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017B1 -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4017B1 KR100884017B1 KR1020070059297A KR20070059297A KR100884017B1 KR 100884017 B1 KR100884017 B1 KR 100884017B1 KR 1020070059297 A KR1020070059297 A KR 1020070059297A KR 20070059297 A KR20070059297 A KR 20070059297A KR 100884017 B1 KR100884017 B1 KR 1008840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mesh
- inclined surface
- river
- slope
- mes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변 둑과 같은 경사면을 자연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재현할 수 있는 경사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표면을 걷어낸 다음, 상기 경사면의 최하단에 연접하여 있는 하천의 바닥면을 파내고 하천의 길이방향으로 도랑을 형성하고, 상기의 경사면 위에 철망을 배치하고, 다시 상기 하천의 도랑에 철망이나 철망 매트리스를 배치하고, 그 내부에 채움재를 채워넣은 다음 덮개를 체결하며, 그 이후 상기 경사면 위의 철망 사이의 빈공간부를 통하여 식물을 식재하고 마무리 작업을 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경사면에 채움재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식재된 식물이 경사면의 내부 토양에 더욱 잘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고, 작업 이후 집중호우가 발생될 경우에도 물의 유속에 의해 철망이 유실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경사면, 구축방법, 철망, 친환경 공법, 자연복원, 하천, 제방
Description
도 1은 경사면의 정지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하천의 도랑의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제 1 철망 배치단계를 나타내고 있는 측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제 2 철망 배치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들이며,
도 5는 식물의 식재단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사면, 20 : 도랑,
30 : 제 1 철망, 32 : 고정수단,
40 : 제 2 철망, 42: 덮개,
50 : 식물
도 2는 하천의 도랑의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제 1 철망 배치단계를 나타내고 있는 측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제 2 철망 배치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들이며,
도 5는 식물의 식재단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사면, 20 : 도랑,
30 : 제 1 철망, 32 : 고정수단,
40 : 제 2 철망, 42: 덮개,
50 : 식물
본 발명은 경사면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강변 둑과 같은 경사면을 자연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재현할 수 있는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을 구축하거나 절개지 등을 축조하는데 있어서는 하천의 흙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그 위에 시멘트 블럭으로 덮어 시공하거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하기도 한다.
그런데, 시멘트 블럭으로 형성된 호안블럭이나 콘크리트에 의한 시공방법은 제방 등의 축조 이후에 식물들이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전혀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서, 주변환경과 조화되지 못하고 있고, 생태계를 파괴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시공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개비온 돌망태를 이용한 경사면 또는 축벽의 시공방법이다. 개비온 돌망태는 육각형태 또는 사 각형태의 철그물망 패널로 다면체의 구조물을 만들고 그 속에 잡석 등의 채움재를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 철망 구조물이다. 철망 개비온은 철그물망으로 짜여진 개비온의 내부에 자연석, 조약돌, 잡석 등을 채워넣은 다음, 이것을 도로의 절개지, 제방의 침식방지용 매트리스, 교각의 침식방지용 교대, 방파제의 방어벽, 경사면의 옹벽이나 축벽 등의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개비온 돌망태를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은 절개지 또는 경사면을 상당한 정도로 헐어내고, 그 헐어낸 위치에 개비온 매트리스의 베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개비온 매트리스의 내부에 깬돌, 잡석, 폐석 등의 채움재를 채워넣어 석재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철망 덮개를 형성하여 마무리하거나; 또는 상기의 석재층 위에 곧바로 흙을 채워넣거나, 상기 석재층 위에 식물이 생장가능한 지지부재를 깔아놓고 그 위에 흙을 채워넣은 후, 철망 덮개를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그 위에 식물 또는 나무를 식재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개비온 돌망태를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은 개비온 돌망태의 내부에 깬돌, 잡석, 또는 폐석 등의 채움재를 사용하여야 하였으므로, 첫째, 채움재를 얻기 위하여 야산이나 돌산을 헐어내고 그 곳에서 깬돌이나 폐석을 채취하여야 하므로, 오히려 환경파괴적인 측면을 내포하고 있고, 둘째, 깨돌이나 폐석의 수급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작업공정의 지연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작업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며, 셋째, 식물의 뿌리가 자라나게 될 경우, 상기의 채움재가 오히려 뿌리의 성장을 방해하게 되므로, 식물의 활착 및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점을 예시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종래의 개비온을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은 시공 이후 식물이 제대로 활착되거나 성장하지 못한 상태에서 집중호우를 맞이하거나 장마철에 접어들 경우, 시공이 완료된 하천 등에 물이 급속히 불어나 유속이 빨라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하천 바닥의 세굴현상에 의해 하천 바닥 부분으로부터 철망구조물이 벗겨져 버리게 되고, 그와 함께 시공된 경사면이 유실되어지게 되는 현상도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개비온 돌망태를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은, 채움재를 얻기 위하여 환경을 파괴하여야 하는 단점과, 채움재에 의해 식물의 뿌리가 자라날 수 있는 조건을 제약하고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집중호우시에 급작스럽게 불어난 물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사면에 대해서는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되는 경사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된 이후에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급작스럽게 물이 불어난 경우에도, 빨라진 물의 유속에 의해서도 이미 설치된 철망의 구조물이 영향을 받지 않고 시공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경사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변 둑과 같은 경사면을 자연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재현할 수 있는 경사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정지단계와; 상기 경사면의 최하단에 연접하여 있는 하천의 바닥면을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파내고 하천의 길이방향으로 도랑을 형성하는 하천의 도랑 형성단계와; 상기의 정지단계에서 형성된 경사면 위에 철망을 배치하는 제 1 철망 배치단계와; 상기 하천의 도랑에 철망을 배치하거나 철망 매트리스를 배치하고, 그 내부에 채움재를 채워넣은 다음 덮개를 체결하는 제 2 철망 배치단계와; 상기 경사면 위의 철망 사이의 빈공간부를 통하여 식물을 식재하고 마무리 작업을 행하는 마무리단계;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 2 철망 배치단계에서 사용되는 채움재는 경사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을 걷어낸 폐콘크리트 또는 폐호안블록 등의 폐건설자재를 이용하거나, 하천 바닥의 자갈흙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경사면의 정지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10)을 선정하고, 그 경사면의 표면을 걷어낸다.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은 대하천이나 소하천 또는 강변이나 개울 등의 제방이나 둑을 포함한다. 선정된 지역의 경사면은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인공적으로 경사면에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 블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로 나누어볼 수 있다. 만약, 경사면이 콘크리트 블록 등에 의하여 시공되어 있을 경우에는,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인공적인 시공물을 걷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10)의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확보한다. 상기의 토양은 기본적으로 경사면(10)을 이루고 있는 제방이나 둑의 내부 토양을 지칭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블록 등이 시공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것을 걷어내고, 본래의 토양이 드러날 때까지 흙파기를 계속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경사면(10)의 내부 토양이 드러나면, 이를 고르게 정지하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내부 토양을 뒤섞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에 의해 대기와의 호흡이 미약하였던 내부 토양을 뒤섞어줌으로써, 내부토양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10)의 형태에 따라 다단으로 형성할 수 있고, 각 단의 경사각을 달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작업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고, 주변 환경에 조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의 최하단에 연접하여 있는 하천의 바닥면을 파헤쳐서 도랑을 만드는 하천의 도랑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하천의 도랑의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경사면(10)을 형성하고 나서, 그에 연접하여 있는 하천의 바닥면을 파헤치고 상기 경사면(10)을 따라 하천의 길이 방향으로 도랑(20)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도랑(20)은 하천의 바닥면 전체가 아니라, 상기의 경사면(10)의 아래쪽에 하천과 연접해 있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상기 경사면(10)의 위에 설치되어지는 제 1 철망(30)을 하천의 바닥 부위에서 견고하게 붙들어줌과 동시에, 하천의 세굴현상에 의해 상기 제 1 철망(30)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아래의 제 2 철망(40)과의 관계에서 더욱 구체화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도랑(20)은 바닥면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파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천의 길이방향으로 하천의 경사면(10)을 따라 파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랑(20)의 깊이는 작업을 행하는 하천이나 강의 세굴현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세굴현상이 심한 경우에는 1 미터 내지 3 미터의 깊이가 바람직한 반면에, 세굴현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10 센티미터 내지 50 센티미터의 깊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정지단계에서 형성된 경사면 위에 철망을 배치하는 제 1 철망 배치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상기의 제 1 철망 배치단계를 나타내고 있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철망(30)은 그 표면이 정리된 경사면(10)의 위에 직접 설치되어진다. 상기의 제 1 철망(30)은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이 서로 교차하거나 서로 꼬여져서 4각형상의 망눈이나 5각형상의 망눈 또는 6각형상의 망눈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 1 철망(30)은 상기 경사면(10)의 위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하천의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도랑(20)의 내부에도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상기 제 1 철망(30)이 아래의 제 2 철망(40)과의 상호 결합관계를 형성함을 의미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 1 철망(30)은 상기의 망눈을 형성하는 철선들에 의하여 앞으로 자라나게 될 식물들이 호우 또는 범람하는 하천수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반면에, 상기 망눈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부를 통하여 대지 및 식물들이 대기중의 공기와 태양의 햇살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 1 철망(30)은 경사면(10)에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고정수단(32)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32)으로는 말뚝이나 고정쇠가 바람직하고, 특히 2개의 못이 서로 어긋나게 박히는 앵커부재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고정수단(32)은 상기 제 1 철망(30)을 경사면에 고정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그 외에 경사면이 넓을 경우, 아래쪽의 경사면과 위쪽의 경사면을 구분하는 식별자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의 기능이라 함은 식물을 식재할 경우, 경사면의 아래쪽으로서 하천의 바닥면에 인접한 쪽에는 하천의 바닥면에서 서식하는 수생식물 또는 그와 비슷한 종류를 식재하고, 하천의 중간 또는 위쪽에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의 종류를 식재하거나, 주변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선정된 식물의 종류를 식재할 수 있는 표지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제 1 철망(30)은 경사면(10)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경사면(10)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에 맞추어 다단으로 배치되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하천의 도랑에 철망을 배치하거나 철망 매트리스를 배치하고, 그 내부에 채움재를 채워넣은 다음, 덮개를 체결하는 제 2 철망 배치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상기의 제 2 철망 배치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이때, 도 4a는 제 2 철망(40)이 개비온 박스일 경우에 도랑(20)의 내부에 배치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상기의 개비온 박스가 도랑(20)의 내부에 완전히 배치된 상태에서 채움재를 넣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c는 상기의 개비온 박스에 채움재를 완전히 채워넣고 그 위로 덮개를 덮고 완전히 매몰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 2 철망 배치단계는 상기 경사면(10)의 위에 설치된 제 1 철망(30)이 하천 바닥의 세굴현상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행되어진다. 통상적으로 경사면 위의 제 1 철망(30)은 말뚝이나 앵커링에 의하여 경사면(10)에 고정되고 있다. 그러나, 집중호우가 발생되거나 장마철에 급격하게 물이 불어나게 되면, 심한 유속에 의해 바닥면이 세굴되어지고, 세굴되어진 부분에서는 제 1 철망(30)의 끝단이 하천의 물에 노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철망(30)의 노출된 부위에는 물에 떠밀려 내려온 풀, 나무, 비닐 등의 쓰레기들이 걸쳐있게 되고, 이들은 또다시 다른 쓰레기들을 모아들여 물의 유속에 저항하게 된다. 그렇지만, 물의 유속이 더욱 세어지게 되면, 불어난 물은 이들을 더욱 아래쪽으로 밀어내게 되고, 불어난 물의 유속을 더 이상 이겨내지 못한 쓰레기들과 상기 제 1 철망(30)의 끝단은 아래쪽으로 다시 떠밀려 내려가게 된다. 결국, 경사면(10)에 고정된 제 1 철망(30)은 불어난 물의 유속을 견디지 못하고, 그 끝단에서부터 위쪽으로 홀라당 벗겨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 2 철망(40)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그 이유는 아래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 2 철망(40)은 역시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이 서로 교차하거나 서로 꼬여져서 4각형상의 망눈이나 5각형상의 망눈 또는 6각형상의 망눈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을 매트리스 형태 또는 박스 형태로 미리 재단하여 가공한 개비온 박스 또는 개비온 매트리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제 2 철망(40)은 식물의 식재와 직접 관련된 것은 아니므로 반드시 철망을 사용할 필연적인 사유는 없지만, 효율적인 작업수행과 자재의 간편성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원재료임에는 틀림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 2 철망(40)은 하천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도랑(20)의 내부에 배치되어진다. 상기의 제 2 철망(40)은 상기 경사면(10)에서 연장되어 내려온 상기 제 1 철망(30)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철망(30)이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철망(40)이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배치될 경우에도, 상기 제 2 철망(140)의 내부에 채워질 채움재가 이들을 모두 지긋이 눌러주게 되므로, 그 배치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도랑(20)은 위쪽이 열려있고 U자형 벽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의 제 2 철망(40)이 도랑의 내부에 배치될 경우, 상기 제 2 철망(40)은 역시 그 내부에 U자형 빈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 2 철망(40)은 상기의 제 1 철망(30)에 연장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엔, 상기의 제 1 철망(30)이 계속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랑의 U 자형 내부를 모두 포함하여 연장되어지고, 더욱 덮개(42)의 부분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철망(40)의 U자형 빈공간에는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의 조각 또는 폐콘크리트 조각 등을 채움재로서 채워넣는다. 상기의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의 조각은 종래의 경사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을 걷어낸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 등을 걷어내었을 경우, 폐건설기자재로서 이를 별도의 절차와 비용으로 폐기처분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폐건설기자재를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만약,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을 활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변이나 하천의 자갈돌을 그대로 이용하면 족하고, 별도의 깬돌을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다. 이는 본 발명의 채움재가 하천의 바닥면 아래쪽에 위치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채움재로 인한 미감을 고려할 필요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단지 상기 제 2 철망(또는 제 1 철망)을 지긋이 눌러주면 족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제 2 철망(40)은 그 내부에 채움재를 채워넣고, 그 위쪽을 덮개(42)의 철망으로 덮어주고 이를 체결하게 된다. 덮개 철망의 체결방식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42)를 덮는 것은 그 내부에 채워져 있는 채움재들이 밖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덮개(42)의 위쪽에는 다시 하천의 바닥면에 있는 흙이나 자갈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덮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천의 바닥은 통상적인 바닥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되고, 그 위로 다시 물이 흘러가게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철망 사이의 빈공간부를 통하여 경사면에 식물을 식재하고 작업을 종료하는 식물의 식재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도 5는 상기 식물의 식재단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50)은 주변의 자연환경에 조화를 이루는 품종을 선택할 수도 있고, 새롭게 조성될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식물품종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식물(50)은 씨앗을 뿌려서 발아시키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어느 정도 자라난 상태에서 경사면에 식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씨앗의 형태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위에 다시 흙을 뿌려줄 필요가 있겠지만, 이미 자라난 식물을 사용할 경우엔 그러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식물(50)은 단일의 품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2 종 이상을 사용할 경우에는, 하천의 바닥에 가까운 부분에는 수생식물에 적합한 종류를 선택하고, 하천의 바닥에서 멀리 떨어진 부분에는 다른 식물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경사면 정지단계 이후에 경사면의 표면에 식생부직포를 깔아두고 그 위에 상기의 제 1 철망(30)을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생부직포는 토양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어 식물의 영양원이 될 수 있는 식물성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식생부직포는 일단 작업이 완료된 이후 집중호우가 발생될 경우, 스며든 빗물에 의해 내부의 경사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1차적인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제 1 철망의 빈공간부에 식재된 식물들이 뿌리를 내려 자라나게 될 경우에는 경사면의 유실 방지의 목적보다는 상기의 식물들의 영양원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2차적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상기 식생부직포는 볏짚이나 야자수 껍질 등을 이용한 제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경사면의 내부에 철망을 설치하면서 상기 철망의 내부에 채움재를 채워넣지 않으므로, 식물을 식재하였을 경우에, 그 뿌리가 경사면에 이르기까지 채움재에 의한 방해를 전혀 받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식물의 활착 및 성장에 더욱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채움재를 채워넣지 않으므로, 시공을 위하여 채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경사면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걷어내고 새롭게 경사면을 구축하게 될 경우, 먼저 걷어낸 콘크리트 블록 등의 폐건설재료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한편으로는 환경보전을 더욱 기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공비용을 더욱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연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경사면(10)을 선정하고 그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정지단계와;상기 경사면(10)의 최하단에 연접하여 있는 하천의 바닥면을 파내고, 상기 경사면(10)을 따라 하천의 길이방향으로 도랑(20)을 형성하는 하천의 도랑 형성단계와;상기의 정지단계에서 형성된 경사면(10)의 위에 제 1 철망(30)을 배치하고, 상기의 제1 철망(30)을 상기 도랑(20)의 내부에 이르기까지 연장하여 배치하고, 상기의 제 1 철망(30)을 경사면(10)에 고정하는 제 1 철망의 배치단계와;상기 하천의 도랑(20)에 철망을 배치하거나 철망 매트리스를 배치하고, 상기의 철망 또는 철망 매트리스의 내부에 채움재를 채워넣은 다음, 상기의 철망 또는 철망 매트리스에서 연장되어 있는 덮개(42)를 상기의 채움재 위에 덮어서 체결하는 제 2 철망의 배치단계와;상기 경사면(10) 위의 제 1 철망(30)의 빈공간부를 통하여 식물(50)을 식재하고 작업을 종료는 식물의 식재단계;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연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의 경사면 정지단계는 상기의 경사면(10)을 다단으로 형성한 다음 제 1 철망(30)을 배치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연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의 제 1 철망 배치단계는 제 1 철망(30)으로서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이 서로 교차하거나 서로 꼬여져서 4각형상의 망눈이나 5각형상의 망눈 또는 6각형상의 망눈을 형성한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 자연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도랑(20)의 내부에 설치된 제 2 철망(40)은 상기의 경사면에서 연장되어 내려온 제 1 철망(30)과 겹쳐지도록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연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의 제 2 철망(40)은 상기의 경사면(10)에서 연장되어 내려온 제 1 철망(30)과 동일한 일체형 철망으로서, 상기의 경사면(10)에서 더욱 연장되어 상기 도랑(20)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연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철망의 배치단계는 상기 도랑(20)의 내부에 배치된 철망의 내부에 채움재를 넣어 주되, 상기의 채움재는 경사면(10)에서 걷어낸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의 조각 또는 폐콘크리트 조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연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철망(30)의 아래쪽과 경사면(10)의 표면 사이에 식생부직포를 깔아두고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연복원형 경사면의 구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9297A KR100884017B1 (ko) | 2007-06-18 | 2007-06-18 |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9297A KR100884017B1 (ko) | 2007-06-18 | 2007-06-18 |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1218A KR20080111218A (ko) | 2008-12-23 |
KR100884017B1 true KR100884017B1 (ko) | 2009-02-17 |
Family
ID=4036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9297A KR100884017B1 (ko) | 2007-06-18 | 2007-06-18 |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401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5148B1 (ko) | 2012-08-22 | 2012-12-24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계안 복원을 위한 매트리스형 식생기반재 돌망태 공법의 계안사면 피복 안정 효과 분석방법 |
KR20200041483A (ko) * | 2018-10-12 | 2020-04-22 | 김용원 | 논물 수위 조절 장치 |
KR102437529B1 (ko) | 2021-12-15 | 2022-08-26 | 김병구 | 우드 식생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8063A (ko) * | 2004-06-30 | 2004-07-30 | 안은홍 | 식생 매트리스 게비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 매트리스 |
-
2007
- 2007-06-18 KR KR1020070059297A patent/KR1008840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8063A (ko) * | 2004-06-30 | 2004-07-30 | 안은홍 | 식생 매트리스 게비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 매트리스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5148B1 (ko) | 2012-08-22 | 2012-12-24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계안 복원을 위한 매트리스형 식생기반재 돌망태 공법의 계안사면 피복 안정 효과 분석방법 |
KR20200041483A (ko) * | 2018-10-12 | 2020-04-22 | 김용원 | 논물 수위 조절 장치 |
KR102215357B1 (ko) * | 2018-10-12 | 2021-02-15 | 김용원 | 논물 수위 조절 장치 |
KR102437529B1 (ko) | 2021-12-15 | 2022-08-26 | 김병구 | 우드 식생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1218A (ko) | 2008-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0027B1 (ko) |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 |
CN106869146A (zh) | 一种草毯生态景观护坡系统及施工方法 | |
KR100860748B1 (ko) | 허니셀 녹화공법 | |
WO2017052473A1 (en) | A ba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KR20160012390A (ko) |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근고공 일체형 친환경 식생호안 및 그 시공방법 | |
KR100648884B1 (ko) |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 |
KR100884017B1 (ko) |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 |
CN109505301A (zh) | 钢纤维生态水泥加固消落带边坡的结构及施工方法 | |
KR100671902B1 (ko) |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 |
KR100350423B1 (ko) | 식생 흙벽돌 및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공법 | |
CN206591533U (zh) | 草毯生态景观护坡系统 | |
KR20040008385A (ko) | 식물자생용 돌붙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0381254B1 (ko) | 트렌치를 이용한 하천의 식생호안 시공방법 | |
RU2351708C1 (ru) |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откосного крепления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 |
KR101525942B1 (ko) | 표층개량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 옹벽공법 | |
KR100427226B1 (ko) |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 |
KR20090075476A (ko) | 사면녹화공법 | |
KR20120034970A (ko) | 게비온 블럭 및 게비온 블럭 제조 방법 | |
KR100496118B1 (ko) |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 |
Schiechtl | FAO watershed management field manual: vegetative and soil treatment measures | |
CN212200254U (zh) | 一种生态护岸结构 | |
KR100531213B1 (ko) | 식재가 가능한 석축의 시공방법 | |
KR100680035B1 (ko) |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 |
JP5699291B2 (ja) | 植生工法 | |
JPH08199529A (ja) | 河川用覆土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ト覆土ブロック護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