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028Y1 -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 Google Patents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028Y1
KR200267028Y1 KR2020010038107U KR20010038107U KR200267028Y1 KR 200267028 Y1 KR200267028 Y1 KR 200267028Y1 KR 2020010038107 U KR2020010038107 U KR 2020010038107U KR 20010038107 U KR20010038107 U KR 20010038107U KR 200267028 Y1 KR200267028 Y1 KR 200267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drainage
soil
pip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이 filed Critical 민병이
Priority to KR2020010038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028Y1/ko

Links

Landscapes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사중 토사를 적층하여 설치된 수로의 뚝이나 도로 등의 절토된 상태의 비탈면의 유실 또는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탈면 보호 장치는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제 블럭을 조립시켜 주거나 본인의 선발명 출원(10-01-36449)에 의하면 배수공이 천공된 급,배수 파이프를 철근과 시멘트 몰탈로 연결하여 사용되었으나 이는 장마 또는 가뭄에 대하여 배수 및 비탈면 보강을 촉진하는 기능은 양호하나 비탈면에서 적층된 토사에서 배출수가 침투된 토사의 유실 방지에 대한 효과적인 비탈면 보호에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바 본 고안은 토사로 적층시켜 형성된 비탈면이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토사를 적층시켜 설치된 비탈면의 연약한 적층된 토사에서 침출된 지하수 및 폭우 등으로 스며드는 빗물 등을 비탈면(22)의 상측면(32)에 설치된 배수로(25)에서 배수입구(27)에서 연결되는 천공구(30)가 천공된 배수관(26)을 적층된 비탈면(22)의 토사를 매설하여서 수로관(21)의 양측벽면(21')의 배출구(28)로 신속히 배출하여 수로관(21)을 설치공정에서 형성된 비탈면(22)에서의 연약 지반에서 비탈면의 쇄골 또는 함몰등의 방지에 탁월한 보강 효과를 제공되며, 이에 따른 실시예에 관한 고안으로 비탈면의 쇄골 및 무너짐 등을 보강함과 동시에 배수역할도 제공하는 제품이다.

Description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omitted}
본 고안은 수로관이 배설된 지역의 비탈면이나 도로 등의 절토된 토사상태의 자연 비탈면의 유실 또는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표면에 매설하여 물을 공급하는 콘크리트 수로관을 수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시켜 조립시켜 사용하는데 이때 매설된 수로관의 흐르는 물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로관의 매설하는 경사면 및 경사도의 균형유지가 필수적인바 이의 유지를 하면서 지표에 매설하는 공사는 수로관로의 매설공사는 주위의 여건에 따라 절개지에서 형성하는 비탈면이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쇄골 및 함몰하는 경우가 많은 현실이다
여기서 경사면에서의 쇄골 및 함몰의 해결을 위하여 비탈면에 사각형 또는 마름모형으로 조립된 보호 블럭을 서로 조립하여 비탈면을 보호하여 주고 있으나 비탈면의 형성은 주로 수로관 매설공사 도중 토양을 매립하거나 절토하여 형성하므로 비탈면의 상측 부위면의 빗물의 침투가 매우 쉬우면서 비탈면을 형성하는 토양의 지지력이 약화되어 경사면의 함몰의 원인이 제공되는 현실이다
또 경사면의 함몰하는 원인으로서는 조성된 경사면의 상측 표면에서 스며들거나 지중에서 용출하는 지하수가 토양을 적층하여 형성된 비탈면의 내측 토양에 스며들어 토양의 지지강도를 약화시켜 함몰하는 원인으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하여 본인의 선발명 출원에 의하면 배수공이 천공된 배수파이프를 서로 블럭 상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제공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품은 배수 보강 및 쇄골 방지 등의 효과가 제공되지만 이에 대하여 비탈면에서 더 견고하며 장기적인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경제적인 제품의 제공을 제공하는 비탈면의 제공이 요구되는 현실이다
본 고안의 종래의 제공된 배수공이 천공된 배수파이프를 서로 블록으로 조립시켜 주되 블록구조를 일체로 보강하여 주고, 또 장마에는 배수를 촉진시켜 주면서 절토된 비탈면의 유실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토사지지 보강배수관 역할을 하면서 장마 또는 빗물에 의한 토사의 쇄골이나 무너짐을 방지하면서 수로관에 배출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품 제공이며 이에 적절한 수로관의 제공이 요구되어 왔다.
도1은 본 고안의 요부인 비탈면의 지중에 암거 배수관을 도시한 일부 일개된 부분 사시도
도2은 도1의 요부인 암거 배수관의 부분 사시도
도3는 도1의 요부인 암거배수관 대신에 배출관이 삽설된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4는 도2의 요부인 암거배수관에 배출관을 삽설한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번호 설명>
21.수로관 22.비탈면 23.블럭
24.가장자리 25.배수로 26.배수관
27.배수입구 28.배출구 30.천공구
31.배출관 32.지지리브
본 고안의 제품을 도면에 의거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블록이 서로 마름모형으로 조립되어 보상된 비탈면의 상측부위의 지표에 매설된 배수로에서 배수입구에 천공구가 천공된 배수관을 비탈면이 주성된 적층토에 매설하면서 수로관의 양측벽면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주어 구성된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며 도2은 도1에서 사용되는 천공구가 천공된 배수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3는 도1에서 비탈면의 적층토에 매설된 천공구가 형성된 배수관의 내측공간에 배출관을 지지리브로 고정하여 삽설한 구조를 보인 일부절개된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에서 사용된 배수관에 배출관을 삽설한 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절개지에 형성된 비탈면(22)의 상측부위에서 빗물 및 토사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24)와 배수구(25)를 설치하고 비탈면(22)에는 블럭(23)을 서로 마름모형으로 서로 조립시켜 경사면의 쇄골 등을 방지하도록 하여 토사 유실 방지 보강하여 주며 하측부위에는수로관(21)을 매설하여 형성하는 종래의 수로관로에서 장기간 사용하거나 폭우 등으로 비탈면(22)의 적층된 토사가 쇄골되거나 함몰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이의 토사가 수로관으로 흘러 들어서 수로관(21)의 통수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의 정비작업을 다시 하여주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 상기 구조대로 설치되는 수로관(21)에서는 대부분 토양을 적층시켜 비탈면(23)을 구성하므로 비탈면(22)의 함몰 및 쇄골 발생의 원인으로는 비탈면(22)이 형성된 배수구(25)가 설치된 상측면 부위에서 비탈면(22)의 지중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비탈면(22)을 구성하는 토사의 지지력을 약화시켜서 함몰의 원인이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탈면(22)의 상측면(32)에서 스며드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또 배수구(25)에 흐르는 빗물을 별개의 배수입구(27)을 형성하여서 비탈면(22)을 형성도록 적층되는 토양에 스며드는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재거되도록 구성된 고안으로서 비탈면(22)의 상측부위에 지지대(24)로 배수구(25)로 고정하여 설치하되 비탈면(22)의 적층된 토양에 중공구(32)가 외접하고 천공구(30)가 천공된 배수관(26)을 매설하여 입구는 배수로(25)의 배수입구(27)에 연결하고 출구는 수로관(21)의 양측벽면(21')에 배출구(28)로 연결하여서 비탈면(22)의 적층된 토양의 스며드는 빗물이나 침출수를 수로관(21)에 배출토록 형성되는 고안이다
또 본 고안의 실시예로는 비탈면(22)의 상측면 부위에 설치된 배수로(25)에서 배수를 촉진하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25)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배수입구(27)에서 비탈면(22)의 적층된 토사에 매설되어 수로관(21)의 양측벽면(21')의 배출구(28)에 연결된 중공구(32)가 외접하고 천공구(30)가 천공된 배수관(26)의 내측 공간에다 배수구(25)의 배수입구(27)에서 연결하여 수로관(21)의 양측벽면(21')에 형성된 배출구(28)로 지지리브(32)로 배출관(31)을 배수관(26)에 삽설 시켜서 구성된 고안으로서 비탈면(22)의 상측면에 빗물 또는 폭우 등으로 쌓이는 물을 신속하게 비탈면(22)의 적층된 토사를 통과하여 신속하게 수로관(21)에 배출하여 본 고안의 목적인 비탈면(22)의 장기적인 사용을 보강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비탈면을 적층시켜 형성하는 비탈면용 토사에 매설하여 적절한 배수역할로 토사층이 결속되는 흡착성이 강해 슬라이딩 현상이나 많은 지하수 및 침출수가 형성하여도 암거배수관에서 배수작용으로 토사의 쇄골이나 지지력 등을 보강하여 주므로 비탈면의 균형유지로 안정적인 초지의 성장을 촉진시켜 비탈면의 장기간 시설 보호 역할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Claims (2)

  1. 토사로 적층시켜 형성된 경사부위에 블럭(23)이 마름모형으로 조립된 비탈면(22)의 상측면(32)에 배수로(25)가 설치하고 하측부위에 수로관(21)이 설치된 비탈면(22)에 있어서 적층된 토사에 매설된 천공구(30)가 천공된 배수관(26)을 배수구(25)의 배수입구(27)에 연결하여 수로관(21)의 양측벽면(21')에 형성된 배출구(28)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구(30)가 천공된 배수관(26)의 내측 공간에다 지지리브(32)를 다수개로 지지된 배출관(31)을 삽설하여 구성된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KR2020010038107U 2001-12-10 2001-12-10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KR200267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07U KR200267028Y1 (ko) 2001-12-10 2001-12-10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07U KR200267028Y1 (ko) 2001-12-10 2001-12-10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543A Division KR100455841B1 (ko) 2001-12-07 2001-12-07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비탈면 안전 보강되는 암거배수용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028Y1 true KR200267028Y1 (ko) 2002-03-06

Family

ID=7307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107U KR200267028Y1 (ko) 2001-12-10 2001-12-10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0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702B1 (ko) 2006-12-01 2007-03-26 동남이엔씨(주)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702B1 (ko) 2006-12-01 2007-03-26 동남이엔씨(주) 하천 비탈면 보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2729B2 (en) Wide area water collection type underground water tank
KR100593786B1 (ko) 터널 배수구조
US5852906A (en) Internal-wall drain system
KR10045584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비탈면 안전 보강되는 암거배수용 수로관
KR100718722B1 (ko) 비탈면 배수시설
KR200267028Y1 (ko)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JP6037770B2 (ja) 排水システムおよび排水方法
KR101985599B1 (ko) 막힘 방지용 유공관 어댑터
JP3072682U (ja) コンクリート製の排水溝ブロック
JP2004278287A (ja) 透水性鋼管山留め式擁壁構造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0433560B1 (ko) 비탈면 보호 블록의 배수용 파이프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440900B1 (ko)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KR100379624B1 (ko) 부력방지와 안정적 담수위를 유지하는 수자원 지하비축시설의 시공방법
KR200224492Y1 (ko)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JP4590196B2 (ja) 雨水貯溜槽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H10168985A (ja) 地表水の浸透を促進させるための構造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398961B1 (ko)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KR200187240Y1 (ko) 투수관을 이용한 이중 수로관
JP4800119B2 (ja) 地中埋設物の浮上防止構造
KR200217681Y1 (ko) 집수 및 침투 수로관
KR102096852B1 (ko) 지하 배수 시스템
JPH1018294A (ja) のり面の安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