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713B1 -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713B1
KR102326713B1 KR1020200167545A KR20200167545A KR102326713B1 KR 102326713 B1 KR102326713 B1 KR 102326713B1 KR 1020200167545 A KR1020200167545 A KR 1020200167545A KR 20200167545 A KR20200167545 A KR 20200167545A KR 102326713 B1 KR102326713 B1 KR 102326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perforated block
nonwoven fabric
block body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남수
Original Assignee
(주)푸른공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른공간 filed Critical (주)푸른공간
Priority to KR102020016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덮도록 펼쳐지는 바닥부직포(100); 미리 설정된 규격과 패턴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수직통공(210)이 형성되고 모서리 부위에 이웃하는 유공블록과 서로 결속될 수 있는 결속고리(220)가 구비되는 유공블록몸체(200); 및,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자루 형태의 부직포 내부에 씨앗이 혼합된 식생토가 채워진 것으로서,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 내부에 설치되는 부직포식생백(300);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직포(100)는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나 세로 길이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올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가지는 식생용 부직포층(110); 및,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나 세로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상기 식생용 부직포층(11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올 수 없도록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보강용 부직포층(120);으로 이루어지고,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 경계부 또는 세로 경계부 가운데 어느 일측은 상기 보강용 부직포층(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Vegetation Porous Block Structure using Bonded Non-Woven Fabric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호안이나 해안, 또는 절개지 등의 사면 안정화를 위하여 식생용 부직포층과 보강용 부직포층이 하나로 결합된 바닥부직포를 펼친 후 그 위에 식새용유공블록을 설치하여 토양 유실 방지 및 식생 활성화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경사면에는 강한 홍수시에도 제방의 안정화를 위해 시멘트 등으로 제작된 호안블록을 설치한다. 이러한 호안블록을 설치하는 경우 사면을 정리하고 토사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두꺼운 부직포(500g/㎡)를 지표면에 깔고 해당 부직포가 유실되지 않도록 그 상부에 호안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표면에 두꺼운 부직포와 호안블록을 설치할 경우 유공블록의 수직통공 부분에서는 일부 잡초가 자랄 수 있으나 일반적인 식물들의 뿌리는 두꺼운 부직포를 뚫고 들어가 지표 내부에 활착하는 것이 어렵고, 홍수시에는 유공블록의 수직통공 내부를 채우고 있던 토양이 전부 유실되고 유공블록의 하부에 깔려 있는 부직포가 자외선에 노출되어 부식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호안의 안정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시도되고 있는데, 도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공개특허 제10-2009-0047757호)을 보면, 단위블럭화된 인공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기반층 상에서 인공구조물을 해체 및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식물을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물에서의 틈새녹화 공법에 있어서, 상기 각 인공구조물 간의 틈새상에 고압의 공기나 물을 제공하고 기구를 사용하여 일정크기의 빈 공간의 틈새를 확보하는 틈새확보과정; 상기 인공구조물이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에 상기 틈새보다 넓은 구멍을 뚫는 홈파기 과정; 상기의 과정에서 확보된 빈 공간의 틈새와 구멍에 식물종자, 비료성분체, 토양체를 혼합한 종비토에 점착제나 침식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서 살포하는 종비토 뿜어붙이기 과정; 상기 인공구조물 상부에 천연재료로 제작된 메쉬 형태의 네트가 덮혀지고, 상기 네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 네트설치과정; 및 상기 네트가 설치된 인공구조물의 틈새와 구멍에 식물의 종자가 정착하여 발아할 수 있도록 토사면에 물을 뿌려주거나 비료를 뿌려주는 식생정착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를 이용한 구조물 틈새녹화 공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인공구조물 사이의 틈새 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이나 교차하는 모서리에 틈새보다 넓은 구멍을 뚫는 과정, 네트 설치 과정 등이 복잡하고, 식물의 식생이 모서리 부위에만 한정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또 다른 종래 기술(등록특허 제10-1231571호)를 보면, 사면에 시공되는 복수의 식생호안블록;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사면 측에 지지시키도록 사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유닛; 상기 사면의 길이방향 하단에 시공되어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기초콘크리트층; 및 상기 사면의 길이방향 상단에 시공되어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단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호안블록과 사면 사이에는 부직포층이 개재되며, 상기 식생호안블록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인조석, 상기 베이스 측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식생공을 가지고, 상기 식생호안블록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돌출부 및 복수의 보조 식생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식생호안블록들의 가장자리들이 인접할 경우 상호 대향되는 보조 식생홈부들이 상호 대응되게 연접함에 따라 보조 식생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지지유닛은 사면의 지반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 및 상기 앵커부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사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타설되며, 상기 앵커부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인접한 식생호안블록의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되어 인접한 한 쌍의 식생호안블록들은 사면의 지반측으로 고착될 수 있는 것과, 상기 결합부와 이에 접촉하는 식생호안블록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과,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상호 대응하는 곡률의 곡면구조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지지유닛은 사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미끄럼방지틀 및 상기 미끄럼방지틀의 상측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대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방지틀의 하측은 사면의 지반 내에 일정깊이로 타설되며, 상기 미끄럼방지틀의 상측은 사면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미끄럼방지틀은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이 사면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대는 상기 미끄럼방지틀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과, 상기 미끄럼방지틀과 이에 인접하는 식생호안블록 사이에는 보조 부직포층이 설치되는 것과, 상기 식생호안블록 저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사면과의 결착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데, 특이한 형상의 호안블록 제작이 필요하며, 보조 식생공이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식생 공간이 일부 영역으로 한정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4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발된 것이나, 식생용 포트(300)의 제작과 시공에 따른 비용의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 제10-2009-0047757호
등록특허 제10-1231571호
등록특허 제10-2122967호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제작 단가 및 시공비를 절감하면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녹화가능함과 동시에 사면의 토양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덮도록 펼쳐지는 바닥부직포(100); 미리 설정된 규격과 패턴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수직통공(210)이 형성되고 모서리 부위에 이웃하는 유공블록과 서로 결속될 수 있는 결속고리(220)가 구비되는 유공블록몸체(200); 및,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자루 형태의 부직포 내부에 씨앗이 혼합된 식생토가 채워진 것으로서,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 내부에 설치되는 부직포식생백(300);을 포함한다.
바닥부직포(100)는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나 세로 길이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올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가지는 식생용 부직포층(110); 및,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나 세로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상기 식생용 부직포층(11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올 수 없도록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보강용 부직포층(120);으로 이루어지고,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 경계부 또는 세로 경계부 가운데 어느 일측은 상기 보강용 부직포층(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공블록몸체(200)가 설치될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다져서 평탄도(flatness)를 맞추고 잡석이나 폐기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단계; 바닥부직포(100)를 펼쳐 경사면을 덮는 제2단계; 바닥부직포(100)의 상부면에 유공블록몸체(200)를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되,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 경계부 또는 세로 경계부 가운데 어느 일측은 상기 바닥부직포(100)의 보강용 부직포층(120)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의 바닥부직포(100)의 식생용 부직포층(110)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제3단계;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결속고리(220)를 와이어로 결속하여 하나로 연결하는 제4단계; 및,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 내부에 씨앗과 식생토로 채워진 부직포식생백(300)을 설치하고, 고정용앙카핀(400)으로 지면에 고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제작 단가 및 시공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녹화가 가능하고, 홍수가 발생할 경우에도 토양 유실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술적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공현장인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 경사면을 바닥부직포(100)로 덮은 후 유공블록몸체(200)를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는데,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 사이의 경계부는 바닥부직포(100)의 보강용 부직포층(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경계부를 통한 토양 유실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고, 식생이 이루어지는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 부위는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식물이 쉽게 식생용 부직포층(110)을 뚫고 지표 내부로 쉽게 활착이 가능하다.
둘째, 바닥부직포(100)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식생용 부직포층(110)에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나 세로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올 수 없도록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보강용 부직포층(120)을 부착하여 하나로 합본한 것인데, 보강용 부직포층(120) 가운데 하나는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외측으로 절반 가량 돌출되도록 부착되어 바닥부직포(100)를 연속적으로 펼칠 때 바닥부직포(100) 사이의 경계부마다 보강용 부직포층(120)으로 덮히게 되어 경계부를 통한 토양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에는 하부면에 얇은 두께의 식생용 부직포층(110)이 배치되고, 수직통공(210)의 내부에는 씨앗이 혼합된 식생토로 채워진 부직포식생백(300)이 설치되는데, 이로 인하여 3중 구조의 부직포 배치 효과를 이루어 토양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식물의 원활한 식생을 도모할 수 있다.
넷째, 유공블록몸체(200)의 모서리 부위에는 결속고리(220)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를 하나로 연결하면서 유공블록몸체(200) 각각이 지표면의 굴곡을 따라 밀착 시공되면서 사면을 덮게 되는데, 이를 통하여 지표면과 유공블록몸체(200)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결속고리(220)가 마주하는 결속공간(230)은 보강용 부직포층(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결속공간(230)의 내부에도 부직포식생백(300)이 설치됨으로써, 토양 유실 방지와 함께 제한된 범위 내에서 식물의 식생을 유도하여 부직포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4는 종래 기술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시공 단면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부직포(100), 유공블록몸체(200), 부직포식생백(300), 고정용앙카핀(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부직포(100)는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덮도록 펼쳐지는데, 일반적인 부직포와는 달리 식생용 부직포층(110)과 보강용 부직포층(120)이 하나로 합본된 구조이며, 일반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롤 타입(roll type)으로 미리 제작된 후 시공현장에 제공되면 즉시 펼쳐질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의 향상시킬 수 있다.
식생용 부직포층(110)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나 세로 길이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올 수 있도록 얇은 두께(식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200g/㎡ 이하의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부직포)를 가지게 되는데, 유공블록몸체(200)는 일반적으로 가로X세로X높이가 각각 1미터X1미터X0.25미터(25cm)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은 바, 식생용 부직포층(110)은 2미터 폭을 가지는 부직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용 부직포층(120)은 함께 시공될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나 세로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간격을 유지하면서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접착제 사용)되어 식생용 부직포층(11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데,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올 수 없도록 두꺼운 두께(예를 들어 400g/㎡ 이상의 부직포)를 가지게 된다.
즉,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와 세로 길이가 1미터인 경우 보강용 부직포층(120) 사이의 간격도 1미터가 되도록 부착하게 되는데, 도5에 도시된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폭이 2미터인 부직포가 식생용 부직포층(110)을 이루고, 폭이 20cm인 부직포가 보강용 부직포층(120)을 이루면서 하나의 보강용 부직포층(120)은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중앙부에 부착되고, 나머지 하나는 1미터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절반만 부착되어 나머지 절반이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외측으로 절반 가량 돌출되도록 보강용 부직포층(120)이 부착되면 바닥부직포(100)를 연속적으로 펼칠 때 바닥부직포(100) 사이의 경계부마다 보강용 부직포층(120)이 겹쳐지도록 덮히게 되어 경계부를 통한 토양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유공블록몸체(200)는 도5에 도시된 것처럼 미리 설정된 규격과 패턴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수직통공(210)이 형성되고, 모서리 부위에는 이웃하는 유공블록과 서로 결속될 수 있는 결속고리(220)가 구비된다.
유공블록몸체(200)는 시멘트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상과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빠른 유속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무게를 구비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가로X세로X높이가 각각 1미터X1미터X0.25미터(25cm)로 제작된 제품이 사용되었다.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세로 경계부는 도5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부직포(100)의 보강용 부직포층(120)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바닥부직포(100)를 펼치는 방향에 따라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 경계부가 바닥부직포(100)의 보강용 부직포층(120) 상부에 위치하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공블록몸체(200)의 세로 경계부 또는 가로 경계부가 보강용 부직포층(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공블록몸체(200)의 경계부를 통한 토양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공블록몸체(200)의 모서리 부위는 모따기가 되는데, 모따기된 부위에 결속고리(220)가 구비되어 유공블록몸체(200)가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하더라도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결속고리(220)는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속고리(220)는 유공블록몸체(200)를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한 후 와이어를 결속하여 유공블록몸체(200)를 하나로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한다.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결속고리(220)가 마주하는 결속공간(230)도 보강용 부직포층(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결속공간(230)을 통한 토양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부직포식생백(300)은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자루 형태의 부직포로서 그 내부는 씨앗이 혼합된 식생토로 채워지고,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부직포식생백(300)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기공(3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부직포식생백(300)은 자루 형태의 부직포 내부에 씨앗이 혼합된 식생토를 채워넣고 와이어나 끈으로 입구를 결속하여 닫은 것인데, 이러한 부직포식생백(300)은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 내부에 설치되어 유공블록에 식생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부직포식생백(300)에 사용되는 식생토는 단순히 토양만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의 성장이나 발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식물 영양제, 유기성 비료, 활성탄, 각종 섬유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상토(床土)를 사용하면 일반 토양에서는 발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수크령, 야생화, 수생식물 등의 식생도 가능하게 된다.
부직포식생백(300)에 사용되는 부직포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와 활착이 가능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식생용 부직포층(110)과 마찬가지로 200g/㎡ 이하의 얇은 부직포가 사용된다.
부직포식생백(300) 내부에서 발아된 식물의 뿌리는 부직포식생백(300)를 구성하는 부직포를 뚫고 나오거나 다수의 통기공(310)을 통과하면 바닥부직포(100)의 식생용 부직포층(110)을 뚫고 내려가 지표면 속으로 쉽게 활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부직포식생백(300)은 수직통공(210) 내부에 설치된 후 고정용앙카핀(400)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된다.
고정용앙카핀(400)은 부직포식생백(300)을 관통하여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 사면의 지표면에 타설되는데, 부직포식생백(300)을 효과적으로 눌러주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l'형과 같이 단순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보다는 'ㄱ'형 또는 'ㅜ'형 또는 'T'형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부직포식생백(300)은 도5 또는 도6에 도시된 것처럼 결속공간(230)에도 설치되어 고정용앙카핀(400)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결속공간(230)에도 부직포식생백(300)이 설치되면 보강용 부직포층(120)의 상부 공간을 부직포식생백(300)이 채우면서 토양 유실 방지와 함께 제한된 범위 내에서 식물의 식생을 유도하여 부직포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5 또는 도6에 도시된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1) 제1단계
유공블록몸체(200)가 설치될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다져서 평탄도(flatness)를 맞추고 잡석이나 폐기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의 시공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볼 수 있다.
(2) 제2단계
바닥부직포(100)를 펼쳐 경사면을 덮는 과정이다.
바닥부직포(100)는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식생용 부직포층(110)에 보강용 부직포층(120)을 미리 접착하여 하나로 합포한 부직포를 롤 타입(roll type)으로 시공 현장에 공급하고, 이러한 롤 타입의 바닥부직포(100)를 펼쳐 제1단계 정지작업이 완료된 경사면을 덮는다.
바닥부직포(100)는 도5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용 부직포층(120) 가운데 하나는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절반만 부착되고 나머지 절반이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되는데, 이와 같이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외측으로 절반 가량 돌출되도록 보강용 부직포층(120)이 부착되면 바닥부직포(100)를 연속적으로 펼칠 때 바닥부직포(100) 사이의 경계부마다 보강용 부직포층(120)이 겹쳐지도록 덮히게 되어 경계부를 통한 토양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식생용 부직포층(110)은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내려가 지면에 활착할 수 있도록 200g/㎡ 이하의 얇은 부직포가 사용되고, 보강용 부직포층(120)은 강도 유지하면서 토양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400g/㎡ 이상의 두꺼운 부직포가 사용된다.
(3) 제3단계
바닥부직포(100)의 상부면에 유공블록몸체(200)를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과정이다.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 경계부 또는 세로 경계부 가운데 어느 일측은 바닥부직포(100)의 보강용 부직포층(120)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경계부를 통한토양 유실을 방지한다.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은 바닥부직포(100)의 식생용 부직포층(110)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식물의 식생용 부직포층(110)을 뚫고 내려가 지표면 내부에 활착될 수 있도록 한다.
(4) 제4단계
유공블록몸체(200)를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경사면을 덮고 난 후 유공블록몸체(200)의 움직임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결속고리(220)를 와이어로 결속하여 전체를 하나로 연결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전체 유공블록몸체(200)가 하나로 연결되면 급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설치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5) 제5단계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 내부에 씨앗과 식생토로 채워진 부직포식생백(300)을 설치하고, 고정용앙카핀(400)으로 지면에 고정하는 과정이다.
아울러,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결속고리(220)가 마주하는 결속공간(230)에도 부직포식생백(300)을 설치하고, 고정용앙카핀(400)으로 지면에 고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바닥부직포(100)를 펼친 후 유공블록몸체(200)를 배치하여 결속하고, 수직통공(210)과 결속공간(230)에 부직포식생백(300)만 설치하여 고정하면 시공이 완료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유공블록몸체(200)의 경계부 하부에는 식생용 부직포층(110)에 보강용 부직포층(120)이 접착된 합포 부직포층을 이루고, 이러한 이중 부직포 구조를 통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어 유공블록몸체(200)의 경계부를 통한 토양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 내부에 설치되는 부직포식생백(300)에서 발아한 식물은 부직포식생백(300)과 식생용 부직포층(110)을 뚫고 내려가 경사면의 지표 내부에 뿌리를 활착하여 안정적인 녹화구조를 완성할 수 있고, 결속공간(230) 내부에 설치되는 부직포식생백(300)에서 발아한 식물은 보강용 부직포층(120)과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이중 부직포 구조를 뚫고 내려가 지표 내부에 뿌리를 활착하기는 어려우나 제한된 범위 내에서 식물의 식생을 유도하여 부직포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아래의 부호는 본 발명에 관한 도5 및 도6에만 적용되며, 종래 기술에 관한 도1 내지 도4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100:바닥부직포
110:식생용 부직포층
120:보강용 부직포층
200:유공블록몸체
210:수직통공
220:결속고리
230:결속공간
300:부직포식생백
310:통기공
400:고정용앙카핀

Claims (6)

  1.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덮도록 펼쳐지는 바닥부직포(100);
    미리 설정된 규격과 패턴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수직통공(210)이 형성되고 모서리 부위에 이웃하는 유공블록과 서로 결속될 수 있는 결속고리(220)가 구비되는 유공블록몸체(200); 및,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자루 형태의 부직포 내부에 씨앗이 혼합된 식생토가 채워진 것으로서,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 내부에 설치되는 부직포식생백(300);
    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직포(100)는,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나 세로 길이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올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가지는 식생용 부직포층(110); 및,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나 세로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식생용 부직포층(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상기 식생용 부직포층(11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올 수 없도록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보강용 부직포층(120);
    으로 이루어지고,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 경계부 또는 세로 경계부 가운데 어느 일측은 상기 보강용 부직포층(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유공블록몸체(200)의 모서리 부위는 모따기가 되며, 모따기된 부위에 상기 결속고리(220)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결속고리(220)는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결속고리(220)가 마주하는 결속공간(230)은 상기 보강용 부직포층(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결속공간(230)에도 상기 부직포식생백(3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부직포식생백(300)은 고정용앙카핀(400)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부직포식생백(300)에는 다수의 통기공(310)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4. 제3항에 기재된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공블록몸체(200)가 설치될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다져서 평탄도(flatness)를 맞추고 잡석이나 폐기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단계;
    바닥부직포(100)를 펼쳐 경사면을 덮는 제2단계;
    바닥부직포(100)의 상부면에 유공블록몸체(200)를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되,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가로 경계부 또는 세로 경계부 가운데 어느 일측은 상기 바닥부직포(100)의 보강용 부직포층(120)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은 바닥부직포(100)의 식생용 부직포층(110)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제3단계;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결속고리(220)를 와이어로 결속하여 하나로 연결하는 제4단계; 및,
    유공블록몸체(200)의 수직통공(210) 내부에 씨앗과 식생토로 채워진 부직포식생백(300)을 설치하고, 고정용앙카핀(400)으로 지면에 고정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의 시공방법.
  5. 제4항에서,
    제5단계에는,
    이웃하는 유공블록몸체(200)의 결속고리(220)가 마주하는 결속공간(230)에도 부직포식생백(300)을 설치하고, 고정용앙카핀(400)으로 지면에 고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의 시공방법.
  6. 삭제
KR1020200167545A 2020-12-03 2020-12-03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32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45A KR102326713B1 (ko) 2020-12-03 2020-12-03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45A KR102326713B1 (ko) 2020-12-03 2020-12-03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713B1 true KR102326713B1 (ko) 2021-11-16

Family

ID=7871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545A KR102326713B1 (ko) 2020-12-03 2020-12-03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7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37A (ja) * 1994-08-09 1996-02-20 Kyokado Eng Co Ltd 法面覆工構造及び法面覆工用マット
KR200413811Y1 (ko) * 2006-01-18 2006-04-11 이선복 식생 호안용 부직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37A (ja) * 1994-08-09 1996-02-20 Kyokado Eng Co Ltd 法面覆工構造及び法面覆工用マット
KR200413811Y1 (ko) * 2006-01-18 2006-04-11 이선복 식생 호안용 부직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JP3053071B2 (ja) 自然生態自己復元式法面工法および法面構造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KR102122967B1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KR20040111216A (ko) 게비온망태와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100860748B1 (ko) 허니셀 녹화공법
KR102334930B1 (ko) 매트리스 개비온을 이용한 자연 친화적 사면 녹화 시공 방법 및 구조물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SK50582008A3 (sk) Vegetačná strecha, najmä sklonitá a spôsob jej výroby
KR100821351B1 (ko)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350423B1 (ko) 식생 흙벽돌 및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공법
KR101936013B1 (ko) 친환경 식생용 흙망태
KR200412817Y1 (ko)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KR20150114449A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101860018B1 (ko)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KR100329202B1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KR20210038037A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돌망태 녹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