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492Y1 -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 Google Patents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492Y1
KR200224492Y1 KR2020000033057U KR20000033057U KR200224492Y1 KR 200224492 Y1 KR200224492 Y1 KR 200224492Y1 KR 2020000033057 U KR2020000033057 U KR 2020000033057U KR 20000033057 U KR20000033057 U KR 20000033057U KR 200224492 Y1 KR200224492 Y1 KR 200224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crete
concrete block
wall portion
perm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상원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상원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상원콘크리트
Priority to KR2020000033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492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운동장 등의 가장자리에 매설되어 지중의 수분을 집수하여 배수시키거나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키기 위한 측구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침투트렌치 등의 우수 침투시설 또는 집수트렌치 등의 집수시설과 연계하여 지표층의 배수를 원활케 하는 동시에 우수의 지구 유출량을 억제하고 최대한 자연 사이클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한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U자형 단면형상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11)와 양측 벽체부(12)의 내부에 횡철선과 종철선으로 엮어진 철선조립체를 매입하여 성형시키는 측구용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벽체부(12) 및 바닥부(11)의 소정부분은 잔골재를 사용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11) 및 벽체부(12)의 소정부분은 쇄석을 사용하여서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형성하거나 바닥부(11)의 일정위치에 구멍을 형성하여 투수 가능케 한 것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하여서, 지하수의 함양을 통해 수자원을 확보하여 주고 토중 생태계를 보전하여 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하천의 기저유량 증가에 기여하여 깨끗한 수질이 유지되도록 하여 주고, 강우시에는 하천으로 방출되는 우수량을 감소시켜 홍수피해를 방지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A Percolation Concrete Block for Side Gutter}
본 고안은 도로, 운동장 등의 가장자리에 매설되어 지중의 수분을 집수하여 배수시키거나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키기 위한 측구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침투트렌치·소형 침투통 및 대형 침투정호 등의 우수 침투시설 또는 집수트렌치 등의 집수시설과 연계하여 지표층의 배수를 원활케 하는 동시에 우수의 지구 유출량을 억제하고 최대한 자연 사이클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한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에 관한 것이다.
측구는 지표면에 떨어지는 우수를 집수하여 하수도와 배수처리장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게 유도하는 배수시설이다.
이러한 측구는 주로 도로의 가장자리나 건물·주차장·운동장 또는 공원주위의 가장자리 등에 접하여 설치하는 도로변 측구, 철도선로의 측방에 구축하는 철도변 측구, 비탈면이나 산마루에 설치하는 산마루 측구 등이 있다.
종래 위와 같은 측구는 그 단면형태가 대략 U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주로 바닥부와 벽체부를 일체로 형성되게 콘크리트 현장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 또는 경질 플래스틱으로 된 블록 제품을 현장에서 연결하여 구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구는 불투수성으로서 우수를 신속하게 배수시키는데 되는데 주안을 두고 구축되는 것이기 때문에, 우수를 지층내로 침투시키거나 역으로 함수량이 많은 지역의 지하수를 집수하여 하천으로 배출시킬 수가 없었다.
한편, 최근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인해 택지개발이 늘어나면서 지표면의 포장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표면의 포장화는 우수의 지구 유출량을 증가시키고 지하 침투수를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지하수가 고갈되며 결과적으로 점토층과 같이 압밀을 일으키는 지층으로 된 지역의 경우에는 지반이 침하되고, 해안에 가까운 지역의 경우에는 바닷물의 역침투에 의한 지하수 염수화 현상이 일어나는 등 지하수 장해가 발생한다.
또한, 평상시에는 하천의 기저유량이 감소되어 수질을 오탁시키며, 강우시에는 지면의 배수문제가 발생되고 하천유량이 급속히 증가되어서 홍수피해를 입히게 된다.
이에 따라, 함수량이 많은 지역의 경우 지하수를 집수하여 하천으로 방출시키거나, 강우시의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켜 지하수의 안정을 도모하는 동시에 하천의 기저유량을 유지시키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였다.
최근에 이르러 투수 콘크리트(일명, 포러스 콘크리트)가 개발되어 도로, 광장 등의 포장에 적용되고 있다.
투수 콘크리트로 시공된 포장층은 빗물을 지하로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여서 지하수를 함양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우천시 투수콘크리트 포장층에서 지하로 빠져 내려가는 빗물은 일부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우수는 도로의 측구로 흘러 나가 지중에 매설된 배수관로를 통해 하천으로 방류된다. 뿐만 아니라, 함수량이 많은 지역의 지하수를 집수하여 하천으로 방출시키는 작용을 전혀 기대할 수가 없다. 때문에 지하수의 함양 및 하천수의 안정에 그다지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지표면의 포장층은 우수가 단시간에 측구측으로 흘러 나가도록 경사지게 설계되기 때문에 투수량이 적을 수밖에 없고, 종래에는 도로의 측구와 지중의 배수관로가 투수가 불가능한 콘크리트 구조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기 위해서는 빗물이 일시적으로 흐르는 지면의 포장층보다는 대부분의 우수가 장시간 통과하는 도로의 측구 및 지중의 트렌치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며, 또한 이들 시설물들과 연계하여 포장층으로부터 우수를 집수한 후 이를 서서히 지하로 침투시켜 주는 소형 침투통 및 대형 침투정호의 설치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치수상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함수량이 많은 지역의 지하수를 집수하여 배수시키거나 또는 측구로 통과하는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키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나 광장 등의 측구에 사용되는 측구용 블록을 투수 가능케 하여 침투측구·소형 침투통 및 대형 침투정호 등의 우수 침투시설 또는 배수측구 등의 배수시설과 연계하면서 지표층의 배수를 원활케 하는 동시에 우수의 지구 유출량을 억제하고 최대한 자연 사이클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지하수의 함양을 통해 수자원을 확보하고 토중 생태계를 보전하여 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하천의 기저유량 증가에 기여하여 깨끗한 수질이 유지되도록 하고 강우시에는 하천으로 방출되는 우수량을 감소시켜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U자형 단면형상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와 양측 벽체부의 내부에 횡철선과 종철선으로 엮어진 철선조립체를 매입하여 성형시키는 측구용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벽체부의 상단부 및 바닥부의 소정부분은 불투수성 콘크리트부로 형성하여 높은 강도를 갖게 하고, 상기 바닥부 및 벽체부의 소정부분은 다공질 콘크리트부로 형성하거나 구멍을 형성하여 투수 가능케 함으로써, 함수량이 큰 지역에서는 지하수를 집수하여 배수시킬 수 있게 하여 주고, 지하수의 함양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을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2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2b는 제2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4a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4b는 제4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제9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10a, 도10b, 도10c는 본 고안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단면도
도12a는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을 이용해 구축한 침투측구의 단면도
도12b는 도12a의 X-X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침투측구 1:받침대
2:자갈층 3:투수시트
4:모래층 10a~10k:투수 콘크리트블록
11:바닥부 12:벽체부
12a:단턱부 A:불투수성 콘크리트부
B:다공질 콘크리트부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 블록은, U자형 단면형상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11)와 양측 벽체부(12)의 내부에 횡철선과 종철선으로 엮어진 철선조립체(미도시)를 매입하여 성형시키는 측구용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바닥부 (11) 및 벽체부(12)의 소정부분은 잔골재를 사용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11) 및 벽체부(12)의 소정부분은 쇄석을 사용하여서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형성하거나 바닥부(11)의 일정위치에 구멍을 형성하여 투수 가능케 한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부는 사용하는 골재의 입도 및 골재의 최대치수와 최소치수의 범위에 따라서 공극률, 휨강도 및 투수계수가 변동하며, 공극률과 투수계수가 증가하면 강도는 감소되고, 반대로 휨강도가 증가하면 공극률과 투수계수가 낮아진다. 때문에 제품의 용도에 따라 사용하는 골재의 치수를 검토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다공질 콘크리트부(B)는 공극률 10~40%를 유지하면서 휨강도 1.5~4N/㎟을 나타내고 투수계수 0.1~3㎝/sec를 나타내는 물성을 갖는다.
이러한 다공질 콘크리트부(B)는 쇄석과 시멘트, 물 등을 혼합하여서 제작하며, 단위 시멘트량을 220~450㎏/㎡으로 하고 물 시멘트비를 25~40%로서 시멘트 골재비는 쇄석의 골재입경에 따라 변경된다.
즉, 본 고안에서 다공질 콘크리트부(B)는 쇄석의 크기를 골재입경 0.6∼15㎜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하여 형성하며, 사용하는 쇄석의 크기에 따른 시멘트 골재비와, 그 비율에 따라 제작된 다공질 콘크리트부(2)의 물성은 아래와 같다.
a) 골재입경 0.6~5㎜인 쇄석을 사용할 경우
시멘트 골재비; 시멘트 1 : 쇄석 3.5~7
공극률; 10~30%
휨강도; 1.5~4.0N/㎟
투수계수; 0.1~0.5㎝/sec
b) 골재입경 5~15㎜인 쇄석을 사용할 경우
시멘트 골재비; 시멘트 1 : 쇄석 4~8
공극률; 20~40%
휨강도; 1.5~3.0N/㎟
투수계수; 0.3~3㎝/sec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투수 콘크리트블록은 도로 또는 광장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지중의 물기를 관내부로 집수하여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집배수시설 용도 또는 측구의 내부로 집수되는 우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키는 침투용도로 구별되어 사용된다.
집배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상기한 a) 골재입경 0.6~5㎜인 쇄석을 사용하여 제작한 투수 콘크리트블록이 적합하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골재입경 5㎜인 쇄석을 사용하여서, 공극률 20%, 휨강도 2.5N/㎟, 투수계수 0.3㎝/sec의 물성을 나타내는 것이 좋다.
그리고, 침투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상기한 b) 골재입경 5~15㎜인 쇄석을 사용하여 제작한 투수 콘크리트블록이 적합하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골재입경 15㎜인 쇄석을 사용하여서, 공극률 25%, 휨강도 2.0N/㎟, 투수계수 0.5㎝/sec의 물성을 나타내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따라 첨부도면의 도1,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투수 콘크리트블록은 침투 용도로 사용하도록 고안된 구조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실시예에 따라 도1에 도시되는 투수 콘크리트블록(10a)은 양측 벽체부 (12)의 상단부를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고, 양측 벽체부(12)의 나머지부분 및 바닥부(11)를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투수 콘크리트블록(10a)은 중량이 큰 차량의 통행이 불가한 주차장, 집합주택 등의 주위 공원에 설치하여서 집수되는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고자 할 때 적합하며, 후술하는 제2실시예, 제3실시예들에 의한 블록들보다 지하침투능력은 다소 떨어지나 그 양측 벽체부(12)와 바닥부(11)에 형성된 다공질 콘크리트부(B)를 통해 집수되는 빗물을 서서히 지하로 침투시켜 주게 된다.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라 도2a, 도2b 및 도3에 도시되는 투수 콘크리트블록(10b)(10c)은 양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 및 바닥부(11)를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되, 바닥부(11)에는 통수구멍을 갖도록 상기 양측 벽체부(12)의 사이를 중간중간 연결하면서 단속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중간부분을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형성한 특징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 또한, 투수 콘크리트블록(10b)(10c)의 상단에는 덮개거치용 단턱부 (12a)가 형성되어서 그 위에 덮개가 올려져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제2실시예의 투수 콘크리트블록(10b)은 중량이 큰 차량의 통행이 가능한 주차장, 집합주택 등의 부지내 도로에 설치하여서 집수되는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고자 할 때 적합한 것으로, 중량이 큰 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하다.
제3실시예에 의한 투수 콘크리트블록(10c)은 일반도로에 설치하여 집수되는 빗물을 침투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 벽체부(12)가 타측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또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이 양측 벽체부(12)의 단면 두께를 달리하는 이유는 두껍게 된 벽체부(12)를 토사 등의 측압 또는 차량의 통행으로 인해 상부하중이 많이 걸리는 쪽에 설치하여 그것들의 하중을 충분히 받아주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의한 투수 콘크리트블록 (10b)(10c)은 확정된 저유량을 산출할 수가 있고, 빗물의 침투능력이 뛰어나 유출억제 효과가 크며, 물이 괴어 있지 않게 되어 모기 및 악취발생 요인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에 따라 첨부도면의 도4a 내지 도11에 도시되는 투수 콘크리트블록은 집배수 용도로 사용하도록 고안된 구조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4실시예에 따라 도4a 및 도4b에 도시되는 투수 콘크리트블록(10d)은 양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 및 바닥부(11)를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중간부분을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투수 콘크리트블록(10d)은 중량이 큰 차량의 통행이 불가한 도로(보도), 교정, 운동장 등에 설치하여서 지하수의 집수, 배수 및 용수의 배수 용도로 되며, 지하수의 집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제5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에 따라 도5 내지 도11에 도시되는 투수 콘크리트블록(10e~10k)들은 상기 양측 벽체부(12) 중 일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와 타측 벽체부(12)의 전체 및 바닥부(11)를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고, 상기 일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중간부부분을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형성한 특징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
또한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를 제외한 제7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들에 의한 투수 콘크리트블록(10g~10k)들의 상단에는 덮개거치용 단턱부(12a)가 형성되어서 그 위에 덮개가 올려져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제5실시예에 따라 도5에 도시되는 투수 콘크리트블록(10e)은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량이 큰 차량의 통행이 불가한 도로(보도), 교정, 운동장 등에 설치하며, 한쪽면으로 집수하기를 원할 때 사용된다.
제6실시예 및 제7실시예에 따라 도6 및 도7에 도시되는 투수 콘크리트블록 (10f)(10g)은 산을 깎은 장소의 하부에 그 다공질 콘크리트부(B)가 접하도록 설치하여서 법면 용수를 집수하여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된 일측 벽체부(12)가 타측 벽체부(12)의 높이보다 일정부분 더 높게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며, 제7실시예에 의한 투수 콘크리트블록(10g)은 덮개거치용 단턱부 (12a)를 형성하기 위해 하부의 단면살을 상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한 또 다른 특징을 가지며 상부를 통해서도 집수할 수 있도록 투수 가능하게 제작된 덮개가 설치된다.
제8실시예 및 제9실시예에 따라 도8 및 도9에 도시되는 투수 콘크리트블록 (10h)(10i)은 중량이 큰 차량의 통행이 불가한 학교운동장, 야구장, 공원 등에 설치하여서 지하수의 집수, 배수 및 용수의 배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제9실시예에 의한 도9의 투수 콘크리트블록(10i)은 폭이 좁게 형성되어 시공하는 장소의 폭이 작은 곳에서 유량을 크게 하고 싶은 장소에 설치할 때 적합하다.
제10실시예에 의한 도10a, 도10b 및 도10c의 투수 콘크리트블록(10j)들은 중량이 큰 차량의 통행이 불가한 학교운동장, 야구장, 공원 등에 설치하여서 지하수의 집수, 배수 및 용수의 배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블록들의 높낮이를 달리 형성하여서 지표면에 구배가 없는 장소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바닥부(11)의 중앙부에는 통수구멍을 형성하여서 지층의 함수량이 많을 경우에는 그 통수구멍을 통해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된 벽체부(12)와 함께 지중의 물을 집수하여서 배수되도록 하며, 지층의 함수량이 적을 경우에는 집수되는 물이 그 통수구멍을 통해 지하로 침투되게 하여 준다.
제11실시예에 의한 도11의 투수 콘크리트블록(10k)은 중량이 큰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그 상부의 덮개거치용 단턱부(12a)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단면두께가 두꺼운 덮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 교정, 운동장 등에 설치하여서 지하수의 집수, 배수 및 용수의 배수 용도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로 또는 주차장, 공원 등의 가장자리나 산비탈길의 가장자리변에서 집배수측구 또는 침투측구를 구축하는데 사용되며,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해 설치한 측구들은 침투측구·침투통 및 침투정호 등의 다른 침투시설과 또는 배수트렌치 등의 집배수시설과 연계하여서 침투 및 배수 작용을 하게 된다.
도12a 및 도12b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투수 콘크리트블록(10b)을 사용한 침투측구(S)의 구축예를 보여 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투수 콘크리트블록(10b)은 침투측구(S)의 중앙에 설치되며, 블록들의 연결지점 하부에 받침대(1)가 놓여지면서 다수개가 소요 길이로 연결되고, 수로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된다.
투수 콘크리트블록(10b)의 하부 및 측방의 주변에는 유출수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자갈층(2)이 설치되며, 자갈층(2)의 주변에는 토사가 자갈층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투수시트(3)가 감싸여 설치된다.
자갈층(2)의 하부에는 굴착된 저면을 보호하기 위한 일정두께의 모래층(4)이 포설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는 침투측구(S)는 지표면 가까이(불포화대)에 설치하여 침투시킬 경우에 유효하며, 자연 침투에 가까운 형으로 침투되기 때문에 지하수질에 끼치는 영향은 적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침투측구(S)는 확수형에 의한 침투시설중에서 대표적인 시설이고, 침투·저류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는 시설이다.
본 고안을 이용한 집배수측구는 앞서 설명한 침투측구와 유사하게 설치되며, 다만 투수 콘크리트블록의 다공질 콘크리트부 주변에 자갈 대신 모래를 충진시켜서 지중의 수분이 투수 콘크리트블록 측으로 흘러 들어가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점이 다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투수 콘크리트블록은 침투측구 또는 집배수측구에 사용되어서, 그 측구의 내부로 흐르는 우수를 지중으로 투수시켜 지하수의 함양을 도모하여 주며, 지중의 함수량이 클 경우에는 집수하여서 하수관거와 같은 통수역할을 수행하여 준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시공예들 외에도 다양한 구조형태로 응용된 침투용 측구 또는 집수용 측구를 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따르면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투수 가능하게 구성되고 침투트렌치·침투통 및 침투정호 등의 우수 침투시설 및 집배수트렌치 등의 집배수시설과 연계하면서 설치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수의 지구 유출량을 억제하고 최대한 자연 사이클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지표면의 포장화에 따른 자연 환경의 훼손을 보상하여 준다.
지하수를 함양시켜 수자원을 확보하여 주고 지중 생태계를 보전하여 준다.
지하수의 고갈에 따라 발생하는 지반 침하 및 지하수 염수화 등의 지하수 장해에 의한 재해를 방지하여 준다.
평상시에는 하천의 기저유량 증가에 기여하여 깨끗한 수질을 유지시켜 주고 강우시에는 하천으로 방출되는 우수량을 감소시켜 홍수피해를 방지하여 준다.
지표면의 포장화에 따른 히트 아일랜드 현상(heat island effect, 熱島效果)을 방지, 억제시켜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 준다.
기존 배수처리 시설의 규모축소가 가능케 되고 하수도에의 접속이 불필요하며 배수량의 저감이 가능케 됨으로써, 배수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측구에 설치되어서 자연 생태계의 보전, 수자원의 확보, 하천의 평상유량 유지 및 배수 처리비용의 저감 등 여러 효과를 나타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7)

  1. U자형 단면형상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11)와 양측 벽체부(12)의 내부에 횡철선과 종철선으로 엮어진 철선조립체를 매입하여 성형시키는 측구용 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바닥부(11) 및 벽체부(12)의 소정부분은 잔골재를 사용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11) 및 벽체부(12)의 소정부분은 쇄석을 사용하여서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형성하거나 바닥부(11)의 일정위치에 구멍을 형성하여 투수 가능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콘크리트블록은 양측 벽체부(12)의 상단부를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고, 양측 벽체부(12)의 나머지부분 및 바닥부(11)를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형성하되, 그 다공질 콘크리트부(B)는 골재입경 5~15㎜인 쇄석을 사용하여 단위 시멘트량 220~450㎏/㎡와 물 시멘트비 25~40%와 시멘트 골재비 1:4~8로 한 혼합재를 이용해 공극률 20~40%를 유지하면서 휨강도 1.5~3.0N/㎟을 나타내고 투수계수 0.3~3㎝/sec를 갖도록 형성하여서, 침투시설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콘크리트 블록은 양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 및 바닥부(11)를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되, 바닥부(11)에는 통수구멍을 갖도록 상기 양측 벽체부(12)의 사이를 중간 중간 연결하면서 단속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중간부분을 다공질 콘크리트부 (B)로 형성하되, 그 다공질 콘크리트부(B)는 골재입경 5~15㎜인 쇄석을 사용하여 단위 시멘트량 220~450㎏/㎡와 물 시멘트비 25~40%와 시멘트 골재비 1:4~8로 한 혼합재를 이용해 공극률 20~40%를 유지하면서 휨강도 1.5~3.0N/㎟을 나타내고 투수계수 0.3~3㎝/sec를 갖도록 형성하여서, 침투시설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콘크리트 블록은 양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 및 바닥부(11)를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중간부분을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형성하되, 그 다공질 콘크리트부(B)는 골재입경 0.6~5㎜인 쇄석을 사용하여 단위 시멘트량 220~450㎏/㎡과 물 시멘트비 25~40%와 시멘트 골재비 1:3.5~7로 한 혼합재를 이용해 공극률 10~30%를 유지하면서 휨강도 1.5~4.0N/㎟을 나타내고 투수계수 0.1~0.5㎝/sec를 갖도록 형성하여서, 집배수시설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벽체부(12) 중 일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와 타측 벽체부(12)의 전체 및 바닥부(11)를 불투수성 콘크리트부(A)로 형성하고, 상기 일측 벽체부(12)의 상,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중간부부분을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형성하되, 그 다공질 콘크리트부(B)는 골재입경 0.6~5㎜인 쇄석을 사용하여 단위 시멘트량 220~450㎏/㎡과 물 시멘트비 25~40%와 시멘트 골재비 1:3.5~7로 한 혼합재를 이용해 공극률 10~30%를 유지하면서 휨강도 1.5~4.0N/㎟을 나타내고 투수계수 0.1~0.5㎝/sec를 갖도록 형성하여서, 집배수시설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된 일측 벽체부 (12)를 타측 벽체부(12)의 높이보다 일정부분 더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의 중앙부에는 통수구멍을 형성하여서, 지층의 함수량이 많을 경우에는 그 통수구멍을 통해 다공질 콘크리트부(B)로 된 벽체부(12)와 함께 지중의 물을 집수하여서 배수되도록 하며, 지층의 함수량이 적을 경우에는 집수되는 물이 그 통수구멍을 통해 지하로 침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KR2020000033057U 2000-11-25 2000-11-25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KR200224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057U KR200224492Y1 (ko) 2000-11-25 2000-11-25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057U KR200224492Y1 (ko) 2000-11-25 2000-11-25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492Y1 true KR200224492Y1 (ko) 2001-05-15

Family

ID=7309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057U KR200224492Y1 (ko) 2000-11-25 2000-11-25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49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980B1 (ko) * 2007-07-03 2007-08-31 태림환경 주식회사 다공질 구조체를 이용한 수생태계 복원방법
KR100784174B1 (ko) 2006-11-27 2007-12-10 김동항 초연약지반의 표층처리가 되게 한 투수와 배수를 겸한 부재의 집배수 장치와 이에 의한 초연약지반 표층 처리 공법
KR20180130187A (ko) * 2017-05-29 2018-12-07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KR20210021214A (ko) 2019-08-16 2021-02-25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74B1 (ko) 2006-11-27 2007-12-10 김동항 초연약지반의 표층처리가 되게 한 투수와 배수를 겸한 부재의 집배수 장치와 이에 의한 초연약지반 표층 처리 공법
KR100753980B1 (ko) * 2007-07-03 2007-08-31 태림환경 주식회사 다공질 구조체를 이용한 수생태계 복원방법
KR20180130187A (ko) * 2017-05-29 2018-12-07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KR101958435B1 (ko) * 2017-05-29 2019-07-04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KR20210021214A (ko) 2019-08-16 2021-02-25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0510A (en) Underground drainage system
JP4836038B2 (ja) 道路用流出抑制排水工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JP4268922B2 (ja) 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KR102419419B1 (ko) 조립식 배수로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0879402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 확장형 주차장 포장구조
KR100855630B1 (ko) 우수의 수집 및 저장을 위한 지하 구조물
US10968616B1 (en) Water drainage system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KR100487067B1 (ko) 누수파이프를 갖는 유역토양 저수능 증가장치
KR200224492Y1 (ko)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JP5396368B2 (ja) 舗装構造
JP6173370B2 (ja) 分散型貯水工法
KR101906075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KR200224166Y1 (ko) 대형 침투정호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JPH033010B2 (ko)
JP2004052269A (ja) マンホールおよび下水管路
JPH08311938A (ja) かん養型貯留施設
KR200224164Y1 (ko) 지중트렌치용 투수 콘크리트관
AU2003204302B2 (en) Transport corridor drainage system
KR20090129319A (ko) 비노출 배수로의 기층구조 및 유공관을 포함하는 비노출 배수로의 시공방법
JP4362202B2 (ja) 道路用浸透施設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70057941A (ko) 이층구조의 변단면 침투측구를 이용한 빗물의 침투 및 저류가 가능한 우수배제시설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