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736B1 -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736B1
KR101252736B1 KR1020110020498A KR20110020498A KR101252736B1 KR 101252736 B1 KR101252736 B1 KR 101252736B1 KR 1020110020498 A KR1020110020498 A KR 1020110020498A KR 20110020498 A KR20110020498 A KR 20110020498A KR 101252736 B1 KR101252736 B1 KR 10125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ration
screen
water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378A (ko
Inventor
송성환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엠 filed Critical (주)엔에스엠
Priority to KR102011002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736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내삽된 유동상 메디아의 교체가 가능한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과, 여과포지의 교체가 가능한 제1여과필터 및 여과볼의 교체가 가능한 제2여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초기우수에 내포된 비점오염원의 정화처리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정화처리를 위한 스크린 및 여과필터의 유동상 메디아, 여과포지, 여과볼의 교체가 용이하여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장치의 유지보수 등이 용이하여 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장치는 비점오염원 지역에서 지면으로부터 공급관을 통하여 유입된 비점오염물이 내포된 초기우수내의 슬러지를 1차 및 2차적으로 침전시키는 제1, 제2침전조와, 침전조들을 거친 물을 1차 및 2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제1, 제2여과조를 포함하는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있어서, 비점오염원이 발생되는 지역의 지반에 매설되는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며, 일측 상부에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방류수계로 방류시키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며, 타측 상부에는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이 많을 경우 범람을 방지하는 범람방지공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측에 비점오염물이 내포되어 공급되는 물이 와류현상을 가지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이 경사지게 삽입되어 상기 공급관의 단부가 내면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상, 하부로 돌출되도록 내측에 구비되는 내통으로 구성된 와류통이 구비되며, 상기 와류통을 통하여 공급된 물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1차적으로 침전되어 하부에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경사안내판이 구비되는 제1침전조; 상기 제1침전조와 일측이 제1격벽으로 공간이 분리되고 타측에 제2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1유동공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1유동공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1차필터링하는 제1스크린과, 상기 제2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2유동공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2유동공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2차필터링하는 제2스크린 포함하며, 하부에 상기 제1스크린을 통하여 1차필터링된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이 2차적으로 침전되어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경사안내판이 구비되는 제2침전조; 상기 제2침전조와 상기 제2격벽으로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 구비되는 제1바닥판에 형성된 제1끼움공에 결합되는 여과포지가 내장된 제1여과필터를 통하여 상기 제2스크린을 거쳐 유입된 2차필터링된 물을 1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제1여과조; 그리고 상기 제1여과조와 제3격벽으로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 구비되는 제2바닥판에 형성된 제2끼움공에 결합되는 여과볼이 내장된 제2여과필터를 통하여, 상기 제3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제3유동공을 거쳐 유입된 물을 2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제2여과조; 그리고 상기 제1침전조, 제2침전조, 제1여과조 및 제2여과조의 각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각각 지면에 매설되는 메인뚜껑 및 지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메인뚜껑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보조뚜껑으로 이루어진 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REDUCING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OF TURVULENT FILTRATION TYPE}
본 발명은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스크린, 제2스크린, 제1여과필터 및 제2여과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초기우수에 내포된 비점오염원의 정화처리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원은 방지와 관리의 편의를 목적으로 점오염원(點汚染源; Point Source Pollution)과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 Non-Point Pollution sources)으로 구분된다.
점오염원은 하수장, 폐수처리장, 발전소, 폐광, 석유탱크, 유정 등과 같이 특정지역에서 하수관이나 도랑에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수가 배출되는 오염원을 말하는 것으로 처리가 비교적 용이하고 심각성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한 오염물질을 오염수로부터 분리하면 되기 때문에 그 특성에 맞는 정화시설을 설치하면 된다.
하지만, 비점오염원은 도시지역, 공사장, 주차장, 도로 등의 지역을 지나온 빗물이 지표면에 쌓여있는 오염물질과 함께 특별한 정화시설을 거치지 않고 하천이나 호수, 바다로 흘러내려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통상 초기우수 시에 주차장, 상가, 주택단지, 산업단지 등의 지역에서 발생하며,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지지 않고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발생되는 오염물질로,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어 하천 등에 방류됨으로써 수질을 악화시킨다.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저류형(저류조, 연못, 인공습지), 침투형(침투조, 침투도랑, 유공포장), 식생형(식생여과대, 식생수로), 장치형(스톰필터, 샌드필터, 스톰셉터, 스톰게이트 등) 등이 있는데, 상기한 시설들을 이용하여 강우로 인해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처리부지와 고가의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 등의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저류형의 경우에는 비교적 대규모의 토지가 필요하므로 이미 개발된 지역 등에서는 지가 상승으로 설치가 어렵고, 하절기에는 모기, 파리 등의 해충이 발생되므로 보건상의 문제점을 유발시키며, 침투형은 토사, 부유물과 오염물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인하여 공극의 막힘현상으로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유지관리의 어려움과 지하로 침투되므로 지하수 오염 등의 가능성이 크고, 식생형은 일정규모 이상의 토지가 필요하고 식생이 유지될 수 있는 이상적 환경조건이 필요하며, 장치형은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설치장소의 제약을 받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장치는 장치의 설치비용이 고가이면서도 유지관리 면에 있어서도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도시, 도로, 공장 등의 급속한 개발로 강우로 유발된 오염물질이 제거되지 않고 하천 등에 직접 유입되어 수생식물이 폐사하고 상수원오염이 심화되고 있으나, 장소의 제약 및 고비용의 문제로 상술한 기술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장치의 설비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정화처리효율을 향상시키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비점오염원의 저감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스크린, 제2스크린, 제1여과필터 및 제2여과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초기우수에 내포된 비점오염원의 정화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내삽된 유동상 메디아의 교체가 가능한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과, 여과포지의 교체가 가능한 제1여과필터 및 여과볼의 교체가 가능한 제2여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정화처리를 위한 스크린 및 여과필터의 유동상 메디아, 여과포지, 여과볼의 교체가 용이하여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장치의 유지보수 등이 용이하여 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침전조, 제2침전조, 제1여과조 및 제2여과조의 각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각각 지면에 매설되는 메인뚜껑 및 지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메인뚜껑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보조뚜껑으로 구성됨으로써 보조뚜껑을 개방하여 제1침전조, 제2침전조 하부에 누적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흡입 처리할 수 있으며, 메인뚜껑을 개방하여 제1여과조 및 제2여과조의 제1여과필터 및 제2여과필터의 여과포지, 여과볼 등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는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비점오염원 지역에서 지면으로부터 공급관을 통하여 유입된 비점오염물이 내포된 초기우수내의 슬러지를 1차 및 2차적으로 침전시키는 제1, 제2침전조와, 침전조들을 거친 물을 1차 및 2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제1, 제2여과조를 포함하는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있어서, 비점오염원이 발생되는 지역의 지반에 매설되는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며, 일측 상부에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방류수계로 방류시키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며, 타측 상부에는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이 많을 경우 범람을 방지하는 범람방지공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측에 비점오염물이 내포되어 공급되는 물이 와류현상을 가지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이 경사지게 삽입되어 상기 공급관의 단부가 내면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상, 하부로 돌출되도록 내측에 구비되는 내통으로 구성된 와류통이 구비되며, 상기 와류통을 통하여 공급된 물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1차적으로 침전되어 하부에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경사안내판이 구비되는 제1침전조; 상기 제1침전조와 일측이 제1격벽으로 공간이 분리되고 타측에 제2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1유동공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1유동공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1차필터링하는 제1스크린과, 상기 제2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2유동공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2유동공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2차필터링하는 제2스크린 포함하며, 하부에 상기 제1스크린을 통하여 1차필터링된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이 2차적으로 침전되어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경사안내판이 구비되는 제2침전조; 상기 제2침전조와 상기 제2격벽으로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 구비되는 제1바닥판에 형성된 제1끼움공에 결합되는 여과포지가 내장된 제1여과필터를 통하여 상기 제2스크린을 거쳐 유입된 2차필터링된 물을 1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제1여과조; 그리고 상기 제1여과조와 제3격벽으로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 구비되는 제2바닥판에 형성된 제2끼움공에 결합되는 여과볼이 내장된 제2여과필터를 통하여, 상기 제3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제3유동공을 거쳐 유입된 물을 2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제2여과조; 그리고 상기 제1침전조, 제2침전조, 제1여과조 및 제2여과조의 각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각각 지면에 매설되는 메인뚜껑 및 지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메인뚜껑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보조뚜껑으로 이루어진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크린은 착탈이 용이하고 내부 수용공간의 유동상 메디아를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형성되어 테두리부 외의 면에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유동상 메디아가 수용되는 일정용적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제1스크린본체와, 상기 제1스크린본체의 개방된 제1구부를 밀폐하도록 테두리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구부와 대응되는 면적에 대하여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이 천공형성되는 제1다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스크린은 착탈이 용이하고 내부 수용공간의 유동상 메디아를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형성되어 테두리부 외의 면에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유동상 메디아가 수용되는 일정용적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제2스크린본체와, 상기 제2스크린본체의 개방된 제2구부를 밀폐하도록 테두리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구부와 대응되는 면적에 대하여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이 천공형성되는 제2다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스크린은 상기 제1스크린본체의 수용공간에 상기 유동상 메디아가 수용된 후 상기 제1다공판으로 제1구부를 밀폐하여 상기 제2침전조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유동공의 둘레에 볼팅결합되며, 상기 제2스크린은 상기 제2스크린본체의 수용공간에 상기 유동상 메디아가 수용된 후 상기 제2다공판으로 제2구부를 밀폐하여 상기 제2침전조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2유동공의 둘레에 볼팅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여과필터는 다수 개의 통공이 천공된 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통 형상으로 상기 제1바닥판의 제1끼움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바닥판에 밀착되는 단턱을 가지는 제1필터본체와, 상기 단턱의 내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필터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여과포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제1필터본체의 상부를 덮는 제1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포지가 롤 형태로 내삽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여과필터는 상기 제1여과조의 제1바닥판에 형성된 제1끼움공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공과 대응되어 복수 개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2여과필터는 다수 개의 통공이 천공된 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광하협의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제2필터본체와, 상기 제2필터본체의 수용공간에 여과볼이 내장된 후 상기 제2필터본체의 상부를 덮는 제2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볼은 세라믹 재질의 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여과필터에 내장된 여과포지는 일면, 타면 또는 양면에 택일적으로 증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증착층은 카본, 제오라이트, 황토를 각각 독립적으로 증착하여 형성되거나 카본, 제오라이트, 황토를 일정비율 혼합하여 증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스크린, 제2스크린, 제1여과필터 및 제2여과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초기우수에 내포된 비점오염원의 정화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내삽된 유동상 메디아의 교체가 가능한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과, 여과포지의 교체가 가능한 제1여과필터 및 여과볼의 교체가 가능한 제2여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정화처리를 위한 스크린 및 여과필터의 유동상 메디아, 여과포지, 여과볼의 교체가 용이하여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장치의 유지보수 등이 용이하여 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제1침전조, 제2침전조, 제1여과조 및 제2여과조의 각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각각 지면에 매설되는 메인뚜껑 및 지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메인뚜껑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보조뚜껑으로 구성됨으로써 보조뚜껑을 개방하여 제1침전조, 제2침전조 하부에 누적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흡입 처리할 수 있으며, 메인뚜껑을 개방하여 제1여과조 및 제2여과조의 제1여과필터 및 제2여과필터의 여과포지, 여과볼 등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제1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제2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제1여과필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제2여과필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제1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제2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제1여과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제2여과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0)는 비점오염원 지역에서 지면으로부터 공급관을 통하여 유입된 비점오염물이 내포된 초기우수 내의 비점오염물을 침전 및 여과를 통하여 정화처리하여 초기우수 내에 내포된 비점오염물을 최소화하여 하천 등의 방류수계로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프레임(101), 제1침전조(110), 제2침전조(130), 제1여과조(150), 제2여과조(170) 그리고 뚜껑(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프레임(101)은 본 발명의 기술인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U"자형 타입으로 형성되되 일측 측벽부의 상부에는 지면에 매설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122)이 관통되는 관통홀(1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101)은 타측 측벽부의 하부에 상기 공급관(122)을 통하여 유입된 물을 상기 제1침전조(110)는 제1침전조(110), 제2침전조(130), 제1여과조(150) 그리고 제2여과조(170)를 거친 후, 하천 등의 방류수계로 방류시키기 위한 배수공(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01)은 타측 측벽부의 상부에는 상기 공급관(122)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지속적으로 많은 양이 유입될 경우 등에 발생하는 범람현상을 방지하는 범람방지공(10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침전조(110)는 상기 본체프레임(101)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측에 비점오염물이 내포되어 공급되는 물이 와류현상을 가지면서 제1침전조(110)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122)이 경사지게 삽입되어 상기 공급관(122)의 단부가 내면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외통(121) 및 상기 외통(121)의 상, 하부로 돌출되도록 내측에 구비되는 내통(123)을 포함하여 구성된 와류통(1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침전조(110)는 상기 내통(123)이 중공타입으로 통상으로 형성되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된 확산판(123a)이 구비되어 상기 내통(123)과 외통(121) 사이 공간에 와류현상을 가지면서 하향하는 물이 상기 제1침전조(110)의 내부에 원활하게 확산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침전조(110)는 상기 와류통(120)을 통하여 와류현상을 가지면서 공급된 물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1차적으로 침전되어 하부에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경사안내판(119)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경사안내판(119)이 구비되어 중앙으로 모인 침전물을 상기 와류통(120)의 내통(123)에 흡입장치(미도시)를 삽입하여 누적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침전조(110)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침전조(130)는 상기 제1침전조(110)와 일측이 제1격벽(103)으로 공간이 분리되고 타측에 제2격벽(105)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격벽(103) 측에는 제1스크린(131)이 구비되고 상기 제2격벽(105) 측에는 제2스크린(13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스크린(131)은 상기 제1격벽(103)의 상부에 형성된 제1유동공(103a)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1유동공(103a)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한다.
또한, 상기 제2스크린(135)은 상기 제2격벽(104)의 상부에 형성된 제2유동공(105a)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2유동공(105a)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한다.
더욱이, 상기 제2침전조(130)는 상기 제1스크린(131)을 거쳐 2차 필터링되어 유입된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이 2차적으로 침전되어 하부에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경사안내판(139)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2경사안내판(139)이 구비되어 중앙으로 모인 침전물을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190)의 보조뚜껑(195)을 개방하여 흡입장치(미도시)를 삽입하여 누적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침전조(130)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스크린(131)은 제1스크린본체(132) 및 제1다공판(1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스크린본체(132)는 내부 수용공간에 유동상 메디아(134)가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형성되며, 테두리부 외의 면에 전체적으로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13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다공판(133)은 상기 제1스크린본체(132)의 개방형성된 제1구부(132b)를 밀폐하도록 테두리부가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1구부(132b)와 대응되는 면적에 대하여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133a)이 천공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스크린(131)은 상기 제1격벽(103)에 착탈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동상 메디아(134)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크린본체(132)와 제1다공판(133)의 테두리부가 밀착되어 각 모서리부가 상기 제1유동공(103a)의 테두리에 볼팅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2스크린(135)은 제2스크린본체(136) 및 제2다공판(13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스크린본체(136)는 내부 수용공간에 유동상 메디아(138)가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형성되며, 테두리부 외의 면에 전체적으로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136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다공판(137)은 상기 제2스크린본체(136)의 개방형성된 제2구부(136b)를 밀폐하도록 테두리부가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2구부(136b)와 대응되는 면적에 대하여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137a)이 천공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스크린(135)은 상기 제2격벽(105)에 착탈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동상 메디아(138)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스크린본체(136)와 제2다공판(137)의 테두리부가 밀착되어 각 모서리부가 상기 제2유동공(105a)의 테두리에 볼팅결합된다.
아울러, 전술한 상기 유동상 메디아(134, 138)는 수직, 수평 및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을 가지거나, 외면에 수직, 수평, 경사 및 나선 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요홈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 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여과조(150)는 상기 제2침전조(130)와 상기 제2격벽(105)으로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1)의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바닥판(108)에 형성된 제1끼움공(108a)에 결합되는 여과포지(157)가 내장된 제1여과필터(151)를 통하여 상기 제2스크린(135)을 거쳐 유입된 2차필터링된 물을 1차적으로 여과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여과필터(151)는 다수 개의 통공(159)이 천공된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1필터본체(153), 지지판(154) 및 제1뚜껑(1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필터본체(153)는 상하방향으로 연통형성되며, 상기 제1바닥판(108)의 제1끼움공(108a)에 결합되어 상기 제1끼움공(108a)의 테두리부에 밀착되는 단턱(153a)을 가진다.
또한, 상기 지지판(154)은 상기 단턱(153a)의 내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필터본체(153)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여과포지(157)를 지지하며, 상기 제1뚜껑(155)은 상기 제1필터본체(153)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여과포지(157)는 일면, 타면 또는 양면에 택일적으로 증착층(미도시)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증착층(미도시)은 카본, 제오라이트, 황토를 각각 독립적으로 증착하여 형성되거나, 카본, 제오라이트, 황토를 일정비율 혼합하여 증착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여과필터(151)에 내장되는 상기 여과포지(157)가 전술한 증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여과조(150)를 통한 여과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여과필터(151)는 상기 여과포지(157)가 롤 형태로 상기 제1필터본체(153)에 내삽되어 상기 단턱(153a)에 안착되며, 상기 제1여과조(150)의 제1바닥판(108)에 형성된 제1끼움공(108a)이 복수 개로 구비되어, 복수 개로 구비된 상기 제1끼움공(108a)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필터본체(153)의 단턱(153a) 하부 형상이 하향 협소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공(108a)에 유연하게 가이드되면서 억지끼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필터본체(153)의 단턱(153a) 하부 형상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공(108a)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여과조(170)는 상기 제1여과조(150)와 제3격벽(107)으로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1)의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바닥판(109)에 형성된 제2끼움공(109a)에 결합되는 여과볼(177)이 내장된 제2여과필터(171)를 통하여 상기 제1여과조(150)의 제1여과필터(151)에 의해 상기 제3유동공(107a)을 거쳐 유입된 1차여과된 물을 2차적으로 여과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여과필터(171)는 다수 개의 통공(179)이 천공된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2필터본체(173) 및 제2뚜껑(1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필터본체(173)는 상부가 개방되어 여과볼(177)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상광하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뚜껑(175)은 상기 제2필터본체(173)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필터본체(173)의 내부에 내장되는 여과볼(177)은 세라믹 재질의 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오염된 물의 여과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침전조(110), 제2침전조(130), 제1여과조(150), 제2여과조(170)의 각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190)은 메인뚜껑(191) 및 보조뚜껑(195)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뚜껑(191)은 지면에 매설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뚜껑(195)은 지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메인뚜껑(191)의 중앙부에 형성된 유지보수공(191a)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유지보수공(191a)을 통하여, 앞서 설명한 제1침전조(110) 및 제2침전조(130)의 하부에 누적된 침전물을 외부로부터 별도의 흡입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침전조(110) 및 제2침전조(130)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유지보수공(191a)을 통하여, 앞서 설명한 제1여과조(150) 내에 구비되는 제1여과필터(151)의 여과포지(157)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여과조(170) 내에 구비되는 제2여과필터(171)의 여과볼(177)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101: 본체프레임
102: 관통홀 103: 제1격벽
103a: 제1유동공 104: 배수공
110: 제1침전조 120: 와류통
130: 제2침전조 150: 제1여과조
151: 제1여과필터 153: 제1필터본체
153a: 단턱 154: 지지판
170: 제2여과조 171: 제1여과필터
190: 뚜껑 191: 메인뚜껑
191a: 유지보수공 195: 보조뚜껑

Claims (6)

  1. 비점오염원 지역에서 지면으로부터 공급관을 통하여 유입된 비점오염물이 내포된 초기우수내의 슬러지를 침전, 여과시키는 것으로, 비점오염원이 발생되는 지역의 지반에 매설되는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며, 일측 상부에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방류수계로 방류시키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며, 타측 상부에는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이 많을 경우 범람을 방지하는 범람방지공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측에 비점오염물이 내포되어 공급되는 물이 와류현상을 가지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이 경사지게 삽입되어 상기 공급관의 단부가 내면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상, 하부로 돌출되도록 내측에 구비되는 내통으로 구성된 와류통이 구비되며, 상기 와류통을 통하여 공급된 물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1차적으로 침전되어 하부에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경사안내판이 구비되는 제1침전조; 상기 제1침전조와 일측이 제1격벽으로 공간이 분리되고 타측에 제2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1유동공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1유동공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1차필터링하는 제1스크린과, 상기 제2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2유동공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제2유동공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2차필터링하는 제2스크린 포함하며, 하부에 상기 제1스크린을 통하여 1차필터링된 물에 잔존하는 고형물이 2차적으로 침전되어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경사안내판이 구비되는 제2침전조; 상기 제2침전조와 상기 제2격벽으로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 구비되는 제1바닥판에 형성된 제1끼움공에 결합되는 여과포지가 내장된 제1여과필터를 통하여 상기 제2스크린을 거쳐 유입된 2차필터링된 물을 1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제1여과조; 상기 제1여과조와 제3격벽으로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 구비되는 제2바닥판에 형성된 제2끼움공에 결합되는 여과볼이 내장된 제2여과필터를 통하여, 상기 제3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제3유동공을 거쳐 유입된 물을 2차적으로 여과시키는 제2여과조; 그리고 상기 제1침전조, 제2침전조, 제1여과조 및 제2여과조의 각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각각 지면에 매설되는 메인뚜껑 및 지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메인뚜껑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보조뚜껑으로 이루어진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필터는 다수 개의 통공이 천공된 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통 형상으로 상기 제1바닥판의 제1끼움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바닥판에 밀착되는 단턱을 가지는 제1필터본체와, 상기 단턱의 내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필터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여과포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제1필터본체의 상부를 덮는 제1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포지가 롤 형태로 내삽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여과필터는 상기 제1여과조의 제1바닥판에 형성된 제1끼움공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공과 대응되어 복수 개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조립되는 한편,
    상기 제1여과필터에 내장된 여과포지는 일면, 타면 또는 양면에 택일적으로 증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증착층은 카본, 제오라이트, 황토를 각각 독립적으로 증착하여 형성되거나 카본, 제오라이트, 황토를 일정비율 혼합하여 증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은 착탈이 용이하고 내부 수용공간의 유동상 메디아를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형성되어 테두리부 외의 면에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유동상 메디아가 수용되는 일정용적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제1스크린본체와, 상기 제1스크린본체의 개방된 제1구부를 밀폐하도록 테두리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구부와 대응되는 면적에 대하여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이 천공형성되는 제1다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스크린은 착탈이 용이하고 내부 수용공간의 유동상 메디아를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형성되어 테두리부 외의 면에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유동상 메디아가 수용되는 일정용적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제2스크린본체와, 상기 제2스크린본체의 개방된 제2구부를 밀폐하도록 테두리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구부와 대응되는 면적에 대하여 물의 유동을 위한 통공이 천공형성되는 제2다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은 상기 제1스크린본체의 수용공간에 상기 유동상 메디아가 수용된 후 상기 제1다공판으로 제1구부를 밀폐하여 상기 제2침전조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1유동공의 둘레에 볼팅결합되며,
    상기 제2스크린은 상기 제2스크린본체의 수용공간에 상기 유동상 메디아가 수용된 후 상기 제2다공판으로 제2구부를 밀폐하여 상기 제2침전조 내측방향으로 상기 제2유동공의 둘레에 볼팅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필터는 다수 개의 통공이 천공된 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광하협의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제2필터본체와, 상기 제2필터본체의 수용공간에 여과볼이 내장된 후 상기 제2필터본체의 상부를 덮는 제2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볼은 세라믹 재질의 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6. 삭제
KR1020110020498A 2011-03-08 2011-03-08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252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498A KR101252736B1 (ko) 2011-03-08 2011-03-08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498A KR101252736B1 (ko) 2011-03-08 2011-03-08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378A KR20120102378A (ko) 2012-09-18
KR101252736B1 true KR101252736B1 (ko) 2013-04-09

Family

ID=4711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498A KR101252736B1 (ko) 2011-03-08 2011-03-08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7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471B1 (ko) 2013-05-14 2013-07-26 (주)세원이엔지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425770B1 (ko) * 2014-05-08 2014-08-05 (주) 일신네이쳐 수평흐름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459341B1 (ko) 2014-04-14 2014-11-07 매크로드 주식회사 폐수 및 우수처리 시스템
KR101841463B1 (ko) 2016-12-16 2018-05-14 수생태복원(주) 여과장치
KR20210072430A (ko) * 2019-12-09 2021-06-17 최은철 우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235B1 (ko) * 2014-09-15 2016-01-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분 흡착 스크린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688564B1 (ko) * 2015-04-28 2016-12-2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필터형 2단 빗물 여과기
KR101960876B1 (ko) * 2018-10-04 2019-03-21 김영상 일체형 방류수 여과장치
KR102229526B1 (ko) * 2020-10-28 2021-03-18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하천의 수질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역경사 스크린 여과장치를 이용한 무동력 비점오염 저감 장치
CN112302147B (zh) * 2020-10-28 2022-05-20 上海申排成套装备产业有限公司 一种双层垃圾拦截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46B1 (ko) * 2006-08-05 2007-05-04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오염수정화장치
KR20090013487A (ko) * 2007-08-02 2009-02-05 (주) 해동에이앤씨 고분자필터를 이용한 폐수 및 우수의 고형물 및 유수분리 처리시스템
KR101015625B1 (ko) * 2010-09-17 2011-02-16 (주)상원기술개발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46B1 (ko) * 2006-08-05 2007-05-04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오염수정화장치
KR20090013487A (ko) * 2007-08-02 2009-02-05 (주) 해동에이앤씨 고분자필터를 이용한 폐수 및 우수의 고형물 및 유수분리 처리시스템
KR101015625B1 (ko) * 2010-09-17 2011-02-16 (주)상원기술개발 와류 및 2단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471B1 (ko) 2013-05-14 2013-07-26 (주)세원이엔지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459341B1 (ko) 2014-04-14 2014-11-07 매크로드 주식회사 폐수 및 우수처리 시스템
KR101425770B1 (ko) * 2014-05-08 2014-08-05 (주) 일신네이쳐 수평흐름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841463B1 (ko) 2016-12-16 2018-05-14 수생태복원(주) 여과장치
KR20210072430A (ko) * 2019-12-09 2021-06-17 최은철 우수처리장치
KR102347977B1 (ko) * 2019-12-09 2022-01-06 최은철 우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378A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736B1 (ko)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US7540953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US7163635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KR101288606B1 (ko) 침투도랑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703319B1 (ko) 빗물 침투 시설
JP3148921U (ja) 雨水濾過器
KR100629151B1 (ko)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10178117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564083B1 (ko)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20110110923A (ko) 6방향 여과기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100978075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KR101799513B1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03694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853617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모듈형 침투도랑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04793A (ko) 자동 우수 처리 장치
KR200343186Y1 (ko) 우수받이 기능을 가진 노면 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