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019B1 - 드레인 보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드레인 보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019B1
KR102403019B1 KR1020210153971A KR20210153971A KR102403019B1 KR 102403019 B1 KR102403019 B1 KR 102403019B1 KR 1020210153971 A KR1020210153971 A KR 1020210153971A KR 20210153971 A KR20210153971 A KR 20210153971A KR 102403019 B1 KR102403019 B1 KR 102403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tructure
drain board
protrusion
protrusion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우
Original Assignee
윤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우 filed Critical 윤영우
Priority to KR102021015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을 갖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골프장, 테니스장, 운동장, 매립지, 공원, 놀이터 조경, 터널, 토목옹벽 등 원활한 배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지하에서 상승되는 지하수 또는 수분의 차수 및 배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경수의 괴사 및 조경수의 고사를 방지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드레인 보드 구조체{Drain board structure}
본 발명은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을 갖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골프장, 테니스장, 운동장, 매립지, 공원, 놀이터 조경, 터널, 토목옹벽 등 원활한 배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지하에서 상승되는 지하수 또는 빗물의 차수 및 배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경수, 잔디 등 식물의 괴사 또는 고사를 방지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지중에서 파이프나 필터와 같은 인공장치가 없어도 지하에서 수억 년 동안 움직여 오고 있다. 지하수의 주공급원은 빗물이며, 땅에 내린 빗물은 흙과 바위틈을 따라 지중으로 스며들어 지하수가 된다.
최근 도시개발, 골프장 건설 및 광산개발 등 인공적 행위로 인한 자연 훼손은 자연스런 물의 순환을 방해하고 있다. 따라서 골프장이나 테니스 코트장, 운동장 등의 지반안정 공사나 조경 등을 위한 배수층 공사에서 물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고자 자갈이나 돌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갈이나 돌 등을 이용하여 물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방법은 작업공정에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여 최근에는 대부분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배수판을 설치하여 물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배수판은 소정 면적을 갖는 판재의 표면으로부터 다수개의 돌기들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부직포가 설치되어 구성되는데, 상부의 부직포를 통해 물이 유입되며 그 유입된 물은 상기 돌기들의 사이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배수판은 부직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전부 배수되기 때문에 즉, 담수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음에 따라 상부 토양의 수분 부족으로 인해 조경수, 잔디 등 식물이 말라 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배수판은 돌기를 지표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부에 부직포를 설치하는데, 배수가 되지 않을 경우 배수판의 불투수 기능으로 물고임 현상이 발생하여 조경수, 잔디 등 식물의 뿌리가 썩게 되고, 지하에서 상승되는 물이 배수판에 차단되어 배수가 원활하지 않게되어 지반이 약해지는 등 문제점과, 상부의 부직포에 조경수, 잔디 등의 뿌리가 침투하거나, 토양의 침식작용으로 발생되는 침식물이 베이스판 표면에 퇴적되어 배수판의 배수기능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084호(2011.10.0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써, 베이스판에 형성된 돌출부가 지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매쉬필터를 설치하여 지하로부터 돌출부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상승되는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돌출부의 하부면과 베이스판 양단에 열융착 고정된 메쉬필터의 측면으로 표층의 물을 흡수하는 초기 배수 기능도 함께 수행함으로써, 배수와 차수 및 담수 특히, 지하에서 상승되는 물의 차수 및 배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지면의 하부에 매설되어 지상으로부터 스며든 물 또는 지하로부터 상승되는 물을 기지정된 위치로 유도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에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매쉬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돌출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의 외주연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보강부는 하부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도록 돌출형성되는 2개 이상이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날개부는 외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면에 접착제로 결합되는 부직포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부면에 어느 하나의 돌출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로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판은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미세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주연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미세홀과 외주연 상부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제2미세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3미세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 보드 구조체는 지면의 하부에 매설하되, 돌출부가 지하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매쉬필터를 설치하여 상기 돌출부의 사이공간을 확보하여 지하로부터 상승되는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과도한 물의 공급에 의한 조경수, 잔디 등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은 물론 돌출부를 통해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이 메마르는 것을 방지하고, 지반의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를 연결보강부를 통해 보강 연결하여 상기 돌출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설치 후 상기 돌출부의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에 날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상기 돌출부의 변형을 방지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보드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보드 구조체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보드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보드 구조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매쉬필터가 제거된 드레인 보드 구조체를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보드 구조체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 보드 구조체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본 발명은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을 갖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골프장, 테니스장, 운동장, 매립지, 공원, 놀이터 조경, 터널, 토목옹벽 등 원활한 배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지면의 하부에 매설되어 설치되되, 돌출부(200)가 지하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200)의 하부에 매쉬필터(300)를 융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지하에서 상승되는 지하수 또는 수분(이하, '물'이라 통칭한다.)의 차수 및 배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저장되는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조경수, 잔디 등 식물의 괴사 및 고사를 방지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지면의 하부에 매설되어 지상으로부터 스며든 빗물 또는 지하로부터 상승되는 물을 지정된 위치로 유도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돌출부(200);와 상기 돌출부(200)의 하부면에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매쉬필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인접한 돌출부(200)의 외주연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보강부(400)는 하부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부(200)는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도록 돌출형성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날개부(210)는 외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면에 접착제로 결합되는 부직포필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판(100)은 상부면에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인접한 돌출부(2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로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판(100)은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미세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부(200)는 외주연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미세홀(220);과 외주연 상부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제2미세홀(22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3미세홀(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 구조체는 지면의 하부에 매설되어 즉, 지반 아래에 설치되어 지상으로부터 스며든 물 또는 지하로부터 상승되는 물을 지정된 위치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골프장, 테니스장, 운동장, 매립지, 공원, 놀이터 조경, 터널, 토목옹벽 등 원활한 배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정된 위치는 맨홀, 저수조 등 물이 배수되는 장소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판(10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복수 개의 돌출부(200)를 지지하는 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열 안정제 및 UV안정제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돌출부(200), 연결보강부(400), 날개부(210) 또한 베이스판(100)의 성형시 함께 성형되는 구성으로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돌출부(2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격자 형태로 복수 개가 배열되는 것으로서, 격자 형태로 배열됨에 따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사이공간이 유로의 역할을 하게되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이공간은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 구조체가 지면의 하부에 매설되어 설치될 때, 흙 또는 이물질이 채워져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하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매쉬필터(300)가 융착되어 결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돌출부(200)는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하로부터 상승되는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유로를 통해 보다 빠르게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돌출부(200)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되, 평평한 하부면이 형성되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복수 개의 돌출부(200)의 하부면이 지중과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드레인 보드 구조체 전체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돌출부(200)는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도록 돌출형성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2개 이상의 날개부(210)는 상기 돌출부(20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상부의 압력에 의한 침하방지 및 파손과 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2개 이상의 날개부는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날개부가 4개인 경우 +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날개부(210)는 외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돌출부(200) 사이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배수를 위한 유로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상기 돌출부(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상기 날개부(210)는 상기 돌출부(200)의 외주연 하부말단부터 베이스판(100)까지 연결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 구조체는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인접한 돌출부(200)의 외주연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보강부(400)는 앞서 설명된 날개부(210)와 함께 돌출부(20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침하방지 및 상기 돌출부(200)의 파손과 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연결보강부(400)는 하부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연결보강부(400)에 의해 돌출부(200)의 사이 상부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내구성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매쉬필터(300)는
상기 돌출부(200)의 하부면에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200)와 원활하게 열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앞서 설명된 베이스판(100), 돌출부(200), 연결보강부(400) 및 날개부(210)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매쉬필터(300)는 지하로부터 상승되는 물이 돌출부(200)의 사이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통과시킴과 동시에 토사는 통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본 발명의 드레이 보드 구조체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파손 및 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매쉬필터(300)와 베이스판(100)의 하부 양측 말단 또한 열융착을 통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200)의 사이로 토사나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 구조체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면에 접착제로 결합되는 부직포필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부직포필터(500)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와 원활한 결합을 위해 하부에 앞서 설명된 매쉬필터(30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부직포필터(500)는 지상으로부터 스며드는 물이 흡수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경수, 잔디 등 식물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상에서 지속적으로 스며드는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돌출부(2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베이스판(100)의 상부면에 복수 개의 담수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담수홈과 부직포필터(500)의 사이로 지상으로부터 스며드는 물이 배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담수홈은 그 깊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잔존하고 있는 물의 배수 또는 유입을 위해 상기 베이스판(100)에 복수 개의 제1미세홀(1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베이스판(100)은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미세홀(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미세홀(120)은 지하로부터 물이 상승될 때 많은 양의 물이 상승되지 않도록 메우 미세한 구멍 약 0.5㎜ 미만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상으로부터 물이 스며드는 경우 상기 담수홈에 물이 채워지는 것을 최소하여 조경수, 잔디 등 식물의 괴사 도는 고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판(100)은 상기 담수홈에 물이 채워지는 경우 복수 개의 담수홈을 따라 이동되거나 분산되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인접한 돌출부(2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로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홈(110)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 즉, 어느 하나의 담수홈과 상기 어느 하나의 담수홈과 인접한 담수홈의 상부가 연결되어 통하도록 함으로써, 채워진 물이 돌출부(200)의 개방된 상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 개의 담수홈에 분산되도록 하여 최대한 빨리 넓은 면적을 통해 증발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정된 위치로 유도되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돌출부(200)는 외주연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미세홀(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미세홀(220)은 지하로부터 상승되는 물이 미세하게 통과하여 앞서 설명된 담수홈에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우천시가 아닌 지하로부터만 물이 상승되는 경우 담수홈에 물이 채워지도록 하여 조경수 등에 물이 자연스럽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2미세홀(220) 또한 앞서 설명된 제1미세홀(120)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돌출부(200)는 외주연 상부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제2미세홀(22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3미세홀(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3미세홀(230)은 상기 제2미세홀(220)을 통해 과도하게 담수홈에 공급된 물이 지하로부터의 물의 상승이 멈춘 후 다시 지하로 스며들게 하거나 배수될 수 있도록 다시 돌출부(200)의 사이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양의 물이 조경수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3미세홀(230)의 크기는 상기 제1미세홀(120)과 제2미세홀(220)보다 큰 0.6~1㎜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상기 제2미세홀(220)과 제3미세홀(230)은 지상으로부터 물이 스며든 후 물이 스며들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지하로 물을 배출하여 조경수에 과도한 양의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드레인 보드 구조체는 지상으로부터 스며드는 물 또한 상부에서도 배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미세홀(120)을 통해 하부 즉, 돌출부(200)의 사이공간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상으로부터 물의 스며듬이 멈춘 경우 제2미세홀(220)과 제3미세홀(230) 통해 지속적으로 담수홈에 채워진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담수홈에 잔존한 물과 부직포필터(500)에 흡수되어 저장된 물에 의해 조경수에 일정기간 동안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경수 등의 괴사 또는 고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드레인 보드 구조체는 돌출부(200)를 하부에 위치도도록 함으로써, 지상으로 스며든 물은 물론 지하에서 상승되는 물까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이 가능함으로써, 조경수, 잔디 등 식물의 괴사 또는 고사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베이스판
110 : 유로홈
120 : 제1미세홀
200 : 돌출부
210 : 날개부
220 : 제2미세홀
230 : 제3미세홀
300 : 매쉬필터
400 : 연결보강부
500 : 부직포필터

Claims (10)

  1. 지면의 하부에 매설되어 지상으로부터 스며든 물 또는 지하로부터 상승하는 물을 지정된 위치로 유도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돌출부(200);와
    상기 돌출부(200)의 하부면에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매쉬필터(3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면에 접착제로 결합되는 부직포필터(5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100)은
    상부면에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인접한 돌출부(2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유로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보드 구조체는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200)와 인접한 돌출부(200)의 외주연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부(400)는
    하부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0)는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도록 돌출형성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10)는
    외측면이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0)은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미세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0)는
    외주연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미세홀(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0)는
    외주연 상부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제2미세홀(22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3미세홀(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보드 구조체.
KR1020210153971A 2021-11-10 2021-11-10 드레인 보드 구조체 KR102403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971A KR102403019B1 (ko) 2021-11-10 2021-11-10 드레인 보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971A KR102403019B1 (ko) 2021-11-10 2021-11-10 드레인 보드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019B1 true KR102403019B1 (ko) 2022-05-26

Family

ID=8180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971A KR102403019B1 (ko) 2021-11-10 2021-11-10 드레인 보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0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167A (ko) * 1987-01-27 1988-09-14 박인구 운동장 배수공법
KR200220851Y1 (ko) * 2000-09-23 2001-04-16 최정웅 측면 배수공을 가진 조경용 배수판
KR101073084B1 (ko) 2010-04-13 2011-10-13 안덕노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을 갖는 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167A (ko) * 1987-01-27 1988-09-14 박인구 운동장 배수공법
KR200220851Y1 (ko) * 2000-09-23 2001-04-16 최정웅 측면 배수공을 가진 조경용 배수판
KR101073084B1 (ko) 2010-04-13 2011-10-13 안덕노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을 갖는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6329T3 (es) Sistema para la recogida de fluidos.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ES2734477T3 (es) Sistema de cobertura de suelo sintético con relleno de unión para control de erosión
ES2767374T3 (es) Método para enfriar un campo deportivo
CA2523849C (en) Sports flo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sports floor
ES2838150T3 (es) Capa de vegetación y de base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KR101020718B1 (ko)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
US20230157219A1 (en) Vegetation Maintenance System
JP2000120150A (ja) 雨水貯留浸透構造物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RU2751849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склонов от водной эрозии
KR102403019B1 (ko) 드레인 보드 구조체
CN103385096B (zh) 一种改进的盐碱地植物种植系统
JP6712727B2 (ja) 人工芝部材敷設面の排水構造
KR101201529B1 (ko) 친환경 식생 게비온 및 이를 이용한 사면처리 공법
KR20170007067A (ko) 우수저장 공간이 있는 보,차도 블럭
KR101959680B1 (ko) 방초 투수보도블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349557B1 (ko)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3103300B2 (ja) 貯水設備
JPH07150513A (ja) 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多孔質層形成ユニット、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パイプユニット並びにスポーツ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JP5167498B1 (ja) 地盤改良構造
KR200146295Y1 (ko) 옥상용 인공 지반
ES2935061T3 (es) Sistema de cobertura de suelo sintético para el control de la erosión
JP4157803B2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