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186B1 -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 Google Patents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186B1
KR100882186B1 KR1020070021863A KR20070021863A KR100882186B1 KR 100882186 B1 KR100882186 B1 KR 100882186B1 KR 1020070021863 A KR1020070021863 A KR 1020070021863A KR 20070021863 A KR20070021863 A KR 20070021863A KR 100882186 B1 KR100882186 B1 KR 100882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ipe
coupling
drain pip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603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07002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18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토를 복토하고 자연 녹화한 경사면이 폭우 또는 하천의 범람 등으로 인해 붕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사면의 내측에 설치하는 붕괴방지시설에 관한 발명으로서, 경사면에 자연 녹화를 실시하는 건축 또는 도로의 경사면에 있어서, 파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경사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천공구가 천공되고, 일측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 1수평배수관과;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 1수평배수관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대가 구비된 파형의 수평결합관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수평결합관의 중도부를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통시켜 H자 형태로 되어, 상기 제 1수평배수관의 배수공과 상기 연결관이 연통되도록 제 1수평배수관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결합되는 수평분기관과; 소정의 간격마다 배수공이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분기관의 타측 결합관에 결합대에 의해 결합되는 파형의 제 2수평배수관과;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결합대가 구비된 파형의 수평결합관과 수직결합관이 연결관에 의해 중도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 2수평배수관에 결합된 수평분기관의 수평결합관과 중첩되지 않도록 교번적으로 결합되어 제 2수평배수관의 배수공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수평수직 절환배수관과; 상기 수평수직 절환배수관의 수직결합관의 내측에 결합되는 파형의 수직배수관과; 상기 수직배수관에서 배수되는 우수를 하천으로 배수시키기 위해 경사의 하단에 형성하는 배수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연 녹화를 실시하는 도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것 은 물론, 장마 등으로 인해 우수가 식생토에 침투하는 경우에도 경사면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배출함으로써, 식생토의 결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하천, 경사면, 식물, 수평분기관, 수직분기관

Description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The earth-and-sand collapse prevention institution of ri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붕괴방지 시설이 설치된 도로 경사면의 일부 절결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붕괴방지 시설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붕괴방지 시설의 일부 절결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붕괴방지 시설이 설치된 도로 경사면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경사면 20,30 : 수평배수관
21,31,44,54,74 : 천공구 22,32,32a,61 : 배수공
40 : 수평분기관 41,42,51 : 수평결합관
43,53,73 : 연결관 45,55,75 : 결합대
50 : 수평수직 절환분기관 52,71,72 : 수직결합관
60 : 수직배수관 70 : 수직분기관
80 : 지지넷트 90 : 배수로
본 발명은 건축 및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생토를 복토하고 자연 녹화한 건축 및 도로의 경사면이 폭우 또는 하천의 범람 등으로 인해 붕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사면의 내측에 설치하는 붕괴방지 시설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등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각도와 높이로 토사를 복토하여 경사면을 형성하여 도로를 보호하나, 잦은 폭우와 하천의 범람으로 인해 토사의 결착력이 약해져 경사면이 붕괴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그 중에서도 경사면에 잔디 등의 식물을 식생하여 자연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식생토가 식물의 뿌리에 의해 견고해지도록 하여 도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 녹화에 의한 방법도 잦은 폭우 등의 외부요인이 장기간 가해지게 되면, 부분적으로 조금씩 토사가 쓸려 내려가면서 점차 식생토의 하부가 패여 견고력이 약해지고 경사면의 전체적으로 붕괴가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발명으로서, 미관을 위해 하천의 경사면에 자연 녹화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도로 경사면의 토사가 쉽게 붕괴하지 않는 시설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사면에 자연 녹화를 실시하는 도로의 경사면에 있어서, 파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경사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천공구가 천공되고, 일측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 1수평배수관과;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 1수평배수관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대가 구비된 파형의 수평결합관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수평결합관의 중도부를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통시켜 H자 형태로 되어, 상기 제 1수평배수관의 배수공과 상기 연결관이 연통되도록 제 1수평배수관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결합되는 수평분기관과; 소정의 간격마다 배수공이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분기관의 타측 결합관에 결합대에 의해 결합되는 파형의 제 2수평배수관과;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결합대가 구비된 파형의 수평결합관과 수직결합관이 연결관에 의해 중도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 2수평배수관에 결합된 수평분기관의 수평결합관과 중첩되지 않도록 서로 교호상으로 결합되는 이격의 구간을 각각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결합대로 연결되는 배수관(이하에서는 수평수직 절환배수관이라 칭함)을 제 2수평배수관의 배수공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수평수직 절환배수관과; 상기 수평수직 절환배수관의 수직결합관의 내측에 결합되는 파형의 수직배수관과; 상기 수직배수관에서 배수되는 우수를 하천으로 배수시키기 위해 경사면의 하단에 형성하는 배수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 배수관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결합대가 구비된 파형의 수직 결합관이 복수로 구비되고, 중도부는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수직 분기관이, 수평 수직 절환 배수관과 중첩되지 않도록 수직 배수관에 교호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연결관에도 천공구를 다수 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결합된 붕괴방지 시설의 상면에 식생토를 복토하기 전에 지지넷트를 덮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붕괴방지 시설이 설치된 도로 경사면의 일부 절결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붕괴방지 시설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붕괴방지 시설의 일부 절결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붕괴방지 시설이 설치된 도로 경사면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경사면(10)의 식생토(11) 내측에, 제 1,2수평배수관(20)(30)과 수평분기관(40) 및 수평수직 절환배수관(50), 그리고, 수직배수관(60)을 설치하여 경사면(10)의 내측으로 스며드는 우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하도록 하는 시설이다.
즉 파형을 이루는 상기 제 1,2수평배수관(20)(30)은 서로 이격구간으로 유지하면서 소정의 직경으로 다소 길게 형성되면서, 다수의 천공구(21)(31)가 천공되고, 제 1수평배수관(20)의 일측 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마다 배수공(22)이 형성되며, 제 2수평배수관(30)에는 양측 방향으로 배수공(32)(32a)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분기관(40)은 파형으로 되는 두 개의 수평결합관(41)(42)이 수평으로 나란히 구비되도록 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개되는 끝단의 천공구(21)(31)로 연결되는 결합대(45)응 상기 이격구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대(45)의 중앙에는 연결관(43)이 구비되면서 배수공(22)(32)가 위치하여서, 침출수가 제 1,2수평배수관(20)(30)의 내측공간으로 이동하도록 H자 형태로 서로 연통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수직 절환배수관(50)은 상기 수평분기관(40)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끝단에 결합대(55)가 구비된 수평결합관(51)이 복수로 구비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관(53)에 의해 서로 중도부가 연통되어 연결되며, 상기 수평수직 절환배수관(50)의 수직결합관(52)에는 파형의 수직배수관(60)을 결합하며, 상기 수직배수관(60)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상기 수평수직 절환배수관(50)의 연결관(53)과 연통되도록 배수공(61)을 형성한다.
또한, 파형으로 되는 두 개의 수직결합관(71)(72)이 천공구(74)가 천공된 연결관(73)에 의해 중도부가 서로 연결되는 수직분기관(7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수직배수관(60)에 수평수직 절환배수관(50)의 수직결합관(52)과 번갈아 가며 일측 수직결합관(71)을 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는 상기 수직분기관(70)의 타측 수직결합관(71)에도 수직배수관(60)을 결합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연결관(43)(53)(73)에도 다수의 천공구(44)(54)(74)를 형성함으로써, 경사면에 복토된 식생토(11) 내부의 침출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붕괴방지 시설의 상측에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지지넷트(80)를 덮어 식생토(11)가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붕괴방지 효과를 높이며, 경사면(10)의 최하단에는 하천으로 연통되는 배수로(90)를 형성하 되, 상기 수직배수관(60)과 연통되어 수직배수관(60)에서 배수되는 침출수를 하천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붕괴방지 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경사면(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 1수평배수관(20)을 설치하고, 상기 제 1수평배수관(20)의 외주연에는 수평분기관(40)의 일측 수평결합관(41)을 결합하는 바, 결합대(45)측으로 제 1수평배수관(20)이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수평분기관(40)과 파형이 일치하도록 하여 결합대(45)에 볼트 등을 체결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수평분기관(40)의 연결관(43)이 제 1수평배수관(20)에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된 배수공(22)과 연통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분기관(40)의 타측 수평결합관(42)에는 제 2수평배수관(30)을 마찬가지로 경사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삽입 결합하되, 상기 수평분기관(40)과 번갈아 수평수직 절환분기관(50)의 수평결합관(51) 측을 결합한다. 물론, 상기 제 2수평배수관(30)의 배수공(32)과 수평분기관(40)의 연결관(43)과 연통되면서, 수평수직 절환분기관(50)의 연결관(53)과 배수공(32a)도 연통되도록 결합한다.
상기 수평수직 절환분기관(50)의 수직결합관(52)에는 수직배수관(60)을 결합하고, 결합대(55)를 볼트 등으로 체결함으로써, 하단의 배수로(90)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수평배수관(20)에서부터 상기 수평수직 절환분기관(50)까지의 상면에는 지지네트(80)를 덮고, 그 위에 다시 식생토(11)를 복토 한 후, 소정의 간격을 이격시킨 상측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 붕괴방지 시설이 설치된 경사면(10)의 외측에는 식물을 식생하여 식생토(11)간에 서로 지지력이 견고해지도록 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경사면(10)을 제공하며, 만약 식생토 내로 우수가 침투하는 경우에는 각 천공구(21)(31)(44)(54)(74)를 통해 각 관으로 우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우수는 배수공 또는 각 연결관을 통해 종국에는 하단의 배수로(90)로 유입되어 하천 등으로 배수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에서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자연 녹화를 실시하는 도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장마 등으로 인해 우수가 식생토에 침투하는 경우에도 경사면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배출함으로써, 식생토의 결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경사면에 자연 녹화를 실시하는 도로의 경사면(10)에 있어서,
    파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경사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천공구(21)가 천공되고, 일측면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배수공(22)이 형성되는 제 1수평배수관(20)과;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 1수평배수관(20)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대(45)가 구비된 파형의 수평결합관(41)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수평결합관(41)의 중도부를 연결관(43)에 의해 서로 연통시켜 H자 형태로 되어, 상기 제 1수평배수관(20)의 배수공(22)과 상기 연결관(43)이 연통되도록 제 1수평배수관(2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결합되는 수평분기관(40)과;
    소정의 간격마다 배수공(32)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분기관(40)의 타측 수평결합관(42)에 결합대(45)에 의해 결합되는 파형의 제 2수평배수관(30)과;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결합대(55)가 구비된 파형의 수평결합관(51)과 수직결합관(52)이 연결관(53)에 의해 중도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 2수평배수관(30)에 결합된 수평분기관(40)의 수평결합관(51)과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상으로 결합되어 제 2수평배수관(30)의 배수공(32a)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수평수직 절환배수관(50)과;
    상기 수평수직 절환배수관(50)의 수직결합관(52)의 내측에 결합되는 파형의 수직배수관(60)과;
    상기 수직배수관(60)에서 배수되는 우수를 하천으로 배수시키기 위해 경사면(10)의 하단에 형성하는 배수로(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수관(60)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결합대(75)가 구비된 파형의 수직 결합관(72)이 복수로 구비되고, 중도부는 연결관(73)에 의해 연결되는 수직 분기관(70)이, 수평 수직 절환 배수관(50)과 중첩되지 않도록 수직 배수관(60)과 교호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관(43)(53)(73)에도 천공구(44)(54)(74)를 다수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붕괴방지 시설의 상면에 식생토(11)를 복토하기 전에 지지넷트(80)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20070021863A 2007-03-06 2007-03-06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882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863A KR100882186B1 (ko) 2007-03-06 2007-03-06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863A KR100882186B1 (ko) 2007-03-06 2007-03-06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603A KR20080081603A (ko) 2008-09-10
KR100882186B1 true KR100882186B1 (ko) 2009-02-05

Family

ID=4002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863A KR100882186B1 (ko) 2007-03-06 2007-03-06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414B1 (ko) * 2009-06-09 2009-11-06 주식회사 비엠테크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002Y1 (ko) * 1987-04-21 1991-02-20 송길성 경사진 지대의 지하수 배수장치
KR20000074504A (ko) * 1999-05-21 2000-12-15 임철웅 부직포가 없는 연약지반의 탈수 촉진을 위한 여과용 주름 배수관
KR20020090625A (ko) * 2001-05-28 2002-12-05 민병이 옹벽 보강용 배수로가 형성된 지주대
KR20030047137A (ko) * 2001-12-07 2003-06-18 민병이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002Y1 (ko) * 1987-04-21 1991-02-20 송길성 경사진 지대의 지하수 배수장치
KR20000074504A (ko) * 1999-05-21 2000-12-15 임철웅 부직포가 없는 연약지반의 탈수 촉진을 위한 여과용 주름 배수관
KR20020090625A (ko) * 2001-05-28 2002-12-05 민병이 옹벽 보강용 배수로가 형성된 지주대
KR20030047137A (ko) * 2001-12-07 2003-06-18 민병이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603A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455B1 (ko) 지표수의 지하배수방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568120B1 (ko)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045584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비탈면 안전 보강되는 암거배수용 수로관
KR20190140231A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200418550Y1 (ko) 친환경 식생 파이프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KR100583558B1 (ko) 건축단지의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100593186B1 (ko) 친환경적 옹벽
KR101001110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KR100697637B1 (ko) 건축단지용 친환경적인 옹벽
KR100590403B1 (ko) 건축단지와 인접한 친환경적인 옹벽 시설물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0001653A (ko) 비탈면 보호 블럭의 배수용 파이프
KR200352883Y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200354767Y1 (ko) 도로의 법면 보호공 구조
KR200267028Y1 (ko)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KR20100001503U (ko) 비탈면 보호용 격자틀
KR200335654Y1 (ko) 유공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