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681Y1 - 집수 및 침투 수로관 - Google Patents

집수 및 침투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681Y1
KR200217681Y1 KR2020000029695U KR20000029695U KR200217681Y1 KR 200217681 Y1 KR200217681 Y1 KR 200217681Y1 KR 2020000029695 U KR2020000029695 U KR 2020000029695U KR 20000029695 U KR20000029695 U KR 20000029695U KR 200217681 Y1 KR200217681 Y1 KR 200217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ipe
porous concrete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환
Original Assignee
김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달환 filed Critical 김달환
Priority to KR2020000029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6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681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관을 설치하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예를들어 수로를 설치하면서 지표면수를 집수하여야 하는 지표면이 연약한 지역의 경우에 지표면수가 자연스럽게 수로관으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하여 지반의 붕괴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반대로 지표면으로 어느 정도 환원 침투시켜야 하는 경우, 예를들어 수로의 물이 지하로 스며들게 하여 자연의 생태계에 필요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집수 및 침투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벽면체(1),(2)와 바닥면(3)으로 이루어진 수로관의 형성에 있어서, 상기 벽면체(1),(2)와 바닥면(3)의 어느 한쪽에 통수성이 있는 다공질콘크리트부(20)를 가지는 수로관(10)이 형성되도록 함을 기본특징으로 하며, 상기 바닥면(3)에 구멍(4)을 천공하여 이 구멍(4)에 다공질콘크리트부(20)가 형성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수 및 침투 수로관{Water pipe for collecting and percolating water}
본 고안은 수로의 설치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지표면을 흐르는 지표면수가 집수되어 수로관을 통해서 직접 흐르게 할 수 있고, 또는 수로관을 통해서 흐르는 유수가 일부 지하로 환원되도록 할 수 있는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수로관을 형성하는 벽면체나 바닥면에 통수(通水)가 가능한 다공질콘크리트가 형성되도록 하여, 수로관을 통해서 흐르는 유수가 바닥면을 통하여 지하로 환원토록 함으로써, 표면수가 지하로 저류하여 자연환경 및 생태계가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방이나 경사진 법면 등에는 수로관의 다공질콘크리트벽을 통하여 집수되게 하여, 지표면수가 수로관을 통하여 흘러내리게 함에 따라서 제방 및 범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집수 및 침투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로관은 대부분 물이 통수될 수 없는 콘크리트 등 단수재(斷水材)로 구성되어 있어서, 수로관의 기능은 단순히 지표면의 물이 흘러들어 목적하는 곳으로 흘러보내는 배수작용을 하는데 불과하였으므로, 장마철에 내리는 빗물의 대부분은 지표면을 그대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지하로 스며드는 수분량이 매우 부족해서 지중(地中)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홍수 피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도시의 경우에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바닥면의 증가로 빗물의 지표면수가 지하로 스며들 사이도 없이 바로 수로를 통하여 빠져나감에 따라서 지하 생태계가 파괴되는 등의 자연환경에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도로침수 등의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제방이나 경사진 범면에 설치되는 수로관이 일반콘크리트의 단수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지하의 수로를 차단함에 따라서 제방 및 범면이 붕괴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우기가 일정치 아니할 뿐만 아니라, 그 강우량에 있어서도 불균형한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강우량의 대부분은 지표면을 흘러서 강이나 바다로 바로 빠져나가게 되고, 지하로 스며드는 삼투수량(渗透水量)은 극히 적은 점을 감안하여 설치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집수 및 침투가능한 수로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고안은 'U'자형의 수로관의 벽면체 및 바닥면을 통수가 가능한 다공질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하므로서, 수로관의 설치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지표면을 흐르면서 땅속으로 스며드는 삼투수를 수로관의 벽면체를 통해 수로관으로 집수되도록 하고, 또 한편, 수로관의 바닥면을 일부 다공질 콘크리트의 재질로 형성하여 수로관을 통해서 흘러내리는 유수가 일부 지하로 스며들게 하므로서, 지중에서 물이 저류하여 생태계에서 요구하는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집수 및 침투 수로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벽면체와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수로관의 형성에 있어서의 상기 벽면체와 바닥면의 어느 한쪽에 통수성이 있는 다공질콘크리트부를 가지는 수로관이 형성되도록 함을 기본특징으로 하며, 상기 바닥면에 구멍을 천공하여 이 구멍에 다공질콘크리트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로관의 한쪽벽에 다공질콘크리트부가 형성된 예시도,
a는 수로관의 사시도,
b는 수로관의 설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로관의 양쪽벽에 다공질콘크리트부가 형성된 예시도,
a는 수로관의 사시도,
b는 수로관의 설치 단면도,
도 3은 본고안의 수로관의 바닥에 다공질콘크리트봉을 박은 상태의 설치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수로관의 바닥면에 다공질콘크리트부가 형성된 예시도,
a는 수로의 설치 단면도,
b는 수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벽면체 3 : 바닥면
4 : 구멍 5 : 다공질콘크리트봉
6 : 삼투수판 7 : 노면등의 도로
10 : 수로관 20 : 다공질콘크리트부
통상의 수로관은 'U'자형으로 성형되며 대체로 콘크리트로 성형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수로관(10)의 양쪽 벽면체(1)(2)중 한쪽 또는 양쪽 에 통수가 가능한 다공질콘크리트부(20)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상기 다공질콘크리트부(20)는 대체로 고강도시멘트에 골재 10∼20m/m가 혼합된 연속공극률 10∼25%의 다공질의 콘크리트재질을 말하며, 일반콘크리트로 바닥면(3) 등의 성형과 동시에, 벽면체(1) 또는 벽면체(2)에 다공질의 콘크리트가 형성되도록 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일반 콘크리트부분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다공질콘크리트부(20)가 성형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a 및 도 1b의 경우에는 수로관(10)의 한쪽 벽면체(1)에 다공질콘크리트부(20)가 성형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도 1b 와 같이 한쪽은 노면 등의 도로(7)이고 다른 한쪽은 경사진 범면의 경우에 노면 등의 도로(7)쪽의 지표면수를 수로관(10)으로 집수하고 대신 경사범면쪽으로는 수로관(10)의 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범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a 및 도 2b의 경우에는 수로관(10)의 양쪽 벽면체(1),(2)에 다공질콘크리트부(20)가 성형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도 2b 와 같이 양쪽의 경사진 범면과 평면의 지표면수를 수로관(10)으로 집수할 수 있게 된다.
도 3의 경우에는 수로관(10)의 바닥면(3)에 구멍(4)을 뚫고 이 구멍(4)에 다공질콘크리트봉(5)을 박아 수로관(10)으로 흐르는 물이 지하로 스며들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수로관(10)의 바닥면(3)에 구멍(4)을 뚫는 것은 기존의 수로관에 구멍을 뚫어 다공질콘크리트봉(5)을 박아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공질콘크리트봉(5)의 길이는 지하수로의 깊이에 따라서 성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의 경우에는 수로관(10)의 바닥면(3)을 일정크기로 구멍(4)을 뚫어, 이 구멍(4)에 다공질 콘크리트재로 만든 삼투수판(6)을 끼워붙임한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일정크기의 구멍(4)이 성형되도록 한 수로관(10)을 현장에서 매설하면서, 수로관(10)의 구멍(4)에 끼워맞춤 가능한 삼투수판(6)을 조립하는 것으로 설치가 간단한 것이다.
이 역시 기존의 수로관의 바닥면(3)에 일정크기로 구멍(4)을 뚫어, 이 구멍(4)에 다공질 콘크리트재로 만든 삼투수판(6)을 끼워붙임할 수 있다.
상기 수로관(10)의 바닥면(3)에 구멍(4)의 형성은 등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구멍의 크기도 수로관(10)의 설치지역의 특성에 맞게 성형 또는 뚫을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로관(10)으로 흐르는 물의 일부가 상기 다공질콘크리트 재질의 삼투수판(6)을 통하여 땅속으로 스며들게 되어 지하의 생태계를 보호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수로관을 설치하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예를들어 수로를 설치하면서 지표면수를 집수하여야 하는 지표면이 연약한 지역의 경우에 지표면수가 자연스럽게 수로관으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하여 지반의 붕괴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반대로 지표면으로 어느 정도 환원 침투시켜야 하는 경우, 예를들어 수로의 물이 지하로 스며들게 하여 자연 생태계에 필요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Claims (2)

  1. 벽면체(1),(2)와 바닥면(3)으로 이루어진 수로관의 형성에 있어서, 상기 벽면체(1),(2)와 바닥면(3)의 어느 한쪽에 통수성이 있는 다공질콘크리트부(20)를 가지는 수로관(10)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및 침투 수로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10)의 바닥면(3)에 구멍(4)을 천공하여 이 구멍(4)에 다공질콘크리트부(20)가 형성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및 침투 수로관.
KR2020000029695U 2000-10-25 2000-10-25 집수 및 침투 수로관 KR200217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695U KR200217681Y1 (ko) 2000-10-25 2000-10-25 집수 및 침투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695U KR200217681Y1 (ko) 2000-10-25 2000-10-25 집수 및 침투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681Y1 true KR200217681Y1 (ko) 2001-03-15

Family

ID=7305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695U KR200217681Y1 (ko) 2000-10-25 2000-10-25 집수 및 침투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6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046B1 (ko) 2007-06-23 2009-08-28 주식회사 에스에치 담수용 생태 수로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046B1 (ko) 2007-06-23 2009-08-28 주식회사 에스에치 담수용 생태 수로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237B1 (en) Wide area water collection type underground water tank
KR100491410B1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2009127359A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0718722B1 (ko) 비탈면 배수시설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200217681Y1 (ko) 집수 및 침투 수로관
JP2007146653A (ja) 目詰まり防止材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906075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JP2008255757A (ja) 流出抑制街渠工
KR10045584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비탈면 안전 보강되는 암거배수용 수로관
KR200224166Y1 (ko) 대형 침투정호
KR100686292B1 (ko) 토양 내 빗물 저류 침투 시설
KR200187240Y1 (ko) 투수관을 이용한 이중 수로관
JP7222602B2 (ja) 地表面排水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200224492Y1 (ko)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JPH10168985A (ja) 地表水の浸透を促進させるための構造
JPS6325141B2 (ko)
KR200224164Y1 (ko) 지중트렌치용 투수 콘크리트관
JP4985983B2 (ja) 道路用排水設備の施工方法
KR200224165Y1 (ko) 소형 침투통
JPS6251346B2 (ko)
JP4362202B2 (ja) 道路用浸透施設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16455Y1 (ko) 다공질 투수부 콘크리트 수로관
KR200301114Y1 (ko) 포러스콘크리트를 사용한 다기능 투수배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