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231B1 -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 Google Patents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231B1
KR100758231B1 KR1020050001898A KR20050001898A KR100758231B1 KR 100758231 B1 KR100758231 B1 KR 100758231B1 KR 1020050001898 A KR1020050001898 A KR 1020050001898A KR 20050001898 A KR20050001898 A KR 20050001898A KR 100758231 B1 KR100758231 B1 KR 100758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scaping
slope
soil
block
land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270A (ko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이 filed Critical 민병이
Priority to KR102005000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2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2Alike front and back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및 주택조성의 과정에서 형성되는 비탈면에 토사의 쇄골이나 붕괴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비탈면 시설물인 조경블록으로 사용되는 조경대(11)에 간헐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조립구(12)를 천공하되, 상기 조립구 (12)에는 각각의 고정구(21)를 조립으로 고정하여 주고, 상기 고정구(21)에는 배수구(14)가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암거배수관(13)을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로 조립하여주되, 타측은 비탈면(30)을 형성하는 토사(18)의 깊숙이 박아서 견고성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암거배수관(13)이 조립되는 조경대(11)의 사이의 공간에는 작은 파쇄자갈(25)과 돌맹이 등으로 채워준 다음, 토사(18)로 채워주어서 식생의 구간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조경대(11)가 고정되도록 지지봉 (15)을 지중토(17)에 박아서 지지하여 주면서 형성되는 조경대(11) 사이의 유휴공간에는 토사(18)로 채워주면서 구성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토사에 우천시 또는 폭우 등으로 스며드는 빗물이나 침출수가 상기 암거배수로관(13)의 배수구(14)와 내측공간으로 배출하여서 비탈면(30)의 쇄골이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조경대(11)의 하측부위에는 간헐적으로 지지봉(15)을 비탈면(30)의 지하에 수직으로 박아서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붕괴에 의한 무너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조경대(11)(11')를 이용하여 조경블럭을 상,하의 순서로 조경하는 식생의 구간을 형성하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경사면을 형 성하는 비탈면(30)에 따라 조경 블록으로 적층하고, 상기 조경블록에는 계단식 구조로 설치하여 토사를 채워 식물을 식재하도록 구성하여 주고, 또한 지중토(17)와 조경대(11)(11·) 사이 사이를 채워주는 파쇄자갈(25)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경사지지봉(27)으로 조립하여서 제공으로, 단면이
Figure 112005500225621-pat00010
형의 보강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도로 및 주택단지의 안정성과 아울러 미관을 아름답게 살릴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조경대, 고정대, 배수구, 배수공간, 경사지지봉

Description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omitted}
도1은 종래에 사용되는 비탈면의 요부 부분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를 사용한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A-A선 단면도
도5는 도3에서 B-B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9는 도8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조경대 12. 조립구 13. 암거배수로관 14. 배출구 15. 지지봉
17. 지중토 18. 토사 19. 도로 및 주택단지 20. 배수로관
21. 고정구 22. 고정핀 23. 지하 25. 파쇄자갈
27. 경사지지봉 30. 비탈면 32. 옹벽 33. 배수구 35. 배수공간
본 발명은 비탈면에서 조경 및 환경 친화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및 주택단지의 비탈면에서 토사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비탈면시설물인 조경블록을 체결핀이나 시멘트 몰탈을 이용하여 상,하의 순서로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상기 조경블록의 상부에는 계단식 조경패널을 설치하여 토사를 채워 식물을 식재하도록 구성하여 도로 및 주택단지의 미관을 아름답게 살릴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비탈면시설물을 제공하였다.
또한, 비탈면에서의 쇄골이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블럭 등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서 소정의 높이의 비탈면을 형성하면서 토사를 비탈면과 토양사이의 공간에 성토하여서 형성되는 블럭에서, 간헐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비탈면에서 관통되면서 성토되는 토사에 매설하는 암거배수로관을 매설하면서, 일측 단부를 상기 비탈면의 외측으로 노출시켜서, 성토된 토사에 스며드는 빗물이나 배수물을 배수하도록 제공되었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종래에 사용되는 장치를 설명하면,
도1은 종래에 사용되는 비탈면의 요부 부분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서 A-A선 단면도이다.
즉, 도로 및 주택단지(19)에는 도1과 같이 비탈면(30)에 옹벽(32)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비탈면 보호 블록 구조물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블록의 사이사이의 소정의 간격에는 옹벽의 성토용 토사(18)에서 침출된 빗물에 대한 배수를 촉진하기 위하여 파이프(40)를 매설하면서 일측으로 옹벽(3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으로 옹벽의 보강 구조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제공하는 옹벽은 경사면에서 옹벽을 쌓기 위하여 파쇄자갈 등으로 성토된 지중토(17)에서의 침출수에 대한 보강구조가 미비하여서 폭우 등으로 옹벽의 지반이 약해져서 파손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비탈면 보호 블록 구조는, 콘크리트만으로 구조물용 블록을 형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비탈면의 보호용 블럭의 자연미가 없어 운전자 및 보행자들에게 삭막함을 주고 있으며, 자연생태 통로를 차단하고 있어 생태계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도로 및 주택단지의 측면에 설치되는 비탈면시설물인 조경블록의 상부에 계단식 조경대을 설치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친환경적인 시설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고, 조경블록은 하부에서 상부로 계단식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주면서 지지봉과 경사지지봉을 조경대 사이를 고정하여 주는 암거배수로관 사이를 서로 고정하여서 비탈면에 대한 안정성 및 조경을 제공하는 친환경적인 블록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자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주며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도로 및 주택단지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비탈면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서 형성되는 옹벽의 하측부위에는 간헐적으로 지지봉을 비탈면의 지하에 수직으로 박아서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붕괴에 의한 무너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조경대를 상기 지지봉의 상측에 결합하고, 상기 조경대에는 암거배수로관과 경사지지봉을 삽입 조립하여 블록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경블록에는 계단식 구조로 설치하여 토사를 채워 조경수를 식재하도록 소정의 구간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옹벽에서의 쇄골이나 처짐에 의한 안전성 보강으로, 친환경적인 시설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요부를 사용한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5는 도3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9는 도8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면서 조경을 위하는 옹벽용 비탈면의 블록에 대한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및 주택단지(19)에서 형성되는 배수로관(20)의 측면에 형성되는 옹벽(32)용 비탈면(30)에서, 지하수 및 폭우 등에 의하여 지중에 침수되어서 침하 및 쇄골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친환경적인 조경을 위하는 비탈면의 블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비탈면이 형성되는 지중토(17)에 조경용 식생구간이 계단 형태로 순차적인 높이로 형성도록 하기 위해 조경대(11)를 받쳐주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봉(15)을 소정의 간격으로 깊숙이 박아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지봉(15)에 맞추어서 조경대(11)(11')를 조립하여 얹어 주는 구조로 형성하며, 상기 조경대(11)에는 간헐적으로 조립구(12)(12')를 관통 형성하고, 상기 조립구(12)(12')에는 배출구(14)가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암거배수로관(13)을 삽입 고정한다.
또한, 상기 조경대(11)(11')의 하측부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경사구(28)를 형성하여 주면서, 상기 경사구(28)에는 경사지지봉(27)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경사지지봉(27)의 외측에는 링(31)을 결합하고 고정핀(22)으로 경사지지봉(27)과 링(31)을 고정 조립한다.
따라서, 상기 옹벽(32)에 지하수나 폭우 등으로 스며드는 빗물로 인하여 성토되는 비탈면(30)의 토사에 대한 무너짐이나 침하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진다.도록 구성된 발명의 보강구조가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조경대(11)(11') 사이의 조경용 식생구간에는 먼저 파쇄자갈(25)을 채워 준 다음, 토사(18)를 채워서 조경용 식생을 하여서 장기간 지나면서 조경수가 잘 성장하여 주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8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되는 조경대(11)(11')에 형성되는 조립구(12)(12')와 암거배수로관(13)과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하는 설명으로서, 상기 조립구(12)(12')의 가장자리에 맞추어 소정의 크기인 링(31)을 결합하되, 상기 링(31)과 암거배수로관(13)을 고정핀(22)으로 고정시켜 줌으로써, 상기 조경대(11)(11') 사이의 조경구간의 지지를 보강하여서, 장기간 지나면서 성토된 토사(18)의 처짐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여 준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침하 및 쇄골에 대한 보강을 제공하는 경사지지봉(27)과 조경대(11)(11')의 경사구(28)에 대한 조립하면서 성토된 피쇄자갈(25)에 스며드는 지하수 및 빗물에 대한 배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지지봉(27)에 간헐적으로 배수구(33)를 형성하면서 배출공간(35)을 경사지지봉(27)의 길이방향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면서 이에 연결되는 배출관(39)으로 배수로관(20)에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고로, 상기 조경 블록 구조물인 조경대(11)의 크기는 소정의 크기로 제공되므로, 비탈면(30)에 형성되는 옹벽(32)의 크기에 맞도록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사용되도록 하며, 상기 조경대(11)(11')는 서로 계단식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계단식 조경대(11)(11')은, 상호간에 서로 단차를 형성한 계단형태를 형성하여 자연생태계의 이동통로를 확보하고, 상기 계단식 조경대(11)(11')의 조경용 간격의 내부에는 토사(18)를 채워 조경수를 식재토록 하여 친환경적인 시설로 구성한다.
고로,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친환경적이 조경용 비탈 면의 블록 구조물은, 비탈면 조경 블럭인 조경대를 계단식으로 조립시켜 조립하여 주면서 형성되는 소정의 간격을 조립구에 암거배수로관으로 조립, 고정시켜서 조경수 식생의 구조물을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도록 구성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경블록 구조물의 내부에는 경사지는 경사지지봉을 설치하면서 파쇄자갈 등으로 채워 준 다음 토사로 담아주는 식생구간에 조경수를 식재토록 구성하면서, 쇄골이나 무너짐을 방지하여 주도록 토사에 침수된 빗물을 신속히 배수하여서 친환경적인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비탈면 구조물인, 조경대의 계단식 조경 구간은 비탈면을 계단으로 형성시켜 자연생태계의 이동통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자연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적인 비탈면시설물은, 도로 및 주택단지에 설치되는 비탈면구조물인 조경대에 간헐적으로 암거배수로관으로 고정하여서 식생공간을 확보하면서 지지봉과 경사지지봉의 구조적인 역할로 폭우 및 장마에 대한 지중에 스며드는 빗물이나 지하수 등에 대한 쇄골이나 침하를 예방하면서 상부에 설치되는 계단식 조경패널의 내부에 토사를 채워 조경수를 식재토록하여 자연과 구조물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연을 보호하는 효과를 갖도록 한다.

Claims (3)

  1. 도로 및 주택단지(19)의 측면으로 설치되는 옹벽(32)을 형성되는 비탈면(30)의 하측부위에는 간헐적으로 지지봉(15)을 비탈면의 지하의 지중토(17)에 수직으로 박아서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비탈면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5)의 상측에는 조경대(11)(11')를 소정의 간격으로 조립하여 비탈면(30)으로 되는 식생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조경대(11)(11')에는 간헐적으로 조립구(12)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구(12)에 삽입 조립되는 암거배수로관(13)을 구비하며,
    상기 조경대(11)(11')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구(28)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경사지지봉(27)을 조립하며,
    상기 조경대(11)(11') 사이의 내부에는 토사(18)를 채워 조경수를 식재토록 하여 친환경적인 시설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12)의 외측에는 링(31)을 결합하고, 상기 링(31)과 암거배수로관(13)을 고정핀(22)으로 고정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봉(27)에는 배수구(33)와 배수공간(3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20050001898A 2005-01-07 2005-01-07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0758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898A KR100758231B1 (ko) 2005-01-07 2005-01-07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898A KR100758231B1 (ko) 2005-01-07 2005-01-07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270A KR20060081270A (ko) 2006-07-12
KR100758231B1 true KR100758231B1 (ko) 2007-09-14

Family

ID=3717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898A KR100758231B1 (ko) 2005-01-07 2005-01-07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9579A (zh) * 2021-02-25 2021-06-18 河海大学 一种坡面土壤侧向排水系数的动态计算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8991B (zh) * 2019-07-17 2024-02-23 长安大学 一种气候阴湿寒区用拼装式抗冻生态边坡挡墙及装配方法
CN110777817A (zh) * 2019-11-06 2020-02-11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地下水发育地段边坡防护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9579A (zh) * 2021-02-25 2021-06-18 河海大学 一种坡面土壤侧向排水系数的动态计算方法
CN112989579B (zh) * 2021-02-25 2021-09-07 河海大学 一种坡面土壤侧向排水系数的动态计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270A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092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KR100491410B1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KR100902308B1 (ko)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JP7105399B2 (ja) 排水機構を備えた墓、及びその補修方法
CN107386320B (zh) 穿越地下混凝土水管道的地下管廊的施工方法
KR101416289B1 (ko) 측구
JP2012219591A (ja) 浸透構造体、及び浸透構造体付き集水施設並びに浸透構造体の設置方法
KR200413303Y1 (ko)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CN212026135U (zh) 一种滨水步道护坡结构
KR101525942B1 (ko) 표층개량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 옹벽공법
KR100593187B1 (ko) 친환경적 비탈면 보호시설
KR100635927B1 (ko) 건축물 경사면 보강 공법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JP6931876B2 (ja) 法面補強用透水壁の構築方法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400170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JP2010183845A (ja) 樹木の設置方法
KR101194052B1 (ko) 우기시의 도로 오염수 정화용 보강토옹벽구조물
GB2461808A (en) Method of adapting a pavement
KR100577846B1 (ko)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구조
JP2019108677A (ja) ドレーン杭および液状化対策工法
CN113718668B (zh) 一种涵洞施工方法
CN220058018U (zh) 一种风化软岩路堑边坡窗式护面墙防护结构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