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296B1 -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 Google Patents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296B1
KR102015296B1 KR1020180030074A KR20180030074A KR102015296B1 KR 102015296 B1 KR102015296 B1 KR 102015296B1 KR 1020180030074 A KR1020180030074 A KR 1020180030074A KR 20180030074 A KR20180030074 A KR 20180030074A KR 102015296 B1 KR102015296 B1 KR 102015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astal
sheet
end por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이석모
손민호
Original Assignee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3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폭을 가지며 해안방수벽(1)의 상면(2) 및 전면(4)에 밀착되는 시트(10);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좌우 양단 부위에는 절곡된 결합단(222)이 마련되고 중앙 부위에는 해안방수벽(1)의 후면(3)에 밀착되는 판상의 걸림판(224)이 마련되어 해안방수벽(1)의 후면(3) 상단 부위에 위치하는 걸이프레임(22),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위치하되 각 일단 부위는 걸이프레임(22)의 결합단(222)과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해안방수벽(1)의 전면(4) 상단 부위로 연장되는 상면프레임(24),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위치하되 각 일단 부위는 상면프레임(24)의 각 타단 부위와 결합되고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는 지면과 접하는 경사프레임(26),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 양단 부위가 경사프레임(26)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28)으로 이루어지는 식재프레임(20); 좌우 양단 부위는 경사프레임(26)과 접하며 전면 부위는 각 가로프레임(28)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되는 제1메쉬망(32); 제1메쉬망(32)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되는 섬유매트(40); 일정 크기의 돌로 이루어져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도록 시트(10)와 섬유매트(40)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배수층(50);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있어 시트(10) 상측으로 걸이프레임(20)과 상면프레임(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있어 시트(10)와 섬유매트(40) 및 배수층(50) 사이 공간 각각을 채우는 토양(60);을 포함하는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Planting structure of coastal watertight wall}
본 발명은 식재프레임을 이용하여 해안방수벽의 전면 부위를 녹화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설치된 해안방수벽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빗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식물의 생육에 제한을 발생시키지 않는 해안방수벽의 녹화구조에 관련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내륙은 험준한 산악지형이 자리하고 3면은 바다로 둘러싸인 지형적인 특성상 해안선을 따라 항만이나 산업단지 등의 공공기반시설 확충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자에는 주거지는 물론 휴양지 및 레저시설 등과 같은 개인시설이 해안선을 따라 급속하게 신축되고 있다.
해안선을 따라 공공기반시설이나 개인시설이 들어설 때는 파도나 해일 등으로부터 인명 및 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안방수벽이 설치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설치되고 있는 해안방수벽은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철근-콘크리트의 인공구조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해안선을 따라 이러한 회백색의 인공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면, 자연 경관 자체를 해칠 수 있을 뿐 아니라 염생식물 등과 같이 중요한 가치와 기능을 가지고 있는 해안생태계를 훼손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는 방식이 해안방수벽에 녹화시설을 설치하는 것이다.
즉, 도 7에 개시된 것과 같이, 해안방수벽에 있어 도로 또는 인도를 바라보는 전면 부위에 식물의 생육을 위한 식재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회백색의 인공구조물 자체가 자연적인 경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줌은 물론 일정 범위 내에서 훼손된 해양생태계가 복원될 수 있도록 기여하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안되고 있는 녹화방식들은 도 7과 같이 인공건조물인 해안방수벽에 무수히 많은 앵커 등으로 식재프레임을 고정 결합하는 구조로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앵커와 같은 고정수단 주위에 균열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인공구조물인 해안방수벽 자체가 파손되어 대상지의 방재적 기능에 큰 위협으로 작용하는 소지가 있다.
게다가, 식재프레임에 이식되는 초화류의 경우 생존을 위한 최소 토심과 생육을 위한 최소 토심이 일정 깊이 이상 확보되어야 하는데, 지금까지 제안되고 있는 식재프레임은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뿌리의 성장에 제한이 발생하는 포트효과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834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8073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안방수벽 자체의 훼손을 최소화함은 물론 빗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며 나아가 식물의 생육에 제한을 발생시키지 않는 녹화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항만이나 해안도로에 인공적으로 설치되는 해안방수벽(1)을 녹화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일정폭을 가지며 해안방수벽(1)의 상면(2) 및 전면(4)에 밀착되는 시트(10);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좌우 양단 부위에는 절곡된 결합단(222)이 마련되고 중앙 부위에는 해안방수벽(1)의 후면(3)에 밀착되는 판상의 걸림판(224)이 마련되어 해안방수벽(1)의 후면(3) 상단 부위에 위치하는 걸이프레임(22),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위치하되 각 일단 부위는 걸이프레임(22)의 결합단(222)과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해안방수벽(1)의 전면(4) 상단 부위로 연장되는 상면프레임(24),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위치하되 각 일단 부위는 상면프레임(24)의 각 타단 부위와 결합되고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는 지면과 접하는 경사프레임(26),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 양단 부위가 경사프레임(26)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28)으로 이루어지는 식재프레임(20); 좌우 양단 부위는 경사프레임(26)과 접하며 전면 부위는 각 가로프레임(28)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되는 제1메쉬망(32); 제1메쉬망(32)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되는 섬유매트(40); 일정 크기의 돌로 이루어져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도록 시트(10)와 섬유매트(40)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배수층(50);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있어 시트(10) 상측으로 걸이프레임(20)과 상면프레임(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있어 시트(10)와 섬유매트(40) 및 배수층(50) 사이 공간 각각을 채우는 토양(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은, 항만이나 해안도로에 인공적으로 설치되는 해안방수벽(1)을 녹화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일정폭을 가지며 해안방수벽(1)의 상면(2) 및 전면(4)에 밀착되는 시트(10);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좌우 양단 부위에는 절곡된 결합단(222)이 마련되고 중앙 부위에는 해안방수벽(1)의 후면(3)에 밀착되는 판상의 걸림판(224)이 마련되어 해안방수벽(1)의 후면(3) 상단 부위에 위치하는 걸이프레임(22), 걸이프레임(22)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는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위치하되 각 일단 부위는 걸이프레임(22)의 결합단(222)과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해안방수벽(1)의 전면(4) 상단 부위로 연장되는 상면프레임(24),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위치하되 각 일단 부위는 상면프레임(24)의 각 타단 부위와 결합되고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는 지면과 접하는 경사프레임(26),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 양단 부위가 경사프레임(26)에 결합되는 절곡프레임(27)으로 이루어지는 식재프레임(20);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되 좌우 양단 부위는 경사프레임(26)과 접하며 전면 부위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28)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되는 제2메쉬망(36); 일정 크기의 돌로 이루어져 시트(10)와 제2메쉬망(36)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배수층(50);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있어 시트(10) 상측으로 걸이프레임(20)과 상면프레임(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있어 시트(10)와 배수층(50) 사이 공간 각각을 채우는 토양(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있다.
상기 시트(10)는 방근 및 방수를 위한 제1시트(12) 및 보습을 위한 제2시트(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면프레임(24)의 각 일단 부위에는 복수 개의 장공(242)이 형성되어 걸이프레임(22)의 결합단(222)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해안방수벽을 거의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해안방수벽에 대한 녹화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물 공급 없이 자연 강수에 의해서 식물을 생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층 및 메쉬망 등을 통해 토양의 유실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종자가 안정적으로 활착하여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게 되며, 식재프레임에 채워진 토양이 공간적으로 분리되거나 구획되지 않아 식물의 뿌리가 제약 없이 뻗으며 생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례로서의 녹화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서의 녹화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도 3은 도 1에 개시된 녹화구조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 개시된 녹화구조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녹화구조에 따라 생육된 결과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6은 종래 일반적인 해안방수벽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7은 종래 해안방수벽에 대한 녹화구조를 보여주는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일례로서의 녹화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및 단면 구성도를 보여준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례는 시트(10), 식재프레임(20), 제1메쉬망(32), 섬유매트(40), 배수층(50), 토양(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시트(10)는 일정폭을 가지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해안방수벽(1)의 상면(2) 및 전면(4)에 밀착된다. 시트(10)는 방수, 방근, 보습 등을 위한 수단으로, 도 3과 같이 제1, 2시트(12, 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시트(12)는 해안방수벽(1)으로 빗물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해안방수벽(1) 내부로 파고드는 식물의 뿌리 접근을 방지하는 부분으로, 해안방수벽(1)의 상면(2) 및 전면(4)과 직접 밀착된다. 제2시트(16)는 고흡성수지가 함유된 수지로서 일정한 습기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시트(12) 상면에 밀착된다.
시트(10)가 제1, 2시트(12, 16)로 분리 구성되면 습기 및 식물에 의해 해안방수벽(1) 자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술할 토양(60)이 일정 수준의 습기를 함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제1, 2시트는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시트 중에서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식재프레임(20)은 외부 환경과 분리된 일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식물의 생육을 위해 충전된 토양을 보전하는 수단이다. 식재프레임(20)은 걸이프레임(22), 상면프레임(24), 경사프레임(26), 가로프레임(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이프레임(22)은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되 해안방수벽(1)의 후면(3) 상단 부위에 위치하며, 좌우 양단 부위에는 절곡된 결합단(222)이 마련되고, 중앙 부위에는 판상의 걸림판(224)이 마련된다. 절곡된 각 결합단(222)에는 체결공(223)이 형성된다. 걸림판(224)은 해안방수벽(1)의 후면(3)에 밀착된다.
상면프레임(24)은 걸이프레임(22)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며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위치하며,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면프레임(24) 각각의 일단 부위는 걸이프레임(22)의 결합단(222)과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 부위는 해안방수벽(1)의 전면(4) 상단 부위로 연장된다.
이때, 상면프레임(24)의 각 일단 부위에는 도 1과 같이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장공(242)이 형성되어, 걸이프레임(22)의 절곡된 각 결합단(222)과 결합될 수 있다. 가로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242)이 형성되면, 걸이프레임(22)과의 결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공 현장에 따라 해안방수벽(1)의 폭이 달라지더라도 시공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경사프레임(26)은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위치한다. 경사프레임(26)의 각 일단 부위는 상면프레임(24)의 각 타단 부위와 결합되고,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는 지면과 접한다. 경사프레임(26) 각각의 수직 높이(해안방수벽(1)의 전면(4)으로부터의 수직 높이)는 상면프레임(24)과 달리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29는 경사프레임(26) 각각의 타단 부위를 지면에 구속시키는 앵커볼트이다.
가로프레임(28)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양단 부위는 경사프레임(26)에 결합된다. 가로프레임(28)은 경사프레임(26)을 일체화시키는 수단임과 동시에, 후술할 제1메쉬망(3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이다.
제1메쉬망(32)은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제1수단으로, 좌우 양단 부위는 경사프레임(26)과 접하며 전면 부위는 각 가로프레임(28)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된다. 제1메쉬망(32)을 이루는 격자의 크기는 식물의 용이한 식재 및 식물의 생육 등을 감안해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매트(40)는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제2수단임과 동시에 토양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제1메쉬망(32)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된다. 섬유매트(40)는 코이어(coir) 또는 황마 등과 같은 천연섬유로 만들어진 시트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층(50)은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도록 시트(10)와 섬유매트(40)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부분으로, 자갈, 쇄석 등과 같은 일정 크기의 돌로 이루어진다. 배수층(5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도록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높이는 해안방수벽 자체의 높이 및 녹화구조의 크기, 그리고 강수량과 같은 설치 장소의 기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면부호 70은 섬유시트로서 토양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섬유시트(70)는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섬유시트 중에서 투수성이 우수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토양(60)은 식재프레임(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채워진다. 즉,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있어서는 시트(10)의 상측으로 걸이프레임(20)과 상면프레임(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며,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있어서는 시트(10)와 섬유매트(40) 및 배수층(50) 사이 공간 각각에 채워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서의 녹화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및 단면 구성도 각각이 도 2 및 도 4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시트(10), 식재프레임(20), 제2메쉬망(36), 배수층(50), 토양(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식재프레임(20)은 걸이프레임(22), 상면프레임(24), 경사프레임(26)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나, 가로프레임(28) 대신에 절곡프레임(27)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 양단 부위가 경사프레임(26)에 결합됨은 전술한 가로프레임(28)과 동일하나, 스트립 구조로 이루어지는 가로프레임(28)과 달리 절곡프레임(27)은 도 2와 같이 제1, 2절곡프레임(272, 274)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절곡프레임(27)의 상측 부위를 이루는 제1절곡프레임(272)은 해안방수벽(1)의 전면(4)과 수평하게 위치하며, 절곡프레임(27)의 하측 부위를 이루는 제2절곡프레임(274)은 해안방수벽(1)의 전면(4)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져 위치한다.
이럴 경우, 인접하는 제2절곡프레임(274)과 제1절곡프레임(272) 사이는 식물의 식재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1메쉬망(32) 및 섬유매트(40)가 없더라도 절곡프레임(27) 자체에 의해 토양의 유실을 적절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메쉬망(36)은 배수층(50)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좌우 양단 부위는 경사프레임(26)과 접하고, 전면 부위는 최하단에 위치한 가로프레임(28)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된다.
배수층(50)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트(10)와 제2메쉬망(36) 사이 공간에 채워진다. 도면부호 70은 섬유시트이다.
토양(60)은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있어서는 시트(10)의 상측으로 걸이프레임(20)과 상면프레임(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며,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있어서는 시트(10)와 배수층(50) 사이 공간에 채워진다.
본 발명과 같은 녹화구조를 해안방수벽에 설치하게 되면, 식생의 형태에 따라 각 경사면 부위에 식재할 수 있음은 물론 경사면 어느 곳에나 외부에서 유입된 종자가 섬유매트에 안착해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빗물이 자연스럽게 녹화구조를 따라 자연스럽게 상단에서 하단으로 흐르게 되어 빗물을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내부 토양이 공간적으로 분리되거나 구획되지 않아 식물의 뿌리가 제약 없이 뻗으며 생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물이 원활하게 생육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를 해안방수벽에 직접 설치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에 의하면, 상당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식재프레임에 채워진 토양은 거의 유실되지 않으며, 빗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매우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려 생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시트 20 : 식재프레임
32 : 제1메쉬망 36 : 제2메쉬망
40 : 섬유매트 50 : 배수층
60 : 토양 70 : 섬유시트

Claims (4)

  1. 항만이나 해안도로에 인공적으로 설치되는 해안방수벽(1)을 녹화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일정폭을 가지며 해안방수벽(1)의 상면(2) 및 전면(4)에 밀착되는 시트(10);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좌우 양단 부위에는 절곡된 결합단(222)이 마련되고 중앙 부위에는 해안방수벽(1)의 후면(3)에 밀착되는 판상의 걸림판(224)이 마련되어 해안방수벽(1)의 후면(3) 상단 부위에 위치하는 걸이프레임(22),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위치하되 각 일단 부위는 걸이프레임(22)의 결합단(222)과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해안방수벽(1)의 전면(4) 상단 부위로 연장되는 상면프레임(24),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위치하되 각 일단 부위는 상면프레임(24)의 각 타단 부위와 결합되고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는 지면과 접하는 경사프레임(26),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 양단 부위가 경사프레임(26)에 결합되는 가로프레임(28)으로 이루어지는 식재프레임(20);
    좌우 양단 부위는 경사프레임(26)과 접하며 전면 부위는 각 가로프레임(28)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되는 제1메쉬망(32);
    제1메쉬망(32)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되는 섬유매트(40);
    일정 크기의 돌로 이루어져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도록 시트(10)와 섬유매트(40)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배수층(50);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있어 시트(10) 상측으로 걸이프레임(20)과 상면프레임(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있어 시트(10)와 섬유매트(40) 및 배수층(50) 사이 공간 각각을 채우는 토양(60);을
    포함하는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2. 항만이나 해안도로에 인공적으로 설치되는 해안방수벽(1)을 녹화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일정폭을 가지며 해안방수벽(1)의 상면(2) 및 전면(4)에 밀착되는 시트(10);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좌우 양단 부위에는 절곡된 결합단(222)이 마련되고 중앙 부위에는 해안방수벽(1)의 후면(3)에 밀착되는 판상의 걸림판(224)이 마련되어 해안방수벽(1)의 후면(3) 상단 부위에 위치하는 걸이프레임(22), 걸이프레임(22)과 동일한 수직 높이를 가지는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위치하되 각 일단 부위는 걸이프레임(22)의 결합단(222)과 결합되고 각 타단 부위는 해안방수벽(1)의 전면(4) 상단 부위로 연장되는 상면프레임(24), 상호 대향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위치하되 각 일단 부위는 상면프레임(24)의 각 타단 부위와 결합되고 연장되는 각 타단 부위는 지면과 접하는 경사프레임(26),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 양단 부위가 경사프레임(26)에 결합되는 절곡프레임(27)으로 이루어지는 식재프레임(20);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되 좌우 양단 부위는 경사프레임(26)과 접하며 전면 부위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28)의 후면과 접하며 설치되는 제2메쉬망(36);
    일정 크기의 돌로 이루어져 시트(10)와 제2메쉬망(36)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배수층(50);
    해안방수벽(1)의 상면(2)에 있어 시트(10) 상측으로 걸이프레임(20)과 상면프레임(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해안방수벽(1)의 전면(4)에 있어 시트(10)와 배수층(50) 사이 공간 각각을 채우는 토양(60);을
    포함하는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는 방근 및 방수를 위한 제1시트(12) 및 보습을 위한 제2시트(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프레임(24)의 각 일단 부위에는 복수 개의 장공(242)이 형성되어 걸이프레임(22)의 결합단(22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KR1020180030074A 2018-03-15 2018-03-15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KR102015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74A KR102015296B1 (ko) 2018-03-15 2018-03-15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74A KR102015296B1 (ko) 2018-03-15 2018-03-15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296B1 true KR102015296B1 (ko) 2019-08-28

Family

ID=6777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074A KR102015296B1 (ko) 2018-03-15 2018-03-15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247B1 (ko) 2020-05-11 2020-11-12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녹화블록 삽입식 녹화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628A (ja) * 1991-12-27 1993-07-20 Hokubu:Kk フリーパネルふとん篭とフリーパネルふとん篭の施工方法
KR100283400B1 (ko) 1998-03-14 2001-03-02 서원석 식생호안 축조방법 및 그 제방구조물
KR20090012490A (ko) * 2007-07-30 2009-02-04 민승기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KR101078073B1 (ko) 2008-12-04 2011-10-28 이예순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장치
KR20120076714A (ko) * 2010-12-30 2012-07-10 이월자 계단형 식생부를 갖는 뒷부벽식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4749B1 (ko) * 2013-04-25 2013-11-29 주식회사 성원안전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628A (ja) * 1991-12-27 1993-07-20 Hokubu:Kk フリーパネルふとん篭とフリーパネルふとん篭の施工方法
KR100283400B1 (ko) 1998-03-14 2001-03-02 서원석 식생호안 축조방법 및 그 제방구조물
KR20090012490A (ko) * 2007-07-30 2009-02-04 민승기 비탈면의 친환경적인 블럭
KR101078073B1 (ko) 2008-12-04 2011-10-28 이예순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장치
KR20120076714A (ko) * 2010-12-30 2012-07-10 이월자 계단형 식생부를 갖는 뒷부벽식 옹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4749B1 (ko) * 2013-04-25 2013-11-29 주식회사 성원안전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247B1 (ko) 2020-05-11 2020-11-12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녹화블록 삽입식 녹화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US10053827B2 (en) Living shoreline protection and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11306454B2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US10202732B2 (en) Erosion prevention plank with interior lattice
KR100681708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2015296B1 (ko)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KR200426893Y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CN112900361A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护坡结构
KR100649103B1 (ko) 친환경적인 상수원지 제방 녹화 구조물
NO320078B1 (no) Fremgangsmate for a danne en bratt demning, system for anvendelse ved dannelse av den bratte demning, samt en bratt demning.
CN212561559U (zh) 一种基于生物桩和藤蔓植物的急陡土坡绿色防护结构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20120057407A (ko) 식생포대 고정장치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100594399B1 (ko) 건축물 비탈면 보호 구조
KR100814749B1 (ko) 기존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복원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1123467A (ja) 環境共生型緑化用擁壁ブロック
KR100531213B1 (ko) 식재가 가능한 석축의 시공방법
KR101225457B1 (ko) 식생상자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9430652U (zh) 一种水利工程用高效耐久防洪堤坝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52973B1 (ko) 월류방지벽의 설치구조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