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435B1 -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 Google Patents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435B1
KR101958435B1 KR1020170065952A KR20170065952A KR101958435B1 KR 101958435 B1 KR101958435 B1 KR 101958435B1 KR 1020170065952 A KR1020170065952 A KR 1020170065952A KR 20170065952 A KR20170065952 A KR 20170065952A KR 101958435 B1 KR101958435 B1 KR 101958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upper body
water
rain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187A (ko
Inventor
조용우
조영신
Original Assignee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43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반 콘크리트로 형성된 집수정 상부몸통체; 투수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집수정 하부몸통체;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와 집수정 하부몸통체를 체결하는 체결유닛;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집수정 상부몸통체로 유입되는 빗물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정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로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제1 여과체와, 상기 제1 여과체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여과체를 거쳐 떨어지는 빗물을 여과하는 제2 여과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지하로 충분히 유입시키면서 하천으로 배수시키고, 또한 초기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할 뿐만 아니라 빗물이 도로로 넘치지 않고 배수되게 한다.

Description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WATER COLLECTION TANK HAVING WATER CLEANING FUNCTION AND WATER PERMEABILITY FUNCTION}
본 발명은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에 관한 것이다.
포장 도로에는 빗물의 신속한 배수를 위해 배수시설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배수시설은 포장 도로의 지반에 하천과 연결되는 배수관로가 매설되고, 포장 도로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집수정(일명, 빗물받이라고도 함)이 설치되고, 집수정들은 각각 연결관에 의해 배수관로와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비가 오게 되면 포장 도로에 떨어지는 빗물이 도로 가장자리로 흐르면서 집수정으로 유입되고 그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집수정에 고이면서 연결관을 통해 배수관로로 유입되고 그 배수관로로 유입되는 빗물은 배수관로를 따라 하천 등으로 배수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배수시설은 비가 올 때 도로에 빗물이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하천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나, 최근 지표면의 포장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빗물로 침투되는 지하 침투수를 감소시키게 되어 지하수의 고갈을 초래하고 있다. 지하수의 고갈은 지반의 침하를 발생시키고 해안에 가까운 지역의 경우에는 바닷물의 역침투에 의한 지하수 염수화 현상이 일어나는 등 지하수 장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기 위하여 투수 콘크리트가 개발되어 도로, 광장 등의 포장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천시 투수콘크리트 포장층에서 지하로 빠져 내려가는 빗물은 대부분 도로의 가장자리로 흘러 나가 지반에 매설된 배수관로를 통해 하천으로 방류되기 때문에 빗물의 지하수 유입 효과가 적다.
한편, 포장 도로에는 토사류, 유기성물질, 타이어분진 배기가스분진 등과 같은 많은 오염물질들이 쌓여있는데, 이들 오염물질들이 빗물과 함께 집수정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초기의 빗물에 고농도로 포함되어 집수정에 유입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는 적어지게 된다.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오염 우수는 정화되지 않은 채로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면 수질오염의 원인이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2834호(2009. 04. 10. 공고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집수정에 침사조바구니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침사조바구니로 초기 빗물을 정화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침사조바구니에 담배꽁초 등의 큰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빗물이 집수정으로 잘 유입되지 못하고 도로로 넘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지하로 충분히 유입시키면서 하천으로 배수시키는,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할 뿐만 아니라 빗물이 도로로 넘치지 않고 원활하게 지하 및 하천으로 배수시키는,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 콘크리트로 형성된 집수정 상부몸통체; 투수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집수정 하부몸통체;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와 집수정 하부몸통체를 체결하는 체결유닛;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집수정 상부몸통체로 유입되는 빗물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정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로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제1 여과체와, 상기 제1 여과체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여과체를 넘쳐 떨어지는 빗물을 여과하는 제2 여과체를 포함하는,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이 제공된다.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는 수평 방향 단면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관 형상이며, 상기 집수정 하부몸통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균일한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하면에 접촉되는 연장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통부의 수평 단면 형상은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수평 방향 단면 형상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정 하부몸통체의 바닥부는 가운데 부분에 역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구멍과, 상기 배수구멍을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마개에 구비되는 걸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하면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집수정 하부몸통체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들과,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집수정 하부몸통체를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에 가압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하부에 일부분이 매립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집수정 하부몸통체의 상부에 매립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2 여과체는 각각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내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받침막대들과, 상기 받침막대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에 다수개의 투수구멍들이 구비된 받침케이스와, 상기 받침케이스에 바닥에 위치하는 다공성부재와, 상기 다공성부재 위에 위치하는 격실부재와, 상기 격실부재의 각 격실에 채워지는 채움모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여과체의 받침케이스와 제2 여과체의 받침케이스는 상측에서 볼 때 일부분이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반 콘크리트로 형성된 집수정 상부몸통체와 투수 콘크리트로 형성된 집수정 하부몸통체를 포함하게 되어 포장도로의 빗물이 집수정 하부몸통체로 유입되어 일부는 집수정 하부몸통체를 투수되어 지하수로 유입되고 일부는 하천으로 배수되므로 빗물이 지하수로 유입되는 양을 증가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내부에 제1 여과체와 제2 여과체를 포함하는 정수유닛이 구비되므로 초기 빗물이 제1 여과체 및/또는 제2 여과체를 거쳐 초기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여과되어 정수된 빗물이 집수정 하부몸통체를 통해 지하수로 빠져나갈 뿐만 아니라 하천으로 배수되어 지하수 및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제1,2 여과체가 각각 받침케이스, 다공성부재, 격실부재, 채움모래를 포함하게 되므로 초기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충분히 여과하게 되어 지하수로 오염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유닛을 구성하는 제1,2 여과체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므로 제1 여과체에 이물질이 고여 빗물이 제1 여과체를 넘치게 될 경우 그 제1 여과체를 넘치는 빗물이 제2 여과체를 통해 여과되어 집수정 하부몸통체로 유입되므로 빗물이 포장도로로 넘치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 상부몸통체와 집수정 하부몸통체가 체결유닛에 의해 체결되므로 집수정 상부몸통체와 집수정 하부몸통체의 연결이 견고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정수유닛의 여과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정수유닛의 여과체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정수유닛의 격실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일실시예는, 집수정 상부몸통체(10), 집수정 하부몸통체(20), 체결유닛(30), 정수유닛(40)을 포함한다.
집수정 상부몸통체(10)는 일반 콘크리트로 형성된다. 일반적인 집수정은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집수정 상부몸통체(10)는 일반적인 집수정의 위쪽 부분에 해당된다. 집수정 상부몸통체(10)는 사각관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집수정 상부몸통체(10)는 원통관이 될 수도 있다. 집수정 상부몸통체(10)는 일반적인 집수정의 전체 길이에서 위쪽의 1/2~3/4 부분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하부에 연결관(50)이 연결되는 연결구멍이 구비된다.
집수정 하부몸통체(20)는 투수 콘크리트(일명, 포러스 콘크리트라고도 함)로 형성된다. 투수 콘크리트는 시멘트, 바인더, 골재, 물 등의 특수 배합에 의해 재질로, 일반콘크리트보다 투수성이 우수하다. 집수정 하부몸통체(20)는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하단에 연결된다. 집수정 하부몸통체(20)는 바닥부(21)와, 그 바닥부(21)의 상면에 균일한 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하면에 접촉되는 연장통부(22)를 포함한다. 연장통부(22)의 수평 단면 형상은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수평 방향 단면 형상과 같이며, 크기도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수평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연장통부(22)의 수평 단면 형상은 사각형이다. 집수정 하부몸통체(20)의 바닥부(21)는 가운데 부분에 역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구멍(23)과, 그 배수구멍(23)을 개폐하는 마개(24)와, 그 마개(24)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마개(24)에 구비되는 걸기부재(25)를 포함한다. 마개(24)는 사각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개(2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유닛(30)은 집수정 상부몸통체(10)와 집수정 하부몸통체(20)를 체결한다. 체결유닛(30)의 제1 실시예로, 체결유닛(30)은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하면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집수정 하부몸통체(20)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B)들과, 그 앵커볼트(B)의 단부에 체결되어 집수정 하부몸통체(20)를 집수정 상부몸통체(10)에 가압하는 체결너트(N)를 포함한다. 앵커볼트(B)들은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네 개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볼트(B)들이 네 개인 경우 네 개의 앵커볼트(B)들의 위치와 대응되는 집수정 하부몸통체(20)의 네 모서리 부분에 관통구멍(26)이 형성된다.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하면에 결합된 네 개의 앵커볼트(B)들이 집수정 하부몸통체(20)의 관통구멍(26)들에 각각 관통 삽입되고 그 네 개의 앵커볼트(B)들에 각각 체결너트(N)가 체결된다.
체결유닛(30)의 제2 실시예로, 체결유닛(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하부에 일부분이 매립되고 다른 일부분이 집수정 하부몸통체(20)의 상부에 매립되는 복수 개의 앵커볼트(B)들을 포함한다. 앵커볼트(B)들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네 개의 앵커볼트(B)들은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정 상부몸통체(10)와 집수정 하부몸통체(20)가 체결유닛(30)에 의해 체결됨에 의해 투수 집수정을 형성하게 된다. 제1 체결유닛(30)에 의해 집수정 하부몸통체(20)와 집수정 상부몸통체(10)가 체결된 투수 집수정을 제작하는 방법은 먼저, 집수정 상부몸통체(10)를 제작하기 위한 상부몸통체용 거푸집(미도시)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네 개의 앵커볼트(B)를 타설된 콘크리트의 네 개 모서리 부분에 돌출되게 매립하고 그 타설된 일반 콘크리트를 양생시킨다. 집수정 하부몸통체(20)를 제작하기 위한 하부몸통체용 거푸집(미도시)에 투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다. 하부몸통체용 거푸집은 집수정 하부몸통체(20)에 네 개의 관통구멍(26)들이 구비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상부몸통체용 거푸집을 분리하여 앵커볼트(B)들이 결합된 집수정 상부몸통체(10)를 제작하고, 하부몸통체용 거푸집을 분리하여 관통구멍(26)들이 구비된 집수정 하부몸통체(20)를 제작한다. 그리고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앵커볼트(B)들을 집수정 하부몸통체(20)의 관통구멍(26)들에 각각 삽입하고 그 앵커볼트(B)들에 각각 체결너트(N)를 체결하여 집수정 상부몸통체(10)와 집수정 하부몸통체(20)를 체결한다.
한편, 제2 체결유닛(30)에 의해 집수정 하부몸통체(20)와 집수정 상부몸통체(10)가 체결된 투수 집수정을 제작하는 방법은 먼저, 집수정 하부몸통체(20)와 집수정 상부몸통체(1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집수정 거푸집(미도시)에 집수정 상부몸통체(10)에 해당되는 높이로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네 개의 앵커볼트(B)를 그 타설된 일반 콘크리트의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되게 매립하고 그 타설된 일반 콘크리트를 양생시킨다. 그리고 일반 콘크리트에 이어 그 집수정 거푸집의 집수정 하부몸통체(20)에 해당되는 공간에 투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다. 집수정 거푸집을 분리하여 투수 집수정을 제작한다. 일반 콘크리트인 집수정 상부몸통체(10)와 투수 콘크리트인 집수정 하부몸통체(20)는 매립된 앵커볼트(B)들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일반 콘크리트로 형성된 집수정 상부몸통체(10)와 투수 콘크리트로 형성된 집수정 하부몸통체(20)가 체결유닛(30)에 의해 체결되므로 집수정 상부몸통체(10)와 집수정 하부몸통체(20)의 연결이 견고하게 된다.
정수유닛(40)은 집수정 상부몸통체(1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집수정 상부몸통체(10)로 유입되는 빗물을 순차적으로 여과한다. 정수유닛(40)의 일예로, 정수유닛(40)은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집수정 상부몸통체(10)로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제1 여과체(F1)와, 그 제1 여과체(F1)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여과체(F1)를 거친 빗물을 여과하는 제2 여과체(F2)를 포함한다. 제1,2 여과체(F1)(F2)는 각각, 도 1, 2,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내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받침막대(41)들과, 그 받침막대(41)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에 다수 개의 투수구멍(H)들이 구비된 받침케이스(42)와, 그 받침케이스(42)에 바닥에 위치하는 다공성부재(43)와, 그 다공성부재(43) 위에 위치하는 격실부재(44)와, 그 격실부재(44)의 각 격실에 채워지는 채움모래(45)를 포함한다. 제1 여과체(F1)의 받침막대(41)는 세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내벽을 반시계 방향으로 제1,2,3,4 내벽이라 할 때 제1 여과체(F1)의 세 개의 받침막대(41)들은 제1,2,4 내벽에 돌출되게 결합되며, 그 세 개의 받침막대(41)들은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제2 여과체(F2)의 받침막대(41)는 세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여과체(F2)의 세 개의 받침막대(41)들은 제3,2,4 내벽에 돌출되게 결합되며, 그 세 개의 받침막대(41)들은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한다. 제2 여과체(F2)의 받침막대(41)들은 제1 여과체(F1)의 받침막대(41)들 아래에 위치한다. 받침케이스(42)는 상측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받침케이스(42)의 하면에 세 개의 받침막대(41)들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홈들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공성부재(43)는 스폰지 또는 활성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격실부재(4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행렬로 사각형의 격실들이 형성되도록 다수 개의 판들이 가로와 세로로 연결된 것이다. 격실부재(44)가 받침케이스(42)에 위치한 상태에서 격실부재(44)의 상단은 받침케이스(42)의 상단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여과체(F1)의 받침케이스(42)와 제2 여과체(F2)의 받침케이스(42)는 상측에서 볼 때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가운데 부분에서 일부분이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여과체(F2)의 받침케이스(42)는 제1 여과체(F1)의 받침케이스(42) 아래에 위치한다. 받침케이스(42)와 격실부재(44)를 각각 내열성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채움모래(45)는 격실부재(44)의 격실에 각각 채워지게 되므로 빗물의 유입시 채움모래(45)가 쉽게 쓸려가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비가 오게 되면 포장도로의 빗물이 가장자리로 흘러 본 발명의 투수 집수정의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상부로 유입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상부로 유입되는 빗물은 정수유닛의 제1 여과체(F1)를 거쳐 투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집수정 하부몸통체(20)로 유입된다. 아울러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상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일부는 제2 여과체(F2)를 거쳐 집수정 하부몸통체(20)로 유입된다. 한편, 제1 여과체(F1)로 유입되는 빗물이 과다하여 제1 여과체(F1)를 넘치게 되면 그 넘치는 빗물이 제2 여과체(F2)로 떨어지게 되고 그 제2 여과체(F2)를 거쳐 집수정 하부몸통체(20)로 유입된다.
제1 여과체(F1) 및/또는 제2 여과체(F2)를 거쳐 집수정 하부몸통체(20)로 유입되는 물은 집수정 하부몸통체(20)에 고이면서 일부는 집수정 하부몸통체(20)를 통해 투수되어 지하로 유입되고 다른 일부는 연결관을 통해 배수된다.
집수정 하부몸통체(20)의 바닥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될 경우 바닥부(22)에 구비된 마개(24)를 들어올려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물질을 제거한 마개(24)는 세척한 다음 다시 바닥부(22)의 배수구멍(23)을 막게 된다. 이때, 정수유닛(40)의 제1,2 여과체(F1)(F2)를 들어낸 상태에서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콘크리트로 형성된 집수정 상부몸통체(10)와 투수 콘크리트로 형성된 집수정 하부몸통체(20)를 포함하게 되어 포장도로의 빗물이 집수정 하부몸통체(20)로 유입되어 일부는 집수정 하부몸통체(20)를 투수되어 지하수로 유입되고 일부는 하천으로 배수되므로 빗물이 지하수로 유입되는 양을 증가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 상부몸통체(10)의 내부에 제1 여과체(F1)와 제2 여과체(F2)를 포함하는 정수유닛(40)이 구비되므로 초기 빗물이 제1 여과체(F1) 및/또는 제2 여과체(F2)를 거쳐 초기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여과되어 정수된 빗물이 집수정 하부몸통체(20)를 통해 지하수로 빠져나갈 뿐만 아니라 하천으로 배수되어 지하수 및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제1,2 여과체(F1)(F2)가 각각 받침케이스(42), 다공성부재(43), 격실부재(44), 채움모래(45)를 포함하게 되므로 초기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충분히 여과하게 되어 지하수로 오염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유닛(40)을 구성하는 제1,2 여과체(F1)(F2)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므로 제1 여과체(F1)에 이물질이 고여 빗물이 제1 여과체(F1)를 넘치게 될 경우 그 제1 여과체(F1)를 넘치는 빗물이 제2 여과체(F2)를 통해 여과되어 집수정 하부몸통체(20)로 유입되므로 빗물이 포장도로로 넘치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 상부몸통체(10)와 집수정 하부몸통체(20)가 체결유닛에 의해 체결되므로 집수정 상부몸통체(10)와 집수정 하부몸통체(20)의 연결이 견고하게 된다.
10; 집수정 상부몸통체 20; 집수정 하부몸통체
30; 체결유닛 40; 정수유닛
41; 받침막대 42; 받침케이스
43; 다공성부재 44; 격실부재
45; 채움모래

Claims (7)

  1. 일반 콘크리트로 형성된 집수정 상부몸통체;
    투수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집수정 하부몸통체;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와 집수정 하부몸통체를 체결하는 체결유닛;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집수정 상부몸통체로 유입되는 빗물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정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수유닛은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로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제1 여과체와, 상기 제1 여과체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여과체를 넘쳐 떨어지는 빗물을 여과하는 제2 여과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여과체는 각각 상기 집수정 상부몸통체의 내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받침막대들과, 상기 받침막대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에 다수개의 투수구멍들이 구비된 받침케이스와, 상기 받침케이스의 바닥에 위치하는 다공성부재와, 상기 다공성부재 위에 위치하며 다수 개의 격실들이 구비되는 격실부재와, 상기 격실부재의 각 격실에 채워지는 채움모래를 포함하며,
    상기 격실부재의 상단은 상기 받침케이스의 상단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받침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받침막대들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홈들이 구비되며,
    상기 격실들은 사각형의 격실들을 형성하도록 다수 개의 판들이 가로와 세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65952A 2017-05-29 2017-05-29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KR101958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952A KR101958435B1 (ko) 2017-05-29 2017-05-29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952A KR101958435B1 (ko) 2017-05-29 2017-05-29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187A KR20180130187A (ko) 2018-12-07
KR101958435B1 true KR101958435B1 (ko) 2019-07-04

Family

ID=6466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952A KR101958435B1 (ko) 2017-05-29 2017-05-29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4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492Y1 (ko) * 2000-11-25 2001-05-15 주식회사상원콘크리트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US20080308477A1 (en) * 2004-11-03 2008-12-18 John Hurst Cascading storm drain filter
KR101274100B1 (ko) * 2012-01-26 2013-06-13 한국도로공사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566U (ja) * 1993-03-16 1994-10-07 均 菊地 排水口用栓
KR100720735B1 (ko) * 2005-07-13 2007-05-22 우일산업개발주식회사 투수식 우수맨홀 및 그 제조방법
KR100743593B1 (ko) * 2005-08-30 2007-07-27 정정수 맨홀블록, 이를 결합한 맨홀블록 어셈블리 및 맨홀블록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492Y1 (ko) * 2000-11-25 2001-05-15 주식회사상원콘크리트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US20080308477A1 (en) * 2004-11-03 2008-12-18 John Hurst Cascading storm drain filter
KR101274100B1 (ko) * 2012-01-26 2013-06-13 한국도로공사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187A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656B1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1323288B1 (ko)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KR101688845B1 (ko) 침투 여과통 부착을 통한 투수성능 및 투수지속성 증대로 초기우수처리 및 지하수 함양효과를 극대화시킨 침투형 빗물받이
KR200459753Y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84676B1 (ko)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1160567B1 (ko)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CN204919757U (zh) 一种雨水原位净化修复系统
KR200407745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1339455B1 (ko) 다단분리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KR100864236B1 (ko) 공간 투수블럭
JPH05132993A (ja) 雨水濾過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維持方法および雨水濾過 方法およびその管理システム
KR101231458B1 (ko) 초기 우수처리 빗물받이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958435B1 (ko)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649039B1 (ko) 친환경 빗물받이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101501925B1 (ko) 비점오염을 정화하는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101134311B1 (ko) 로드 트랩 장치
KR100994672B1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101356964B1 (ko) 도로 집수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