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170B1 -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 Google Patents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170B1
KR101791170B1 KR1020150150293A KR20150150293A KR101791170B1 KR 101791170 B1 KR101791170 B1 KR 101791170B1 KR 1020150150293 A KR1020150150293 A KR 1020150150293A KR 20150150293 A KR20150150293 A KR 20150150293A KR 101791170 B1 KR101791170 B1 KR 10179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pipe
penetration
wa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202A (ko
Inventor
오현배
Original Assignee
오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배 filed Critical 오현배
Priority to KR102015015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1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로 되어 관 형상을 이루는 침투관(200)이 수로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관(100)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수로관(100)을 흐르는 물이 땅속으로 침투될 수 있게 되되,
상기 침투관(200)은 수로관(100)의 바깥면에 대응되는 결합면(220) 및 상기 결합면(220)과 함께 침투관(200)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곽면(240)을 포함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곽면(240)의 형상을 조절하여 돌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작과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Aid permeation drainage means for permeation pipe}
본 발명은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로관을 흐르는 물을 땅속으로 침투시켜줄 수 있게 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도심에서 발생하는 우수의 배수는 빗물받이를 통하여 연결된 배수관로에 의해 집수조로 모이도록 한 후 하천으로 유입시키고 있다. 그런데, 도시화의 결과 지표면을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포장하는 상황이 빈번하고 더불어 보도블록을 깔아서 정돈하고 있는데, 그 과정에서 불 투수 면적이 증가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불 투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땅속으로 흡수되는 우수의 양은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었는데, 그 결과 지하에서는 지하수가 고갈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13-0167090호(2013. 12. 30.) "보조 침투수단을 구비한 배수용 침투수로관"을 제안한바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배수로(43)를 형성한 몸체(42)를 이루고 상기 몸체(42) 상측이 개방되어 그레이팅(44)을 설치한 사각형의 수로관(40)에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다수 개의 배출구멍(41)을 형성하되, 침투통(20)을 마련하여 상기 배출구멍(41)에 설치함으로써 배수로(43)를 흐르는 물이 상기 배출구멍(41)을 통과하여 침투통(20)을 통해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땅속으로 침투되는 우수의 양을 증가시켜 지하수의 고갈을 막는데 일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침투수로관은 침투통(20)이 통 형태로 형성되어 수로관(40) 외벽에서 도드라지게 돌출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미리 제작하여 운반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돌출되는 침투통(20)이 운반과정에서 다른 구조물에 부딪혀 손상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문제로 인해 수로관(40)과 침투통(20)을 시공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시공하여야 하는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시공과정에서 돌출된 침투통(20)으로 인해 수로관(40)을 매설하는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침투통(20) 아래쪽에 꼼꼼히 쇄석이나 모래, 흙 등을 채워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다는 것이다.
나아가 수로관(40)을 매설하기 위해 땅을 파야하는데, 돌출된 침투통(20)으로 인해 파야하는 면적이 증가하고 깊이도 더 깊게 파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였는바, 이를 개선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로관에 설치되는 침투수단의 돌출 정도를 최소화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을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관 형태로 되는 침투수단을 마련하여 침투수단이 수로관의 외곽라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침투수단이 수로관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되는 정도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로관에 밀접하게 침투관을 설치함으로써 침투관이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바, 제작과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수로관과 침투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수로관과 침투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수로관과 침투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침투관이 서로 연결되게 설치된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침투관이 조립식으로 형성된 상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수로관에 설치되는 침투수단의 돌출 정도를 최소화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을 얻기 위해,
일정한 길이로 되어 관 형상을 이루는 침투관이 수로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관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수로관을 흐르는 물이 땅속으로 침투될 수 있게되되,
상기 침투관은 수로관의 바깥면에 대응되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과 함께 침투관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곽면을 포함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곽면의 형상을 조절하여 돌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수로관과 침투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수로관과 침투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수로관과 침투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은 물이 흐를 수 있게 형성되는 수로관(100)에 침투수단으로 침투관(200)이 설치되어 상기 수로관(100)을 흐르는 물이 상기 침투관(200)을 통해 땅속으로 침투될 수 있게 형성된다.
수로관(100)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를 흐르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소망하는 위치에 배출구멍(120)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멍(120)은 수로관(100)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수로관(100)을 흐르는 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반면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멍(120)에는 침투관(200)이 결합되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침투관(200)에 상기 배출구멍(120)에 끼워지는 연결관이 형성되어서 침투관(200)이 배출구멍(120)과 연통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출구멍(120)은 수로관(100)을 흐르는 물이 침투관(200)으로 배출되게 하는 통로가 된다.
수로관(100)은 단면이 사각형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입구에 그레이팅이 덮여서 입구가 외부로 드러나는 배수로를 형성하는 환경에 적용될 수 있고,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로관(100) 전체가 매설되는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침투관(200)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다.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수로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침투관(200)은 몸체를 따라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다공관 형상으로서, 상기 구멍을 통해 수로관(100)에서 유래된 물이 땅속으로 침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부가 비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침투관(200)은 수로관(100)의 바깥면에 밀접하게 고정된다. 이때 침투관(200)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물이 침투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의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하더라도 침투 성능 구현에는 문제가 없는 바, 침투관(200)의 돌출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침투관(200)은 수로관(100)의 바깥면에 대응되는 결합면(220) 및 상기 결합면(220)과 함께 침투관(200)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곽면(24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면(220)에는 연결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이 배출구멍(120)에 결합됨으로써 수로관(100)과 침투관(200)이 연통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면(220)은 수로관(100)의 바깥면이 이루는 면과 면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면(220)을 수로관(100)의 바깥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인바, 이를 통해 침투관(200)이 수로관(100)의 바깥면에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곽면(240)은 수로관(100)의 바깥면 형상을 고려하여 그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형성함으로써 돌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원호를 이루는 곡면 또는 삼각, 사각, 오각 등 다각을 이루는 면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투관(200)의 외곽면(240)은 상기 수로관(100)의 단면도상 상하좌우의 어느 한 방향으로도 수로관(100)의 최대 돌출지점(102)을 벗어나지 않고 최대 돌출지점(102)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로관(100)이 운반 및 보관을 위해 나란하게 놓이는 경우 침투관(200)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수로관(100)의 형상에 따라 침투관(200)이 돌출이 최소화 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1> 수로관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100)이 단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에서는 필연적으로 수로관(100)에 모서리가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가 땅속에 묻히게 된다. 통상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배수로에서 그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로관(100)에서는 상기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태를 이루어 설치면(14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침투관(200)이 상기 설치면(140)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침투관(200)이 상기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제거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인바, 자연스럽게 돌출이 최소화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침투관(200)은 상기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제거된 부분과 근접한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가 모따기 되면 대체로 삼각형 형상으로 모서리가 잘려나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잘려나간 부분과 근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모서리가 잘려나간 부분과 근접한 형상의 예를 들면, 침투관(200)의 외곽면(240)이 원호형상의 곡면 또는 적어도 두 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어진 형상, 예를 들면 두 면이 직각을 이루며 이어진 형상 도는 세 면이 동일한 각도를 이루며 이어진 형상으로 되는 것이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예로는, 단면 반원형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침투관(200)의 결합면(220)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침투관(200) 내측을 향해 오목한 원호형상의 곡면을 이루게 형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침투관(200)이 상기 설치면(140)에 설치되면 모서리에서 모따기되어 잘려나간 부분을 채우게 된다. 그 결과 침투관(200)의 외곽면(240)이 수로관(100)의 바깥면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외곽라인을 형성하게 되므로 침투관(200)에 의한 돌출이 최소화되고, 운반이나 보관을 위해 수로관(100)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더라도 인접한 수로관(100)에서 침투관(200)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실시예2> 수로관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수로관(10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앞서 실시예1과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수로관(100)이 상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측이 하측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수로관(100)을 형틀에서 제작하는 경우 탈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것인데,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침투관(200)은 수로관(100)의 하단 측벽에 접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침투관(200)이 설치되면 운반이나 보관을 위해 상기 수로관(100)이 나란히 배치되면 인접한 수로관(100)에 설치된 침투관(200)이 서로 마주보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로 마주보는 침투관(200)이 서로 닿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침투관(200)의 외곽면(240)이 수로관(100)의 측벽에서 최대 돌출지점(102) 내에 위치하게 형성되는 것인바, 침투관(200)의 외곽면(240)이 서로 접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침투관(200)의 돌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나 수로관(100)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더라도 인접한 수로관(100)에서 침투관(200)이 서로 접하지 않음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3> 수로관의 바깥면이 원호형상의 곡면을 이루는 경우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관(100)은 바깥면이 볼록한 원호형상의 곡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수로관(100)이 단면 원형이나 타원형을 형성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바깥면이 원호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수로관(100)에서 본 발명에 의한 침투관(200)은 결합면(220)의 양단(침투통의 폭 방향, 이하 동일)은 수로관(100)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외곽면(240)은 원호형상의 곡면을 이루게 형성된다. 따라서 외곽면(240)이 수로관(100)의 바깥면에서 완만한 언덕처럼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며 돌출되게 되는바,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면(220)은 수로관(100)의 바깥면에 접할 수 있도록 그 곡률이 수로관(100)의 바깥면이 이루는 곡률과 일치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면(220)이 수로관(100)의 바깥면에 밀접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필요에 따라 채택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침투관이 서로 연결되게 설치된 상태 예시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침투관(200)은 복수개가 마련되어 수로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침투관(100)에 다수의 연결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로관(100)에도 다수의 연결관에 맞는 배출구멍(120)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침투관(200)이 서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구성은 별도의 커플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달리 일측 침투관(200)의 끝단이 타측 침투관(200)의 끝단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는 구조를 통해서도 구현이 가능한바, 필요에 따라 채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침투관이 조립식으로 형성된 상태 예시도이다.
상기 침투관(200)은 하나의 침투관(200)이 다수의 조립관(202)으로 연결되어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어느 한쪽 끝단이 막혀있는 상태를 이루고 막혀 있는 부분에 물이 유통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조립관()이 마련되어 어느 하나의 조립관이 다른 조립관(20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관()이 조립되면 침투관(200)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격벽이 형성되게 된다. 한쪽 끝단이 막혀 있음에 따라 격벽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격벽은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침투관(200)이 외력에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100 : 수로관, 120 : 배출구멍,
140 : 설치면,
200 : 침투관, 202 : 조립관,
220 : 결합면, 240 : 외곽면.

Claims (7)

  1. 일정한 길이로 되어 관 형상을 이루는 침투관(200)이 수로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관(100)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구멍(12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수로관(100)을 흐르는 물이 땅속으로 침투될 수 있게 되되,
    상기 침투관(200)은 수로관(100)의 바깥면에 대응되는 결합면(220) 및 상기 결합면(220)과 함께 침투관(200)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곽면(240)을 포함하게 형성되고,
    상기 외곽면(240)은 상기 수로관(100)의 단면도상 상하좌우의 어느 한 방향으로도 수로관(100)의 최대 돌출지점(102)을 벗어나지 않고 최대 돌출지점(102)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100)은 사각형을 이루어 상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측이 하측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침투관(200)은 수로관(100)의 하단 측벽에 설치되되,
    상기 침투관(200)의 외곽면(240)이 수로관(100)의 최대 돌출지점(102)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100)은 사각형을 이루어 땅속에 묻히는 부분에 모서리가 형성되되,
    상기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태를 이루어 설치면(14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침투관(200)이 상기 설치면(140)에 설치되어 돌출이 최소화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관(200)의 외곽면(240)은 원호형상의 곡면 또는 적어도 두 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어진 형상으로 되어 상기 침투관(200)이 상기 모따기된 모서리를 채움으로써 돌출이 최소화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100)은 원형을 이루되,
    상기 결합면(220)의 양단은 수로관(100)의 외주면에 인접하는 한편, 외곽면(240)이 원호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돌출이 최소화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관(200)은 복수개가 마련되어 수로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KR1020150150293A 2015-10-28 2015-10-28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KR10179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93A KR101791170B1 (ko) 2015-10-28 2015-10-28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93A KR101791170B1 (ko) 2015-10-28 2015-10-28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202A KR20170049202A (ko) 2017-05-10
KR101791170B1 true KR101791170B1 (ko) 2017-10-27

Family

ID=5874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293A KR101791170B1 (ko) 2015-10-28 2015-10-28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81B1 (ko) * 2019-07-12 2020-02-19 (주)성광종합기술개발 수로관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404Y1 (ko) * 2003-03-17 2003-06-18 동림건설기술(주) 지중 매설형 투수 콘크리트관
KR101163130B1 (ko) * 2008-10-07 2012-07-06 주식회사 천수본사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404Y1 (ko) * 2003-03-17 2003-06-18 동림건설기술(주) 지중 매설형 투수 콘크리트관
KR101163130B1 (ko) * 2008-10-07 2012-07-06 주식회사 천수본사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202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2729B2 (en) Wide area water collection type underground water tank
WO2008138218A1 (fr) Procédé de drainage d&#39;eau et tuyau de drainage associé
KR100986157B1 (ko) 배수형 브레이싱 및 보강수로가 설치된 터널
JP2016173003A (ja) ナトム工法で施工されたトンネルの漏水対策工法
JP2009133110A (ja) 排水設備構造
US10584471B2 (en) Integrated retaining wall and fluid collection system
KR101791170B1 (ko) 침투수단이 구비된 수로관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US8182174B2 (en) Drainage system for directing surface water to underground strata
JP3645773B2 (ja) 地下壁の排水処理方法および、この方法で構築した地下壁
KR100456610B1 (ko) 도로 저면에 지하수의 유입이 많은 연약지반의 배수로시공 공법 및 그 배수관
KR10045584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비탈면 안전 보강되는 암거배수용 수로관
JP6198593B2 (ja) 雨水処理システム
JP2007092293A (ja) マンホール管の埋設構造
KR101985599B1 (ko) 막힘 방지용 유공관 어댑터
JP3182036U (ja) 浸透側溝
KR20050111710A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방법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KR101878286B1 (ko)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JPS6111339Y2 (ko)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40900B1 (ko) 토목 및 도로의 비탈면 안전을 위한 배수 및 보호 블럭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