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900B1 -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 Google Patents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900B1
KR100440900B1 KR10-2001-0047808A KR20010047808A KR100440900B1 KR 100440900 B1 KR100440900 B1 KR 100440900B1 KR 20010047808 A KR20010047808 A KR 20010047808A KR 100440900 B1 KR100440900 B1 KR 10044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slope
cement mortar
pip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680A (ko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주)삼호기술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호기술개발공사 filed Critical (주)삼호기술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01-004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9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및 택지 등의 절토된 토사상태의 자연 비탈면이나 수로의 뚝에서 비탈면의 유실 또는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용 비탈면의 배수 및 보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용 비탈면 보호용 블럭 대하여서는,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에 블럭 조립시켜 주거나 본인의 선발명 출원(10-01-36449)에 의하면 배수공이 천공된 급,배수파이프를 철근과 시멘트 몰탈로 연결하여 사용되었으나 이는 장마 또는 가뭄에 대하여 배수 및 비탈면 보강을 촉진하는 기능은 양호하나 비탈면에서 적층된 토사의 배출수가 침투된 토사의 유실 방지에 대한 효과적인 비탈면 보호에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바 본 발명은 수로관(21)에서 원호형 거푸집(22)을 조립하되 조립공간에 철근(33)과 시멘트 몰탈(32)로 충만 시켜 수로관(21)의 연결부위 및 전체의 배수구간의 일체화로 형성하고 원호형 거푸집(22)의 가장자리에는 시멘트 몰탈 투입구(30)를 형성시켜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제공하여 수로관(21)이 철근 콘크리트로 보강된 배수장치이며 수로관(21)의 연결부위는 철근(33)과 시멘트 몰탈(32)의 역할로 견고히 보강되어 비탈면의 쇄골 또는 함몰등의 방지에 탁월한 보강 효과를 제공되며, 이에 따른 실시예에 관한 발명으로 비탈면의 쇄골 및 무너짐 등을 보강함과 동시에 배수역할도 제공하는 제품이다.

Description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omitted}
본 발명은 수로의 뚝이나 도로 및 택지 등의 절토된 토사상태의 자연 경사면, 즉, 비탈면의 유실 또는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가 용이하고 쇄굴을 방지할 수 있는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탈면이 빗물의 흐름에 의해 쇄굴되거나 함몰되는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콘크리트 블럭으로 수도를 형성하여 주거나, 본인의 선발명 출원에 의하면 급,배수공이 천공된 배수파이프를 서로 블럭 상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제공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품은 배수 보강 및 쇄골 방지 등의 효과가 제공되지만 이에 대하여 더 경제적인 제품의 제공으로 토사 붕괴로 유실 방지 보강되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수를 촉진하기 위한 제품제공에 대한 제품이다.
본 발명은 비탈면의 수로관에 원호형 거푸집을 철근 및 시멘트 몰탈로 조립시켜 주되 배수구간이 형성된 시멘트 몰탈 보강관을 다수개의 지지대로 보강하여 주고 하측의 수로관 보강용 원호형 거푸집의 철근 콘크리트에 일체로 고정시켜 줌으로써, 비탈면의 지표면 뿐만 아니라 적토된 지중의 침출수까지 배수하는 비탈면이 붕괴되는 등의 위험이 없도록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배수 및 보호 블럭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또한, 장마에는 배수를 촉진시켜 주면서 절토된 비탈면의 유실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토사지지 보강 및 배수관 역할을 하는 배수구(24)로 천공시켜 주면서 장마 또는 빗물에 의한 토사의 쇄골이나 무너짐을 방지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요부로서 수로관에 원호형 거푸집으로 보강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하측에 유공관을 지지대로 일체화되는 부분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지지대 부위의 요부 단면도
도4는 도2에서 유공관을 철근 콘크리트로 보강된 유공관으로 보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도4에서 지지대 부위의 요부 단면도
도6은 도5의 유공관에서 경사면 하측의 원호형 거푸집으로 고정된 구조를 보인 요부 분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품이 경사면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번호 설명〉
21.수로관 22.원호형 거푸집 24.배수구
25.내측관 26.배수구간 28.외측관
30.투입구 31.지지대 32.시멘트 몰탈
33.철근 35.파형지지대 36.융착점
37.유공관 38.고정대 40.비탈면
본 발명의 제품을 도면에 의거 구성을 설명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 절개지에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하고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로관(21)과 수로관(21)을 서로 연결시켜 구성하되, 상기 수로관(21)의 외측부위에 원호형 거푸집(이하에서는 거푸집이라 칭한다)(22)을 수로관(21)의 양측 가장 자리에 조립시켜 철근(33)과 시멘트 몰탈(32)을 충진할 수 있는 내측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2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시멘트 몰탈(32) 투입구(30)를 형성시킨다.따라서, 비탈면(40)에서 현장시공 할 경우에 거푸집(22)에 철근(33)을 삽입하고, 수로관(21)을 상기 거푸집(21)에 조립시켜 준 다음 투입구(30)로 시멘트 몰탈(32)을 철근(33)이 설치된 내측공간에 충진시켜 일정한 시간동안 양생시켜 경사면(40)에 따라 되뫼움시켜 사용한다. 이는 철근 콘크리트로 보강되어 제공되므로 장마 또는 빗물이 흐르면서 비탈면을 쇄굴시킬 때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며 수로관의 연결부위에도 연속적인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경사진 전체의 균형을 유지 시켜주는 제품이며 또 장마등으로 물이 불 경우 수로관(21)으로 배수되어서 종래의 수로관(21) 사이의 연결 부위의 취약점을 보완하여 준다.
이때, 절개지의 경사면(40)은 토양을 매립하여 조성하는 경우가 많은 바, 지표면 뿐만 아니라 매립된 지중에서도 배수하는 물이 침출하여 매립지의 쇄굴이나 함몰의 원인이 되므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21) 몸체에 조립된 철근 콘크리트와 거푸집(22)으로 조립된 경우 절개지의 지중에 스며드는 배수물을 효과적으로 배수하면서 경사진 지중의 함몰 방지를 위하여 거푸집(22)의 하측부위에 간헐적으로 지지대(31)을 배수구간(26)이 형성된 유공관(37)으로 조립시켜 지중에서의 침출수 제거와 토지의 함몰을 방지한다.
여기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2)의 하측에 지지대(31)로 고정된 유공관(37)의 보강으로 경사지의 함몰 및 쇄굴 방지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유공관(37)은 경사지의 토양의 지지력 보강 뿐만 아니라 배수 역할을 위하여 수로관(21)에 거푸집(22)으로 조립하여 철근 콘크리트로 보강된 본 발명의 제품에서 거푸집(22)의 하측에 간헐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로 보강된 지지대(31)로 연결시켜 주고 내측관(25)에 철근(33)과 시멘트 몰탈(32)로 충진시켜 보강되고 외측관(28)에는 파형지지대(35)와 융착점(36)으로 융착하여 배수공간(26)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관(28)에는 배수구(24)를 형성한 유공관(37)을 일체로 지지대(31)에 고정시켜 구성된 발명으로서 비탈면의 지표면 뿐만 아니라 지중에 스며든 침출수까지 배출되는 제품으로 장마등으로 쇄굴 및 함몰현상 방지를 보강하여 준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40)에서 효과적인 배수 촉진 및 쇄굴이나 함몰등의 방지 보강을 위하여 각각 수로관(21)을 계단식으로 다단계로 형성하되, 상기 설명된 철심 보강된 배수관 및 유공관(37)을 고정하는 지지대(31) 부위에 경사면(40)의 하측에 매설된 수로관(21)의 거푸집(22)을 절개시켜 철근(33) 및 시멘트 몰탈(32)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대(38)로 일체화시켜 구성되는 발명으로서 이때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대(38)에 배수구간(26)을 형성시켜 유공관(37)의 배수가 수로관(21)에 연결되도록 제공하여도 본 발명의 제품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비탈면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에 계단식으로 수로관에 조립된 보강블럭을 유공관과 하측의 수로용 블록에 지지대와 고정대로 서로 고정시켜 주어 비탈면에 설치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비탈면에 묻혀져 적절한 배수 및 보강 역할로 토사층이 결속되는 지지성이 강해 슬라이딩 현상이나 많은 빗물이 낙차되어도 수로관 및 유공관으로 빗물 흡수가 지표면 및 지중에서 동시에 이루어져 빠르고, 또 토사의 쇄굴이나 함몰 방지등을 보강하여 주므로 경사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토사층의 장기간 시설 보호 역할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Claims (5)

  1. 삭제
  2. 수로관(21)의 외측에 반원형 거푸집(22)을 조립하여 상기 수로관(21)과의 사이에 내측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거푸집(22)의 양측에는 간헐적으로 투입구(30)를 형성하고, 내측공간에는 철근(33)과 시멘트 몰탈(32)로 충진하여 비탈면에서의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22)의 하측에는 배수구(24)가 형성된 유공관(37)을 지지대(31)로 간헐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37)은
    내측에 철근(33)과 시멘트 몰탈(32)이 충진된 내측관(25)과, 상기 내측관(25)에 파형지지대(35)와 융착점(36)에 의해 융착되어 배수구간(26)을 형성하고, 외측에 배수구(24)가 형성된 외측관(28)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는 경사면 아래 계단에 형성된 반원형 거푸집(22)과 고정대(38)에 의해 연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38)에 배수구간(26)을 형성시켜 상기 유공관(37)과 수로관(21)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KR10-2001-0047808A 2001-08-08 2001-08-08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KR10044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808A KR100440900B1 (ko) 2001-08-08 2001-08-08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808A KR100440900B1 (ko) 2001-08-08 2001-08-08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240U Division KR200261327Y1 (ko) 2001-08-09 2001-08-09 배수용 비탈면 보호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680A KR20030013680A (ko) 2003-02-15
KR100440900B1 true KR100440900B1 (ko) 2004-07-27

Family

ID=2771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808A KR100440900B1 (ko) 2001-08-08 2001-08-08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9126B (zh) * 2017-02-24 2018-08-17 化学工业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边坡支护排水渠的施工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3011A (ja) * 1983-05-27 1984-12-27 Nisshoku Corp 排水方法
US4498807A (en) * 1983-09-08 1985-02-12 Polydrain, Inc. Drainage channel with means for maintaining proper slope during installation
KR950009040A (ko) * 1993-09-20 1995-04-21 민병이 합성수지관의 접속방법
KR950025392U (ko) * 1994-02-14 1995-09-18 민병이 고강도 배수로관의 연결 접속장치
US5522675A (en) * 1994-12-19 1996-06-04 Ab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drainage channel sections
KR970062567U (ko) * 1996-05-22 1997-12-11 민병이 U형 수로관용 거푸집 및 그의 제품
KR19990085346A (ko) * 1998-05-16 1999-12-06 민병이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20000002077A (ko) * 1998-06-17 2000-01-15 민병이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방법
KR20030001653A (ko) * 2001-06-25 2003-01-08 민병이 비탈면 보호 블럭의 배수용 파이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3011A (ja) * 1983-05-27 1984-12-27 Nisshoku Corp 排水方法
US4498807A (en) * 1983-09-08 1985-02-12 Polydrain, Inc. Drainage channel with means for maintaining proper slope during installation
KR950009040A (ko) * 1993-09-20 1995-04-21 민병이 합성수지관의 접속방법
KR950025392U (ko) * 1994-02-14 1995-09-18 민병이 고강도 배수로관의 연결 접속장치
US5522675A (en) * 1994-12-19 1996-06-04 Ab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drainage channel sections
KR970062567U (ko) * 1996-05-22 1997-12-11 민병이 U형 수로관용 거푸집 및 그의 제품
KR19990085346A (ko) * 1998-05-16 1999-12-06 민병이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20000002077A (ko) * 1998-06-17 2000-01-15 민병이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방법
KR20030001653A (ko) * 2001-06-25 2003-01-08 민병이 비탈면 보호 블럭의 배수용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680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722B1 (ko) 비탈면 배수시설
KR10045584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비탈면 안전 보강되는 암거배수용 수로관
KR100440900B1 (ko)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JP2008255757A (ja) 流出抑制街渠工
KR200463521Y1 (ko) 매입형 배수로 부재
JP3072682U (ja) コンクリート製の排水溝ブロック
KR200261327Y1 (ko) 배수용 비탈면 보호 블럭
KR100433560B1 (ko) 비탈면 보호 블록의 배수용 파이프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101791170B1 (ko)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KR200267028Y1 (ko) 비탈면 암거배수용 수로관
KR100398961B1 (ko) 문양 콘크리트 배수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배수로시공방법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71586Y1 (ko) 결속 보강용 수로관
KR200298291Y1 (ko) 배수구가 형성된 맨홀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2055217B1 (ko) 지하수 배수재의 시공방법 및 이 배수재 위에 설치되는 기초 슬래브를 이용하여 배수재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방법
KR200217681Y1 (ko) 집수 및 침투 수로관
JP2010013853A (ja) 道路用排水設備の施工方法
JPH11158982A (ja) 目詰まり防止材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421462B1 (ko) 도로 공사용 u형 배수로관
KR200249174Y1 (ko) 비탈면 보호 블럭의 배수용 파이프
JP2799845B2 (ja) 地下浸透型側溝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