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748B1 - 허니셀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허니셀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748B1
KR100860748B1 KR1020070031558A KR20070031558A KR100860748B1 KR 100860748 B1 KR100860748 B1 KR 100860748B1 KR 1020070031558 A KR1020070031558 A KR 1020070031558A KR 20070031558 A KR20070031558 A KR 20070031558A KR 100860748 B1 KR100860748 B1 KR 100860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lope
anchor
mat
polygon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연일화섬공업(주)
주식회사 벽진지오테크닉스
인본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연일화섬공업(주), 주식회사 벽진지오테크닉스, 인본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Priority to KR1020070031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토 사면, 절토 사면, 기존 호안 블록 사면, 암반 절개지 사면 등에 조경 녹화를 함에 있어서 폭우, 홍수 등의 기후 조건에서도 10~40cm 두께의 성토 식생토층을 유지하여 쇄굴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허니셀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생지반 사면의 구조적 안정성 보강을 위한 벌집 모양의 다각형허니셀과 폭우, 홍수시에도 식생지반 토층의 붕괴 억제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매트의 구조를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녹화공법을 구현함으로써, 어떠한 기후조건에서도 사면부에 성토되는 식생토층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식생 초목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 홍수, 폭우 등의 기상 악조건에서도 식생토층의 유실과 쇄굴, 특히 식생토층의 표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실과 쇄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등 항구적인 녹화 사면을 유지할 수 있는 허니셀 녹화공법을 제공한다.
사면, 조경 녹화, 식생토층, 부직포, 다각형, 앵커 매트

Description

허니셀 녹화공법{Honey cell greening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셀 녹화공법의 1단계 작업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셀 녹화공법의 2단계 작업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셀 녹화공법의 3단계 작업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셀 녹화공법의 4단계 작업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셀 녹화공법에 사용되는 허니셀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허니셀 녹화공법에 사용되는 허니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셀 녹화공법에 사용되는 앵커매트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면 11 : 부직포
12 : 다각형 구조물 13 : 앵커 핀
14 : 앵커 매트 15 : 식생 표토층
16 : U형 측구
본 발명은 성토 사면, 절토 사면, 기존 호안 블록 사면, 암반 절개지 사면 등의 조경 녹화 시공을 위한 허니셀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형 등을 이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녹화공법을 구현함으로써 폭우, 홍수 등의 기후 조건에서도 식생토층의 쇄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등 항구적인 녹화 사면을 유지할 수 있는 허니셀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확포장 공사, 하천사면보호 공사에 의해 조성되는 사면 녹화공법은 절토 또는 성토를 하거나, 기존 사면을 다짐하고 난 후, 식생기반 조성을 위해 식생매트 또는 식생블록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천재지변 또는 인위적 공사에 의해 훼손 및 조성되는 사면은 토사의 교란으로 인해 식물의 장기 생육이 없는 경우 이듬해에 폭우에 의한 붕괴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당해연도의 녹화사업 효과정도에 따라 붕괴위험성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이러한 녹화공법은 대체적으로 식생매트에 의한 녹화공법, 식생고정셀에 의한 녹화공법, 식생블록에 의한 녹화공법 등으로 구분되며, 식생매트에 의한 녹화공법은 초기 식생에 실패시 식생토사의 붕괴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으며, 이를 보완하는 식생고정셀은 조성사면을 소규모로 세분화함에 따라 장기간의 공사기간과 공사비의 증가로 인해 조기 녹화에 실패하는 사례가 많다.
또한, 식생블록은 대부분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지하여 시공됨에 따라 초기 목표인 자연형 하천과 다소 동떨어지는 것으로 이용하는 인근주민과 관광객의 친밀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에 의한 대기온도 상승으로 하천수의 온도 상승을 야기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최근 하천이나 수로의 제방 및 절ㆍ성토 경사면 등 사면의 유실을 방지하고, 기상 이변으로 인한 홍수피해를 최소로 줄이고자 시행되고 있는 시공방식은 자연 생태계의 보존 및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녹지를 조성하여 환경 친화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제방이나 배수로는 지반의 침식과 침하를 방지하고, 수로의 유실을 방지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호안블록과 돌망테 등이 시공되고 있으며, 최근 돌망테는 하천의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계의 단절을 초래함으로써, 최근에는 자연 생태계의 보존 및 하천의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환경 친화적인 블록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환경 친화적인 식생 블록은 사방으로 인접하는 다른 블록들과 상호 결합되어 유동이나 유실 및 이탈이 방지되고, 블록에 녹지 조성용 식물이 식재되어 성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녹지가 조성되게 함으로써, 하천의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 환경 친화적인 블록의 구조는 녹지 조성용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공간이 협소하고, 사면의 지반에 블록 간의 결속력이 빈약함으로써, 기상 이변으로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녹화 사면 전체가 무너져 홍수피해를 야기하거나, 녹화 사면의 잦은 쇄굴과 유실로 보수나 재시공 작업이 반복되는 등 사회경제적으로 손실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잇다.
또한, 토목현장 등에서 시공 설치되고 있는 절취 사면의 녹화공법은 시공 장소인 절취사면의 표면부에 PVC망을 깔아 설치한 후, 적정위치에 고정핀을 박아 PVC망이 절취사면의 표면부에 착지되도록 설치한 다음, PVC망이 설치된 절취사면의 표면부에 인공 객토를 혼합하여 일괄적으로 부착 설치하는 공법인데, 이러한 종래의 절취사면의 녹화공법은 절취사면의 표면부와 인공 객토의 부착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집중호우 등의 우기(雨期)에 표면이 쉽게 침식되어 탈락되고, 또한 건기(乾期)에는 토양의 보습상태가 낮아 토양 및 식물의 확착력이 불량하게 되어 초화류나 관목류 등의 식물 생장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또 장기적으로 식생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식생지반 사면의 구조적 안정성 보강을 위한 벌집 모양의 다각형 허니셀과 폭우, 홍수시에도 식생지반 토층의 붕괴 억제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매트의 2중 구조를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녹화공법을 구현함으로써, 어떠한 기후조건에서도 사면부에 성토되는 식생토층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식생 초목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 홍수, 폭우 등의 기상 악조건에서도 식생토층의 유실과 쇄굴, 특히 식생토층의 표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실과 쇄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등 항구적인 녹화 사면을 유지할 수 있는 허니셀 녹화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공법은 호안 블록 사면이나 암반 절개지 사면 등을 녹화하는 공법에 있어서, 지표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사면을 따라 부직포를 설치하는 1단계 작업과, 식생토층의 사면 파괴와 쇄굴에 대한 구조 보강을 위하여 부직포 위에 경화 처리된 벌집 모양의 다각형 구조물을 설치하고 각 벌집 모양의 공간에 식생토를 채운 후 다져주는 2단계 작업과, 악조건의 기후조건에서도 기본 식생토층을 유지하기 위하여 식생토가 채워져 있는 다각형 구조물 위에 일정두께를 가지면서 망 형태로 되어 있는 앵커 매트를 설치하는 3단계 작업과, 상기 다각형 구조물 및 앵커 매트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사면에 박혀져 고정되는 다수의 앵커 핀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4단계 작업과, 식생초목의 식재를 위하여 앵커 매트 위에 일정높이의 식생 표토층을 포설하고 조경용 잔디 또는 화초 씨앗을 식재하는 5단계 작업과, 5단계 작업 후 우수나 지표 수가 사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하여 사면의 상부와 하부의 각 경계선상에서 사면 길이방향을 따라 U형 측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단계 작업에서의 다각형 구조물은 투수성을 가지며 압축 또는 함침의 방법으로 경화가공시킨 부직포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단계 작업에서의 다각형 구조물은 벽면을 이중으로 구성하되 외벽면은 전체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재질은 고형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벌집 모양으로 형성되고, 외벽면의 내측면에는 부직포를 일체로 부착 형성하여, 다각형 내부의 유수가 부직포를 통과한 후 외벽면의 통공을 통해 투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단계 작업에서의 일정두께를 가지면서 망 형태로 되어 있는 앵커 매트는 가로세로 직교하여 형성한 수평실사와 상하 불규칙한 파형으로 형성된 수직실사를 결합하여 3방향 구조 보강을 할 수 있도록 입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허니셀 녹화공법은 식생지반 사면의 구조적 안정성 보강을 위하여 투수성이 우수한 부직포로 제작된 벌집 모양의 다각형 구조물과 폭우, 홍수시에도 식생지반 토층의 붕괴 억제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매트의 구조로 구축하는 사면 녹화공법이다.
이러한 허니셀 녹화공법은 기존 호안 블록 사면을 녹화하기 위해서는 최소 30cm 두께 이상의 식생토층을 필요로 하므로, 토층의 함수비가 높을 때 토층의 흐 름을 방지한 구조 보강 녹화공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허니셀 녹화공법에 따르면, 다각형 구조물 간의 투수속도가 채움 토사의 투수속도(1×10-5cm/sec)보다 빨라 구조물 속에 토사의 함수비를 낮게 평균화시킴으로써 쇄굴 방지와 셀 간의 수분의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다각형 구조물 보강토층 위에 앵커 매트를 사용하여 이중으로 보강함으로써 폭우, 홍수시에도 식생토층의 유실이 방지되는 장기 내구성 사면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면부에 성토되는 식생토층을 어떠한 기후조건에서도 구조적인 안정성이 유지되게 하여 항구적인 녹화 사면을 유지하고, 또 식생초목의 뿌리에 공급될 수분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수속도가 빠른 토목섬유 보강재인 부직포 원단으로 제조된 다각형 구조물을 채용하고, 또한 홍수시 빠른 유속과 수압으로 인한 녹화 사면의 유실,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구조 보강의 기능을 가지면서 식생토 표층의 흘러 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마찰력이 보강된 앵커 매트를 채용한 공법으로 녹화 사면을 구축함으로써, 장기간 안정된 사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허니셀 녹화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니셀 녹화공법의 각 단계별 작업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1단계 작업으로서, 하천의 호안 블록의 사면(10)에 전체 면적에 걸쳐 부직포(11)를 덮어 씌우는 형태로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렇게 설치되는 부직포는 원래의 지반인 사면과 성토될 식생토층 사이에 흐르는 지표수에 의해 식생토층이 유실되는 것을 막아주고, 지표수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한다.
다음, 2단계 작업으로서, 사면(10)에 설치되어 있는 부직포(11) 위에 벌집 모양이 연속해서 이어져 있는 형태의 다각형 구조물(12)을 설치한다.
즉, 사면의 상부와 하부의 폭에 맞춘 상태에서 사면 길이방향을 따라 넓게 펼쳐서 깔아 놓는 형태로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한 다각형 구조물(12)의 각각의 벌집 모양 속에 식생토를 채운 다음, 다짐작업으로 마무리한다.
이때의 식생토는 10~30cm 정도의 두께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통 벌집 모양 속에 꽉 채운 후, 좀 더 올라오게 채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다각형 구조물(12)이 사면 전체 면적에 걸쳐 안정되게 자리잡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간격마다 앵커 핀(13)을 설치한다.
이때의 앵커 핀(13)은 그 상단부를 다각형 구조물(12)의 벽면에 밀착되게 하면서 사면 깊숙하게 박아놓는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앵커 핀(13)에 의해 지지되는 다각형 구조물(12)은 어느 한쪽으로 쏠리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되고, 결국 벌집 모양 속에 채워져 있는 식생토를 안정적으로 가두어두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다각형 구조물은 투수속도가 1×10-5cm/sec 이상의 매우 빠른 부직포로 제조되며, 다각형 속의 식생토층을 대략 10~30cm 정도의 층두께로 유지해줌으로써, 식생토층의 사면 흐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식생초목의 뿌리에 공급될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기본적인 식생토층을 확보해줄 수 있게 된다.
즉, 빠른 투수성(1×10-5cm/sec 이상)으로 표류수를 완화하여 유수에 의한 침식이나 유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고, 결국 식생토층의 사면흐름방지 효과로 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각형 구조물(1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 원단으로 제조된 벌집 모양을 하고 있으며, 셀의 높이 25cm, 셀 변의 길이 20cm×25cm, 셀 설치 후 최대 치수 L=12m, W=12.5m 의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셀 높이나 셀 변의 규격은 사면의 시공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각형 구조물을 이루는 부직포 원단은 설치시 견고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압축 또는 함침의 방법으로 경화가공시킨 부직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벌집 모양의 다각형 구조물은 설치시 펼쳤을 때 부직포 고유성질에 따른 직립된 상태의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옆으로 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벽면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즉, 벽면을 이중으로 구성하되 외벽면(12a)은 재질이 잘 휘어지지 않은 합성수지(PE, PP 등) 시트로 하여 위 실시예와 같이 벌집 모양이 다수개 연결된 형태로 구성하며 외벽면(12a)의 셀 각 내면은 부직포(12b)를 일체로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외벽면(12a)에는 내측의 부직포(12b)를 통과한 유수가 흘러나오도록 다수의 통공이 벽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다각형 구조물(12)의 설치시 넓게 펼쳤을 때 다각형 구조물(12)이 옆으로 넘어지지 않고 직립하여 서 있을 수 있게 되며 어느 한쪽으로 쏠리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결국 벌집 모양 속에 식생토를 안정적으로 채워 넣을 수 있게 되며, 식생토를 안정적으로 가두어 둘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각형 구조물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하여 6각의 벌집 모양을 채택한 것이며, 그 외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형상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다음, 3단계 작업으로서, 다각형 구조물(12)에 식생토층을 대략 10~30cm 두께로 성토한 후, 일정두께의 그물망 형태로 되어 있는 앵커 매트(14)를 설치한다.
상기 앵커 매트(14)는 일정두께를 가지면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헝클어진 망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리적으로 마찰력을 발휘하여 사면 흐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고, 어떠한 악조건의 기후 조건에서도 기본 식생토층(대략 10cm 정도의 두께)의 사면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히 그 구조를 설명하면, 일정두께를 가지면서 망 형태로 되어 있고, 가로세로 직교하여 형성한 수평실사와 상하 불규칙한 파형으로 형성된 수직실사를 결합하여 3방향 구조 보강을 할 수 있도록 입체화시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 매트(14)는 일정 두께의 식생토층의 사면 흐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앵커 매트(14)는 녹화되는 식물의 뿌리와의 결속으로 식생토층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갖게 되는데, 즉 식물의 뿌리가 앵커 매트 사이 사이로 엉킨 형태로 결속되므로, 식물의 뿌리를 포함하는 식생토층과 앵커 매트 간의 결착력이 강화되면서 식생토층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앵커 매트(14)가 사면 전체 면적에 걸쳐 안정되게 자리잡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간격마다 군데 군데 앵커 핀(13)을 설치한다.
이때의 앵커 핀(13)은 그 상단부를 앵커 매트측에 걸려지게 하면서 사면 깊숙하게 박아놓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렇게 사면 깊숙히 박혀 있는 앵커 핀(13)에 의해 앵커 매트(14)의 견고한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결국 앵커 매트(14)를 포함하고 있는 식생토층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보통 앵커 매트는 인장강도 30kN/m 이상, 인장신도 13% 이하, 두께 10mm의 규격을 가지는 폭과 길이가 4.5m×100m의 롤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다음, 4단계 작업으로 상기 다각형 구조물 및 앵커 매트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 핀(13)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구조물과 앵커 매트의 설치시 중간 중간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앵커 핀(13)을 설치하게 되며 이들의 결합설치 후에는 더욱 견고하게 상부로 부터 둘다 지지하는 형태로 깊숙이 박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음, 5단계 작업은 식생초목을 식재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앵커 매트(14) 위에 일정높이의 식생 표토층(15)을 포설하고, 그 위에 조경용 잔디 또는 화초 씨 앗 등을 식재한다.
이때의 식생 표토층(15)은 비료나 영양 성분이 포함된 식생토를 사용하며, 식생초목으로는 시공성이 우수하고 초기 피복 효과가 뛰어난 잔디나 초화류, 공사비가 저렴하고 시공성이 우수한 양잔디, 공사비가 저렴하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다채로운 경관 조성에 유리한 양잔디와 초화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5단계 작업 후에는 시공의 마무리 작업 중의 하나로서, 우수나 지표수가 사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기 위한 측구를 설치한다.
이때의 측구는 사면(10)의 상부와 하부의 각 경계선상에서 사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U형 측구(16)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1단계 내지 6단계 작업을 거치면 허니셀 녹화공법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진 하천 호안 등의 사면(10) 위에 부직포(11), 다각형 구조물(12), 앵커 매트(14), 식생 표토층(15), 식생초목이 차례로 적층 시공되어 있는 녹화 사면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수속도가 빠른 토목섬유 보강재인 부직포 원단 또는 이를 경화가공시킨 것으로 제조된 벌집 모양의 다각형 허니셀과 우수한 마찰력 및 식생 초목의 뿌리와 잘 결속되는 앵커 매트의 구조를 적용하는 허니셀 녹화공법을 구현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①식생초목의 뿌리가 잘 결속되므로 지표수 흐름에 의한 식생토층의 사면 경 계선에서의 쇄굴이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②식생초목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③홍수, 폭우 등의 기상 악조건에서도 식생토층의 유실 및 쇄굴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10~40cm 두께의 사면을 유지할 수 있다.
④관리 및 유지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특히 갈수기에도 10~40cm 두께의 토층이 가지는 수분 보유능력으로 식재된 식물 뿌리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등 관리 및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⑤시공 후 50~60년 이상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⑥공장에서 생산되는 기성품을 사용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⑦잔디, 초화류, 야생화 등의 식재가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녹화 조경을 구현할 수 있는 등 우수한 녹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⑧성토 사면, 절토 사면, 기존 호안 블록 사면, 암반 절개지 사면 등을 친환경적이고 생태공학적으로 조성할 수 있으며, 전국의 모든 하천 사면, 절토 사면에 확장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지표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사면을 따라 부직포를 설치하는 1단계 작업과, 식생토층의 사면 파괴와 쇄굴에 대한 구조 보강을 위하여 부직포 위에 경화 처리된 벌집 모양의 다각형 구조물을 설치하고 각 벌집 모양의 공간에 식생토를 채운 후 다져주는 2단계 작업과, 악조건의 기후조건에서도 기본 식생토층을 유지하기 위하여 식생토가 채워져 있는 다각형 구조물 위에 일정두께를 가지면서 망 형태로 되어 있는 앵커 매트를 설치하는 3단계 작업과, 상기 다각형 구조물 및 앵커 매트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사면에 박혀져 고정되는 다수의 앵커 핀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4단계 작업과, 식생초목의 식재를 위하여 앵커 매트 위에 일정높이의 식생 표토층을 포설하고 조경용 잔디 또는 화초 씨앗을 식재하는 5단계 작업으로 이루어진 호안 블록 사면이나 암반 절개지 사면 등을 녹화하는 공법에 있어서,
    상기 2단계 작업에서의 다각형 구조물은 벽면을 이중으로 구성하되 외벽면은 전체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재질은 고형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벌집 모양으로 형성되고, 외벽면의 내측면에는 부직포를 일체로 부착 형성하여, 다각형 내부의 유수가 부직포를 통과한 후 외벽면의 통공을 통해 투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녹화공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작업에서의 일정두께를 가지면서 망 형태로 되어 있는 앵커 매트는 가로세로 직교하여 형성한 수평실사와 상하 불규칙한 파형으로 형성된 수직실사를 결합하여 3방향 구조 보강을 할 수 있도록 입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녹화공법.
KR1020070031558A 2007-03-30 2007-03-30 허니셀 녹화공법 KR100860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558A KR100860748B1 (ko) 2007-03-30 2007-03-30 허니셀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558A KR100860748B1 (ko) 2007-03-30 2007-03-30 허니셀 녹화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748B1 true KR100860748B1 (ko) 2008-09-29

Family

ID=4002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558A KR100860748B1 (ko) 2007-03-30 2007-03-30 허니셀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74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428B1 (ko) 2008-11-06 2009-12-23 주식회사 골든포우 토립자 구속 벌집형 보강재의 시공방법
WO2011140979A1 (zh) * 2010-05-12 2011-11-17 Chang Yu-Shun 绿化生态布加固方法及结构
CN103821106A (zh) * 2014-02-17 2014-05-28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 小型渔港及河道护岸结构
KR20190034763A (ko)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인우에코텍 식생매트용 대나무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0800502A (zh) * 2019-11-15 2020-02-18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复合自嵌式蜂窝椰糠植生体
CN114960701A (zh) * 2022-06-24 2022-08-30 内蒙古和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陡边坡植被恢复的生态单层可塑性立体网护坡结构
KR102651453B1 (ko) * 2022-10-28 2024-03-26 손백송 복합 지오셀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반 보강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8518A (ja) 1984-03-30 1985-10-21 Aasunikusu Kk ネット材
KR960031716A (ko) * 1995-02-08 1996-09-17 켄고 키모토 형틀용 그물판
JPH10212480A (ja) 1997-01-30 1998-08-11 Tokai Rubber Ind Ltd 地山安定化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装置
KR200235114Y1 (ko) * 2001-03-29 2001-10-10 김달환 벌집형 구조체에 의한 법면 보호구조
KR100467264B1 (ko) 2000-11-30 2005-01-24 (주)한맥기술 대절토사면의 자연 녹지화를 유도하기 위한 구조물
KR200420824Y1 (ko) * 2006-04-19 2006-07-06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 구조
KR100735459B1 (ko) 2006-09-05 2007-07-03 함흥식 경사면의 녹화공법 및 이에 적용되는 녹화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8518A (ja) 1984-03-30 1985-10-21 Aasunikusu Kk ネット材
KR960031716A (ko) * 1995-02-08 1996-09-17 켄고 키모토 형틀용 그물판
JPH10212480A (ja) 1997-01-30 1998-08-11 Tokai Rubber Ind Ltd 地山安定化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装置
KR100467264B1 (ko) 2000-11-30 2005-01-24 (주)한맥기술 대절토사면의 자연 녹지화를 유도하기 위한 구조물
KR200235114Y1 (ko) * 2001-03-29 2001-10-10 김달환 벌집형 구조체에 의한 법면 보호구조
KR200420824Y1 (ko) * 2006-04-19 2006-07-06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 구조
KR100735459B1 (ko) 2006-09-05 2007-07-03 함흥식 경사면의 녹화공법 및 이에 적용되는 녹화구조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428B1 (ko) 2008-11-06 2009-12-23 주식회사 골든포우 토립자 구속 벌집형 보강재의 시공방법
WO2011140979A1 (zh) * 2010-05-12 2011-11-17 Chang Yu-Shun 绿化生态布加固方法及结构
CN103821106A (zh) * 2014-02-17 2014-05-28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 小型渔港及河道护岸结构
CN103821106B (zh) * 2014-02-17 2016-02-17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小型渔港及河道护岸结构
KR20190034763A (ko)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인우에코텍 식생매트용 대나무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0800502A (zh) * 2019-11-15 2020-02-18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复合自嵌式蜂窝椰糠植生体
CN114960701A (zh) * 2022-06-24 2022-08-30 内蒙古和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陡边坡植被恢复的生态单层可塑性立体网护坡结构
CN114960701B (zh) * 2022-06-24 2023-10-31 内蒙古和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陡边坡植被恢复的生态单层可塑性立体网护坡结构
KR102651453B1 (ko) * 2022-10-28 2024-03-26 손백송 복합 지오셀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반 보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KR100860748B1 (ko) 허니셀 녹화공법
EP2556196B1 (en) Method of protecting a soil from erosion
CN108343083A (zh) 一种生态挡土构造
CN108411856B (zh) 一种河道弃渣岸坡生态修复结构及方法
RU2582814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NL2035592A (en) Slope flexible ecological suppor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RU2582813C1 (ru)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е сооружение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114059566B (zh) 一种软岩边坡半刚性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164844B (zh) 一种方格网式有机材护坡结构施工方法
CN215758827U (zh) 一种适用于软弱地基的生态河道护岸
CN215105078U (zh) 生态修复护岸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CN212026135U (zh) 一种滨水步道护坡结构
CN114086507A (zh) 一种高水土保持力的生态驳岸工艺
CN111501788A (zh) 一种植被锚杆固坡结构及方法
CN219653738U (zh) 一种边坡柔性生态支护结构
KR100641583B1 (ko)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KR200442433Y1 (ko) 자연 생태 복원 방법으로 구축한 하상 바닥을 포함하는 도시 하천의 사면 구조
CN220666250U (zh) 一种适用于土质高边坡的生态支护系统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220414274U (zh) 一种露天矿山生态修复浅表含水层构建结构
CN220978073U (zh) 一种虹吸排水式复合树根桩柔性护坡
CN219157536U (zh) 适用于平原河网地区的生态护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