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226B1 -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 Google Patents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226B1
KR100427226B1 KR1020020066612A KR20020066612A KR100427226B1 KR 100427226 B1 KR100427226 B1 KR 100427226B1 KR 1020020066612 A KR1020020066612 A KR 1020020066612A KR 20020066612 A KR20020066612 A KR 20020066612A KR 100427226 B1 KR100427226 B1 KR 10042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gabion
soil
ba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수
백운창
Original Assignee
홍인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인건설(주) filed Critical 홍인건설(주)
Priority to KR102002006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절개지의 사면이나 하천, 호안 등에 구축하는 돌망태 공법에 있어서, 특수 가공 처리한 지오 부직포를 이용하여 원지반(6) 위에 포설함과 동시에 식생백(4)을 제조한 후, 갯버들이나 갈대 등 주변환경과 어울리는 적절한 나무나 풀(풀씨)을 식재한 식생백(4)을 돌망태(1)와 돌망태(1) 사이 또는 돌망태(1)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제방의 부등침하를 방지하고 세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 할 뿐 아니라 토사유실을 방지하면서 공사 후 빠른 시일 내에 주변환경과 어울리는 식생대를 조성하는 환경 친화적인 돌망태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식생백(4) 내부에 포함하는 흙의 재료는 원지반(6)의 흙과 준설토, 배양토, 보습제 등을 포함하며, 현장 제조하거나 미리 식생한 식생백(4)을 사용하여 현장녹화가 가능한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The stone wire-net friendly relations with environment}
본 발명은 하천이나 해안, 호안, 수로, 절개지 등의 사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설되는 돌망태 공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돌망태 내부에 보다 쉽게 나무나 풀 등이 식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줌으로써 돌망태 고유의 기능인 사면보호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주변의 환경과 잘 어울릴 수 있도록 한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현장에서 하천의 제방이나 바닥면을 보호하고 도로의 경사면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낙석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돌망태가 사용되고 있는 바, 통상 돌망태는 경사지의 토지를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그 내부에 무겁고 큰돌을 넣어 만들고 있다.
즉, 종래 하천의 제방에 설치하는 돌망태는 부직포를 지표면에 포설하고 금속이나 플라스틱재료로 코팅된 철사망 속에 돌을 채워 시공함으로써 하천수의 수압이나 유속에 견딤으로써 지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돌망태는 통상 철망 등으로 만들어진 망태의 내부에 무거운 돌을 넣어 만들기 때문에 돌의 무게로 인하여 취급과 설치가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돌망태를 이용한 제방의 보호방법은 장마철과 같이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돌망태에 담겨진 돌들 사이로 침투된 빗물로 인해 지반이 침하되거나 붕괴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돌망태 공법에 있어서는 돌과 돌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여 식생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고,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설하는 부직포는 원지반에서 유출되는 유출수의 배출은 가능하나 식물의 뿌리나 생물의 토양생물의 통로를 차단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점으로는 철망의 부식이나 노후로 인하여 파손될 경우 홍수나 파도 등의 수압에 의해 돌망태 내부의 돌이 유출되어 둑이나 제방이 유실될 염려를 배제할 수 없었다.
한편, 이러한 돌망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제방 등의 경사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여 마감하는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빗물의 침투로 인해 지반이 침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으나, 상기의 돌망태로 시공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시공 후의 환경이 지나치게 황량할 뿐만 아니라 딱딱하게 느껴져 친자연적인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돌망태나 콘크리트 블록은 그 자체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두껍고 무거운 돌망태와 콘크리트 블록이 지표면을 완전히 대기와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돌망태나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한 장소에는 돌이나 콘크리트 블록만이 노출되어 황량한 환경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경사지의 흙이나 제방의 둑을 보호하면서도 식물이 생장할 수 있게 하여 친환경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한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내 특허공개 제2001-7665호의‘경사면 구축방법’에 따르면, 철망태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의 내부에 제방 등의 흙을 지지보호하기 위한 석재를 채우고, 이 석재층 위에 식물의 생장을 위한 지지부재와 흙을 차례로 덮은 후, 다시 철망으로 이루어진 덮개로 흙을 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사면 구축방법에 따른 구조는 돌망태의 내부에 채워진 석재층이 제방 등의 경사면 흙이 유실되지 않게 보호해 줄 수 있는 기능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나, 이 석재층 위에 덮은 지지부재와 흙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덮개로 덮어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마철의 많은 빗물이나 개천의 물에 의해 쉽게 쓸려져 나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발명에 따른 경사면 구축방법은 철망에 담긴 석재층에 의해 경사면의 흙은 보호할 수가 있어도 이 석재층 위에 쌓여진 지지부재와 흙이 강물이나 빗물에 의해 쉽게 유실될 수가 있어 상기 지지부재와 흙에 심어진 식물이 튼튼하게 지탱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발명에 따른 경사면 구축방법을 이용하여 설치하여 만든 돌망태는 설치한 초기에는 식물이 제대로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장마가 지거나 큰물이 한 번만 지나가도 식물이 생장하기 위한 지지기반이 유실되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국내 특허공개 제2001-26934 호에 따르면, 돌망태와 콘크리트로 테두리를 형성시키고, 그 테두리의 공간 내부에 종자가 포함된 흙 등을 채워 넣은 다음, 이 흙을 보호하기 위한 망을 씌워 로프 등으로 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 발명의 돌망태 역시 상기에서 살펴본 발명에서와 같이 종자가 포함된 흙이 많은 물에 의해 쉽게 쓸려져 나간다는 단점을 그대로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방 등의 경사지를 안전하게 덮어줄 수 있는 보호수단이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돌망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 상기의 특허들과 다른 방법으로서, 철망을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이나 큰돌 또는 목재 등으로 맞대어 붙이지 않고 약간의 간격을 두고서 경사면에 배치시킨 다음, 이들 콘크리트 블록 등의 사이에 흙을 채워 넣고, 이 흙에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게 한 구조로 된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따른 경사면 구축방법 역시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채워진 흙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시공방법 역시 어려워 효과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망태 내부에 별도의 식생층을 설치하는 돌망태 공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즉, 이러한 돌망태 공법으로는 종래 "식생망태"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1-20761호(2001.7.10.출원)와 "친환경 돌망태"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1-33592호(2001.11.2.출원) 등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식생망태 및 친환경 돌망태의 경우, 별도의 식생층을 설치함에 따른 작업성이 떨어지고, 보수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돌망태 공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해결하기 위한 시공방법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거나 권리를 양도받아 보유하고 있는 특수가공 처리한 지오 부직포를 이용하는 방법들이 이미 개시된 바 있다.
즉, 본 출원인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등록번호 제305773호(2001.8.2.등록, 명칭: 토목용 부직포 흙벽돌 및 그 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특허등록번호 제317471호(2001.11.30.등록, 명칭: 식생 및 토사유출 방지용 블록과 그시공방법), 특허등록번호 제317472호(2001.11.30.등록, 명칭: 사면 보호용 조경블럭 및 그 시공방법),특허등록번호 제325882호(2002.2.9.등록, 명칭: 식생이 가능한 조경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특허등록번호 제350423호(2002.8.14.등록, 명칭: 식생 흙벽돌 및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공법) 등은 종래 돌망태 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공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특허들에는 하천의 제방이나 토목공사용 돌망태 속에 부직포를 이용한 배양토를 담은 인공 또는 천연망태를 설치하는 공법이 개시된 바가 있으나, 상기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 천공을 하지 않고 사용할 때에는 식생망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고, 다른 섬유는 대부분 특정한 방향으로 직조되었기 때문에 홍수나 장기 노출 시에 노화되어 흙이 노출되거나 수류에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비해 상기 지오 부직포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가는 실을 방향성이 없게 직조한 것으로써 수명이 길게는 10년 이상 견딜 수 있는 재질이며, 섬유와는 다르게 어떠한 방향으로도 동일한 응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토목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천공을 하지 않는 경우에 초본류나 목본류의 뿌리가 쉽게 부직포를 통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 중에는 부직포에 미세한 천공을 하고 적절한 형태로 만들어 이용하는 방법들을 개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 중 지오 부직포를 이용하여 식생이 가능한 돌망태 공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이를 좀더 보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돌망태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첫째,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초본류나 목본류의 식생이 가능하고 다년생 식물의 식생이 가능 할 것.
둘째, 우천이나 하천수로 인하여 토사의 유출이나 씨앗 등 생물의 유실이 없을 것.
셋째, 기존의 공법과 특허에 비하여 공사비가 저렴하며, 시공이 간편할 것.
넷째, 갈수기에도 식물이 활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분공급이 이루어질 것 등의 조건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돌망태 내부에 미세한 천공이 뚫린 지오 부직포로 이루어진 식생백을 넣어 보다 쉽게 나무나 풀 등이 식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줌으로써, 돌망태 고유의 기능에 더불어 주변과 어울리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백 내부의 수분이 쉽게 건조되지 않아 식재한 식물이 오래 견딜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단시간 내에 식생백에 식재한 식물 뿌리가 원지반 속으로 활착 됨으로써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기존 돌망태에 식생백 한가지만 첨가함으로써 시공비가 저렴하고 간편하여 보수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오 부직포 식생백을 설치한 돌망태의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오 부직포 식생백을 설치한 돌망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오 부직포 식생백을 설치한 돌망태의 종단면도,도 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 공법에 대한 실험 현장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으로써, 각각 도 4는 식생실험을 하는 하우스의 외부전경, 도 5는 식생실험을 하는 하우스의 내부전경, 도 6은 식생매트에 나무를 식재한 상태, 도 7은 식생매트에 잔디를 식재한 상태, 도 8은 잔디뿌리가 원지반에 활착된 상태, 도 9는 식생매트 위에 모래를 덮은 평면 모습, 도 10은 식생백이 사면지에 식재된 상태, 도 11은 사면지에 식재된 식생백을 측면에서 본 모습, 도 12는 돌망태에 식생백을 식재한 상태, 도 13은 돌망태 사이에 놓인 식생백의 모습, 도 14는 돌망태 속에 놓인 식생백의 모습, 도 15는 식생백의 형태를 보여주는 모습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돌망태 2 : 철망
3 : 돌 4 : 식생백
5 : 목본류나 초본류의 식생물 6 : 원지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개지 사면이나 하천, 해안, 호안 등에서 사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철망 내부에 돌을 넣어 형성된 각종 돌망태를 축조하는 돌망태 공법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 시공 부위에서 각종 초본류나 목본류가 잘 식생할 수 있도록 원지반의 흙이나 준설토, 토사와 같은 흙, 모래를 50 내지 80 중량%, 배양토 20 내지 30 중량%, 셀룰로즈나 아크릴 수지 분말을 사용한 보습제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지오 부직포로 이루어진 자루에 넣고 밀봉한 다음, 이 자루의 외주면을 미세하게 천공하여 식생백으로 제작하고, 상기 식생백을 돌망태 내의 돌과 돌 사이에 설치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석재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채워 둑이나 제방을 축조하거나 절개지 등의 사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재망 구조의 돌망태에 있어서, 각종 돌망태(타원형, 원형, 사각형, 이불형, 옹벽형 등)에 돌을 채우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가지 모양의 식생백을 배치하여 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생백은 미세하게 천공된 지오 부직포를 소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분과 토사, 그리고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보습제가 유출되지 않아 식물이 잘 자라고 번식할 수 있으며, 수압이나 일광에 노출되어도 쉽게 찢어지거나 노후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돌망태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돌망태와 돌망태 사이에 상기 지오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백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생백에 초본류를 식재하는 경우, 상기 식생백 상부에 미리 초본류의 종자를 골고루 뿌려주고 흙을 얇게 덮어서 종자를 발아시키는 선식생법이나, 공사현장에서 직접 공사 후에 종자를 파종하고 흙을 덮어 발아시키는 방법 혹은 공사현장 주변의 초본류를 식생백 위에 옮겨놓아 활착하도록 하는 후식생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생백에 목본류를 식재하는 경우, 계절에 따라 갯버들이나 개나리, 수양버들 등의 꺾꽂이가 가능한 목본류를 공사 후에 식재하는 방법과 여러 가지 요구되는 목본류의 묘목을 식재하여 시공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돌망태 공법에 대해 참조도면을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 지오 부직포 식생백을 설치한 돌망태의 횡단면도, 평면도,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 공법은 석재나 콘크리트 구조물을 채워 둑이나 제방을 축조하거나 절개지 등의 사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망(2) 구조의 돌망태(1)에 있어서, 각종 돌망태(1; 타원형, 원형, 사각형, 이불형, 옹벽형 등)의 철망(2)에 돌(3)을 채우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초본류나 목본류와 같은 식생물(5)을 식재한 여러 가지 모양의 식생백(4)을 배치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일반적으로 돌망태(1)로 사용되는 재질은 아연도금이나 플라스틱도금이 된 철망(2)을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돌망태(1)가 물에 잠기는 부분에는 돌(3)과 돌(3) 사이에 수생식물을 식재한 식생백(4)을 설치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에는 필요에 따라 초본류나 목본류와 같은 식생물(5)을 식재한 식생백(4)을 차례로 돌망태(1) 속에 넣으면서 돌(3)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식생백(4)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오 부직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상의 자루 형태로 제작되고, 그 외주면에 미세한 천공을 형성하는 구조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식생백(4)의 개구 부분은 핸드미싱으로 마감하여 식생백(4) 내부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지오 부직포로 이루어진 식생백(4)을 미세하게 천공함으로써, 초본류나 목본류와 같은 식생물(5)의 뿌리가 천공을 통해 원지반(6)에 활착 되게 되어 홍수 시에 수류에 유실되거나 건기에도 잘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식생백(4)의 밑면이 원지반(6)에 안치되도록 하여 뿌리가 원지반(6)으로 뻗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식생백(4)의 모양이나 수량은 돌망태(1)의 길이나 공사현장의 특성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식생백(4)은 그 목적에 따라 원통형, 육면체형과 같은 모양이나 크기를 다르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천공의 모양이나 위치도 필요에 따라 다르게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식생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식생백(4) 속에 넣는 흙의 조성, 식생백(4)에 식재되는 초본류나 목본류와 같은 식생물(5)의 식재 방법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4) 속에 넣는 흙의 조성에 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식생백(4)에 넣는 흙의 조성은 원지반(6)의 흙을 60 내지80 중량%, 배양토 10 내지 30 중량%, 보습제 1 내지 10중량%를 잘 섞어서 사용한다.
이때, 상기 보습제(SAM)로는 셀룰로즈나 아크릴 수지 분말을 사용하는데, 수분을 자기중량의 100 내지 500배를 흡수하는 물질로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였다가 건기에도 식물이 견딜 수 있도록 수분을 보습하는 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그리고, 상기 보습제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하여 흙에 포함된 수분의 증발을 막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보습제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 식생백(4)의 큰 특징 중의 하나로서, 식생백(4)에 포함된 보습제가 수분을 흡수하였을 시에 부피의 팽창으로 인하여 돌망태(1) 사이에 끼어놓은 식생백(4)이 수류에 쓸려나가는 염려를 배제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원지반(6)의 흙 대신 하천이나 담수의 준설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준설토를 사용할 경우에는 통기성이나 배수성, 보습력을 갖추어 초본류나 목본류가 잘 생장할 수 있도록 하천의 모래나 양질의 토양을 섞어서 사용한다.한편, 도 4내지 도 15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식생백(4) 속에 넣는 흙의 조성비율에 관련된 식생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개나리를 꺾꽂이 하거나 잔뿌리가 있는 목본류를 상기 식생백(4)에 식재하여 장기간 실험한 결과 아래 표와 같은 결과치를 얻었다.상기 표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원지반의 흙(토양)과 배양토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식생식물의 영양 상태가 좋아 활착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특히, 원지반의 흙과 배양토의 전체적인 혼합비율을 고려할 때 보습제는 10중량% 미만으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또한 상기 보습제로 인해 장기간 동안의 보습력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 함으로써, 가뭄 시에 보습제에 함유된 물이 흙으로 옮겨진 다음 흙의 물을 영양분과 함께 흡수하는 방법이 자연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와 같이 상기 보습제는 가뭄 시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 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4)에 초본류나 목본류와 같은식생물(5)을 식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초본류나 목본류와 같은 식생물(5)의 식생방법은 선식생법과 후(현장)식생법으로 나눌 수 있다.
초본류의 선식생법은 상기 식생백(4) 상부에 초본류의 종자를 골고루 뿌려주고 흙을 얇게 덮어서 종자를 발아시키는 방법으로 시공 즉시 녹화의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후식생법은 공사 후에 종자를 파종하고 흙을 덮어 발아시키거나, 혹은 공사현장 주변의 초본류를 식생백(4) 위에 옮겨놓아 활착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어느 것을 선택해도 무방하다.
특히, 돌망태(1)가 물에 잠기는 부분에는 수생식물을 옮겨 심거나 미리 활착시켜 시공하여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본류의 식재방법은 계절에 따라 갯버들이나 개나리, 수양버들 등의 꺾꽂이가 가능한 목본류를 공사 후에 식재하는 방법과 여러 가지 요구되는 목본류의 묘목을 식재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식재하는 초본류나 목본류와 같은 식생물(5)의 선택은 공사현장의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택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4) 속에 넣는 흙의 조성 및 식생백(4)에 초본류나 목본류와 같은 식생물(5)의 식재 방법 등을 살펴보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4)을 이용한 돌망태 공법에서 식생백(4)의 삽입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통상적으로 돌망태(1)를 축조하기 위해서는 절개지나 하천의 둑의 사면이 홍수나 수압에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원지반(6) 위에 부직포를 포설한다.
이때, 상기 부직포에는 미세하게 천공함으로써, 초본류나 목본류와 같은 식생물(5)의 뿌리가 천공을 통해 원지반(6)에 활착 되게되어 홍수 시에 수류에 유실되거나 건기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부직포 위에 돌망태(1)를 축조하게 되는 데, 상기 돌망태(1)로 사용되는 재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아연도금이나 플라스틱도금이 된 철망(2)이 사용되고, 이 철망(2) 속에 돌(3;잡석)을 넣어 축조하게 되는 바,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돌(3)을 넣을 때 돌(3)과 돌(3) 사이에 상기한 본 발명의 식생백(4)을 배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만약 돌망태(1)가 축조되는 곳이 물에 잠기는 부분일 경우에는 돌(3)과 돌(3) 사이에 수생식물을 식재한 식생백(4)을 설치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에는 필요에 따라 초본류나 목본류를 식재한 식생백(4)을 차례로 돌망태(1) 속에 넣으면서 돌(3)을 채우도록 한다.
특히, 상기 식생백(4)을 돌망태(1) 속에 배치할 때, 식생백(4)의 밑면이 원지반(6)에 안치되도록 하여 뿌리가 원지반(6)으로 뻗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식생백(4)의 모양이나 수량은 돌망태(1)의 길이나 공사현장의 특성에 따라 임의로 정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돌망태(1)와 돌망태(1) 사이에 식생백(4)을 안치하는 경우에는 다른 돌망태(1)를 설치하기 전에 식생백(4)을 안치함으로써 홍수 시에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돌망태(1) 축조물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돌망태 (1)내부에 식생백(4)을 직접 삽입하는 것이 시공 작업상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돌망태(1)와 돌망태(1) 사이에 식생백(4)을 안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형이나 타원형의 기존 설치된 돌망태(1)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식생백(4)을 돌망태(1)와 돌망태(1) 사이에 눕혀서 설치하고 철사로 고정하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망태(1) 속이나 돌망태(1)와 돌망태(1) 사이에 안치되는 식생백(4)의 선택은 원통형이나 자루형의 것이 좋으며, 식생백(4)이 놓여지는 위치의 모양에 따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돌망태 공법에서 식생백(4)을 사용하고, 특히 초본류를 선식생한 식생백(4)을 사용할 경우, 시공 즉시 녹화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돌망태(1)가 축조되는 부직포에 미세한 천공을 하고 포설 함으로써, 풀이나 나무뿌리가 원지반(6)까지 뻗어 지지될 수 있는 상태가 가능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나무나 풀, 혹은 풀씨를 식재한 흙을 담은 식생백(4)을 돌(3)과 돌(3) 사이에 넣어 시공함으로써, 풀이나 나무 뿌리가 원지반(6)으로 뻗어들어 가며 식생이 가능하게 되며, 돌(3)과 돌(3) 사이로 나무나풀이 자람으로써 주변과 어울리는 환경을 조성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철망(2)이 부식되더라도 상기와 같이 천연적인 식생대가 형성됨에 따라 절개지 사면의 토사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특수 가공 처리한 지오 부직포를 이용하여 원지반(6) 위에 포설함과 동시에 식생백(4)을 제조한 후, 갯버들이나 갈대 등 주변환경과 어울리는 적절한 나무나 풀(풀씨)을 식재한 식생백(4)을 돌망태(1)와 돌망태(1) 사이 또는 돌망태(1)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제방의 부등 침하를 방지하고 세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 할 뿐 아니라 토사유실을 방지하면서 공사 후 빠른 시일 내에 주변환경과 어울리는 식생대를 조성하는 자연 친화적인 돌망태 공법인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이나 해안, 호안 등의 둑이나 절개지 사면에 돌망태를 구축함에 있어서, 미세하게 천공된 부직포를 포설하고, 각종 초본류나 목본류와 같은 식생물을 식재 가능한 식생백을 제작하여 돌망태 속에 적용함으로써, 돌망태 축조 후 즉시 녹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돌망태 공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미세하게 천공된 부직포를 사용함은 식물의 뿌리가 원지반으로 활착되어 홍수 시에도 토사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토양생물의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식생백에 보습제를 사용함으로써, 건기에도 식생백 내부의 수분이 쉽게 건조되지 않아 식재한 식물이 오래 견딜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단시간 내에 식생백에 식재한 식물 뿌리가 원지반 속으로 활착 됨으로써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즉시 녹화가 가능한 환경 친화적이며 반영구적인 공법인 것이다.
또한, 돌망태가 물 속에 잠기는 부분은 수중식물을 식재 함으로써,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식물이 성장 번식하면 장기적으로 홍수시 돌과 돌 사이에 토사가 점차적으로 쌓여 돌망태 전체에 목초본류의 자연형 식생대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돌망태에 식생백 한가지만 첨가함으로써, 시공비가 저렴하고 간편하여 보수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절개지 사면이나 하천, 해안, 호안 등에서 사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철망 내부에 돌을 넣어 형성된 각종 돌망태를 축조하는 돌망태 공법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 시공 부위에서 각종 초본류나 목본류가 잘 식생할 수 있도록 원지반의 흙이나 준설토, 토사와 같은 흙, 모래를 60 내지 80 중량%, 배양토 10 내지 30 중량%, 셀룰로즈나 아크릴 수지 분말을 사용한 보습제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지오 부직포로 이루어진 자루에 넣고 밀봉한 다음, 이 자루의 외주면을 미세하게 천공하여 식생백으로 제작하고, 상기 식생백을 돌망태 내의 돌과 돌 사이에 설치 시공하며, 상기 식생백에 초본류를 식재하는 경우, 식생백 상부에 미리 초본류의 종자를 골고루 뿌려주고 흙을 얇게 덮어서 종자를 발아시키는 선식생법이나, 공사현장에서 직접 공사 후에 종자를 파종하고 흙을 덮어 발아시키는 방법 혹은 공사현장 주변의 초본류를 식생백 위에 옮겨놓아 활착하도록 하는 후식생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4. 절개지 사면이나 하천, 해안, 호안 등에서 사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철망 내부에 돌을 넣어 형성된 각종 돌망태를 축조하는 돌망태 공법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 시공 부위에서 각종 초본류나 목본류가 잘 식생할 수 있도록 원지반의 흙이나 준설토, 토사와 같은 흙, 모래를 60 내지 80 중량%, 배양토 10 내지 30 중량%, 셀룰로즈나 아크릴 수지 분말을 사용한 보습제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하여 지오 부직포로 이루어진 자루에 넣고 밀봉한 다음, 이 자루의 외주면을 미세하게 천공하여 식생백으로 제작하고, 상기 식생백을 돌망태 내의 돌과 돌 사이에 설치 시공하며, 상기 식생백에 초본류를 식재하는 경우, 계절에 따라 갯버들이나 개나리, 수양버들 등의 꺾꽂이가 가능한 목본류를 공사 후에 식재하는 방법과 여러 가지 요구되는 목본류의 묘목을 식재하여 시공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KR1020020066612A 2002-10-30 2002-10-30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KR10042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612A KR100427226B1 (ko) 2002-10-30 2002-10-30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612A KR100427226B1 (ko) 2002-10-30 2002-10-30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226B1 true KR100427226B1 (ko) 2004-04-14

Family

ID=3733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612A KR100427226B1 (ko) 2002-10-30 2002-10-30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2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380B1 (ko) * 2006-05-16 2006-10-04 김성철 절취사면의 생태복원을 위한 강섬유함유 합성녹화토의시공방법
KR100910736B1 (ko) 2007-07-12 2009-08-05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식생관을 이용하여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CN107926314A (zh) * 2017-12-13 2018-04-20 邓欢欢 一种水生植物种植基质模块及用该模块护岸施工方法
KR102069051B1 (ko) * 2018-12-20 2020-01-22 김희운 세굴방지 및 생태보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형 스톤네트유닛의 시공방법
KR102069047B1 (ko) * 2019-09-20 2020-01-22 김희운 세굴방지 및 생태 보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형 스톤네트 유닛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7720A (ja) * 1987-02-12 1988-08-16 Suroopu Kenzai Kk 植生基盤の製造方法
KR940009408A (ko) * 1992-10-14 1994-05-20 사이카와 겐조오 통기성 강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H09285229A (ja) * 1996-04-22 1997-11-04 Kozai Steel:Kk 法面上で生育する植物に液体を供給する方法及び法面上で使用する植物の生育用蛇籠及びそれを使用した法面構造及び法面上で使用する植物の生育用シート部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法面構造
KR200240391Y1 (ko) * 2001-04-18 2001-10-11 정비희 블록형 식생망태
KR200250953Y1 (ko) * 2001-07-10 2001-11-17 정비희 식생망태
KR200263768Y1 (ko) * 2001-11-02 2002-02-09 길인환 친환경 돌망태
KR20020072100A (ko) * 2001-03-08 2002-09-14 주식회사 다룸 생태 섬유돌망태의 제조 및 그 축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7720A (ja) * 1987-02-12 1988-08-16 Suroopu Kenzai Kk 植生基盤の製造方法
KR940009408A (ko) * 1992-10-14 1994-05-20 사이카와 겐조오 통기성 강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H09285229A (ja) * 1996-04-22 1997-11-04 Kozai Steel:Kk 法面上で生育する植物に液体を供給する方法及び法面上で使用する植物の生育用蛇籠及びそれを使用した法面構造及び法面上で使用する植物の生育用シート部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法面構造
KR20020072100A (ko) * 2001-03-08 2002-09-14 주식회사 다룸 생태 섬유돌망태의 제조 및 그 축조방법
KR200240391Y1 (ko) * 2001-04-18 2001-10-11 정비희 블록형 식생망태
KR200250953Y1 (ko) * 2001-07-10 2001-11-17 정비희 식생망태
KR200263768Y1 (ko) * 2001-11-02 2002-02-09 길인환 친환경 돌망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380B1 (ko) * 2006-05-16 2006-10-04 김성철 절취사면의 생태복원을 위한 강섬유함유 합성녹화토의시공방법
KR100910736B1 (ko) 2007-07-12 2009-08-05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식생관을 이용하여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CN107926314A (zh) * 2017-12-13 2018-04-20 邓欢欢 一种水生植物种植基质模块及用该模块护岸施工方法
KR102069051B1 (ko) * 2018-12-20 2020-01-22 김희운 세굴방지 및 생태보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형 스톤네트유닛의 시공방법
KR102069047B1 (ko) * 2019-09-20 2020-01-22 김희운 세굴방지 및 생태 보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형 스톤네트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945078B1 (ko) 호안식생매트
KR101101281B1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WO2020220671A1 (zh) 一种海岸岩滩的红树造林方法与结构
KR102122967B1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Broome et al. Shoreline erosion control using marsh vegetation and low-cost structures
KR101043361B1 (ko) 식생용 망태기 및 이를 이용한 생태 호안 조성방법
CN106702962B (zh) 一种用于河道水土保持的护岸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662690B1 (ko)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근고공 일체형 친환경 식생호안 및 그 시공방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KR100886746B1 (ko)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
KR200412590Y1 (ko) 사면녹화용 식생블록
CN215759072U (zh) 一种防冲刷的生态护坡结构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0479772B1 (ko) 식생 매트리스 게비온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식생 매트리스
JP2912938B1 (ja) 耐波浪性・耐水性に優れた竹材を使用主材とした湛水法面の緑化方法
JP3032861B2 (ja) 消波カゴを用いた湛水法面の緑化方法
JP2789435B2 (ja) 護岸の緑化方法
KR200461490Y1 (ko) 식생매트
KR100381254B1 (ko) 트렌치를 이용한 하천의 식생호안 시공방법
KR100814749B1 (ko) 기존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복원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06322731A (ja) ダム湖、湖、池等の湛水面裸地法面の緑化工法
KR101418223B1 (ko) 호안식생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496118B1 (ko)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