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349B1 -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 Google Patents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349B1
KR101578349B1 KR1020150114101A KR20150114101A KR101578349B1 KR 101578349 B1 KR101578349 B1 KR 101578349B1 KR 1020150114101 A KR1020150114101 A KR 1020150114101A KR 20150114101 A KR20150114101 A KR 20150114101A KR 101578349 B1 KR101578349 B1 KR 101578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basket
plate
slope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449A (ko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to KR102015011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349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6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bituminous material or synthetic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녹화공법에 있어서,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법면 및 호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사면이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되도록 경계재를 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저배수판 상부에 그리드를 시공하는 제2단계; 상기 그리드 상부에 식물이 식재된 바스켓을 시공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바스켓과 그리드 사이에 클립을 설치하여, 상기 바스켓과 그리드를 체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경계재를 통해 식물이 식재된 바스켓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여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및 호안 등 경사면에 대한 녹화를 안정적 유지는 물론, 초기 녹피율을 향상시켜 녹지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스켓을 통한 식물 재배의 선행이 가능하여, 식물의 훼손율을 줄이고, 초기 녹피율을 향상시켜 녹지의 완성도를 높이고, 나아가, 바스켓이 생분해성 천연 성분으로 이루어져, 토양과의 융화력을 향상시켜 자연스러운 녹지 조성이 가능하고, 또한, 바스켓이 클립을 통해 인접된 바스켓 및 그리드에 고정되어, 자중을 이용한 풍압대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Re boundaries that are constructed on the slopes and slope greening method using boundary material}
본 발명은 경계재를 통해 식물이 식재된 바스켓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여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및 호안, 법면 등 경사면에 경계재를 이용하여 비탈면에 대한 녹화의 안정성과 함께 경관의 미려함은 물론,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화 공법은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법면 및 호안에 인공적으로 녹지를 조성하여, 주변경관을 미려함을 추구함을 추구하거나, 특히, 비탈면에서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절토사면과 성토사면을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녹화 공법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00509호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가 선출원된 바 있다.
종래의 녹화 공법은, 성토 사면, 절토 사면, 기존 호안 블록 사면, 암반 절개지 사면 등의 조경 녹화 시공을 위한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세트로 제작된 로그매트와 식생매트를 현장의 사면에 직접 시공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단시간 내에 사면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폭우, 홍수 등의 기후 조건에서도 식생토층의 쇄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등 항구적인 녹화 사면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녹화 공법은 사면의 지반을 고르게 정리하는 제1단계와, 정리된 사면에 일체식의 한 세트로 제작된 롤/날개 형태의 로그매트와 플랫 형태의 식생매트를 설치하되, 사면의 위아래 방향을 따라 로그매트의 롤 부분이 윗쪽에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로그매트의 날개 부분에 식생매트가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하고 앵커핀으로 지반에 고정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경사진 사면의 위아래 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일체식의 로그매트 및 식생매트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녹화 공법을 통해 사면 녹화공법 및 녹화구조는 로그매트 및 식생매트, 식생백 등을 이용하여 사면을 녹화 및 안정화 시킴으로써, 우수에 따른 표면의 유실방지와 설치 후 토사가 강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녹화 공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790호 사면 녹화공법이 등록된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로, 매립지 등의 토목공사시 절토 및 성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절토사면 및 성토사면을 자연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사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녹화 공법은 대상 사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리된 사면상에 선형부재들을 결합한 것으로, 힘의 흐름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3차원의 입체 구조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스 프레임(10)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10)이 설치된 후,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10)상에 식생 기반재 및 종자를 포설하여 녹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10)은 X, Y, Z 선형부재(22, 24, 26)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서로 접합되는 평면 프레임(20)을 상기 X 및 Y 선형부재(22, 24)의 방향으로 연속된 열을 가지도록 고정하여 형성되되, 상기 X 선형부재(22)와 Y 선형부재(24)가 접하는 점을 충진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Z 선형부재(26)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절점(28)을 형성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X, Y 선형부재(22, 24)가 교차되어 결합되는 상기 평면프레임(20)의 구성이 상하에 형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녹화공법은 본 발명에 의한 사면 녹화공법에 의하면, 강성체의 스페이스 프레임을 사용하여 사면의 지지기반을 형성하게 되므로, 녹화층 및 수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스페이스 프레임의 사용에 의해 토립자의 구속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도로변의 사면과 같이 급경사지는 사면, 성토영역이 좁은 사면이나 암석 지반의 사면의 녹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수목을 식재하기 위해 별도의 기구를 부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목의 식재를 통한 사면 녹화를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녹화 공법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특히, 비탈면으로의 녹화 공법은 안정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또한, 비탈면 녹화 공법의 안전성과 함께 경관의 미려함은 물론,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공기를 단축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공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05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879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경계재를 통해 식물이 식재된 바스켓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여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및 호안, 법면 등 경사면에 경계재를 이용하여 비탈면에 대한 녹화의 안정성과 함께 경관의 미려함은 물론,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과 경사면 사이에 저/배수판이 마련되어 유체의 배수와 저수가 용이하여 식물의 건조 및 과습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 확보가 가능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계재가 설치가 다양한 형태로 지원되어 인공적 환경은 물론, 자연환경으로의 시공이 가능한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을 통한 식물 재배의 선행이 가능하여, 식물의 훼손율을 줄이고, 초기 녹피율을 향상시켜 녹지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이 생분해성 천연 성분으로 이루어져, 토양과의 융화력을 향상시켜 자연스러운 녹지가 조성되도록 하는 경계재를 이용한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이 클립을 통해 인접된 바스켓 및 그리드에 고정되어, 자중을 이용한 풍압대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경계재를 이용한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은,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법면 및 호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사면에 상기 경계재를 시공하는 제1단계; 상기 경계재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의 경사면에 그리드를 시공하는 제2단계; 상기 그리드 상부에 식물이 식재된 바스켓을 시공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바스켓과 그리드 사이에 클립을 설치하여 상기 바스켓과 그리드를 체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스켓과 경사면 사이에서 저수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저/배수판이 더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계의 상기 경계재는, 상기 경사면의 특성에 따라, 앵커볼트(anchor bol) 또는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경사면에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이 콘크리트, 암반 및 토양층 중 어느 하나일 경우, 상기 경계재는 앵커를 통해 상기 경사면에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이 방수층일 경우, 상기 경계재는 부틸테이프(butyl tape) 및 융착 테이프(welding tape)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부틸 테이프와 융착 테이프를 통해 상기 경사면에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배수판과 그리드 사이에 부직포가 더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리드와 바스켓 사이에 인공토양 또는 보습패드가 더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스켓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서, 옥수수 수지 또는 천연의 코이어(coir)를 압축 성형한 천연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스켓은, 적어도 개방된 상부 테두리에 생분해성 프레임이 내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프레임을 통해 상기 그리드와 클립을 통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법면 및 호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사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시공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경사면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바(bar) 형태의 제1격막; 및 상기 제1격막과 직교하게 결합되어, 경사면을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고, 식물이 식재된 바스켓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bar) 형태의 제2격막;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경사면에 앵커볼트(anchor bolt) 또는 접착수단에 의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를 개시한다.
상기 제1격막과 제2격막은, 교차하는 각 영역에 결합홈이 마련되어, 상/하 자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격막과 제2격막의 자웅 결합과 유체의 배수가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과 외곽 테두리 사이에 마련된 다수의 앵커홀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를 경사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수단은, 경사면과 마주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밑면에 부착되는 부틸 테이프(butyl tap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수단은,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 일면에 고정시키고, 타면은 경사면에 융착되는 융착 테이프(welding tap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착 테이프는,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에 마련된 슬릿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격막과 일체형 또는 분리 가능한 체결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격막과 분리형일 경우, 상부 중심에 십자형태의 체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격막과 제2격막이 상기 체결부를 통해 교차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와 제1격막은 ㅗ 형태의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응하는 길이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와 제1격막의 경계에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계재를 통해 식물이 식재된 바스켓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여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및 호안, 법면 등 경사면에 경계재를 이용하여 비탈면에 대한 녹화의 안정성과 함께 경관의 미려함은 물론,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면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과 경사면 사이에 저/배수판이 마련되어 유체의 배수와 저수가 용이하여 식물의 건조 및 과습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 확보가 가능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계재가 설치가 다양한 형태로 지원되어 인공적 환경은 물론, 자연환경으로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을 통한 식물 재배의 선행이 가능하여, 식물의 훼손율을 줄이고, 초기 녹피율을 향상시켜 녹지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이 생분해성 천연 성분으로 이루어져, 토양과의 융화력을 향상시켜 자연스러운 녹지가 조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이 클립을 통해 인접된 바스켓 및 그리드에 고정되어, 자중을 이용한 풍압대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녹화 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상태도,
도 3은 도 2b의 D1을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도 2b를 기준 하여 녹화 공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도 2b를 기준 하여 녹화 공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배수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틸 테이프에 의한 플레이트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융착 테이프에 의한 플레이트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융착 테이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에 의한 플레이트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바스켓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녹화 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공법은 비탈면에 녹지 조성을 위한 시공 방법으로서,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법면 및 호안 등 경사면에 대한 녹화를 보다 효율적이면서 안적적으로 조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녹화 공법은 경사면이 다수의 셀 단위로 구획되도록 경계재를 시공하는 제1단계(S1), 셀 단위로 구획된 각 영역에 그리드(180)를 시공하는 제2단계(S2), 그리드(180) 상부에 식물이 식재된 다수의 바스켓(200)을 시공하는 제3단계(S3) 및 바스켓(200)과 그리드(180) 사이에 클립(203)을 설치하는 제4단계(S4)를 통해 이루어지며, 도 2a 및 D1의 상세도인 3a와 같은 시공을 통해 녹지가 조성된다. 이때, 경사면(210)이 토양층일 경우, 토양을 다지고, 필요에 따라 방초매트가 선행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녹화 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녹화 공법에 있어, 도 2b와 D2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 3과 같이 제1단계(S1)와 제2단계(S2) 사이 즉, 바스켓(200)과 경사면(210) 사이에 저수 및 배수는 물론, 통기성 확보가 이루어지도록 저/배수판(160)이 더 시공될 수 있다.
저/배수판(160)은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 6과 같이 다수의 저수부(161)와 배수부(163)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저수부(161)는 유체를 저장하여 안정적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물의 건조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배수부(163)는 저수부(161)의 용량을 초과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켜 식물의 과습피해를 방지와 아울러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식물의 안정적 생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이러한 저/배수판(160)은 대략 가로 세로의 길이가 1000mm * 1500mm이며 높이는 20mm와 자중이 2.5kg으로, 보수능력은 대략 4.5L/m2이고, 배수능력은 10.0L/m2로서, 이때, 압축강도는 92.kN/m2인 수지 재질의 것이 좋으며, 접착수단을 통해 경사면에 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배수판(160)과 그리드(180) 사이에는 도 2b의 D3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 3과 같이 부직포(170)가 더 시공될 수 있다.
부직포(170)는 저/배수판(160)으로의 토양 유입을 차단하되, 저/배수판(160)으로 유체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바스켓(200)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저/배수판(160)으로 유입될 때, 토양의 유입은 차단하면서 투수성을 유지시켜 바스켓(200)에서의 과습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녹화공법에 있어, 그리드(180)와 바스켓 사이에 도 4와 같이 마중토양(190) 또는 보습패드(190)가 더 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마중토양(190)은 자연 내지는 인공토양에 발근을 촉진시키는 양액이 스프레이처리된 것이며, 리그닌의 분해 촉진 및 유해균의 발생이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마중토양(190)은 보수성, 배수성 및 통기성이 양호하여 식물 뿌리 활착에 도움을 주고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이온 치환능력과 보비력이 뛰어나 토양의 염류장해를 경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경계재(100)를 시공하는 단계로서, 경계재(100)를 통해 경사면(210)을 다수의 셀 단위로 분리 구획하여, 경사면(210)으로부터 바스켓(200)의 안정적 시공은 물론,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각 셀은 대략 가로 세로의 길이가 대략 1000mm 내외의 정사각 또는 직사각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셀에는 정사각 또는 직사각의 함체를 갖는 바스켓이 대략 4 내지 10개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계재(100)는 경사면(210)을 다수의 셀로 구획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부터 소정 돌출 시공되어 토사의 유실을 예방함과 동시에 바스켓(200)을 경사면(210)으로부터 지지하고 녹지의 훼손 예방은 물론, 식물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계재(100)는 경사면(2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시공되는 플레이트(110), 플레이트(110)와 일체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경사면(210)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바(bar) 형태의 제1격막(120) 및 제1격막(120)과 직교하게 결합되어 경사면을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고, 식물이 식재된 바스켓(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bar) 형태의 제2격막(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110)는 경사면(210)의 특성에 따라 도 9 내지 12과 같이 접착수단 또는 앵커볼트(anchor bolt)에 의해 시공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경사면에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10)는 경사면(2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시공하되, 도 7과 같이 제1격막(120)과 분리형일 경우, 경사면(210)의 가로 및 세로 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시공되며, 도 13과 같이 제1격막(120)과 일체형일 경우에는 세로 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시공된다. 이때, 간격은 대략 1000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수단은 경사면이 방수층(방근)일 경우 방수층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방수층은 경사면에 방수시트의 시공에 의한 것이며, 시트는 수지계열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TPO시트인 것이 좋다.
이러한 접착수단은 경사도 내지는 바스켓(200)의 하중 및 자연환경에 따라 부틸 테이프(140, butyl tape) 및 융착 테이프(141, welding tap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부틸 테이프(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플레이트(110)의 접지면(111)에 부착되고, 타면은 경사면(210)에 부착되는 양면형 테이프이다.
융착 테이프(141)는 도 10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의 외곽 일면에 형성된 슬릿(113)을 통해 설치된다.
이러한 융착 테이프(14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슬릿(113)에 고정되고, 타단은 융착을 통해 경사면에 고정되며, 이때, 융착은 열에 의한 융착인 것이 바람직하며, 융착 테이프(141)는 방수층과 동일한 재질인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융착 테이프(141)는 슬릿(113)에 고정되는 일단이 도 11a와 같이 융착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도 11b와 같이 스트랩에 의한 고정일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사면(210)이 방수층일 경우, 식물 뿌리에 의한 방수층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방수층에 루트가드를 더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트가드는 접착 시트의 형태로서, 식물 성장에 의해 뿌리가 방수층에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앵커볼트(1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의 중심과 외곽 테두리 사이에 마련된 다수의 앵커홀(115)을 플레이트(110)를 경사면(2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앵커볼트(150)는 경사면(210)이 콘크리트, 암반, 법면 및 토양층일 경우, 사용되는 것이며, 이는 통상의 체결방식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격막(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를 통해 경사면(210)을 세로 방향으로 경계 및 구획하기 것으로, 도 8과 같이 플레이트(110)와 분리의 형태를 갖거나, 도 14와 같이 플레이트(110)와 일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격막(120)은 제2격막(130)과 교차하여 결합되는 일면에 도 8과 같이 결합홈(131)이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홈(131)은 제2격막(130)에도 형성되나, 제2격막의 결합홈(131)은 길이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치되어 제1격막(120)과의 자웅 결합은 물론, 유사시 유체의 배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1격막(120)이 플레이트(110)와 분리형일 경우, 플레이트(110) 중심에 마련된 체결부(117)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때, 결합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의 압입(억지끼움, 탄성을 이용한 탄력적 자웅 결합 등) 또는 자웅에 의한 슬라이드 결합구조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체결부(11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태를 갖으며, 세로 방향의 홈에는 제1격막(120)이 체결되고, 가로 방향의 홈에는 제1격막(120)과 교차하여 결합된 제2격막(130)이 체결되는 영역이다.
제1격막(120)이 플레이트(1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도 13 및 14와 같이 플레이트(110)는 제1격막(120)과 ㅗ 형태의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응하는 길이의 바 형태를 갖으며, 이때, 플레이트(110)와 제1격막(120)의 경계에는 일체형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133)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격막(130)은 제1격막(120)과 직교하게 결합되어 경사면을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고, 식물이 식재된 바스켓(2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격막(130)은 제1격막(120)과 결합홈을 통해 도 8과 같이 상/하 자웅 결합되고, 체결부(117)를 통해 플레이트(110)에 고정된다. 이때, 체결부(117)와의 결합은 억지끼움 내지는 탄성을 이용한 탄력적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결합방식 중, 임의의 분리를 예방하기 위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제1격막(120)과 제2격막(130)은 시공 목적에 따라 높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경관과의 미려함 추구함을 추구하거나, 토사의 유실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화단 등과 같이 인공적 구조물에 시공할 경우, 제1격막(120) 및 제2격막(130)의 높이가 바스켓(200)보다 낮게 제작하여 외부 노출을 줄여 녹지의 자연스러움을 연출하거나, 또는, 자연에 노출된 환경(예를 들어, 습지 및 호안 내지는 법면 등일 경우, 적어도 제1격막(120)에 대한 높이를 바스켓(200)보다 높이 제작하여 토사의 유실이 예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바스켓(200)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서, 옥수수 수지 또는 천연의 코이어(coir)를 압축 성형한 천연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테두리에는 프레임(201)을 내재시켜 도 17 및 18과 같이 클립(203)과의 체결력을 향상키시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때, 프레임(201)은 통상의 목재 내지는 생분해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합성수지는 물론, 금속 소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바스켓(200)은 대략 500mm(W1) * 333mm(W2) * 80mm(H1)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7에서와 같이 바스켓(200)이 각 셀 영역에 대략 6개 정도가 수용되는 것이 좋으나,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스켓(200)의 형상 및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며, 식물의 종이나, 녹화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바스켓(200)은 녹지를 조성시킬 때, 시공 이전 식물의 선재배가 용이하여, 녹지 조성 시, 식물의 훼손율을 줄이고, 초기 녹피율을 향상시켜 녹지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소재로 이루어져 토양에서의 분해가 가능하여 인공적 환경으로부터의 탈피가 가능하고 따라서 자연스러운 경관의 연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바스켓(200) 내부 식생부(220)에 식물 식재를 위한 토양이 채워지는 데, 이때, 토양은 바스켓(200)의 생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으면서, 바스켓(200)의 경량화 및 잡초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는 인공경량 토양 및 마사토 등을 채워 경량성과 보습력 및 통기성을 극대화하고, 보비력 등이 적정하게 확보된 토양인 것이 좋다.
그리고 식생부(220)를 채운 토양에 식물을 식재하고, 풍압에 의한 토양의 비산과 유실 및 잡초의 유입과 건조피해를 대비하여 이끼, 수태 등으로 멀칭하거나, 코이어 네트 및 PP(Plypropylene)재질의 네트 등으로 식생부의 상단을 덮을 수 있으며, 그 중 코이어와 같은 생분해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스켓(20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203)을 통해 더욱 안정적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부분도이고, 도 18은 클립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203)은 바스켓(200) 상부를 감싸는 제1걸이부(205)와 그리드(180)를 감싸는 제2걸이부(207) 및 제1걸이부(205)와 제2걸이부(207)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둥(20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걸이부(20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의 형태를 갖으며, 인접된 바스켓(200)을 함께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걸이부(205)는 바스켓(200) 상단 일부를 감싸되, 프레임(201)이 구비된 영역을 감싸 바스켓(200)의 이탈을 예방한다.
제2걸이부(207)는 그리드(180)의 경사(183) 또는 위사(181)를 감싸도록 고리의 형태를 갖으며, 도 17a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지나는 경사(183) 또는 도 17b와 같이 위사(181)를 함께 감싸 클립(203)이 그리드(18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클립(203)을 통해 다수의 바스켓(200)은 하나의 그룹으로 엮여 자중만으로 풍압 내지는 부압으로부터 바스켓(200)이 훼손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경계재 110 : 플레이트
111 : 접지면 113 : 슬릿
115 : 앵커홀 117 : 체결부
120 : 제1격막 130 : 제2격막
131 : 결합홈 133 : 보강리브
140 : 부틸 테이프 141 : 융착 테이프
150 : 앵커볼트 160 : 저/배수판
161 : 저수부 163 : 배수부
170 : 부직포 180 : 그리드
181 : 위사 183 : 경사
190 : 인공토양/보습패드 200 : 바스켓
201 : 프레임 203 : 클립
205 : 제1걸이부 207 : 제2결이부
209 : 기둥 210 : 경사면
220 : 식생부

Claims (2)

  1. 경계재에 있어서,
    비탈진 인공 구조물, 화단, 습지, 법면 및 호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사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접착수단을 통해 시공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형이거나, 상기 플레이트 중심에 마련된 체결부와 압입 또는 자웅에 의한 슬라이드 결합되어 경사면을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바(bar) 형태의 제1격막; 및
    상기 제1격막과 직교하게 결합되어, 경사면을 가로 방향으로 구획하고, 식물이 식재된 바스켓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bar) 형태의 제2격막;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수단은, 경사면과 마주하는 상기 플레이트 밑면에 부착되는 양면형 부틸 테이프(butyl tape) 및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에 마련된 슬릿에 고정되고, 타단은 방수층으로 이루어진 경사면에 융착되는 융착 테이프(welding tape)를 포함하여 경계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격막과 일체형 또는 분리 가능한 체결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격막과 분리형일 경우, 상부 중심에 십자형태의 체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격막과 제2격막이 상기 체결부를 통해 교차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1020150114101A 2015-08-12 2015-08-12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10157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101A KR101578349B1 (ko) 2015-08-12 2015-08-12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101A KR101578349B1 (ko) 2015-08-12 2015-08-12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046 Division 2014-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449A KR20150114449A (ko) 2015-10-12
KR101578349B1 true KR101578349B1 (ko) 2015-12-17

Family

ID=5434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101A KR101578349B1 (ko) 2015-08-12 2015-08-12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38B1 (ko) * 2019-03-27 2019-12-05 주식회사 바이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0612A (zh) * 2018-06-12 2018-11-09 黔西南州林晨黔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防止芦笋茎秆倒伐的搭架种植方法
KR102230025B1 (ko) * 2020-06-30 2021-03-19 이성진 사면보강 패널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4932A (ja) 2003-02-14 2004-09-02 Lonseal Corp 緑化用見切り材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4932A (ja) 2003-02-14 2004-09-02 Lonseal Corp 緑化用見切り材及びその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38B1 (ko) * 2019-03-27 2019-12-05 주식회사 바이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449A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1578349B1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JP2007023501A (ja) 乾湿法面の緑化工法、これに使用する植生資材
US10202732B2 (en) Erosion prevention plank with interior lattice
KR100860748B1 (ko) 허니셀 녹화공법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1936013B1 (ko) 친환경 식생용 흙망태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JPH10195898A (ja) 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102223403B1 (ko) 식생 셀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966801B1 (ko) 친환경 옹벽 시스템 및 친환경 옹벽 시공방법
JP2000129650A (ja) 護岸用敷石セグメント
KR200263943Y1 (ko) 법면보호블록
KR200408191Y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8208604A (ja) 法面保護マット
KR101187869B1 (ko) 테라매트와 이의 시공방법
CN212506316U (zh) 公路边坡植物质防护结构
JP3902596B2 (ja) 斜面安定用ブロック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