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414B1 -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414B1
KR100925414B1 KR1020090051067A KR20090051067A KR100925414B1 KR 100925414 B1 KR100925414 B1 KR 100925414B1 KR 1020090051067 A KR1020090051067 A KR 1020090051067A KR 20090051067 A KR20090051067 A KR 20090051067A KR 100925414 B1 KR100925414 B1 KR 10092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drain
inclined surface
hol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윤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테크
Priority to KR102009005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의 토양에 침투하는 침투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침투수로 인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경사면 보강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는 측면에 측면 연통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중공형태의 돌출기둥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기둥과 대응되는 연통공을 가지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며, 경사면에 지지고정되는 배수통; 상기 배수통의 돌출기둥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배수통을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하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배수통의 측면에 연통 연결되며, 경사면의 토양에 존재하는 침투수를 상기 배수통으로 안내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경사면, 보강, 배수, 시공용이

Description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Apparatus for reinforcing slope and drainag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seed spray soi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면의 토양에 침투하는 침투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침투수로 인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경사면 보강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만큼 깎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조성한다.
또한,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깎아내어 개설 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조성한다.
그리고,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한 토사의 성토로 인한 경사면이 조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토사를 깎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경사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 등과 같은 여러가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경사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됨으로써 번번이 경사면의 복구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나대지는 지상에 건축물 등이 없는 대지를 말한다.
한편, 토사를 깎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경사면을 나대지로 방치하게 되면, 심한 경우에는 나대지 상태의 경사면이 붕괴되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경사면 상에 별도의 보강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경사면을 녹화시킴으로써 경사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여야 하며, 이러한 보강구조물이 시공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아울러, 우천 등의 사유로 경사면에 침투하는 침투수를 효율적으로 배수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효율적인 배수와 동시에 경사면을 보강하는 보강구조, 보강장치 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수통을 구비함으로써 경사면의 토양에 침투하는 침투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고, 침투수로 인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경사면 보강 시공이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통을 격자모양으로 배치하여 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기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침투수를 원활히 배출시켜 경사면의 안정화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를 이용한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는 측면에 측면 연통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중공형태의 돌출기둥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기둥과 대응되는 연통공을 가지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며, 경사면에 고정되는 배수통; 상기 돌출기둥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경사면을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통을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측면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배수통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경사면의 토양에 존재하는 침투수를 상기 배수통으로 안내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에 나선이 형성되며 그라우팅에 의해 지층에 고정되는 소일 네일과, 상기 소일 네일의 나선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통을 경사면에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배수통이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면에 제1 지압판이 밀착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 제2 지압판이 밀착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은 외부와 내부공간이 연통되어 토양에 존재하는 침투수를 흡수하여 상기 배수통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 개의 통공을 가지는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을 감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배수통은 경사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가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며, 다수 개의 배수통이 상기 측면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배수관으로 상호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를 이용한 녹화공법은 녹화처리부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면에 네일공을 천공하는 네일공 천공단계; 상기 네일공에 네일을 삽입하여 네일이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네일공에 그라우팅 처리하는 네일 삽입 및 네일공 그라우팅 단계; 상기 네일과 대응되는 제1 관통공을 가지는 제1 지압판과, 상기 네일과 대응되는 중공형태의 돌출기둥 및 연통공을 가지는 배수통과, 상기 네일과 대응되는 제2 관통공을 가지는 제2 지압판이 상기 네일에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배수통 설치단계; 그리고 상기 배수통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연통공을 통하여 각각의 네일에 설치된 다수 개의 배수통을 배수관으로 상호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 연결단계는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유공관으로 상기 배수통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의 외면에 부직포를 감싸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통 설치단계는 상기 제2 지압판이 상기 상부커버에 밀착되도록 삽입고정된 후, 상기 네일의 상부에 형성된 나선에 고정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1 지압판, 배수통 및 제2 지압판을 경사면에 지지고정하는 배수통 지지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수통을 구비함으로써 경사면의 토양에 침투하는 침투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침투수로 인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배수통을 구비함으로써 경사면 보강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배수통을 구비함으로써 침투수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경사면의 안정화를 유지함과 동시에 경사면 및 녹화 처리부의 유지보수 비용 발생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넷째, 중공형태의 돌출기둥을 구비함으로써 네일 및 그라우팅 처리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네일의 부식이나 그라우팅 처리부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가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는 배수통(100), 고정부재(200) 및 배수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통(100)은 경사면에 지지고정되며, 본체(110) 및 상부커버(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통 타입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다각형상의 통 및 원통 타입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측면에 측면 연통공(113)이 형성되며,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중공형태의 돌출기둥(111)을 가진다.
상기 돌출기둥(111)은 상기 본체(110) 내측 공간에 유입되는 침투수가 상기 고정부재(200) 및 토양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10)의 측면 상단의 높이와 대응되어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50)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긴밀하게 밀착 설치되며, 중앙부에 상기 돌출기둥(111)의 중공부(112)와 대응되는 연통공(151)이 형성 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기둥(111)의 중공부(112) 및 상기 상부커버(150)의 연통공(151)에 걸쳐 삽입되는 보강부재(116)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부재(116)는 금속재료로 구비되어 상기 돌출기둥(111)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배수통(100)을 경사면 지층(600)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수통(100)의 돌출기둥(11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소일 네일(210)과 고정너트(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소일 네일(210)은 상기 배수통(100)의 돌출기둥(111)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소일 네일(210)과 대응되는 상기 보강부재(116)의 통공(117)을 통하여 관통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일 네일(210)은 상부에 일정길이만큼 나선(211)이 형성되며, 그라우팅 처리에 의해 경사면 지층(600)에 천공형성된 네일공(250)에 일부가 매설되어 지지고정된다.
상세히, 경사면 지층(600)에 천공된 네일공(250)에 소일 네일(210)을 삽입한 후, 상기 네일공(250)을 그라우팅 처리하여 그라우팅 처리부(230)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소일 네일(210)을 경사면 지층(600)에 견고히 지지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290)는 상기 소일 네일(210)의 나선(211)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통(100)을 경사면에 견고히 지지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통(100)이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면에 제1 지압판(400)이 밀착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버(150)의 상면에 제2 지압판(500)이 밀착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압판(400)은 중앙부에 상기 소일 네일(210)과 대응되는 제1 관통공(410)을 가지며, 상기 제2 지압판(500)은 중앙부에 상기 소일 네일(210)과 대응되는 제2 관통공(51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수관(300)은 우천 등에 의해 경사면 지층(600)의 토양에 존재하는 침투수를 상기 배수통(100)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통(100)의 본체(110) 측면에 형성된 측면 연통공(113)에 삽입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300)은 외부와 내부공간이 연통되어 토양에 존재하는 침투수를 흡수하여 상기 배수통(100)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 개의 통공(310)을 가지는 유공관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수관(300)은 상기 유공관을 감싸는 부직포(3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침투수가 상기 부직포(350)를 통해 상기 유공관의 내부공간으로 흡수되어 대부분의 침투수는 상기 배수통(100) 측으로 안내되며, 일부의 침투수는 다시 토양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배수통(100)은 경사면 지층(600)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가 격자모양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다수 개의 배수통(100)이 측면 연통공(113)을 통하여 상기 배수관(300)으로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300)은 유공관으로 구비되며, 상기 유공관의 외면에는 부직포(350)가 둘러싸여 진다.
상기와 같은 배수통(100), 배수관(300) 등이 경사면 지층(600)에 격자모양으 로 배치되어 설치된 후에는 격자의 내측 공간에 각각 녹화처리부(700)가 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통(100) 및 배수관(300)을 구비함으로써 경사면 지층(600)의 토양에 침투하는 침투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사면의 강도를 보강하여 경사면의 안정화가 이루어져 침투수로 인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통(100) 및 배수관(300)을 구비함으로써 녹화처리부(700)의 시공이 용이하며, 아울러 배수장치, 경사면 보강 및 녹화처리의 시공기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고정부재(200)와 대응되는 중공형태의 돌출기둥(111)을 구비함으로써 소일 네일(210) 및 그라우팅 처리부(23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일 네일(210)의 부식이나 그라우팅 처리부(23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가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및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는 배수통(100), 고정부재(200) 및 배수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통(100)은 경사면 지층(600) 표면에 지지고정되며, 본체(110) 및 상부커버(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통 타입으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정높이를 가지는 다각형상의 통 및 원통 타입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측면에 측면 연통공(113)이 형성되며,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중공형태의 돌출기둥(111)을 가진다.
또한, 상기 돌출기둥(111)은 상기 본체(110) 내측 공간에 유입되는 침투수가 상기 고정부재(200) 및 토양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10)의 측면 상단의 높이와 대응되어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50)는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긴밀하게 밀착 설치되며, 중앙부에 상기 돌출기둥(111)의 중공부(112)와 대응되는 연통공(15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출기둥(111)의 중공부(112) 및 상기 상부커버(150)의 연통공(151)에 걸쳐 삽입되는 보강부재(116)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부재(116)는 금속재료로 구비되어 상기 돌출기둥(111)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상기 상부커버(150)가 상부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커버(150)의 하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55)와 대응되어 상면 모서리부에 결합홈(1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150)의 결합돌기(155)는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부(미도시)를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15)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상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홈(115)은 상기 결합돌 기(155)와 대응되되, 상기 상부커버(15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긴밀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기(155)의 테이퍼부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155) 및 결합홈(115)은 상기 본체(100)와 상부커버(150)의 긴밀한 밀착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후크와 체결돌기 등과 같은 다양한 밀착 결합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배수통(100)을 경사면 지층(600)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수통(100)의 돌출기둥(11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소일 네일(210)과 고정너트(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소일 네일(210)은 상기 배수통(100)의 돌출기둥(111)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소일 네일(210)과 대응되는 상기 보강부재(116)의 통공(117)을 통하여 관통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일 네일(210)은 상부에 일정길이만큼 나선(211)이 형성되며, 그라우팅 처리에 의해 경사면 지층(600)에 천공형성된 네일공(250)에 일부가 매설되어 지지고정된다.
상세히, 경사면 지층(600)에 천공된 네일공(250)에 소일 네일(210)을 삽입한 후, 상기 네일공(250)을 그라우팅 처리하여 그라우팅 처리부(230)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소일 네일(210)을 경사면 지층(600)에 견고히 지지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290)는 상기 소일 네일(210)의 나선(211)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통(100)을 경사면에 견고히 지지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통(100)이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면에 제1 지압판(400)이 밀착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버(150)의 상면에 제2 지압판(500)이 밀착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압판(400)은 중앙부에 상기 소일 네일(210)과 대응되는 제1 관통공(410)을 가지며, 상기 제2 지압판(500)은 중앙부에 상기 소일 네일(210)과 대응되는 제2 관통공(51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수관(300)은 우천 등에 의해 경사면 지층(600)의 토양에 존재하는 침투수를 상기 배수통(100)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통(100)의 본체(110) 측면에 형성된 측면 연통공(113)에 삽입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300)은 외부와 내부공간이 연통되어 토양에 존재하는 침투수를 흡수하여 상기 배수통(100)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 개의 통공(310)을 가지는 유공관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수관(300)은 상기 유공관을 감싸는 부직포(3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침투수가 상기 부직포(350)를 통해 상기 유공관의 내부공간으로 흡수되어 대부분의 침투수는 상기 배수통(100) 측으로 안내되며, 일부의 침투수는 다시 토양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배수통(100)은 경사면 지층(600)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가 격자모양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다수 개의 배수통(100)이 측면 연통공(113)을 통하여 상기 배수관(300)으로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300)은 유공관으로 구비되며, 상기 유공관의 외면에는 부직포(350)가 둘러싸여 진다.
상기와 같은 배수통(100), 배수관(300) 등이 경사면 지층(600)에 격자모양으로 배치되어 설치된 후에는 격자의 내측 공간에 각각 녹화처리부(700)가 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통(100) 및 배수관(300)을 구비함으로써 경사면 지층(600)의 토양에 침투하는 침투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사면의 강도를 보강하여 경사면의 안정화가 이루어져 침투수로 인한 경사면이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투수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경사면 지층(600)의 안정화를 유지함과 동시에 경사면 지층(600) 및 녹화처리부(700)의 유지보수 비용 발생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가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는 배수통(100), 고정부재(200) 그리고 배수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통(100) 및 배수관(300)의 구성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에서의 배수통(100)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배수통의 구성과는 제1 관통공(410), 돌출기둥(111)의 중공부(112), 상부커버(150)의 연통공(151)이 실링부재(22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미소한 차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배수통(100)을 경사면 지층(600)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수통(100)의 돌출기둥(11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소일 네일(210)과 고정너트(290) 그리고 실링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소일 네일(210)은 상부에 일정길이만큼 나선(211)이 형성되며, 그라우팅 처리에 의해 경사면 지층(600)에 천공형성된 네일공(250)에 일부가 매설되어 지지고정된다.
상세히, 경사면 지층(600)에 천공된 네일공(250)에 소일 네일(210)을 삽입한 후, 상기 네일공(250)을 그라우팅 처리하여 그라우팅 처리부(230)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소일 네일(210)을 경사면 지층(600)에 견고히 지지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290)는 상기 소일 네일(210)의 나선(211)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통(100)을 경사면에 견고히 지지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220)는 하단이 상기 경사면 지층(600)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설치되는 그라우팅 처리부(230)의 상면과 밀착되며, 상단이 상기 배수통(100)의 상부커버(150) 상면과 밀착되는 제2 지압판(500)의 하면과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수통(100)이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면에 제1 지압판(400)이 밀착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압판(400)은 중앙부에 상기 그라우팅 처리부(230)와 대응되는 제1 관통공(410)을 가지며, 상기 제2 지압판(500)은 중앙부에 상기 소일 네 일(210)과 대응되는 제2 관통공(510)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링부재(220)가 구비됨으로써 우천 등으로 인한 침투수가 상기 소일 네일(210) 및 그라우팅 처리부(230)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소일 네일(210)의 부식을 방지하고, 상기 그라우팅 처리부(23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를 이용한 녹화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를 이용한 녹화공법을 상세히 설명하며, 시공에 적용되는 경사면 보강장치에 대하여서는 도 1 및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를 이용한 녹화공법은 네일공 천공 단계(610), 네일 삽입 및 네일공 그라우팅 단계(620), 배수통설치 단계(630), 배수관 연결단계(640) 그리고 녹화처리부 시공 단계(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네일공 천공 단계(610)는 녹화처리부(700)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면 지층(600)에 일정거리를 가지고 네일공(250)을 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네일 삽입 및 네일공 그라우팅 단계(620)는 상기 네일공(250)에 소일 네일(210)을 삽입하여 삽입된 소일 네일(210)이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네일공(250)을 그라우팅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설치 단계(630)는 제1 지압판, 배수통 및 제2 지압판 삽입고정 단계(631)와, 배수통 지지고정단계(6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지압판, 배수통 및 제2 지압판 삽입고정 단계(631)는 상기 소일 네일(210)과 대응되는 제1 관통공(410)을 가지는 제1 지압판(400)과, 상기 소일 네일(210)과 대응되는 중공형태의 돌출기둥(111) 및 연통공(151)을 가지는 배수통(100)과, 그리고 상기 소일 네일(210)과 대응되는 제2 관통공(510)을 가지는 제2 지압판(500)이 상기 소일 네일(210)의 상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수통 지지고정단계(632)는 상기 제2 지압판(500)이 상기 상부커버(150)에 밀착되도록 삽입고정된 후, 상기 소일 네일(210)의 상부에 형성된 나선에 고정너트(290)를 체결하여 상기 제1 지압판(400), 배수통(100) 및 제2 지압판(500)을 경사면 지층(600)에 지지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수관 연결단계(640)는 유공관 연결단계(641)와 유공관 외면에 부직포를 감싸는 단계(6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공관 연결단계(641)는 상기 배수통(10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연통공(113)을 통하여 각각의 소일 네일(210)에 설치된 다수 개의 배수통(100)을 유공관으로 제공되는 배수관(300)으로 상호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공관 외면에 부직포를 감싸는 단계(642)는 상기 유공관 연결단계(641) 이전 또는 이후에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유공관의 외면에 부직포(350)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감싸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610~640)을 거친 후에는 마지막으로, 녹화처리부 시공단계(650)가 이루어진다.
상기 녹화처리부 시공단계(650)는 격자모양으로 배치되어 설치된 상기 배수통(100)의 사이사이, 즉 격자형상으로 시공된 상기 배수관(300) 사이의 공간에 녹화처리부(700)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통(100) 설치 및 배수관(300) 연결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경사면 지층(600)의 토양에 침투하는 침투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사면의 강도를 보강하여 경사면의 안정화가 이루어져 침투수로 인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녹화처리부(700)의 시공이 용이하며, 배수장치 및 녹화처리부의 시공기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200)와 대응되는 중공형태의 돌출기둥(111)이 구비된 배수통(100)을 설치함으로써 소일 네일(210) 및 그라우팅 처리부(23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일 네일(210)의 부식이나 그라우팅 처리부(23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가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가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가 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를 이용한 녹화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배수통 110: 본체
111: 돌출기둥 113: 측면 연통공
150: 상부커버 200: 고정부재
210: 소일 네일 230: 그라우팅 처리부
250: 네일공 300: 배수관
400: 제1 지압판 500: 제2 지압판

Claims (8)

  1. 측면에 측면 연통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중공형태의 돌출기둥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기둥과 대응되는 연통공을 가지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며, 경사면에 고정되는 배수통;
    상기 돌출기둥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경사면을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통을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측면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배수통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경사면의 토양에 존재하는 침투수를 상기 배수통으로 안내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에 나선이 형성되며 그라우팅에 의해 지층에 고정되는 소일 네일과, 상기 소일 네일의 나선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통을 경사면에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이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면에 제1 지압판이 밀착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 제2 지압판이 밀착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외부와 내부공간이 연통되어 토양에 존재하는 침투수를 흡수하여 상기 배수통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 개의 통공을 가지는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을 감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은 경사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가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며, 다수 개의 배수통이 상기 측면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배수관으로 상호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6. 녹화처리부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면에 네일공을 천공하는 네일공 천공단계;
    상기 네일공에 네일을 삽입하여 네일이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네일공에 그라우팅 처리하는 네일 삽입 및 네일공 그라우팅 단계;
    상기 네일과 대응되는 제1 관통공을 가지는 제1 지압판과, 상기 네일과 대응되는 중공형태의 돌출기둥 및 연통공을 가지는 배수통과, 상기 네일과 대응되는 제2 관통공을 가지는 제2 지압판이 상기 네일에 순차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배수통 설치단계; 그리고
    상기 배수통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연통공을 통하여 각각의 네일에 설치된 다수 개의 배수통을 배수관으로 상호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를 이용한 녹화공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연결단계는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유공관으로 상기 배수통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의 외면에 부직포를 감싸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를 이용한 녹화공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 설치단계는 상기 제2 지압판이 상기 상부커버에 밀착되도록 삽입고정된 후, 상기 네일의 상부에 형성된 나선에 고정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1 지압판, 배수통 및 제2 지압판을 경사면에 지지고정하는 배수통 지지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20090051067A 2009-06-09 2009-06-09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92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67A KR100925414B1 (ko) 2009-06-09 2009-06-09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67A KR100925414B1 (ko) 2009-06-09 2009-06-09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414B1 true KR100925414B1 (ko) 2009-11-06

Family

ID=4156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067A KR100925414B1 (ko) 2009-06-09 2009-06-09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4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270A (ko) * 2015-02-02 2016-08-1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보강그리드 구조
KR102043124B1 (ko) * 2018-12-11 2019-11-12 (주)대한지오이엔씨 기능성 앵커 지압판
KR20210094093A (ko) * 2019-10-24 2021-07-28 쇼에이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조립식 반력체, 비탈면 안정화 구조체, 및 비탈면 안정화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650Y1 (ko) * 1990-10-27 1996-12-23 민병이 비탈면 수로 겸용 보호블럭
KR100653374B1 (ko) 2005-12-29 2006-12-05 임철웅 절취사면의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 및 강봉네일링에의한 사면보강시공법
KR20080081603A (ko) * 2007-03-06 2008-09-10 민승기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650Y1 (ko) * 1990-10-27 1996-12-23 민병이 비탈면 수로 겸용 보호블럭
KR100653374B1 (ko) 2005-12-29 2006-12-05 임철웅 절취사면의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 및 강봉네일링에의한 사면보강시공법
KR20080081603A (ko) * 2007-03-06 2008-09-10 민승기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270A (ko) * 2015-02-02 2016-08-1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보강그리드 구조
KR101698758B1 (ko) * 2015-02-02 2017-01-3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보강그리드 구조
KR102043124B1 (ko) * 2018-12-11 2019-11-12 (주)대한지오이엔씨 기능성 앵커 지압판
KR20210094093A (ko) * 2019-10-24 2021-07-28 쇼에이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조립식 반력체, 비탈면 안정화 구조체, 및 비탈면 안정화 공법
KR102381632B1 (ko) 2019-10-24 2022-04-01 쇼에이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조립식 반력체, 비탈면 안정화 구조체, 및 비탈면 안정화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26061A (ja) 地中排水工法
KR100925415B1 (ko) 경사면 자연석 보강 블록 및 그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 녹화 시공법
KR20100123339A (ko) 단지개발 및 도로건설 절토부에 적용하는 생태 연통관을 구비한 식생용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25414B1 (ko)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952608B1 (ko) 기초보강 콘크리트관 구조체
KR20100053270A (ko) 인장재와 프리캐스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보강구를 구비한 절토부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718722B1 (ko) 비탈면 배수시설
KR20130062566A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2854260B (zh) 一种生态混凝土岩土护坡结构及施工方法
JP2007217931A (ja) 斜面安定化施工における排水構造
CN109315237A (zh) 一种矿山高陡岩质边坡绿化方法
KR101019776B1 (ko)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20140091667A (ko) 지하수 배수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17580A (ko) 토지 개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638548B1 (ko) 배수 겸용 가압 그라우팅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식 사면및 지반보강공법
KR101188733B1 (ko) 일괄 주입 방식에 의한 투수성 암반 차수 그라우팅 공법
KR100481148B1 (ko)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KR101103051B1 (ko) 지하수 배수장치
CN210049221U (zh) 一种深淤泥的地基处理构造
JP2006328894A (ja) 地下構造体の施工方法
KR200314875Y1 (ko)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KR100658559B1 (ko) 배수판 및 유공관을 이용한 배수 장치
KR10113819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KR200387866Y1 (ko) 투수파브릭 소재로 전체를 감싼 조립식 유공블록을 이용한빗물저장 및 이용장치의 월류수의 지하 침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