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035B1 -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035B1
KR100680035B1 KR1020060108703A KR20060108703A KR100680035B1 KR 100680035 B1 KR100680035 B1 KR 100680035B1 KR 1020060108703 A KR1020060108703 A KR 1020060108703A KR 20060108703 A KR20060108703 A KR 20060108703A KR 100680035 B1 KR100680035 B1 KR 10068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seed
present
construction method
gab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완진
Original Assignee
전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완진 filed Critical 전완진
Priority to KR102006010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친화적으로 제방을 축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이나 경사면 등의 지표면을 형성한 다음, 그 지표면에 식물의 씨앗을 심어주는 단계와; 씨앗이 심겨진 지표면 위에 지표면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정한 기간이 경과될 경우 분해될 수 있도록 지표면의 유실방지용 직물을 덮어주는 단계와; 상기의 지표면 유실방지용 직물의 위에 철망을 덮어주는 단계와; 상기의 철망을 지표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제방이나 경사면에 박아주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이나 절개지 등을 축조하는데 있어서 종래와 같이 깬돌이나 잡석 등의 석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친환경, 환경친화성, 시공방법, 경사면, 철망, 제방, 하천

Description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Method of Constructing Levee with Ecological Environment}
도 1은 종래의 제방축조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 경사면 구축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 2A는 바람직한 실시예 1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2B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 2에 관한 블록도이며, 도 2C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 3에 관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의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의 시공방법을 완성하였을 경우 그 시공방법에 의한 구축물의 일부 절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시행할 경우 그 시공방법에 적합한 고정부재에 관한 개략적인 분해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실시하는데 적합한 종패용 매트리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실시하여 완성된 구축물의 일부 절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을 비교적 넓은 유역을 가지고 있는 하천 등의 경사면에 시공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을 농경지 등의 소하천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유실방지용 직물, 120, 156 : 스크린 망,
130, 152 : 개비온 철망, 140 : 고정부재,
142 : 앵커, 144 : 앵커 결합체,
146 : 수용공간, 148 : 앵커 덮개,
150 : 종패용 매트리스, 154 : 씨앗 매트리스
본 발명은 환경친화적으로 제방을 축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이나 절개지 등을 축조하는데 있어서 종래와 같이 깬돌이나 잡석 등의 석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을 구축하거나 절개지 등 축조하는데 있어서는 하천의 흙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그 위에 시멘트 블럭으로 덮어 시 공하거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하기도 한다.
그런데, 시멘트 블럭으로 형성된 호안블럭이나 콘크리트에 의한 시공방법은 제방 등의 축조 이후에 식물들이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전혀 제공하지 못하므로, 주변환경과 조화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시공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경사면 또는 축벽의 시공방법이다. 개비온 돌망테는 육각형태 또는 사각형태의 철그물망 패널로 다면체의 구조물을 만들고 그 속에 잡석 등의 채움재를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 철망 구조물이다. 철망 개비온은 철그물망으로 짜여진 개비온의 내부에 자연석, 조약돌, 잡석 등을 채워넣은 다음, 이것을 도로의 절개지, 제방의 침식방지용 매트리스, 교각의 침식방지용 교대, 방파제의 방어벽, 경사면의 옹벽이나 축벽 등의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의하여 명백히 드러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은 절개지 또는 경사면을 상당한 정도로 헐어내고; 그 헐어낸 위치에 개비온 매트리스의 베이스를 설치하고 석재를 담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개비온 매트리스의 측방에 측방부재를 형성한 다음; 상기의 수용공간에 깬돌, 잡석, 폐석 등의 채움재를 채워넣어 석재층을 형성하며; 상기 석재층의 위에 식물 또는 수목이 생장가능한 지지부재를 덮어 놓아 지지부재층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층의 위에 주위의 흙을 덮어서 토사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돌망테의 덮개를 덮고 상기의 측방부재에 결합시켜서 덮개층을 형성한 다음; 최종적으로 상기의 토사층에 식물 또는 나무를 식재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은 개비온 돌망테의 내부에 깬돌, 잡석, 또는 폐석 등의 채움재를 사용하여야 하였으므로, 아래와 같이 최소한 3가지 면에서 바람직스럽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첫째는, 종래의 경사면 구축방법이 하천 등의 경사면에 식물을 자라나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요소를 가미하고 있긴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오히려 생태계의 환경을 해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그것은 종래의 경사면 구축방법이 본질적으로 개비온 철망의 내부에 깬돌, 잡석, 또는 폐석 등의 채움재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수많은 양의 채움재를 얻기 위하여, 야산이나 돌산을 헐어내고 그곳에서 깬돌이나 폐석을 채취하여야 하였으므로, 오히려 환경파괴적인 측면을 부인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둘째는, 종래의 경사면 구축방법이 주위로부터 상기 깬돌, 잡석, 또는 폐석 등의 채움재를 원만하게 얻지 못할 경우에, 필연적으로 작업 공정이 지연되거나 계속적인 작업을 위하여 고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예전과 같이 우리의 주변환경으로부터 자연석이나 큰 자갈 등을 이용한 채움재를 쉽게 얻을 수 없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을 감안하여 오늘날에는 상기의 깬돌, 잡석, 또는 폐석 등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채움재들을 얻기 위해서는 환경파괴적인 측면이 있어서 손쉽게 이를 얻기 어려워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셋째는, 종래의 경사면 구축방법이 본질적으로 개비온 돌망테의 내부에 깨돌 등의 채움재를 집어넣어 석재층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석재층이 식물의 뿌리가 원만하게 자라는 것을 방해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경사면에 식재된 식물이 활발하게 성장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사면 구축방법은 친환경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이 오늘날 각종의 하천의 경사면, 절개지, 산사태 등으로 인한 축벽 등의 시공현장에서 활발하게 시공되지 못한 주요인이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 통상적으로 시행되고 있었던 경사면 구축방법은 그 시공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채움재의 부정적인 영향을 전혀 해소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깬돌이나 잡석 등의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고 하천이나 절개지, 또는 경사면 등을 구축함으로써, 이들을 환경친화적인 모습으로 복구하거나 새롭게 형성할 수 있는 경사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깬돌이나 잡석 등의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고 하천이나 절개지, 또는 경사면 등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경사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적합한 시공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이나 절개지 등을 환경친화적으로 축조할 수 있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의 축조방법은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이나 경사면 등의 지표면을 형성한 다음, 그 지표면에 식물의 씨앗을 심어주는 단계와; 씨앗이 심겨진 지표면 위에 지표면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정한 기간이 경과될 경우 분해될 수 있도록 지표면의 유실방지용 직물을 덮어주는 단계와; 상기의 지표면 유실방지용 직물의 위에 개비온 철망을 덮어주는 단계와; 상기의 개비온 철망을 지표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제방이나 경사면에 박아주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유실방지용 직물을 덮어주는 단계를 진행한 이후에, 상기 개비온 철망의 망눈에 비하여 그보다 작은 크기의 망눈을 가진 스크린망을 추가로 덮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의 축조방법은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이나 경사면 등의 지표면을 형성한 다음, 그 지표면을 다듬는 단계와; 미리 씨앗이 파종되어 있고 철망에 의하여 보존되고 있는 종패용 매트리스를 상기의 지표면 위에 주욱 펼쳐 놓는 단계와;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를 지표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제방이나 경사면에 박아주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는 4각형, 5각형, 또는 6각형 망눈을 가진 개비온 철망과; 그 개비온 철망 위쪽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 등 에 식재하고자하는 종류의 씨앗을 미리 심어놓은 씨앗 매트리스와; 상기의 씨앗 매트리스의 위쪽에 배열되어 이를 감싸고 보호하는 4각형, 5각형, 또는 6각형 망눈을 가진 개비온 철망;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는 상기의 개비온 철망과 상기의 씨앗 매트리스의 사이에 스크린 망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 경사면 구축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도 2A는 바람직한 실시예 1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2B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 2에 관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의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의 시공방법을 완성하였을 경우 그 시공방법에 의한 구축물의 일부 절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시행할 경우 그 시공방법에 적합한 고정부재에 관한 개략적인 분해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의 축조방법은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이나 절개지 등을 형성한 다음, 그 지표면에 식물의 씨앗을 심어주는 단계(S 11)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개천이나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을 환경친화적인 모습으로 복구하는 것을 최종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일단 제방을 축조한 이후에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제방은 이미 완성되어 있거나, 현재 축조되고 있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시멘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에 의해 경사면을 구축한 경우에는, 상기의 시멘트 블록이나 호안블록 등을 걷어내고, 그 밑에 놓여있던 제방의 지표면을 외부로 드러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방의 지표면(G)이라 함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하천이나 개울 등의 강둑과 그 경사면 또는 절개지 등의 지표면을 모두 포함하여 약칭한 개념임을 밝혀둔다.
일단, 제방의 지표면(G)이 외부로 드러나거나, 제방의 지표면(G)이 새롭게 형성된 경우에는, 그 지표면(G)을 잘 다듬고, 그 지표면(G)에 식물의 씨앗을 파종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지표면(G)에 대해서는, 상기의 식물 씨앗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예로서는,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바와 같이, 지표면의 흙을 고르게 해주거나, 상기 씨앗이 발아하여 자라게 될 때 그 영양원이 될 수 있는 유기질ㆍ무기질 비료 등을 섞어주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씨앗을 파종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작업자가 상기 식물의 씨앗을 수작업에 의하여 뿌려줄 수도 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심어줄 수도 있으며, 파종기에 의하여 뿌려주거나 심어줄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미리 영양원를 포함한 흙에 상기의 식물 씨앗을 혼합시켜 식생토를 만들고, 상기의 식생토를 제방의 다듬어진 지표면에 운반하여 식생토 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식물의 씨앗을 심어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씨앗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시공방법이 적용되어지는 지표면(G)의 조건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만약, 항상 어느 정도의 물이 흘러가는 곳으로서 주위에 갈대가 많은 하천의 경우에는, 그에 걸맞는 갈대 등의 씨앗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작업 공간이 야산의 절개지와 같은 곳에서는 싸리나무의 종자 등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의 축조방법은 상기의 식물 씨앗이 심겨진 지표면(G)의 위에, 지표면의 유실방지용 직물(110)을 덮어주는 단계(S 12)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유실방지용 직물(110)은 식물의 씨앗이 파종된 지표면(G)이 빗물 등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을 1차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의 식물 씨앗이 파종된 이후 비가 소량 내려서 상기의 지표면을 촉촉이 적셔주는 경우에는 별문제가 되지 않지만, 비가 많이 내릴 경우, 상기의 비가 직접 상기의 지표면에 닿지 않고 상기 유실방지용 직물(11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씨앗이 발아하여 완전히 지면에 착근하기 전에, 집중적인 호우가 발생되거나 장마철에 접어들어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다량의 우수가 쏟아지게 될 경우, 새롭게 조성된 작업구간이 쉽게 유실되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후조건에 대하여 충분히 견뎌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유실방지용 직물(110)은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어질 경우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상기의 지표면(G)의 내면에 식재된 식물의 씨앗이 발아하여 외부로 나오게 될 때, 그 방해물이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좀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의 유실방지용 직물(110)은 상기의 식물 씨앗이 발아되어 나오게 될 정도의 기간이 경과될 경우,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상기 식물 씨앗의 영양분이 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더욱 좋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유실방지용 직물(110)은 그 재질이 천연 직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유실방지용 직물(110)은 그 지표면(G)에 직접 맞닿아 있어서, 초봄과 같이 야간의 기온이 급강하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표면(G)의 지열을 보존하는 기능도 병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의 축조방법은 상기 지표면 유실방지용 직물(110)의 위에 개비온 철망(130)을 덮어주는 단계(S 13)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개비온 철망(130)은 상기 지표면 유실방지용 직물(110)의 위에 설치되어지고, 그 위에서 상기 지표면 유실방지용 직물(110)을 눌 러주면서 이를 보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개비온 철망은 상기 지표면 유실방지용 직물(110)을 눌러주면서 이를 보존할 수 있으면, 그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개비온 철망은 4각 형상이나 6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6각 형상에 보강철선을 삽입시킨 5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편의에서 이를 개비온 철망으로 표현하였지만,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타공 철망 또는 타공식 프라스틱망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게 됨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개비온 철망(130)이 상기 지표면 유실방지용 직물(110)을 지긋이 눌러주게 되고, 상기의 지표면 유실방지용 직물(110)이 지표면(G)을 온전히 눌러주고 있으므로, 작업 이후 집중호우가 지나가거나 장마철이 계속될 경우에도, 작업현장의 지표면(G)이 유실되어질 염려는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의 축조방법은 상기의 개비온 철망(130)을 지표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40)를 제방의 경사면에 박아주는 단계(S 14)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고정부재(140)는 상기의 개비온 철망(130)을 지표면(G)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고정부재(140)를 별도로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의 개비온 철망(130)을 종래에는 그 내부에 충진된 석재 등의 채움재에 의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던 것인데,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는 종래의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의 고정부재(140)는 상기의 개비온 철망(130)을 상기의 지표면(G)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통상적인 말뚝이나 걸고리 또는 걸고리 를 형성한 못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고정부재(140)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더욱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로 개발된 앵커(142)와 앵커 결합체(14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앵커(142)는 못이나 말뚝을 그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의 앵커 결합체(144)는 2개를 짝으로 하여 그 내부에 수용공간부(146)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수용공간부(146)에는 상기의 앵커(142)가 들어가게 되고, 양쪽의 앵커 결합체(144)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2개의 앵커(142)는 단단히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의 앵커(142)들이 이루는 엇각을 이루면서 지표면(G)에 단단히 박히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위에서 직각으로 내려눌러 박는 경우와는 달리,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지표면에 대해 단단히 박혀지게 되고, 상기 엇각의 밑에 놓여진 개비온 철망(130)은 아무리 외부에서 강한 힘이 작용할지라도 지표면(G)에서 뽑혀지거나 주위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앵커(142) 및 앵커 결합체(144)는 그 위에 앵커 덮개(148)에 의하여 덮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 덮개(148)는 그 내부의 앵커(142)와 앵커 결합체(144)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이를 색상으로 구분함으로써, 상기의 식물 씨앗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표지로서의 기능 도 수행할 수 있다.
도 5A는 상기의 앵커(142)가 서로 엇각을 이루면서 지표면에 박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인 반면에, 도 5B는 상기의 앵커(142)가 지표면에 대해서는 엇각을 이루면서도 지표면 위에서는 서로 평행하게 결합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은 상기의 유실방지용 직물(110)을 덮어주는 단계를 진행한 이후에, 상기 개비온 철망(130)의 망눈에 비하여 그보다 작은 크기의 망눈을 가진 스크린망(120)을 추가로 덮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스크린 망(120)은 상기 개비온 철망(130)의 망눈에 비하여 작은 망눈을 가진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상기 개비온 철망(130)의 망눈이 크게 형성된 결과, 그 아래쪽에 있는 유실방지용 직물(110)이 집중 호우 또는 장마철의 장마비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를 벗어나 제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2》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의 축조방법은 다른 실시예로서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경사면 등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축하는 점에 그 중점을 둔 것으로서, 그 시공단계에서 적절한 시공물 조립체로서 종패용 매트리스(150)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의 축조방법은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이나 절개지 등을 형성하고, 그 지표면(G)을 다듬는 단계(S 21)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의 지표면(G)의 형성 방법이나 형성 방식은 위의 제1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상기의 지표면(G)은 이 완성되어 있는 제방이나 절개지의 지표일 수도 있고, 종래의 시멘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을 걷어낸 제방의 지표일 수도 있으며, 하천이나 개천 또는 절개지 등의 지표면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의 지표면(G)에 직접 식물의 씨앗 등을 뿌리거나 식재하는 것이 아닌 점에서, 상기 제1 실시예의 지표면과 서로 다른 점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는,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시행한 이후에 그 지표면에서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환경친화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지만, 식물의 씨앗 등을 상기의 지표면에 직접 식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양자는 서로 상이한 단계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의 축조방법은 종패용 매트리스(150)를 상기의 지표면(G)의 위에 주욱 펼쳐 놓는 단계(S 22)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150)는 그 내부에 상기의 식물 씨앗을 미리 파종시킨 것으로서, 개비온 철망(152)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보존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실시하는데 적합한 종패용 매트리스(15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실시하는데 적합한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150)를 이용하여 시공을 완료한 상태에서를 나타낸 절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150)는 4각형, 5각형, 또는 6각형 망눈을 가진 개비온 철망(15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개비온 철망(152)은 기본적으로 2개의 철선이 서로 꼬여서 4각형 또는 6각형을 이룬 것이지만, 3개의 철선이 서로 꼬여서 5각형을 이룬 것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강도 보강의 측면에서는 상기 5각형상의 철망이 더 바람직스럽다. 상기의 개비온 철망(152)은 상기 종패용 매트리스(150)를 전체적으로 보존하고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150)는 상기의 개비온 철망(152) 위쪽에 배열된 씨앗 매트리스(15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씨앗 매트리스(154)는 작업을 행하고자 하는 지표면에 식재하고자 하는 종류의 식물 씨앗을 미리 심어놓은 것이다. 상기의 씨앗 매트리스(154)는 작업 전에는 그 안에 미리 식재된 식물 씨앗이 발아되지 않지만, 작업이 진행되어지고 완료되어진 이후에 그 내부에서 상기의 식물 씨앗이 발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의 씨앗 매트리스(154)는 상기의 식물 씨앗이 일단 발아되어지면, 그 재질이 분해되어 상기 식물 씨앗의 영양원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이를 위하여, 상기 씨앗 매트리스(154)를 구성하는 재료는 볏짚, 보릿대, 옥수수대,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질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150)는 상기 씨앗 매트리스(154)의 위쪽에 배열되어 있는 개비온 철망(15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개비온 철망(152)은 기본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철망과 대동소이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150)는 상기의 개비온 철망(152)과 상기의 씨앗 매트리스(154)의 사이에 스크린 망(156)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상기의 스크린 망(156)은 상기의 씨앗 매트리스(154)를 더욱 잘 보관하고 보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개비온 철망(152)의 망눈에 비하여 그 보다 더 작은 망눈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의 스크린 망(156)에 의하여 상기의 씨앗 매트리스(154)를 더 잘 보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의 축조방법은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150)를 지표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40)를 제방이나 경사면에 박아주는 단계(S 23)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예의 고정부재(14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고정부재와 대동소이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또한 그것을 이용한 지표면에 고정방식 등의 경우에도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은 각종의 제방이나 경사면, 절개지, 또는 농경지의 소하천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을 비교적 넓은 유역을 가지고 있는 하천 등의 경사면에 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8에서는 하천의 경사면과 최상위층 및 경사면의 반대쪽 면이 서로 단절된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를 죽 펼쳐서 서로 연결된 채로 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을 농경지 등의 소하천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 것이며, 이 역시 서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은 종래와 같이 채움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서도 시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또한 석재 등의 채움재를 지표면의 내부에 형성하지 않으므로, 일단 발아된 식물이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훨씬 수월하게 착상하여 생장할 수 있게 되는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은 채움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석재를 구하기 위한 1차적인 환경파괴의 단점을 완전하게 극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으로서 자리매김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은 채움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석재의 구입난에 의한 시공방법의 지장을 전혀 받지 않게 되어지며, 석재의 구입에 따른 시공비용의 상승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은 채움재로 사용되는 석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광활한 평야지대를 대상으로 하거나 사막지대를 대상으로 하여 적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종래에 비하여 그 활용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은 채움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지표면의 내부에 석재층이 전혀 형성되지 않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더욱 환경친화적인 공법으로서 평가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은 식재된 식물의 씨앗이 발아되어 그 뿌리가 지면에 깊숙히 박혀 자라남으로써, 그 생존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외부에서 바람에 날려온 식물의 씨앗들이 함께 발아함으로써, 더욱 새로운 식물생태계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질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 경사면, 절개지 등에 개비온 철망을 이용하여 식물을 식재하면서 축조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a).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이나 경사면 등의 지표면을 형성하면서, 그 지표면의 흙을 고르게 해주거나, 상기의 흙에 유기질ㆍ무기질 비료를 혼합하여, 그 지표면을 다듬는 단계와;
    b). 4각형 5각형 또는 6각형 망눈을 가진 개비온 철망과, 상기 개비온 철망의 위쪽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 등에 식재하고자하는 종류의 씨앗을 미리 파종해놓은 씨앗 매트리스와, 상기 씨앗 매트리스의 위쪽에 배열되어 있는 개비온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종패용 매트리스를 이용하되, 상기 종패용 매트리스를 상기의 지표면 위에 주욱 펼쳐 놓는 단계와;
    c).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를 그 자리에서 지표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제방이나 경사면에 박아주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종패용 매트리스는 상기의 개비온 철망과 상기의 씨앗 매트리스의 사이에 스크린 망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고정부재는 지표면에 박혀지는 앵커와, 상기의 앵커를 결합시켜주는 앵커 결합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때, 상기의 앵커 결합체는 2개를 짝으로 하여 그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의 수용공간부에는 상기의 앵커가 들어가게 되고, 상기의 2개의 짝을 이룬 양쪽의 앵커 결합체(144)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의 앵커를 단단히 결합시키게 되며,
    상기의 앵커(142)들은 서로 교차되어 엇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KR1020060108703A 2006-11-06 2006-11-06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KR100680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703A KR100680035B1 (ko) 2006-11-06 2006-11-06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703A KR100680035B1 (ko) 2006-11-06 2006-11-06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979A Division KR100671902B1 (ko) 2005-10-14 2005-10-14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035B1 true KR100680035B1 (ko) 2007-02-07

Family

ID=3810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703A KR100680035B1 (ko) 2006-11-06 2006-11-06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212A (ko) * 2019-08-16 2021-02-25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713Y1 (ko) * 1991-01-15 1996-07-12 심석래 낙석방지용 와이어 로우프 고정구
KR200192039Y1 (ko) 2000-03-07 2000-08-16 길인환 경사면 구축구조
KR20020042313A (ko) * 2000-11-30 2002-06-05 김동환 대절토사면의 자연 녹지화를 유도하기 위한 시공방법과 그구조물
KR100402924B1 (ko) 2001-04-12 2003-10-17 황규철 사면녹화시트 및 사면녹화시트를 이용한 사면녹화안정공법
KR20040006976A (ko) * 2002-07-16 2004-01-24 허수영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KR20060105916A (ko) * 2005-04-01 2006-10-12 박재희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713Y1 (ko) * 1991-01-15 1996-07-12 심석래 낙석방지용 와이어 로우프 고정구
KR200192039Y1 (ko) 2000-03-07 2000-08-16 길인환 경사면 구축구조
KR20020042313A (ko) * 2000-11-30 2002-06-05 김동환 대절토사면의 자연 녹지화를 유도하기 위한 시공방법과 그구조물
KR100402924B1 (ko) 2001-04-12 2003-10-17 황규철 사면녹화시트 및 사면녹화시트를 이용한 사면녹화안정공법
KR20040006976A (ko) * 2002-07-16 2004-01-24 허수영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KR20060105916A (ko) * 2005-04-01 2006-10-12 박재희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212A (ko) * 2019-08-16 2021-02-25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KR102259673B1 (ko) * 2019-08-16 2021-06-03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61086B (zh) 路基边坡的三维网绿化技术
CN203755318U (zh) 生态防护型边坡
KR100945078B1 (ko) 호안식생매트
JPH09302667A (ja) 自然生態自己復元式法面工法および法面構造
WO2008026855A1 (en) A seed line net for greening
KR100671902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KR200408102Y1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Reddy et al. FARM PONDS: A Climate Resilient Technology for Rainfed Agricultur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KR200401866Y1 (ko) 식생 개비온블록
CN106120647B (zh) 边坡防护装置及防护方法
KR101043361B1 (ko) 식생용 망태기 및 이를 이용한 생태 호안 조성방법
KR20060105916A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시공방법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JPH1132568A (ja) 乾燥地・沙漠地における緑化方法
KR100680035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KR200412817Y1 (ko)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KR20060011929A (ko) 토사면의 녹지화촉진 요철매트활용 식생공법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0518943B1 (ko)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KR101138723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KR102227676B1 (ko)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0466007B1 (ko) 녹화토를 이용한 돌망태
KR20120038665A (ko)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KR100599164B1 (ko) 식생호안 구축을 위한 식생자루
KR100496118B1 (ko)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