 배수용 식재블럭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KR101001110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KR100616245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설치구조
KR100593186B1 (ko) 친환경적 옹벽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577846B1 (ko)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구조
KR100582651B1 (ko) 건축물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구조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200352883Y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