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100B1 -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100B1
KR101274100B1 KR1020120007640A KR20120007640A KR101274100B1 KR 101274100 B1 KR101274100 B1 KR 101274100B1 KR 1020120007640 A KR1020120007640 A KR 1020120007640A KR 20120007640 A KR20120007640 A KR 20120007640A KR 101274100 B1 KR101274100 B1 KR 10127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filtration
point source
water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박성태
최덕수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20007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로의 배수구 하부에 배치되고, 배수구에서 배출된 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된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탱크에 수용된 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부력장치; 및 상기 여과탱크가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여과탱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인출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여과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본 발명은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비점오염원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 및 수생태계 등은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수질 및 수생태계 등의 오염물질은 점오염원(點汚染源)과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로 구분될 수 있다.
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하여 수집이 용이한 오염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오염원으로는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이 있을 수 있다.
비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불명확하여 수집이 어렵운 오염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점오염원은 발생량 및 배출량이 강수량 등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수 있다. 또한, 비점오염원은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석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하천으로 흘러드는 오수 및 하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점오염원은 초기 강우시 내리는 빗물과 함께 하천, 호수 등의 공공 수역이나 지하수 등의 오염부하에 대해 약 22∼37%에 달할 수 있다. 또한, 팔당상수원의 경우 오염부하의 약 절반인 44.5%가 비점오염원으로 조사되고 있어 수질 오염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수질 오염의 방지를 위해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 강우를 하천, 호수 등의 공공 수역이나 지하수로 정화 없이 흘려 보내지 않아야 하며 초기 강우 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0136910호(2011.12.22. 공개)에는 유동성 다단 여재 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의 저감 장치가 개시된다. 비점오염원의 저감장치는 제1 처리조와 제2 처리조를 포함한다. 제 1 처리조에는 초기 유입수에 세목 스크린과 유수분리막을 설치하여 협잡물과 유지류를 제거하고 제 2 처리조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우수를 순환시킴으로서 자연적 침강에 의한 탁도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처리조에는 사각형의 다단 여과기를 설치하고 여과기 내부에는 비중이 1이하인 구형의 플라스틱 여재를 충진하여 우수의 흐름에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비점오염원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로의 배수구 하부에 배치되고, 배수구에서 배출된 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된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탱크에 수용된 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부력장치; 및 상기 여과탱크가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여과탱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인출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여과탱크는, 상기 배수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그 하면에 배출홀이 형성된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탱크는, 상기 여과조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물질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다공성으로 형성된 여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여과물질은, 상기 여과부재의 상부에 충전되는 제1충전물; 및 상기 제1충전물의 상부에 충전되고 상기 제1충전물보다 입도가 작은 제2충전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장치는, 상기 여과조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공성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조에 수용된 물의 부력에 의해 배수로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플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그물망일 수 있다.
상기 플로터는 구형 또는 구껍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장치는, 상기 여과탱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로의 하부에는 상기 여과장치에서 배출된 물을 임시적으로 저수한 후외부로 배출하도록 저수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에는 배수로의 여과탱크 일측에 배수로의 하면보다 낮도록 형성된 저류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비점오염원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수로와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수로와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비점오염원 여과장치의 여과탱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비수로의 배수구가 부력장치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비점오염원 여과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배수로와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수로(110)는 강우시 도로, 경사면 등으로부터 빗물 등이 유입되어 배수로(110)를 따라 흐르도록 한다. 배수로(110)는 도로의 양측이나 경사면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로(110)는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빗물에는 지표를 따라 유동되는 동안이 비점오염물이 포함될 수 있다. 비점오염원에는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석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하천으로 흘러드는 오수 및 하수 등이 있다.
배수로(110)의 하면에는 배수로(110)에 유입된 빗물 등이 배수로(110)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배수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11)는 배수로(110)의 하면을 따라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배수로(110)에서 유동하는 빗물은 배수구(111)를 통해 비점오염원 여과장치에 유입될 수 있다.
도 2는 배수로와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배수로와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의 여과탱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는, 여과탱크(120), 부력장치(130) 및 인출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로(11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여과탱크(120)가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5)은 배수로(110)를 지지하는 지지벽에 의해 의해 구획되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3개의 수용 공간(115)이 형성되고 각 수용 공간(115)에 여과탱크(120)가 각각 배치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수용 공간(115)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배수로의 여과탱크 일측에는 저류조(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저류조는 배수로의 하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류조는 배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른 길이가 대략 1m이고, 배수로의 하면으로부터 0.4m 정도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류조의 길이 및 깊이는 배수로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저류조는 배수로를 따라 물이 유동할 때에 흙, 자갈, 나뭇가지, 타이어 조각 등 큰 이물질이 침전되어 여과되도록 한다. 또한, 저류조는 배수로를 따라 물이 유동될 때에 물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므로, 배수로에서 물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버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여과탱크(120)는 배수로(110)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115)에 배치되므로,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배수로(110)의 일측 공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설치할 부지를 추가로 매입할 필요 거의 없다.
여과탱크(120)는 배수로(110)와는 별도로 제작되므로, 배수로(110)의 배수 면적 또는 배수 용량을 고려하여 여과탱크(1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로(110)의 배수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여과탱크(120)는 배수로(110)의 배수구(11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과탱크(120)는 배수구(111)에서 배출된 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물이 배출되도록 배수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과탱크(120)는 배수구(111)의 하부에 배치되고, 그 하면에 배수홀(121a)이 형성된 여과조(121)와, 여과조(121)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물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과탱크(120)는 여과조(121)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고 여과물질(123)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공성으로 형성된 여과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조(121)는 하면이 막히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 또는 다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조(12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과물질(123)은 여과부재(125)의 상부에 충전되는 제1충전물(123a)와, 제1충전물(123a)의 상부에 충전되고 제1충전물(123a)보다 입도가 작은 제2충전물(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충전물(123b)이 제2충전물(123a)보다 입도가 크므로, 제2충전물(123b)을 통과한 물이 제1충전물(123a)의 큰 공극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즉, 여과탱크(120)에서 물빠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충전물(123a)은 자갈일 수 있고, 제2충전물(123b)은 모래일 수 있다. 자갈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자연석 또는 인조석일 수 있다. 또한, 모래는 해양이나 강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된 모래는 자갈보가 입도가 현저히 작고 물이 투수될 수 있도록 작은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충전물(123a)과 제2충전물(123b) 사이에는 제2충전물(123b)이 제1충전물(123a)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크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은 제2충전물(123b)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메쉬를 갖거나 다공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과물질(123)은 비점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활성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활성탄은 여러 화학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여과부재(125)는 모래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구멍을 갖는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그물망일 수 있다. 여과부재(125)는 여과조(121)의 내부 하면을 모두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부재(125)는 모래와 같이 입도가 작은 물질이 여과되는 한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부력장치(130)는 지지부재(131)와 플로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31)는 여과조(121)의 상부에 배치되어 물이 투수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31)는 그물망일 수 있다. 지지부재(131)는 여과조(121)의 상부에 중심부가 아래로 약간 처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31)는 여과조(121)로 유입되는 물에서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다.
플로터(133)는 지지부재(131)의 상부에 배치되고 여과조(121)에 수용된 물의 부력에 의해 배수로(110)의 배수구(111)를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로터(133)는 지지부재(131)에 부착되지 않고 지지부재(131)의 상면에 자유롭게 놓여질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31)의 중앙이 아래로 약간 처지도록 설치되므로, 플로터(133)는 지지부재(131)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플로터(133)는 지지부재(131)에 별도의 구조물이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플로터(133)는 구형 또는 구껍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로터(133)는 물에 뜰 수 있는 비중이 1 미만인 재질이나 또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과조(121)에 물이 많이 채워졌을 경우, 플로터(133)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됨에 따라 배수구(111)를 폐쇄시킨다. 이때, 배수로(110)를 따라 유동하는 물은 배수구(111)를 통해 여과조(121)에 유입되지 않으므로, 여과조(121)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로(110)의 물이 여과탱크(120)에서 여과되지 않고 하천이나 우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과조(121)에서 물이 넘치지 않으므로, 비점오염물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출장치(140)는 여과탱크(120)가 인출 가능하도록 여과탱크(12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출장치(140)는 프레임(141)과, 프레임(1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143)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41)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롤러(143)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롤러(143)는 여과탱크(120)의 인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여과탱크(120)는 다수의 롤러(143)들에 의해 인출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인출장치(140)는 여과탱크(120)가 탑재되는 사각판 형태의 팔레트와, 상기 팔레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팔레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은 팔레트의 양측만을 지지하거나 팔레트의 양측과 중심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의 설치 개수는 팔레트의 크기와 여과탱크(1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인출장치(140)는 여과탱크(12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여과탱크(120)에 비점오염원이 충분히 채워졌을 때에, 여과탱크(120)는 인출장치(140)에 의해 배수로(110)의 하부 공간에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여과탱크(120)에 여과된 비점오염원은 작업자나 장비가 용이하게 접근하여 여과탱크(1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비점오염원이 제거된 여과탱크(120)는 다수 인출장치(140)에 의해 배수로(110)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물론, 여과탱크(120)의 여과물질(123)의 수명이 다한 경우, 다른 여과탱크(12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점오염원 여과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는 배수로(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수댐(150)은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여과탱크(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저수댐(150)은 여과장치에서 배출된 물을 임시적으로 저수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저수댐(150)에는 물이 하천, 호수 등의 공공수역이나 우수 처리장과 연결되는 수로에 연결되도록 여과수 배출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여과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비수로의 배수구가 부력장치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비수로의 배수구가 부력장치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비점오염원 여과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각종 비점오염원은 강수시 토양이나 도로 등으로부터 배수로(110)에 유입된다. 특허, 강우 초기에는 내리는 빗물과 함께 하천, 호수, 저수지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 등의 오염부하에 대략 22-37%에 달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의 오염 부하는 오염 장소, 오염 정도 및 오염 관리 상태 등에 따라 현저히 달라질 수 있다.
배수로(110)의 물은 배수로(110)를 따라 흘러 유동한다. 배수로(110)의 물은 배수로(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여과조(121)에 유입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배수구는 부력장치의 플로터에 의해 개방된 상태이다.
배수구(111)를 통과한 물 중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은 부력장치(130)의 지지부재(131)에 의해 우선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여과조(121)에 유입된 물은 여과물질(123)을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은 여과물질(123)에 의해 여과 또는 흡착된다. 물이 자갈과 모래와 같은 여과물질(123)을 통과함에 따라 모래와 같은 미립자는 물과 함께 여과조(121)의 하측으로 천천히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여과부재(125)는 모래와 같은 미립자가 여과조(121)의 배수홀(121a)을 통해 저수댐(150)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강우량이 많거나 또는 강우 시간이 길어질 경우, 배수로(110)에는 많은 양의 물이 유동된다. 이때, 여과조(121)에는 단위 시간당 물의 유입량이 증가되므로, 여과조(121)에는 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력장치(130)의 플로터(133)는 물의 부력에 의해 점차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수위가 더욱 높아지는 경우 플로터(133)는 배수로(110)의 배수구(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플로터(133)가 배수구(111)를 폐쇄하면, 배수로(110)의 물은 여과조(121)에 유입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여과조(121)의 물은 여과물질(123)을 통과함에 의해 점차적으로 여과조(121)의 하부로 배출되므로, 여과조(121)의 물의 수위는 점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플로터(133)는 물의 수위와 함께 하강됨에 따라 배수로(110)의 배수구(111)를 개방한다. 따라서, 여과조(121)에는 다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여과된 물은 여과조(121)의 하부에 배치된 배수홀(121a)을 통해 저수댐(15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저수댐(150)에 임시 저장된 물은 여과수 배수부를 통해 인근 공공수역이나 우수 처리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력장치(130)의 플로터(133)는 여과조(121)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함에 의해, 여과조(121)의 여과 용량보다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조(121)에서 물이 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비점오염원이 여과되지 않은 상태로 공공수역 등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의 여과탱크(120)가 설치된 경우, 부력장치(130)의 작용에 의해 일부의 여과탱크(120)에는 물이 공급되고 일부의 여과탱크(120)에는 물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여과탱크(120)가 폐색되어 여과 수명이 다하거나 여과탱크(120)의 보수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여과탱크(120)는 인출장치(140)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여과탱크(120)는 롤러(143)나 레일의 작용에 의해 적은 힘을 들이고도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여과탱크(120)가 인출되면, 여과탱크(120)의 여과물질(123) 상부에 모인 비점오염원을 작업자나 별도의 장비를 통해 퍼낼 수 있다. 또한, 수명이 다한 여과탱크(120)를 보수하거나 새로운 여과탱크(120)를 인출장치(140)에 탑재할 수 있다. 이때, 여과탱크(120)는 배수로(110)의 하부에서 인출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여과탱크(120)에서 배점오염원을 퍼내거나 또는 여과탱크(120)를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 배수로 111: 배수구
115: 수용 공간 120: 여과탱크
121: 여과조 123: 여과물질
125: 여과부재 130: 부력장치
131: 지지부재 133: 플로터
140: 인출장치 141: 프레임
143: 롤러 150: 저수댐

Claims (11)

  1. 배수로의 배수구 하부에 배치되고, 배수구에서 배출된 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된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탱크에 수용된 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부력장치; 및
    상기 여과탱크가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여과탱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인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탱크는,
    상기 배수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그 하면에 배출홀이 형성된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부력장치는,
    상기 여과조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공성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조에 수용된 물의 부력에 의해 배수로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플로터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는, 상기 여과조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물질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다공성으로 형성된 여과부재를 더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물질은:
    상기 여과부재의 상부에 충전되는 제1충전물; 및
    상기 제1충전물의 상부에 충전되고 상기 제1충전물보다 입도가 작은 제2충전물을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그물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구형 또는 구껍질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장치는,
    상기 여과탱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하부에는 상기 여과장치에서 배출된 물을 임시적으로 저수한 후외부로 배출하도록 저수댐이 더 포함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에는 배수로의 여과탱크 일측에 배수로의 하면보다 낮도록 형성된 저류조가 더 포함되는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KR1020120007640A 2012-01-26 2012-01-26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KR101274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640A KR101274100B1 (ko) 2012-01-26 2012-01-26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640A KR101274100B1 (ko) 2012-01-26 2012-01-26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100B1 true KR101274100B1 (ko) 2013-06-13

Family

ID=4886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640A KR101274100B1 (ko) 2012-01-26 2012-01-26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187A (ko) * 2017-05-29 2018-12-07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400A (ko) * 2009-11-12 2011-05-18 유성석 빗물받이에 연결되는 비점오염원 빗물처리장치
KR101060253B1 (ko) 2008-11-21 2011-08-29 논산시 계곡수용 여과장치
KR101086019B1 (ko) 2009-04-15 2011-11-22 신신제약 주식회사 초기 우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253B1 (ko) 2008-11-21 2011-08-29 논산시 계곡수용 여과장치
KR101086019B1 (ko) 2009-04-15 2011-11-22 신신제약 주식회사 초기 우수처리장치
KR20110052400A (ko) * 2009-11-12 2011-05-18 유성석 빗물받이에 연결되는 비점오염원 빗물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187A (ko) * 2017-05-29 2018-12-07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KR101958435B1 (ko) * 2017-05-29 2019-07-04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정수기능을 갖는 투수 집수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777516B1 (ko) 조정식 표면 세정 메카니즘을 가진 필터 카트리지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US8658044B2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252736B1 (ko)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105272B1 (ko) 녹지 생태축 연결 및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한 도로용 소규모 인공습지
KR100901263B1 (ko) 이온 교환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자연형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564083B1 (ko)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KR20130021598A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368320B1 (ko) 도로형 비점오염원저감장치
KR200413946Y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0668479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186604B1 (ko) 활성바이오 담체를 이용한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0927631B1 (ko)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KR200416507Y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78075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