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749B1 -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749B1
KR101334749B1 KR1020130046283A KR20130046283A KR101334749B1 KR 101334749 B1 KR101334749 B1 KR 101334749B1 KR 1020130046283 A KR1020130046283 A KR 1020130046283A KR 20130046283 A KR20130046283 A KR 20130046283A KR 101334749 B1 KR101334749 B1 KR 101334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vegetation block
ste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술 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원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원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원안전
Priority to KR102013004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지나 법면의 붕괴 또는 암석이나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옹벽의 기능과 더불어 옹벽 표면에 녹색 미관을 제공하는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생블록 배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리브로 구획된 복수의 식생공이 형성된 식생격자부; 및 식생블록 정면에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며 영양토가 채워지는 복수의 식생포켓부;가 구비되고, 상기 식생블록 평면에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식생블록 저면에 복수의 결합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식생격자부 사이에 십자형 공간부가 형성되고, 십자형 공간부 중앙에 고정공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옹벽의 설치를 위한 기초블록 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식생블록은 절개사면 전면에 상하 및 좌우로 적층하여 고정 결합하면서 앵커볼트나 락볼트의 시공, 배수관의 설치, 콘크리트의 타설 및 영양토의 투입과 종자의 파종 등을 수행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옹벽을 시공할 수 있고, 식물이 식재된 식생블록이 돌출되어 녹화 및 미관 형성 등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Vegetation Block in Tiers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지나 법면의 붕괴 또는 암석이나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옹벽의 기능과 더불어 옹벽 표면에 녹색 미관을 제공하는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로서, 옹벽은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또는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블록 쌓기,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등 다양한 형식이 적용된다. 상기 블록 쌓기는 통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축벽으로 콘크리트블록이 많이 사용된다.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은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 되었는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된다. 또한,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되며, 역T형식이나 부벽식(L자형) 등 여러 형식이 있다. 이 밖에 강판이나 목책을 이용한 간단한 것도 있다. 옹벽은 풍수해로 인하여 붕괴에 의한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것은 옹벽 뒤의 지반에 빗물이 침수하여 그 지반을 묽게 함으로써 옹벽에 이상한 힘이 가해져서 지반을 무너뜨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수관을 만들어 놓아야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0912호의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은 머리부, 연결부 및 꼬리부로 이루어진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가 연결부에 층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하부에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한 맞물림턱을 구비하는 제 1 옹벽블록과, 상기 제 1 옹벽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제 1 옹벽블록과 동일한 높이 및 1/2 길이를 구비하는 제 2 옹벽블록과, 상기 제 1 옹벽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제 1 옹벽블록의 1/2 높이 및 동일한 길이를 구비하는 제 3 옹벽블록과, 상기 제 1 옹벽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제 1 옹벽블록의 1/2 높이 및 1/2 길이를 구비하는 제 4 옹벽블록을 이용하여, 보강그리드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높이가 일정하고 다양한 패턴을 구비하는 옹벽구조물을 축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개별의 옹벽블록을 축조하여야 하므로 시공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축조 후에 옹벽으로서 견고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0621673호의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는 계단식 옹벽 각층의 평탄면 상에 형성되고, 삼면을 소정높이로 둘러싸는 화단벽; 상기 화단벽과 상단의 수직면으로 둘러싸인 화단; 상기 화단의 하부로부터 상기 화단벽 중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배수로; 및 각 층의 상기 제1배수로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흐르도록 법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배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화단은 최하층으로서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배수층; 및 상기 배수층 상측에 형성되고 토양으로 이루어져 식생이 배양되도록 하는 육성층을 포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토양의 수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지만, 시공에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0725호의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식생공간부를 이용한 식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다수 개 연이어서 설치된 콘크리트 파일의 양측면에 형성된 생태홈에 의하여 설치된 식생공간부에 식생틀을 삽입하고, 상기 콘크리트파일의 전면에 설치된 식생용홈에 상기 식생틀에 의하여 발아된 식생이 활착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콘크리트파일의 상부에도 식생이 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복수의 콘크리트파일을 고정 및 접합하기 위한 시공이 불리하고 한정된 식생공간부가 형성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8146호의 절토부 옹벽 시공구조 및 설치방법은 절토면 전방측 도로 하부에 수평을 조절하는 레벨링콘크리트가 타설되되 일측에는 하부로 전단요부가 형성되고, 전단요부를 포함한 레벨링콘크리트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로 하부에 타설되되, 전단요부에 충전된 전단돌부를 갖는 기초철근콘크리트와; 상기 기초철근콘크리트 상면에 절토면과 면접되게 설치되는 평면이 ㄷ형상인 블록체로, 절토면과 면접되어 수직기립되는 수직판이 형성되고, 수직판 양측단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되 선단하부에서 수직판 상단측으로 계단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계단돌부를 갖는 좌우측지지판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지지판의 각 계단돌부 선단부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수직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지지판의 수직판측 외측선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돌출된 좌우측결합돌부가 각각 형성되는 중앙옹벽블록과; 상기 중앙옹 벽블록의 수직판 연장선상의 좌측에 면접되게 위치되어 좌측결합돌부에 의해 밀림방지되는 좌측연결수직판이 형성되고, 좌측연결수직판 좌측단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되 선단하부에서 좌측연결수직판 상단측으로 계단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계단돌부를 갖는 좌측지지판이 형성되며, 좌측지지판의 각 계단돌부 선단부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수직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좌측지지판의 좌측연결수직판측 외측선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돌출된 좌측결합돌부가 형성되는 좌측옹벽블록과; 상기 중앙옹벽블록의 수직판 연장선상의 우측에 면접되게 위치되어 우측결합돌부에 의해 밀림방지되는 우측연결수직판이 형성되고, 우측연결수직판 우측단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되 선단하부에서 우측연결수직판 상단측으로 계단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계단돌부를 갖는 우측지지판이 형성되며, 우측지지판의 각 계단돌부 선단부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수직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우측지지판의 우측연결수직판측 외측선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돌출된 우측결합돌부가 형성되는 우측옹벽블록과; 직사각형상의 판체로 상기 중앙옹벽블록과 상기 좌우측옹벽블록의 수직삽입홈에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어 수직으로 고정되는 막음판과; 상기 중앙옹벽블록과 상기 좌우측옹벽블록의 막음판 내측으로 토사를 속채움을 하여 다단으로 식재가 이루어지는 조경식재와; 상기 중앙옹벽블록과 좌우측옹벽블록를 상단면에서 가로지르는 배수관을 구비하는 절토부 옹벽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대략 수직하는 절토면에 적용되는 것으로, 시공에 따른 옹벽의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의 불리함과 녹화 공간이 한정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5301호의 절개사면의 옹벽설치방법은 자연석이나 발파석(이하 자연석)(1)(1)을 연결핀(2)에 의해 상하로 경사지게 연결하면서 쌓거나, 가공 다듬돌(1')(1')을 연결핀(2')으로 상하 수직연결하면서 쌓거나, 가공 다듬돌(1")(1")을 몰타르(2")의 접착에 의해 상하 수직으로 쌓으면서, 상기 쌓은 돌(이하 적석(積石)이라고 함)들과 절개사면(4) 사이에 토사를 충전하다가 토사가 일정높이로 쌓였을 때 상기 토사층위에 부직포, 토목섬유, 와이어부재 또는 그리드(이하 지지부재라고 함)중 어느 한 가지를 그 토사위에 깔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을 상기 적석의 후면에 고정된 앵커(3)나 턴버클에 연결하거나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을 몰타르층(2")에 매립시켜 고정되게 한 다음, 그 지지부재 위에 다시 토사를 쌓거나,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을, 절개사면에 항타되어 그 위의 숏크리트(shotcrete)(15)와 지압판(14) 및 너트(16)에의해 지지되는 소일네일이나 어스앵커와 같은 지반보강재(5)(이하 지반보강재라 함)의 외단부와 연결하여 지지부재가 움직이지않게 고정한 다음, 그 위에 토사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절개사면에 옹벽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연석(1)이나 가공 다듬돌(1')(1")(적석)들의 후면에 앵커(10)(10')를 고정하고 그 좌우로나 상하로 인접한 적석들끼리의 앵커(10)(10')를 턴버클(11)로 연결하여 고정한 후, 상기 연결핀(2)으로 경사지게 연결고정한 자연석(1)은 그 후면에 고정한 앵커(3)와 지반보강재(5)를 상기 지지부재 대신 턴버클(7)로 직접 연결하고, 연결핀(2')으로 상하 수직 연결고정한 가공 다듬돌(1')은 옆으로 서로 인접한 가공 다듬돌(1')(1')끼리를 수평 연결재(9)로 고정한 다음, 상기 수평 연결재(9)와 지반보강재(5)를 상기 지지부재대신 턴버클(7)로 연결고정하고, 상하 가공 다듬돌(1")(1")사이를 몰타르(2")로 접착 고정하는 가공 다듬돌(1")은 그 몰타르(2")사이에 와이어메쉬나 그리드(이하 그리드)(8)를 내재시켜 그 그리드(8)와 지반보강재(5)를 상기 지지부재 대신 턴버클(7)로 연결고정한 후, 상기 적석(1)(1')(1")들이 인접한 사이에 간극(12)(13)이 생긴 경우에는 액상 콘크리트(24)를 채운 쉬트백(sheet bag)(18)으로 채우거나, 토목섬유나 부직포(19)를 삽입하거나 접착제로 부착한 다음, 상기 적석(1)(1')(1")과 절개사면(4)사이에 토사대신 콘크리트(20)를 타설하는 공정을 반복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자연석을 옹벽으로 시공하는 데에 따른 불리함과 견고성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59139호의 계단 형상의 스텝 옹벽의 구축방법은 동일 면상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길이가 긴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주근과 상기 주근의 긴 방향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주근끼리 연결하는 복수의 가설관계로 형성된 틀을, 상기 가설관계가 입설되도록 하여 굴착 등에 의해서 생긴 법면에 적당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틀 위에 노면부가 성김으로 축상부가 실눈의 그물코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을 가지는 계단상의 스텝망체를 달아 고정한 후, 상기 스텝망체와 상기 굴착 등에 의해서 생긴 법면 사이에 콘크리트(concrete)를 충진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주근 등의 결합으로 형성된 틀에 스텝망체를 달아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복잡한 시공으로 시공에 따른 불리함이 포함된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들은 각각 복잡한 시공과정과 옹벽의 견고성을 장담할 수 없고 옹벽의 기능과 더불어 녹화 및 미관을 위한 구성을 별개로 설치하여야 등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고, 옹벽의 설치 후에 유지 및 관리가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0912호(2008.02.29.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1673호(2006.09.13.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0725호(2012.05.15.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8146호(2009.10.15.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5301호(2005.03.15.공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59139호(2001.06.12.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생블록 전면에 복수의 녹화공간이 형성되고 배수가 용이하며 견고한 식생블록을 절개사면에 상하 및 좌우로 결합 및 고정 설치하여 옹벽의 기능과 더불어 녹화 및 미관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에 있어서, 식생블록 배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리브로 구획된 복수의 식생공이 형성된 식생격자부; 및 식생블록 정면에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며 영양토가 채워지는 복수의 식생포켓부;가 구비되고, 상기 식생블록 평면에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식생블록 저면에 복수의 결합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식생격자부 사이에 십자형 공간부가 형성되고, 십자형 공간부 중앙에 고정공이 형성된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생블록 평면에 형성된 결합공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되, 식생블록 위에 제2의 식생블록이 결합될 때에 제2의 식생블록 저면에 돌출된 결합부재가 복수의 결합공 중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십자형 공간부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에 절개사면 내측으로 일측이 고정된 앵커볼트 또는 락볼트 단부가 삽입되고, 앵커볼트 또는 락볼트 단부에 지압판과 보호캡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사면에서 식생공 내측까지 연결되어 절개사면에서 배출되는 물을 식생공으로 배수하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생포켓부 전면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십자형 공간부에서 가로 방향의 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정면에 돌출된 상기 식생포켓부 하부에 배수를 위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절개사면 하단을 따라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기초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기초블록의 결합공에 식생블록 저면에 돌출된 결합부재를 삽입 고정하여 기초블록에 형성된 고정홈 위에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기초블록 위에 설치된 식생블록의 결합공에 제2의 식생블록 저면에 돌출된 결합부재를 삽입 고정하여 식생블록을 절개사면의 전면 상부 및 좌우로 일정 높이 및 폭으로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절개사면에 식생블록을 설치하는 중에 절개사면에서 식생블록의 식생공까지 복수의 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절개사면과 상하좌우로 설치된 식생블록들 사이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식생블록들을 절개사면에 일체 고정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식생블록(1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식생포켓부에 영양토를 투입하고, 영양토에 식물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절개사면에 식생블록을 설치하는 중에 식생블록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에 단부가 관통 결합되는 앵커볼트 또는 락볼트를 시공한 후에 지압판 및 보호캡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옹벽의 설치를 위한 기초블록 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식생블록은 절개사면 전면에 상하 및 좌우로 적층하여 고정 결합하면서 앵커볼트나 락볼트의 시공, 배수관의 설치, 콘크리트의 타설 및 영양토의 투입과 종자의 파종 등을 수행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옹벽을 시공할 수 있고, 식물이 식재된 식생블록이 돌출되어 녹화 및 미관 형성 등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제공한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이 절개사면에 시공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이 절개사면에 시공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식생블록(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평판 형상이다. 식생블록(10) 배면에는 복수의 식생격자부(11)가 형성되고, 정면에는 식생포켓부(20)가 형성된다. 단위 구조를 갖는 식생블록(10)은 상하방향 일정 높이로 연결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고, 상하로 연결된 식생블록(10)은 좌우방향 일정 너비로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식생격자부(11)는 식생블록(10) 배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리브(12)로 구획된 복수의 식생공(13)이 형성된 것이다. 식생공(13)은 식생격자부(11)의 각 모서리 내측에 형성된 것으로 관통 형성된 것이다. 식생공(13)은 가로 및 세로 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리브(12), 즉 칸막이로 구획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식생블록(10)은 4개의 식생격자부(11)가 형성되고, 식생격자부(11)는 6개의 식생공(13)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식생격자부(11)와 식생공(13)의 개수는 시공현장의 조건이나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식생블록(10)의 각 식생격자부(11) 배면은 밀폐되어 있다. 따라서 식생격자부(11)의 식생공(13)에는 영양토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식생격자부(11)의 각 식생공(13)으로 배수관이 연결되는 유입공(19)이 형성되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식생포켓부(20)는 식생블록(10) 정면에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식생포켓부(20)는 식생블록(10) 정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더욱이 식생포켓부(20)는 상기 식생격자부(11)의 식생공(13)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즉 가로 방향의 식생공(13)을 따라 돌출 형성된 것으로, 가로 방향의 식생공(13) 연통되어 있다. 식생포켓부(20)에는 영양토(7)가 채워지고 영양토(7)에 식물의 종자가 파종되거나 식물이 식재된다. 식생포켓부(20) 전면에는 복수의 배수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식생블록(10) 평면, 즉 상면에는 복수의 결합공(15)이 형성되고, 식생블록(10) 저면에는 복수의 결합부재(16)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공(15)은 식생블록(10) 평면에서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 전후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공(15)은 식생블록(10) 평면에서 대략 중앙부에 전후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관통 형성된다. 결합공(15)은 전후로 대략 3개의 구멍이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와 중앙부에 4쌍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재(16)는 식생블록(10) 저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된 볼트 또는 철근으로 식생블록(10) 평면에 형성된 결합공(15)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식생블록(10)의 결합공(15)에 제2의 식생블록(10)의 결합부재(16)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이로써 식생블록(10)을 상하로 연결 결합할 때에 식생블록(10) 평면에 형성된 결합공(15)에 식생블록(10) 저면에 형성된 결합부재(16)의 결합으로 식생블록(10)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결합공(15)에 결합부재(16)의 선택적 결합으로 절개사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식생격자부(11) 사이에는 십자형 공간부(14)가 형성되고, 십자형 공간부 중앙에 고정공(17)이 형성된다. 십자형 공간부(14)는 식생격자부(11)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식생격자부(11)의 식생공(13)의 높이나 폭과 대략 동일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즉 식생격자부(11)에 상하 방향으로 3개의 식생공(13)이 형성된다면, 식생격자부(11) 아래 다른 식생격자부(11) 사이에 형성된 십자형 공간부(14)에 의하여 식생블록(10)은 정면에서 볼 때 7개의 식생공(13)이 제공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 식생격자부(11)에 좌우 방향으로 2개의 식생공(13)이 형성된다면, 식생격자부(11) 옆 다른 식생격자부(11) 사이에 형성된 십자형 공간부(14)에 의하여 식생블록(10)은 정면에서 볼 때 5개의 식생공(13)이 제공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십자형 공간부(14)에서 가로 방향의 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정면에 돌출된 상기 식생포켓부(20) 하부에는 아래로 배수를 위한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와 도 5에서, 절개사면(1)에서 식생공(13) 내측까지 배수관(25)이 연결 설치된다. 배수관(25)은 절개사면(1)에서 배출되는 물을 식생공(13)으로 배수하는 것이다. 배수관(25)은 절개사면(1) 내에서 발생된 지하수 등을 식생공(13)으로 배출하여 절개사면(1)의 붕괴를 방지함과 더불어 식생공(13)을 통해 식생포켓부(20)에 식재된 식물 생장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배수관(25)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이 적용되고, 절개사면(1)에 접촉되는 배수관(25) 단부는 확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식생포켓부(20) 전면에 관통 형성된 배수공(21)을 통해 여분의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식생블록(10)을 절개사면(1)에 시공하기 전에 절개사면(1)의 하단에는 기초구조물이 설치된다. 기초구조물은 절개사면(1) 하단부에 일정 깊이의 구덩이를 파고 골재를 채운다음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기초구조물이 시공되면 식생블록(10)을 적층하기 위한 기초블록(30)을 설치한다. 기초블록(30)에는 식생블록(10) 저면에 돌출된 결합부재(16)를 삽입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공(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블록(30)의 평면은 일정 각도의 고정홈(31)이 형성된다. 고정홈(31)은 수평으로부터 절개사면(1)에 일정 각도로 시공되는 식생블록(10) 저면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홈(31)의 형상은 식생블록(10)이 시공되는 경사각이나 방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십자형 공간부(14) 중앙에는 고정공(17)이 형성된다. 고정공(17)은 절개사면(1) 내측으로 일측이 고정된 앵커볼트 또는 락볼트(2) 단부가 삽입되고, 앵커볼트 또는 락볼트(2) 단부에 지압판(3)과 보호캡(4)이 결합 고정된다. 앵커볼트나 락볼트(2)는 식생블록(10)이 절개사면(1)에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앵커볼트는 절개사면(1)이 일반적인 토양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시공하는 것이고, 락볼트(2)는 절개사면(1)이 암석이나 암반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시공하는 것이므로, 앵커볼트와 락볼트(2)는 절개사면(1)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앵커볼트나 락볼트(2)가 절개사면(1)에 식생블록(10)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순차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더욱이 식생블록(10) 마다 앵커볼트나 락볼트(2) 단부를 결합하는 것이 좋지만, 절개사면(1)의 경사도나 토양의 성질 등에 따라 앵커볼트나 락볼트(2)를 시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절개사면(1)에 식생블록(10)을 시공하는 동안 식생블록(10)과 절개사면(1) 사이에 콘크리트(6)를 투입하여 절개사면(1)에 식생블록(10)이 일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콘크리트(6)를 투입하기 전에 철근(5)이나 철망 등을 삽입하여 강성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우선, 식생블록(10)을 이용하여 계단식으로 옹벽을 설치할 절개사면(1)이 선정되면, 절개사면(1)의 표면 평탄화 등 예비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절개사면이 암반인 경우에는 별도의 평탄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식생블록(10)의 시공을 위한 예비 작업이 완료되면, 절개사면(1) 하단을 따라 기초구조 작업을 수행한다. 즉 일정 깊이 및 폭으로 구덩이를 판 후에 골재를 투입한 후에 콘크리트를 부어 기초구조물을 설치한다. 절개사면(1)에 따라 기초구조물 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기초구조물 위에 복수의 결합공(15)이 형성된 기초블록(30)을 설치한다(S10). 절개사면(1) 하단에 설치된 기초블록(30)의 결합공(15)에 식생블록(10) 저면에 돌출된 결합부재(16)를 삽입 고정한다(S11). 이때, 기초블록(30)에 형성된 고정홈(31) 위에 식생블록(10) 저면이 안착되어 설치된다. 고정홈(31)은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상이므로 식생블록(10)이 일정 각도의 경사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기초블록(30) 위에 설치된 식생블록(10)의 결합공(15)에 제2의 식생블록(10), 즉 식생블록(10) 위에 결합되는 식생블록(10) 저면에 돌출된 결합부재(16)를 삽입 고정하여 식생블록(10)을 절개사면(1)의 전면 상부 및 좌우로 일정 높이 및 너비로 설치한다(S12).
또한, 절개사면(1)에 식생블록(10)을 설치하는 중에 식생블록(10)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17)에 단부가 관통 결합되는 앵커볼트 또는 락볼트(2)를 절개사면(1)에 시공한 후에 지압판(3) 및 보호캡(4)을 결합하여 고정시킨다(S13). 이때, 앵커볼트 또는 락볼트(2)는 식생블록(10)이 시공될 위치에 미리 시공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절개사면(1)에 식생블록(10)을 설치하는 중에 절개사면(1)에서 식생블록(10)의 식생공(13)까지 복수의 배수관(25)을 설치한다(S14).
절개사면(1)과 상하좌우로 설치된 식생블록(10)들 사이에 콘크리트(6)를 투입하여 식생블록(10)들을 절개사면(1)에 일체 고정시킨다(S15). 절개사면(1)과 상하좌우로 설치된 식생블록(10)들 사이에 콘크리트(6)의 투입 및 양생은 식생블록(10)을 결합하는 높이나 폭 등에 따라 수시로 이루어질 것이다.
식생블록(10) 전면에 돌출 형성된 식생포켓부(20)에 영양토(7)를 투입하고, 영양토에 식물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식물을 식재한다(S16).
이와 같이 식생블록은 절개사면 전면에 상하 및 좌우로 적층하여 고정 결합하면서 앵커볼트나 락볼트의 시공, 배수관의 설치, 콘크리트의 타설 및 영양토의 투입과 종자의 파종 등을 수행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절개사면 2: 락볼트(또는 앵커볼트) 3: 지압판 4: 보호캡 5: 철근 6: 콘크리트 7: 영양토 10: 식생블록 11: 식생격자부 12: 리브 13: 식생공 14: 십자형 공간부 15, 32: 결합공 16: 결합부재 17: 고정공 18: 관통공 19: 유입공 20: 식생포켓부 21: 배수공 25: 배수관 30: 기초블록 31: 고정홈

Claims (8)

  1.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에 있어서,
    식생블록 배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리브로 구획된 복수의 식생공이 형성된 식생격자부; 및
    식생블록 정면에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며 영양토가 채워지는 복수의 식생포켓부;가 구비되고,
    상기 식생블록 상단면에 복수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식생블록 저면에 복수의 결합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식생격자부 사이에 십자형 공간부가 형성되고, 십자형 공간부 중앙에 고정공이 형성된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 상단면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되, 식생블록 위에 제2의 식생블록이 결합될 때에 제2의 식생블록 저면에 돌출된 결합부재가 복수의 결합공 중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공간부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에 절개사면 내측으로 일측이 고정된 앵커볼트 또는 락볼트 단부가 삽입되고, 앵커볼트 또는 락볼트 단부에 지압판과 보호캡이 결합 고정되는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이 절개사면 전면에 설치되되, 절개사면에서 식생공 내측까지 연결되어 절개사면에서 배출되는 물을 식생공으로 배수하는 배수관이 연결된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켓부 전면에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공간부에서 가로 방향의 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정면에 돌출된 상기 식생포켓부 하부에 배수를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7.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절개사면 하단을 따라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기초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기초블록의 결합공에 식생블록 저면에 돌출된 결합부재를 삽입 고정하여 기초블록에 형성된 고정홈 위에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기초블록 위에 설치된 식생블록의 결합공에 제2의 식생블록 저면에 돌출된 결합부재를 삽입 고정하여 식생블록을 절개사면의 전면 상부 및 좌우로 일정 높이 및 너비로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절개사면에 식생블록을 설치하는 중에 절개사면에서 식생블록의 식생공까지 복수의 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절개사면과 상하좌우로 설치된 식생블록들 사이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식생블록들을 절개사면에 일체 고정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식생블록(1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식생포켓부에 영양토를 투입하고, 영양토에 식물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절개사면에 식생블록을 설치하는 중에 식생블록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에 단부가 관통 결합되는 앵커볼트 또는 락볼트를 시공한 후에 지압판 및 보호캡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0130046283A 2013-04-25 2013-04-25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334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283A KR101334749B1 (ko) 2013-04-25 2013-04-25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283A KR101334749B1 (ko) 2013-04-25 2013-04-25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749B1 true KR101334749B1 (ko) 2013-11-29

Family

ID=4985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283A KR101334749B1 (ko) 2013-04-25 2013-04-25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7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763B1 (ko) * 2015-02-12 2018-12-31 (주)대한콜크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15296B1 (ko) * 2018-03-15 2019-08-28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5957A (ja) * 1994-09-14 1996-04-02 Kensetsusho Hokurikuchihou Kensetsukyoku 法面階段ブロック
KR100659134B1 (ko) 2006-04-06 2006-12-19 재 술 나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및 그 공법
KR20080113999A (ko) * 2007-06-26 2008-12-31 안승한 식생용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90060850A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식생 보강패널과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5957A (ja) * 1994-09-14 1996-04-02 Kensetsusho Hokurikuchihou Kensetsukyoku 法面階段ブロック
KR100659134B1 (ko) 2006-04-06 2006-12-19 재 술 나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및 그 공법
KR20080113999A (ko) * 2007-06-26 2008-12-31 안승한 식생용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90060850A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식생 보강패널과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763B1 (ko) * 2015-02-12 2018-12-31 (주)대한콜크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15296B1 (ko) * 2018-03-15 2019-08-28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1707523B1 (ko) 사면 보강 및 급속시공을 위한 계단식 옹벽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105092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872836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2009001959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43330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CN110965577B (zh) 链锁式生态砌块挡墙的施工方法
CN212026135U (zh) 一种滨水步道护坡结构
CN112411584A (zh) 抗滑桩与绿化条带相结合的浆砌片石公路边坡防护结构
KR20090073330A (ko) 조경 옹벽구조물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200235107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200345934Y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20190101950A (ko)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JP2003313974A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CN217998118U (zh) 一种生态护坡
KR200235108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2285192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CN211498943U (zh) 用于链锁式生态挡墙的砌块
KR100973914B1 (ko) 평석을 구비한 뒷돌 고정식 산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4263197B (zh) 一种绿色环保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680246B1 (ko) H빔과 선반블록을 이용한 녹화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