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664B1 -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 Google Patents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664B1
KR101583664B1 KR1020140038795A KR20140038795A KR101583664B1 KR 101583664 B1 KR101583664 B1 KR 101583664B1 KR 1020140038795 A KR1020140038795 A KR 1020140038795A KR 20140038795 A KR20140038795 A KR 20140038795A KR 101583664 B1 KR101583664 B1 KR 101583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unit
vegetation
slope
main body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629A (ko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to KR102014003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66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1Devices for applying linings on banks or the water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녹화공법에 있어서, 비탈진 인공지반, 화단, 습지, 법면 및 호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사면에 그리드를 시공하는 제 1 단계;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격벽이 마련되어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된 식생유닛을 상기 그리드 상부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 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식생유닛 내부에 토양을 채우는 제 3 단계; 및 상기 식생유닛에 식물을 식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격벽을 통해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된 식생유닛과 이를 고정하는 그리드를 통해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및 호안, 법면 등 경사면에 경계재를 이용하여 비탈면에 대한 녹화의 안정성과 함께 경관의 미려함은 물론,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Vegetation unit and slope greening method using vegetation unit}
본 발명은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격벽을 통해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된 식생유닛과 이를 고정하는 그리드를 통해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및 호안, 법면 등 경사면에 경계재를 이용하여 비탈면에 대한 녹화의 안정성과 함께 경관의 미려함은 물론,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화공법은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법면 및 호안에 인공적으로 녹지를 조성하여, 주변경관을 미려함을 추구하거나, 특히, 비탈면에서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절토사면과 성토사면을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녹화공법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00509호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가 선출원된 바 있다.
종래의 녹화공법은, 성토 사면, 절토 사면, 기존 호안 블록 사면, 암반 절개지 사면 등의 조경 녹화 시공을 위한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세트로 제작된 로그매트와 식생매트를 현장의 사면에 직접 시공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단시간 내에 사면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폭우, 홍수 등의 기후 조건에서도 식생토층의 쇄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등 항구적인 녹화 사면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녹화공법은 사면의 지반을 고르게 정리하는 제1단계와, 정리된 사면에 일체식의 한 세트로 제작된 롤/날개 형태의 로그매트와 플랫 형태의 식생매트를 설치하되, 사면의 위아래 방향을 따라 로그매트의 롤 부분이 윗쪽에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로그매트의 날개 부분에 식생매트가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하고 앵커핀으로 지반에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경사진 사면의 위아래 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일체식의 로그매트 및 식생매트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녹화공법을 통해 사면 녹화공법 및 녹화구조는 로그매트 및 식생매트, 식생백 등을 이용하여 사면을 녹화 및 안정화 시킴으로써, 우수에 따른 표면의 유실방지와 설치 후 토사가 강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녹화공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790호 사면 녹화공법이 등록된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로, 매립지 등의 토목공사시 절토 및 성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절토사면 및 성토사면을 자연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사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녹화공법은 대상 사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리된 사면상에 선형부재들을 결합한 것으로, 힘의 흐름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3차원의 입체 구조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스 프레임(10)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10)이 설치된 후,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10)상에 식생 기반재 및 종자를 포설하여 녹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10)은 X, Y, Z 선형부재(22, 24, 26)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서로 접합되는 평면 프레임(20)을 상기 X 및 Y 선형부재(22, 24)의 방향으로 연속된 열을 가지도록 고정하여 형성되되, 상기 X 선형부재(22)와 Y 선형부재(24)가 접하는 점을 충진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Z 선형부재(26)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절점(28)을 형성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X, Y 선형부재(22, 24)가 교차되어 결합되는 상기 평면프레임(20)의 구성이 상하에 형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녹화공법은 본 발명에 의한 사면 녹화공법에 의하면, 강성체의 스페이스 프레임을 사용하여 사면의 지지기반을 형성하게 되므로, 녹화층 및 수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스페이스 프레임의 사용에 의해 토립자의 구속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도로변의 사면과 같이 급경사지는 사면, 성토영역이 좁은 사면이나 암석 지반의 사면의 녹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수목을 식재하기 위해 별도의 기구를 부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목의 식재를 통한 사면 녹화를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녹화공법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특히, 비탈면으로의 녹화공법은 장마는 물론, 풍압 내지는 부압으로부터 토사의 유실은 물론 훼손 등을 예방하여 그로 인한 2차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비탈면 녹화공법의 안전성과 함께 경관의 미려함은 물론,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공기를 단축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공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05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79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격벽을 통해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된 식생유닛과 이를 고정하는 그리드를 통해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및 호안, 법면 등 경사면에 경계재를 이용하여 비탈면에 대한 녹화의 안정성과 함께 경관의 미려함은 물론,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유닛의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되어 토양에 의한 하중이 분산되어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배가시켜 안정성 향상은 물론, 유실 및 붕괴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과 그리드 사이에 저/배수판이 마련되어 유체의 배수와 저수가 용이하여 식물의 건조 및 과습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 확보가 가능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유닛이 토양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양호하여 대략 15 내지 45도의 급경사면에도 안전한 녹지조성이 가능한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유닛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통해 제작되어, 자연환경과의 융화력을 높여 이질감을 줄여 경관의 미려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유닛의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일부 절단하더라도 마감재로의 대체가 가능하여 토양의 유출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경사면으로의 맞춤 시공이 용이하므로 녹지의 연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유닛의 외곽에 자웅의 체결수단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되어, 시공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식생유닛간의 결속력을 부여하여 풍압은 물론 부압에 의한 훼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식생유닛간 결합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여 녹지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시킬 수 있는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탈면 녹화공법에 있어서, 비탈진 인공지반, 화단, 습지, 법면 및 호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사면에 그리드를 시공하는 제 1 단계;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격벽이 마련되어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된 식생유닛을 상기 그리드 상부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 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식생유닛 내부에 토양을 채우는 제 3 단계; 및 상기 식생유닛에 식물을 식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유닛은, 서로 접하는 각 일면에 자웅의 체결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스켓과 경사면 사이에서 저수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저/배수판이 더 시공되며, 상기 저/배수판은, 경사면이 방수층일 경우, 부틸 테이프(butyl tape)를 통해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리드는, 경사면에 앵커볼트(anchor bolt)를 통해 시공되거나, 경사면이 방수층일 경우에는 부틸 테이프에 의해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배수판과 그리드 사이에 부직포가 더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리드와 식생유닛 사이에 마중토양 또는 보습패드가 더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시공되어 경사면에 의한 상기 식생유닛의 하중을 지지하는 경계재 및 경사면 말단에 개비온(gabi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더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비온은, 토양이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 및 입자가 큰 매질이 충진되는 배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식재부의 외곽 적어도 일면 또는 일 영역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유닛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의 연속 배열이 가능하도록 삼각, 사각 및 다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유닛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성형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유닛은, 스트랩(strap)을 통해 상기 그리드 상부에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유닛은, 상/하부가 개방된 함체로, 비탈진 경사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를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하여, 상기 본체 내부 토양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키고 지지력을 배가되도록 하는 격벽; 및 상기 본체 외곽 테두리에 마련되어 서로 접하는 상기 각 본체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유닛은, 상기 그리드를 통해 경사면에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은, 상기 본체 내부의 중심에 마련된 제1격벽; 및 상기 제1격벽과 본체 내곽 사이에 마련된 제2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은, 원, 타원, 삼각, 사각 및 다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제1격벽을 중심으로 상기 제2격벽 및 본체 내부를 방사상으로 구획하는 제3격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제1격벽, 제2격벽 및 제3격벽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식생유닛이 스트랩을 통해 상기 그리드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유닛은, 본체 및 격벽의 밑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되어 유체의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은, 요홈과 상기 요홈에 대응하는 돌기로 이루어진 자웅체로서, 상기 본체의 외곽을 이루는 각 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격벽을 통해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된 식생유닛과 이를 고정하는 그리드를 통해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및 호안, 법면 등 경사면에 경계재를 이용하여 비탈면에 대한 녹화의 안정성과 함께 경관의 미려함은 물론,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유닛의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되어 토양에 의한 하중이 분산되어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배가시켜 안정성 향상은 물론, 유실 및 붕괴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과 그리드 사이에 저/배수판이 마련되어 유체의 배수와 저수가 용이하여 식물의 건조 및 과습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 확보가 가능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유닛이 토양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양호하여 대략 15 내지 45도의 급경사면에도 안전한 녹지조성이 가능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유닛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통해 제작되어, 자연환경과의 융화력을 높여 이질감을 줄여 경관의 미려함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유닛의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일부 절단하더라도 마감재로의 대체가 가능하여 토양의 유출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경사면으로의 맞춤 시공이 용이하므로 녹지의 연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유닛의 외곽에 자웅의 체결수단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되어, 시공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식생유닛간의 결속력을 부여하여 풍압은 물론 부압에 의한 훼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식생유닛간 결합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여 녹지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비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저/배수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에 의한 식생유닛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사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공법은 비탈면에 녹지 조성을 위한 시공 방법으로서, 인공구조물, 화단, 습지, 법면 및 호안 등 경사면에 대한 녹화를 보다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조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경사면은 비교적 급경사로서 대략 15 내지 45도 이내의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탈진 경사면에 녹지를 조성할 경우, 경사도에 따라, 도 2과 같이 경사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계재(200) 및 개비온(gabion, 210)이 더 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경사도 내지는 토압(예를 들어, 식생유닛의 면적에 따라 채워지는 토양의 하중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될 된다.
여기서 개비온(210)은 경사면(190)에서의 토양유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원활한 배수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플랜터(planter)로의 역할도 가능하다.
개비온(210)은 통상의 개비온(210)과 같이 석재가 채워진 형태뿐만 아니라, 도 3과 같이 구획된 영역을 통해 석재와 토양이 구획된 영역에 각각 채울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석재의 소모량을 줄여 경제성 향상은 물론, 녹시율을 높여 경관의 미려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상승효과가 있다.
이러한 개비온(210)은 일 영역에 식물 식재를 위해 토양이 채워지는 식재부(211), 타 영역에 석재 내지는 굴패각 등 입자가 큰 매질이 충진되는 배수부(213)를 포함하며, 식재부(211)와 배수부(213) 사이 경계는 구획부재(215)를 통해 구획된다.
구획부재(215)는 상호 각 영역으로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구획부재(215)로는 네트(net)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거나, 네트와 부직포를 함께 적용하여, 특히 입자가 작은 토양이 유실되거나, 적어도 배수부(213)로의 유입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부(213)는 식생부(211)의 외곽 적어도 일면 또는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도 3a와 같이 식생부(211)가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수부(2113)를 식생부(211)의 후면에 형성하거나, 도 3b와 같이 배수부(213)를 전면에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3c와 같이 식생부(21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형성되거나, 도 3d와 같이 배수부(213)가 식생부(211)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3면이 감싸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적어도 외부로 노출되는 배수부(213)(도 3b 내지 d)의 일면이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다면체 내지는 만곡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경관 내지는 요구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녹화공법은 비탈진 경사면에 그리드(150)를 시공하는 제1단계(S1), 그리드(150)에 식생유닛(100)을 시공하는 제2단계(S2), 식생유닛(100)에 토양을 채우는 제3단계(S3) 및 식생유닛(100)에 식물을 식재하는 제4단계(S4)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1단계는 그리드(150)를 시공하는 단계로서, 경사면(190)의 조건에 따라 토양 다지기 내지는 방초매트에 대한 시공이 선행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드(150)는 경사면의 조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153)와 위사(151)가 서로 엮여있거나, 상/하 중접된 형태의 네트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수단(B) 내지는 앵커볼트(anchor bolt, A)를 통해 경사면에 시공된다. 이때, 도 8은 도 7의 A-A 단면선을 기준한 상세도이다.
경사면(190)이 방수층일 경우, 도 8a와 같이 방수층으로 이루어진 경사면(109)과 그리드(150) 사이에 접착수단(B)을 먼저 시공하는 것이다. 이는 방수층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시공방법의 일례이다. 이때, 접착수단(B)은 양면형 테이프인 것이며, 그 일례로 부틸 테이프(butyl tap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수층은 경사면에 방수시트의 시공에 의한 것이며, 방수시트는 수지계열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TPO(Thermoplastic Olefin, 열가소성 올레핀)시트인 것이 좋다.
또한, 경사면(190)이 방수층 이외일 겨우, 도 8b와 같이 앵커볼트(A)를 사용하여 경사면(190)에 그리드(150)를 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앵커볼트(A)는 천공기(예를 들어, 드릴)를 사용하여 앵커볼트(A)가 시공되는 경사면에 앵커볼트(A)에 대응하는 깊이의 홈을 미리 형성시킨 후, 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앵커볼트(A)를 통해 그리드(150)를 시공할 경우, 그리드(150)의 경사(153)와 위사(151)가 중첩된 영역을 함께 천공하여 시공되는 것이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별도의 브래킷(미도시)을 매개체로 하여, 그리드(150)가 경사면(190)에 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브래킷의 일 영역을 그리드에 고정시키고, 타 영역은 앵커볼트(A)를 사용하여 경사면에 고정시켜 줌으로써, 그리드(150)가 경사면(190)에 시공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사면(190)이 방수층일 경우, 식물 뿌리에 의한 방수층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방수층에 루트가드(root guard, 미도시)를 더 시공할 수도 있다.
루트가드는 접착 시트의 형태로서, 식물 성장에 의해 뿌리가 방수층에 균열을 방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차원하에 더 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녹화공법에 있어, 경사면(190)의 조건에 따라 유체의 저수 및 배수는 물론, 통기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저/배수판(160)이 더 시공될 수 있다.
저/배수판(160)은 경사면(190)과 그리드(150) 사이에 시공되어, 특히, 경사면(190)이 방수층, 콘크리트 구조물 등과 같이 인공의 구조물일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경사면(190)이 도 2a와 D1의 상세도인 도 4a와 같이 토양으로 이루어진 자연환경의 경우 모세관현상을 통해 식물은 토양으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는 물론, 통기성을 통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나, 반면, 도 2b와 D2의 상세도인 도 4b와 같이 인공의 구조물일 경유에는 수분의 공급과 배수 및 통기성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인공적 환경 조성을 위해 저/배수판(160)을 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배수판(160)은 3b와 같이 유체의 저장 및 배출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저/배수판(160)의 일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 9과 같이 유체를 저장하는 저수부(161)와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수부(161)는 유체를 저장하여 안정적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물의 건조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배수부(163)는 저수부(161)의 용량을 초과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켜 식물의 과습피해를 방지와 아울러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이러한 저/배수판(160)은 대략 가로 세로의 길이가 1000mm * 1500mm이며 높이는 20mm와 자중이 2.5kg으로, 보수능력은 대략 4.5L/m2이고, 배수능력은 10.0L/m2로서, 이때, 압축강도는 92.kN/m2인 수지 재질의 것이 좋으며, 접착수단을 통해 경사면에 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배수판(160)과 그리드(150) 사이에는 도 2b와 도 4b와 같이 부직포(170)가 더 시공될 수 있다.
부직포(170)는 저/배수판(160)으로의 토양 유입을 차단하되, 저/배수판(160)으로 유체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식생유닛(100)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저/배수판(160)으로 유입될 때, 토양의 유입은 차단하면서 투수성을 유지시켜 식생유닛(100)에서의 과습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녹화공법에 있어, 그리드(150)와 바스켓 사이에 도 5 및 6과 같이 마중토양(180) 또는 보습패드(180)가 더 시공될 수도 있다. 이때, 도 6은 도 2b와 4b환경과 같이 경사면(190)과 마중토양(180) 또는 보습패드(180) 사이에 저/배수판(160)과 부직포(170)가 더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마중토양(180)은 자연 내지는 인공토양에 발근을 촉진시키는 양액이 스프레이처리된 것이며, 리그닌의 분해 촉진 및 유해균의 발생이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마중토양(180)은 보수성, 배수성 및 통기성이 양호하여 식물 뿌리 활착에 도움을 주고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이온 치환능력과 보비력이 뛰어나 토양의 염류장해를 경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제2단계는 식생유닛(100)을 시공하는 단계로서, 식생유닛(100)을 그리드(150)에 고정시켜 풍압은 물론, 부압에 의해 식생유닛(100)이 이탈 내지는 붕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시공한다.
식생유닛(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격벽(120)이 마련? 내부가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식생유닛(100)은 상/하부가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진 본체(100), 본체(100) 내부를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하는 격벽(120) 및 본체(110) 외곽 테두리에 마련되어 서로 접하는 각 본체(1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개방된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곽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체결수단(130)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나, 이는 하나의 일례로서, 사각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2과 같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 배열이 가능한 삼각, 다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도 있다.
격벽(120)은 본체(110) 내부 중심에 마련된 제1격벽(121), 제1격벽(121)과 본체(110) 내곽 사이에 마련된 제2격벽(123)을 포함하며, 제1격벽(121)을 중심으로 제2격벽(123) 및 본체(110) 내부를 방사상으로 보강 및 구획하는 제3격벽(1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격벽(120)은 본체(110) 내부를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하여,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의 압력을 분산시키시고, 토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특히, 경사면에서 토양에 의한 압력을 분산시켜 토압에 의해 식생유닛(100)이 경사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붕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식생유닛(100)의 절단을 요할 때, 격벽이 마감재를 대체할 수 있어, 별도의 마감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특히, 절단에 의한 토양의 유실을 예방할 수 있다.
제1격벽(121)은 본체(110) 내부 중심에 마련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은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삼각, 사각, 다각, 타원 등과 같은 다양한 도형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격벽(123)은 제1격벽(121)과 본체(110) 내곽 사이에 마련된 것으로, 다각의 형태를 존재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격벽(125)은 제1격벽(121)을 중심으로 제2격벽(123) 및 본체(110) 내부를 방사상으로 구획 및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격벽(120)에의 각 요소에는 격벽(120)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29)가 더 마련되며, 이러한 보강부(129)는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121) 내지 제3격벽(125)의 연결과 격벽(120)과 본체(110)의 연결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격벽은 제1격벽(121) 내지 제3격벽(125)이 교차하는 각 영역과 본체(110)와 제2격벽(123) 및 제3격벽(125) 사이에 다수 마련된다.
한편, 격벽(120)에는 그리드(15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27)가 더 마련되고, 결합부(12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격벽(123)의 외곽 테두리 영역에 다수 존재하며, 스트랩(220)을 통해 그리드(150)와 결합된다.
이때, 스트랩(220)은 결합부(127)와 그리드(150)를 함께 엮어 식생유닛(100)이 그리드(15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특히 동절기 토양 내 수분의 동경 및 융해 작용으로 인하여 토양이 들뜨는 현상에 대한 예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스트랩(150)은 그 일례로, 바인더, 밴드 및 타이 등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케이블 타이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식생유닛(100)의 본체(110) 및 격벽(120)의 하부 영역에 유체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수구(140)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배수구(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및 격벽(1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된다.
체결수단(130)은 본체(110) 외곽 테두리에 마련되어 도 12와 같이 서로 접하는 각 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수단(130)은 본체(110)의 외곽 테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되어, 서로 인접되는 본체(110)와는 서로 대응하는 요홈(131)과 돌기(133)가 마련된다.
요홈(131)과 돌기(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단부과 확장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결합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체결수단(130)을 통해 인접된 식생유닛(100)의 연속된 결합이 용이하여, 시공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식생유닛(100)간의 결속력을 부여하여 풍압은 물론 부압에 의한 훼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식생유닛(100)간 결합의 형태 즉, 도 12a와 같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 결합시키거나, 12b와 같이 단을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2c와 같이 식생유닛(100)간 공간을 형성시키는 등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다.
제3단계(S3)는 식생유닛(100) 내부에 토양을 채우는 단계로서, 식생유닛(100) 내부에 일괄적으로 토양을 포설하거나, 마사토 및 바텀애쉬 등 경량토양 등을 부설할 수 있으며, 이때, 잡초유입에 대비해 잡초방지막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제3단계(S3) 이후, 식물을 식재하는 제4단계(S4)는 재배된 식물을 이식하거나, 또는 씨앗을 심어 줌으로써, 비탈진 경사면(190)에 녹지를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재배된 식물은 통상의 식생매트 내지는 핀포트 등을 통해 재배되어 간단한 이식만으로 녹지조성이 가능하며, 따라서 초기 높피율을 녹이고 시공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잡초유입을 최소화는 물론, 유지관리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상승효과가 있다.
이때, 식생매트 내지는 핀포트는 구조적 내지는 생육환경이 잡초 등의 유입이 차단되는 특징을 가지므로, 식생유닛으로 잡초 내지는 홀씨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제4단계(S4) 이후, 바람 등에 의한 토양의 비산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네트 내지는 이끼 등)이 더 부가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식생유닛 110 : 본체
120 : 격벽 121 : 제1격벽
123 : 제2격벽 125 : 제3격벽
127 : 결합부 129 : 보강부
130 : 체결수단 131 : 요홈
133 : 돌기 140 : 배수구
150 : 그리드 151 : 위사
153 : 경사 160 : 저/배수판
161 : 저수부 163 : 배수부
170 : 부직포 180 : 마중토양/보습패드
190 : 경사면 200 : 경계재
210 : 개비온(gabion) 220 : 스트랩
211 : 식생부 213 : 배수부
215 : 구획부재 A: 앵커볼트(anchor bolt)
B : 접착수단

Claims (18)

  1.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유닛에 있어서,
    상기 식생유닛은,
    상/하부가 개방된 함체로, 비탈진 경사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를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하여, 상기 본체 내부 토양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키고 지지력을 배가되도록 하는 격벽; 및
    상기 본체 외곽 테두리에 마련되어 서로 접하는 상기 각 본체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유닛은, 그리드 상에 위치하며, 그리드에 고정되고, 그리드가 상기 식생유닛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하면서 경사면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본체 내부의 중심에 마련된 제1격벽; 및
    상기 제1격벽과 본체 내곽 사이에 마련된 제2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은, 원, 타원, 삼각, 사각 및 다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격벽을 중심으로 상기 제2격벽 및 본체 내부를 방사상으로 구획하는 제3격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격벽, 제2격벽 및 제3격벽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식생유닛이 스트랩을 통해 상기 그리드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유닛은,
    본체 및 격벽의 밑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되어 유체의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요홈과 상기 요홈에 대응하는 돌기로 이루어진 자웅체로서, 상기 본체의 외곽을 이루는 각 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유닛.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40038795A 2014-04-01 2014-04-01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KR101583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795A KR101583664B1 (ko) 2014-04-01 2014-04-01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795A KR101583664B1 (ko) 2014-04-01 2014-04-01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629A KR20150114629A (ko) 2015-10-13
KR101583664B1 true KR101583664B1 (ko) 2016-01-11

Family

ID=5434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795A KR101583664B1 (ko) 2014-04-01 2014-04-01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17Y1 (ko) * 2017-07-25 2018-05-04 주식회사 에코피아 에코 식생블록
KR102277312B1 (ko) * 2018-12-10 2021-07-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리형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사면을 형성하는 방법
CN110016921A (zh) * 2019-03-29 2019-07-16 宁夏首创海绵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边坡结构及边坡构建方法
CN110583375A (zh) * 2019-10-10 2019-12-20 山东大学 一种边坡可移动式植被绿化毯及铺设方法
KR102333349B1 (ko) * 2019-11-14 2021-11-30 이양석 블럭이 일체화된 친환경 대형 식생호안블럭
CN112523166A (zh) * 2020-11-06 2021-03-19 河海大学 一种构建生态护岸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5400A (ja) 2008-01-16 2009-07-30 Aron Kasei Co Ltd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889B1 (ko) * 1999-09-29 2002-09-1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포트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KR100888790B1 (ko) 2007-03-20 2009-03-13 주식회사 백산공영 사면 녹화공법
KR20100100509A (ko) 2009-03-06 2010-09-15 (주)지오그린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5400A (ja) 2008-01-16 2009-07-30 Aron Kasei Co Ltd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629A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JP6416477B2 (ja) 放射線透過低減構成基材それを用いた放射線防護緑地及び放射性物質拡散防止策緑地化構造体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1578349B1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JP2009077687A (ja) 緑化駐車場
WO2009111995A1 (en) Vegetation roof, especially pitched,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KR101936013B1 (ko) 친환경 식생용 흙망태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KR100886746B1 (ko)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
CN2599071Y (zh) 倾斜面保护块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S60188532A (ja) 法面土留装置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JP3506371B2 (ja)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JP2019004879A (ja) 自動降雨潅水システム
KR102403019B1 (ko) 드레인 보드 구조체
KR200442433Y1 (ko) 자연 생태 복원 방법으로 구축한 하상 바닥을 포함하는 도시 하천의 사면 구조
JP2007085126A (ja) 植生マットを用いたtk水辺緑化工法
JP2012120462A (ja) 緑化地盤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