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214A -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 Google Patents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214A
KR20210021214A KR1020190100197A KR20190100197A KR20210021214A KR 20210021214 A KR20210021214 A KR 20210021214A KR 1020190100197 A KR1020190100197 A KR 1020190100197A KR 20190100197 A KR20190100197 A KR 20190100197A KR 20210021214 A KR20210021214 A KR 20210021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eco
friendly
ridge
fu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402B1 (ko
Inventor
정형진
백중현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한종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한종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90100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4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굴 현상에 따른 고랑 내면에 매트리스 타입의 돌망태 외면이 면접촉되어 설치되므로 지반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비탈면의 토사 유출을 차단하여 지반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반의 안정화를 더욱더 도모할 수 있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Eco-friendly side gutter structure for ridge of a mountain}
본 발명은 산마루 측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굴 현상에 따른 고랑 내면에 매트리스 타입의 돌망태가 면접촉되어 설치되므로 지반의 안정화를 도모함은 물론 비탈면의 토사 유출을 차단하여 지반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의 비탈면은 도로를 형성하기 위해 산마루를 인공적으로 절개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지반이 연약하여 집중 호우시,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없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탈면에 'V' 또는 'U' 자형으로 형성된 산마루 측구로 배수로를 형성하여 비탈면 상으로 흐르는 우수를 우회시킴으로써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산마루 측구는 콘크리트 블록 및 경질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불투수성(不透水性)으로 제작되어 산마루의 땅속으로 스며든 지중침투수가 통과하지 못하고 산마루 측구의 하부 지중에 머물면서 측구를 지지하는 지반을 깎아 산마루 측구와 지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세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세굴 현상을 일으키는 지중침투수는 그 유량이 작을지라도 장기간에 걸쳐 산마루 측구와 하부 지중에 머물게 되어 지반을 약화시키게 되며, 이러한 작용이 지속되는 경우, 산마루 측구의 지지력이 약해져 산마루 측구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산마루 측구의 파손은 결국 산사태 내지 비탈면의 붕괴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4492호에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이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콘크리트 블록의 바닥부 및 벽체부의 소정부분은 잔골재를 사용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불투수성 콘크리트부로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 및 벽체부의 소정부분은 쇄석을 사용하여서 다공질 콘크리트부로 형성하여 지중침투수가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근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유연하지 않음으로 지반의 세굴 현상에 따른 비탈면의 고랑에 콘크리트 블록이 면접촉되어 설치될 수 없어 지반의 안정화를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바닥부 표면이 매끄러워 바닥부로 흐르는 우수의 유속이 증가되고, 유속이 증가된 우수가 다공질 콘크리트부에 지속적으로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돌충격력에 의해 다공질 콘크리트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 내부에 식물의 식생이 어려워 비탈면 주변과 조화되지 못해 자연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다공질 콘크리트부에 식물이 식생되면, 식물의 성장에 따라 다공질 콘크리트부가 파손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등의 설치로 인하여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44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랑 내면에 매트리스 타입의 돌망태가 면접촉되어 설치되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리스 타입의 돌망태 내면에 복수의 유속감속부재가 돌출되어 상기 돌망태 내부로 흐르는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킴은 물론 상기 돌망태 측면에 부직포를 설치하여 비탈면의 토사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의 식생장소를 제공하여 식물의 식생에 따라 주변 환경과 조화되어 자연 경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식물의 뿌리에 의한 지반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로 측구를 형성함으로써, 지반변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로 측구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 콘크리트의 타설 등이 불필요하여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약되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로 측구를 형성함으로써, 망과 자갈에 의해 빠른 유속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는, 산마루 또는 비탈면에 상부가 개방형성된 고랑; 및 상기 고랑에 연이어 설치되어 지중침투수 및 우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돌망태;를 포함하며, 상기 돌망태는 세굴 현상에 대응하여 상기 고랑 내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매트리스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망태는, 2겹으로 형성되는 망; 및 상기 2겹의 망 사이에 충진되는 복수의 자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망태를 상기 고랑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망태는 상기 고랑 외측의 비탈면 일부까지 덮을 수 있다.
상기 돌망태 내면에 지그재그 돌출되어 돌망태 내부로 흐르는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유속감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속감속부재는 상기 우수가 흐르는 방향에서 상류부는 넓고, 상기 상류부 타측의 하류부는 상기 상류부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망태 내부로의 토사 유입을 방지하는 토사유입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사유입방지부재는 상기 돌망태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사유입방지부재는 상기 돌망태의 측면에는 설치되고 저면에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고랑에 설치된 돌망태의 바닥면, 하측면, 상하측면의 하부면, 급경사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리스 타입의 돌망태 내면에 복수의 유속감속부재가 돌출되어 상기 돌망태 내부로 흐르는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킴은 물론 상기 돌망태 측면에 부직포를 설치하여 비탈면의 토사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의 식생장소를 제공하여 식물의 식생에 따라 주변 환경과 조화되어 자연 경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식물의 뿌리에 의한 지반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로 측구를 형성함으로써, 지반변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로 측구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 콘크리트의 타설 등이 불필요하여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로 측구를 형성함으로써, 망과 자갈에 의해 빠른 유속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의 돌망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요오딘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의 돌망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100)는, 산마루 또는 비탈면(20)에 우수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고랑(110), 돌망태(120)를 포함한다.
상기 고랑(110)은 상기 산마루 또는 비탈면(20)에 상부가 개방형성된 구성으로, 사각형, 사다리형, 반탄원형 또는 반구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망태(120)는 상기 고랑(110) 내면에 외면이 면접촉되도록 연이어 설치되는 구성으로, 망(121), 자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121)은 철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2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망(121)은 고랑(110) 전체에 하나로 구성되거나,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갈(122)은 상기 망(121) 내부에 충진되는 구성으로, 잡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망태(120)를 상기 고랑(1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30)는 앵커(anchor)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랑(110)에 설치된 돌망태(120)의 바닥면, 하측면(비탈면의 낮은 쪽 측면), 상하측면의 하부면, 급경사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는 자갈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유속의 영향을 크게 받는 바닥면, 지중수의 유입이 없거나 비교적 적은 하측면, 상측면과 하측면의 하부면, 돌망태(120)의 형상 유지가 어려운 급경사면 등에 타설되어 측구 구조의 형상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망(121), 자갈(122),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되는 돌망태(120)는 불규칙한 고랑(110) 내면에 잘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즉,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 등에는 추가로 자갈 등을 용이하게 추가로 충진할 수 있다. 따라서 산마루 또는 비탈면(20)에 형성되는 불규칙한 고랑(110)에도 측구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급경사지, 바닥면 등에 타설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망태(120) 내면에 지그재그로 돌출되어 상기 돌망태(120) 내부로 흐르는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유속감속부재(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속감속부재(140)는 상기 우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대응되는 상류부(141)는 넓고, 상기 상류부(141) 타측의 하류부(142)는 상기 상류부(141)와 같거나 좁게 형성된다.
상기 상류부(141)에는 상기 우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면서 우수의 반사각도를 변환시키는 요입홈(141')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이 요입홈(141')에 의한 다양한 방향으로의 반사는 수류의 흐름 강도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유속감속부재(140)는 일측은 돌망태(120)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돌망태(1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유속감속부재(140)의 타측은 망(121)의 내부에 위치하여 망(121)에 고정될 수 있다. 유속감속부재(140)의 타측은 좀 크게 형성되어 망(121)에서 잘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속감속부재(140)는 돌망태(120)의 바닥면, 상하측면의 하부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속감속부재(140) 대신 유속감속턱을 형성할 수 있다. 유속감속턱은 횡방향 즉, 수류의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속가속턱은 상기 돌망태(120)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돌망태(120)가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돌망태(120)의 두께를 달리하고 두꺼운 부분이 돌들을 더 많이 채움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망태(120) 내부로의 토사 유입을 방지하는 토사유입방지부재(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사유입방지부재(150)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상기 토사유입방지부재(150)는 상기 돌망태(120) 외면 전체에 설치되거나, 상기 돌망태(120)의 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다. 토사유입방지부재(150)는 돌망태(120)의 내측 즉, 외측쪽 망(121)과 자갈(12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쪽 망(121)과 자갈(122)의 사이에 설치된 토사유입방지부재(150)는 이탈되거나 돌망태(120)에서 분리될 염려가 없다.
토사유입방지부재(150)는 지중침투수에 의한 토사의 세굴을 방지함으로써, 산마루 또는 비탈면(2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100)의 시공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설계 도면에 따라 지반(10)의 산마루 또는 비탈면에 상부가 개방형성된 고랑(110)을 형성한다. 상기 고랑(110)은 사각형, 사다리형, 반타원형 또는 반구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랑(110)에 설치되는 돌망태(120)는 철 또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2겹으로 망(121)을 형성하고, 상기 2겹의 망(121) 내부에 복수의 자갈(122)을 충진시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망태(120) 내면에 유속감속부재(140)를 형성하며, 상기 유속감속부재(140)는 상기 돌망태(120) 내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돌출되고, 그 형상은 상기 우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대응되는 상류부(141)는 하류부(142)보다 넓고 하류부(142)는 상류부(141)와 같거나 좁게 형성되어 흐르는 유수의 방향을 전환시키면서 유속이 과도하게 증가되지 않게 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유속감속부재(140)가 돌망태(120) 내면에 돌출형성되면, 상기 돌망태(120)를 고랑(110)의 내면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돌망태(120)의 외면이 상기 고랑(110)의 내면에 면접촉되어 안착되고, 상기 돌망태(120)는 상기 고랑(110)의 단면 형상으로 모양이 변형된다.
상기 고랑(110)에 돌망태(120)가 안착되면, 상기 돌망태(120) 측면에 인접하는 돌망태의 측면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고랑(110)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고랑(110)에 복수의 돌망태를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망태(120)를 연결부재(미도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고, 상기 돌망태(120)를 앵커와 같은 고정부재(130)로 고랑(1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돌망태(120)의 바닥면, 하측면, 상하측면의 하부면, 급경사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는 측구 구조의 형상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타설되지 않은 부분에는 식물이 자라서 돌망태(120)를 지반(10)에 잘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랑(110)의 내면에 부직포 재질의 토사유입방지부재(150)를 설치한 후, 상기 돌망태(120)를 고랑(1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망태(120) 외면에 토사유입방지부재(150)를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고랑(110)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토사유입방지부재(150)는 돌망태(120)의 망(121)과 자갈(122)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돌망태(120)는 상기 고랑(110) 외측의 비탈면까지 덮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본 발명이 시공된 상태에서 우수가 발생하면, 도 5와 같이, 상기 우수의 많은 양은 비탈면(20)을 거쳐 돌망태(110) 내부로 이동하고, 일부는 지표하를 통해 돌망태(110) 내부로 유입된 후 하류로 이동한다. 즉, 지표하로 유입된 지중침투수가 돌망태(11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지반(10)의 세굴이나 붕괴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돌망태(120) 내부로 흐르는 우수의 일부는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유속감속부재(140)의 하류부(142)보다 넓게 형성된 상류부(141)에 부딪히면서 유속이 감속되고, 유속이 감속된 상태에서 다시 흐르는 과정을 반복하므로 우수의 유속이 증가되지 않은 상태로 고랑(110) 단부의 집수구로 흘러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과 같이, 상기 유속감속부재(140)의 상류부(141)에는 요입홈(141')이 요입형성되어 흐르는 우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면서 물의 반사각도를 변환시켜 흐르는 물과 부딪히면서 와류가 발생하므로 우수의 유속을 더욱더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수가 비탈면(20) 내부로 침투한 지중침투수 일부는 도 9와 같이, 돌망태(120) 측면에 설치된 토사유입방지부재(150)를 경유하여 돌망태(120)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돌망태(120) 내부로 흐르는 우수와 함께 고랑(110) 단부의 집수구로 흘러 이동할 수 있다. 그 효과는 전술한 것과 같다.
지표 또는 지중을 통해 돌망태(120)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돌망태(120) 외면이 고랑(110)의 내면과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세굴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비탈면(20)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수 및 지중침투수의 이동에 따라 고랑(110)의 내면이 변형되는 경우에도, 돌망태(120)가 변형된 고랑(110)의 내면에 맞게 적절히 변형되면서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된 비탈면(120)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중침투수에 포함된 토사는 상기 토사유입방지부재(150)에 걸려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므로 토사의 유출에 따른 비탈면(20)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사유입방지부재(150')는 도 10과 같이, 상기 돌망태(120)의 측면에만 설치하고, 저면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돌망태(120) 측면으로의 토사 유입을 차단하면서 상기 돌망태(120) 내부로 유입된 토사는 상기 돌망태(120)의 복수의 자갈(122) 사이의 공극을 통해 돌망태(120) 하부의 지반(10)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상기 토사유입방지부재(150)에 도포된 식생재의 식생장소를 돌망태(120)가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식생에 따른 주변 환경과의 조화로 인해 자연 경관을 미려하게 함과 아울러 식물의 뿌리에 의한 지반과의 보강력을 증대시켜 지반(10)의 안정화를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110: 고랑
120: 돌망태 130: 고정부재
140: 유속감속부재 150: 토사유입방지부재

Claims (10)

  1. 산마루 또는 비탈면에 상부가 개방형성된 고랑; 및
    상기 고랑에 연이어 설치되어 지중침투수 및 우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돌망태;를 포함하며,
    상기 돌망태는
    세굴 현상에 대응하여 상기 고랑 내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매트리스 타입으로 형성되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는,
    2겹으로 형성되는 망; 및
    상기 2겹의 망 사이에 충진되는 복수의 자갈;을 포함하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를 상기 고랑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는 상기 고랑 외측의 비탈면 일부까지 덮을 수 있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 내면에 지그재그 돌출되어 돌망태 내부로 흐르는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유속감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속감속부재는,
    상기 우수가 흐르는 방향에서 상류부는 넓고, 상기 상류부 타측의 하류부는 상기 상류부보다 좁게 형성된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 내부로의 토사 유입을 방지하는 토사유입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토사유입방지부재는 상기 돌망태 외면에 설치되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토사유입방지부재는 상기 돌망태의 측면에는 설치되고 저면에는 설치되지 않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랑에 설치된 돌망태의 바닥면, 하측면, 상하측면의 하부면, 급경사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KR1020190100197A 2019-08-16 2019-08-16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KR102232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97A KR102232402B1 (ko) 2019-08-16 2019-08-16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97A KR102232402B1 (ko) 2019-08-16 2019-08-16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214A true KR20210021214A (ko) 2021-02-25
KR102232402B1 KR102232402B1 (ko) 2021-03-29

Family

ID=7473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97A KR102232402B1 (ko) 2019-08-16 2019-08-16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4802A (zh) * 2021-11-12 2022-03-11 青海九零六工程勘察设计院有限责任公司 高寒地区防止排洪渠冻胀损坏的石笼结构及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41Y1 (ko) * 1999-09-01 2000-02-15 주식회사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피막층을 이용한 측구의 구조
KR200224492Y1 (ko) 2000-11-25 2001-05-15 주식회사상원콘크리트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KR200401253Y1 (ko) * 2005-08-11 2005-11-15 김극용 유속 감소 풀륨관
KR20150065476A (ko) * 2013-12-05 2015-06-15 한국도로공사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41Y1 (ko) * 1999-09-01 2000-02-15 주식회사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피막층을 이용한 측구의 구조
KR200224492Y1 (ko) 2000-11-25 2001-05-15 주식회사상원콘크리트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KR200401253Y1 (ko) * 2005-08-11 2005-11-15 김극용 유속 감소 풀륨관
KR20150065476A (ko) * 2013-12-05 2015-06-15 한국도로공사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4802A (zh) * 2021-11-12 2022-03-11 青海九零六工程勘察设计院有限责任公司 高寒地区防止排洪渠冻胀损坏的石笼结构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402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7330B2 (en) Stream debris restraining structure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3608773B2 (ja) 流下物捕捉構造
JP6183819B1 (ja) 自然斜面の保護構造
JP5527173B2 (ja) 通水性鋼矢板とそれを用いた通水性鋼製壁
KR102232402B1 (ko) 친환경 산마루 측구 구조
CN107859044A (zh) 土质路堤边坡防护单元及边坡防护装置
KR101581806B1 (ko) 다기능 복합 모듈댐
ES2315258T3 (es) Procedimiento y estructura de proteccion frente a la erosion del suelo y de las orillas.
CN110145007A (zh) 弃渣场的排水系统
KR101289723B1 (ko) 경관 기능이 구비된 사방댐
JP6997250B2 (ja) 堰堤
JP3927222B2 (ja) 堤脚水路構築物を構成する排水溝ブロック、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KR102351049B1 (ko) 측벽일체식 사방댐
KR100636622B1 (ko) 사면 부근 도로의 다단식 낙석 방지대
KR200403213Y1 (ko) 도로 경사면의 유속감소용 배수로 구조물
KR101131814B1 (ko) 유수 흐름이 원활한 경량철골과 사석을 이용한 사방댐
KR200389250Y1 (ko) 붕괴방지용 사면보호 중량블록체
JP2022084334A (ja) 谷地形用排水構造および暗渠ブロック
KR101052295B1 (ko)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100968518B1 (ko)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JP4126008B2 (ja) 堤脚水路構築物、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