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673B1 -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 Google Patents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673B1
KR102259673B1 KR1020190100187A KR20190100187A KR102259673B1 KR 102259673 B1 KR102259673 B1 KR 102259673B1 KR 1020190100187 A KR1020190100187 A KR 1020190100187A KR 20190100187 A KR20190100187 A KR 20190100187A KR 102259673 B1 KR102259673 B1 KR 102259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gabion
eco
friendly
green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212A (ko
Inventor
정형진
백중현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한종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한종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90100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6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전면에 돌망태가 적층되어 토사의 붕괴를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돌망태 내부에 식생구가 설치되어 상기 돌망태의 전면부 및 내부에 식생환경을 조성하여 녹화할 수 있으므로 미려한 미관을 형성할 수 있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Green sloping ground eco-friendly Gav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전면에 적층되어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비온 내부에 식생구를 설치하여 개비온 전면부 및 내부에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비온(gabion)은 잡석 및 자갈 들을 사면 구조체 상자에 투입하여 조성된 구조물로서, 제방, 절개지 및 경사지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제방이나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사면을 보호한다.
또한, 상기 개비온은 잡석이나 자갈 등을 이용함으로써 소재의 비용이 싸고 무게가 작아 시용이 용이하며, 돌들이 서로 중첩되어 강한 침식 저항성을 갖는 장점이 있으나, 적층된 돌들이 직접 노출되는 구조로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1529호에 친환경 식생 게비온 및 이를 이용한 사면처리 방법이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폐합된 망체 내측 하부에 차단벽이 상측으로 돌출설치된 배수판, 상기 배수판 상부 및 상기 배수판 외부의 망체 내부에 충전된 충전석, 상기 차단벽과 대응하는 망체 전면부와 충전석 사이에 설치된 식생매트 및 상기 배수판 상부의 망체 내부에 주입되는 식생촉진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촉진혼합물이 식생매트를 통해 식물의 활착을 유도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 등록된 특허는 식생촉진혼합물이 배수판에 충전되지 않아 배수판을 따라 흘러내려 망체 외부로 배출되므로 식생촉진혼합물을 통해 식생환경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수판의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식생촉진혼합물에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없으므로 식생환경이 열악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충전석 사이의 공극에 충전되고 수분을 함유한 식생촉진혼합물이 얼을 경우, 식생촉진혼합물이 팽창되면서 충전석이 벌어짐에 따라 개비온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절개지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녹화조성이 용이하여 환경친화성이 우수한 절개지의 안정화 보강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15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전면으로 돌망태들을 적층 설치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식생재가 충전된 식생구를 돌망태 내부에 관통하여 설치함으로써 돌망태의 외부로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구의 후단부에 고정부가 절개되어 지반 또는 뒤채움재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지반 또는 뒤채움재로 식생재의 뿌리가 뻗어 나가도록 함으로써 지반 또는 뒤채움재와 식생재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구의 외면에 형성된 절개공간을 통해 돌망태 내부로 성장함으로써, 식생재의 뿌리와 돌망태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더욱 견고하게 절개지 또는 경사지를 보강할 수 있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망태의 후면부에 토사이탈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지반의 토사가 돌망태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붕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사이탈방지부재를 부직포 등으로 형성하여 지하수의 흐름은 원활하게 함은 물론 상기 지하수를 물 저장공간에서 일정량 저장하여 식생재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는,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전면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다단으로 적층된 돌망태; 상기 돌망태의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식생구; 및 상기 식생구에 충전된 식생재;를 포함한다.
상기 식생구는, 내부가 관통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돌망태 전면부로 돌출되는 식생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돌망태 후면부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에 식생재의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공간;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 하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돌출된 물 저장공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식생부는 선단부는 밀폐되고 상단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절개되어 지반 또는 뒤채움재에 매립된다.
또한, 상기 돌망태의 후면부 외측에 장착되어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토사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토사이탈방지부재는 물은 통과시키면서 토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부직포를 포함한다.
상기 돌망태로부터 식생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부 외주면에 요입된 이탈방지홈; 및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합되고 상기 돌망태 후면부 외측에 밀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이탈방지홈에 탄성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V자 형상으로 절개된 후 외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지반과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지반으로부터 지하수의 유입이 용이하며 식물의 뿌리가 뻗어 나갈 수 있는 절개쐐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전면으로 돌망태들을 적층 설치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식생재가 충전된 식생구를 돌망태 내부에 관통하여 설치함으로써 돌망태의 외부로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구의 후단부에 절개된 고정부가 지반 또는 뒤채움재에 매립됨은 물론 지반 또는 뒤채움재로 식생재의 뿌리가 뻗어 나가도록 함으로써 지반 또는 뒤채움재와 식생재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절개지 또는 경사지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구의 외면에 형성된 절개공간을 통해 식생재가 돌망태 내부로 성장함으로써, 식생재의 뿌리와 돌망태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더욱 견고하게 절개지 또는 경사지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돌망태의 후면부에 토사이탈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지반의 토사가 돌망태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붕괴를 최대한 억제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사이탈방지부재를 부직포 등으로 형성하여 지하수의 흐름은 원활하게 함은 물론 상기 지하수를 물 저장공간에서 일정량 저장하여 식생재에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서, 식생재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의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의 식생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의 시공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의 식생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절개쐐기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의 측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의 식생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100)는,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전면에 적층되는 돌망태 내부에 식생구를 설치하여 돌망태를 녹화하는 구성으로, 돌망태(110), 식생구(120), 식생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돌망태(110)는 철선(와이어)을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결속하여 제작된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충전재 충전공간이 형성되는 통상의 구성이며, 이는 설치장소에 따라 계단식 옹벽에 사용되는 옹벽형과 경사지에 사용되는 매트리스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식생구(120)는 상기 돌망태(110)의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본체부(121), 식생부(122), 고정부(123)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21)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이며, 길이는 상기 돌망태(110)의 측면부 즉, 전면부 및 후면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으나,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21)에 식생재의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도록 절개되거나 관통되된 절개공간(121a)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21) 하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돌출된 물 저장공간(121b)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저장공간(121b)은 상기 본체부(121) 하부에 하부로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식생부(122)는 상기 본체부(121) 선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식생재(130)의 식생장소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121)와 연통되면서 선단부는 밀폐되고 상단부는 개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식생부(122) 하부에 관통된 물 배출공간(122a)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생부(122) 타측의 본체부(121) 내면에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121)에 충전되는 식생재(130)의 배출을 방지하는 배출방지부재(122b)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23)는 상기 본체부(121) 후단부에 연장되어 돌망태(110) 후면부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는 방사상으로 절개되고 벌어져 지반(10) 또는 뒤채움재(20)에 매립됨으로써 상기 식생구(1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23)가 외부로 벌어져 형성되므로 지하수의 유입이 용이하며, 식생재의 뿌리가 지반(10) 또는 뒤채움재(20)로 뻗어나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식생재(130)는 씨앗 및 상기 씨앗에 영양분을 제공하는 토양이 혼합된 혼합물이다.
또한, 상기 돌망태(110)의 후면부 외측에 장착되어 지반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토사이탈방지부재(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사이탈방지부재(140)는 물은 통과시키면서 토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한, 토사이탈방지부재(140)는 돌망태(11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예컨데 후방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후방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토사이탈방지부재(140)는 배면의 지반을 안정되게 유지하고, 동시에 배면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보존함으로써 식생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망태(110)로부터 식생구(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150)는, 이탈방지홈(151), 이탈방지부재(152)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홈(151)은 상기 식생구(120)에 구비된 고정부(123)의 외주면에 요입된 구성이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52)는 이탈방지홈(151)에 결합되면서 측면이 돌망태(110) 후면부 외측에 밀착되도록 'C'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52)는 이탈방지홈(151)에 결합되고 상기 돌망태(110) 후면부 외측에 밀착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52)는 이탈방지홈(151)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구와, 삽입구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52)는 절개부를 통해 이탈방지홈(151)에 탄성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부재(152)는 절개부를 통해 이탈방지홈(151)에 용이하게 탄성 결합되고, 동시에 이탈방지홈(151)에 축방향으로 인출이 방지되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의 제작 및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철선 및 와이어를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결속하여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의 망을 형성하는데, 상기 망의 후면부에 토사이탈방지부재(140)를 설치하고, 상기 망의 덮개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내부의 충전공간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충전공간으로 잡석 및 자갈 등의 충전재를 충전하고, 덮개를 하향으로 회전시킨 후, 몸체와 결속하여 돌망태(11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망태(110)를 형성하도록 망 내부에 충전재를 일부 충전하고, 상기 망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돌망태(110) 내부를 관통하여 식생재(130)가 충전된 식생구(120)를 결합하는데, 상기 식생구(120)는 본체부(121) 선단부에 연장된 식생부(122)가 돌망태(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121) 후단부에 연장된 고정부(123)는 돌망태(110)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식생구(120)에 충전된 식생재(130)는 상기 본체부(121) 선단부로 돌출된 식생부(122)와 상기 식생부(122) 타측의 본체부(121) 내면에 돌출된 배출방지부재(122b)에 의해 배출되지 않고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23)는 절개되어 있으므로 돌망태(110) 후면부에 걸려 돌망태(110) 내부로 이동하지 않아 상기 식생부(122)의 돌출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망태(110)에 설치된 식생구(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123)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부(150)의 이탈방지홈(151)에 'C'링 형상의 이탈방지부재(152)의 내부를 결합하는데, 상기 이탈방지부재(152)의 내부가 이탈방지홈(151)에 결합됨과 동시에 외부 측면이 돌망태(110) 후면부 외측에 밀착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부(123)와 같이 상기 식생구(120)가 돌망태(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생구(120)가 돌망태(110)에 설치되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돌망태(110) 내부에 복수의 식생구(120)를 설치하는데, 상기 식생구(120)는 수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나, 식생재의 성장에 간섭하지 않도록 지그재그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으로 식생구(120)가 내장되도록 제작된 돌망태(110)를 도 5와 같이, 지반(10)의 절개지 또는 경사지 전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돌망태(110) 후방 즉, 상기 돌망태와 지반(10) 사이의 공간을 지반의 흙 또는 다른 흙의 뒤채움재(20)로 채우고, 상기 돌망태(110) 상면에 다른 돌망태(110)를 상기의 과정으로 반복하면서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전면에 옹벽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생구(120)의 고정부(123)는 방사상으로 벌어져 뒤채움재(20) 즉 지반(10) 또는 뒤채움재(20)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이탈방지부(150)와 함께 돌망태(110) 외부로 식생구(120)의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뒤채움재 즉 지반(10)의 흙은 상기 돌망태(110) 후면부에 설치된 토사이탈방지부재(140)에 의해 돌망태(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지반(10)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ㄱ것이다.
또한, 상기 지반(10) 내부로 이동하는 지하수는 상기 고정부(123)를 통해 본체부(121) 및 식생부(122)로 공급되고, 상기 본체부(121) 및 식생부(122)에 충전된 식생재(130)에 수분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수분에 의해 식생재(130)가 발아 (germination, 發芽) 과정을 통해 성장할 수 있으며, 상기 식생부(122)에서 성장하는 식생재(130)에 의해 상기 돌망태(110)의 전면부 및 내부를 녹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21) 내부에서 발아하는 식생재는 본체부(121) 상부 외주면에 절개되거나 관통형성된 절개공간(121a)을 통해 돌망태(110) 내부로 뿌리가 뻗어 나감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123)를 통해 지반(10)으로 뻗어 나가므로 식생재(130)를 통한 돌망태(110)와 지반(10) 또는 뒤채움재(20)의 결속력이 높아져 지반(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부(121)로 공급되는 지하수는 상기 본체부(121) 하부에 만곡되거나 절곡되어 돌출형성된 물 저장공간(121b)에 저장되어 식생재(130)에 원활한 물 공급을 이룰 수 있으므로 식생재(130)의 빠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저장공간(121b)은 도 6과 같이, 상기 절개공간(121a)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절개공간(121a)을 통해 본체부(121) 상부로 뻗어나가는 식생재(130)에 각각 물을 공급하여 식생재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식생부(122)에 관통된 물 배출공간(122a)으로 과다하게 공급되는 지하수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식생재(130)의 뿌리가 과다하게 공급되는 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고정부(123)는 절개쐐기부(12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쐐기부(125)는 고정부(123)를 V자 형상으로 절개한 후 외측으로 절곡함으로써 지반과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지반으로부터 지하수의 유입이 용이하며, 식물의 뿌리가 잘 뻗어 나갈 수 있다. 즉, 절개쐐기부(125)들은 지반에 고정됨으로써 식생구(120)가 지반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동시에 식생구(120)가 관통된 돌망태(110)가 지반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이탈방지부(150)를 돌망태(110)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절개쐐기부(125)들에 의한 절개 공간으로 지하수 등이 유입되어 식생구(120)에 식물이 잘 자라게 할 수 있다. 또한, 절개쐐기부(125)들을 통해 식물의 뿌리가 지반으로 침투함으로써 돌망태(110)가 지반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개비온 구조 110: 돌망태
120: 식생구 121: 본체부
122: 식생부 123: 고정부
125: 절개쐐기부 130: 식생재
140: 토사이탈방지부재 150 : 이탈방지부
151: 이탈방지홈 152: 이탈방지부재

Claims (10)

  1. 절개지 또는 경사지의 전면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다단으로 적층된 돌망태;
    상기 돌망태의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식생구; 및
    상기 식생구에 충전된 식생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구는,
    내부가 관통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돌망태 전면부로 돌출되는 식생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돌망태 후면부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상부에 식생재의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하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돌출된 물 저장공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절개되어 지반에 매립되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는 선단부는 밀폐되고 상단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로부터 식생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부 외주면에 요입된 이탈방지홈; 및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합되고 상기 돌망태 후면부 외측에 밀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이탈방지홈에 결합되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이탈방지홈에 탄성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의 후면부 외측에 장착되어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토사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V자 형상으로 절개된 후 외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지반과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지반으로부터 지하수의 유입이 용이하며 식물의 뿌리가 뻗어 나갈 수 있는 절개쐐기부들을 포함하는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KR1020190100187A 2019-08-16 2019-08-16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KR102259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87A KR102259673B1 (ko) 2019-08-16 2019-08-16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87A KR102259673B1 (ko) 2019-08-16 2019-08-16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212A KR20210021212A (ko) 2021-02-25
KR102259673B1 true KR102259673B1 (ko) 2021-06-03

Family

ID=7473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87A KR102259673B1 (ko) 2019-08-16 2019-08-16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470A (ko) 2021-07-01 2023-01-10 강원도 암벽착생식물 인공서식지 조성 및 복원을 위한 개비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43A (ja) * 1998-08-11 2000-02-22 Yahagi Ryokka Kk 護岸緑化用植生土のう蛇籠工法
KR200342365Y1 (ko) * 2003-11-21 2004-02-18 최종선 꺽쇠를 이용한 유속 감쇠형 호안 구조물
KR100680035B1 (ko) * 2006-11-06 2007-02-07 전완진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KR101337425B1 (ko) * 2012-12-31 2013-12-06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337411B1 (ko) * 2013-02-18 2013-12-06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녹화 게비온 옹벽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141B1 (ko) * 2009-12-21 2012-07-18 (주)아이비 구조물 설치용 기둥의 그라운드 고정장치
KR101168687B1 (ko) * 2010-11-19 2012-07-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식생롤
KR101201529B1 (ko) 2012-05-25 2012-11-15 신창섭 친환경 식생 게비온 및 이를 이용한 사면처리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43A (ja) * 1998-08-11 2000-02-22 Yahagi Ryokka Kk 護岸緑化用植生土のう蛇籠工法
KR200342365Y1 (ko) * 2003-11-21 2004-02-18 최종선 꺽쇠를 이용한 유속 감쇠형 호안 구조물
KR100680035B1 (ko) * 2006-11-06 2007-02-07 전완진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KR101337425B1 (ko) * 2012-12-31 2013-12-06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337411B1 (ko) * 2013-02-18 2013-12-06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녹화 게비온 옹벽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212A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102122967B1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KR102259673B1 (ko) 녹화 가능한 친환경 개비온 구조
WO2017052473A1 (en) A ba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959828B1 (ko) 이중 스틸케이지로 성토부와 식생부를 분리 시공한 식생 사면 조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식생사면구조체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1201529B1 (ko) 친환경 식생 게비온 및 이를 이용한 사면처리 공법
KR20160045281A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US10246842B2 (en) Water barrier, in particular a dike
KR200412817Y1 (ko)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KR102334934B1 (ko)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 사면 녹화 시공 방법 및 구조물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1171960B1 (ko) 농수로의 친환경 저류형 개량공법
CN211037008U (zh) 一种高原区道路下边坡挂渣综合治理系统
KR102227676B1 (ko)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CN208346749U (zh) 一种河道弃渣岸坡生态修复结构
KR20090075476A (ko) 사면녹화공법
KR101818562B1 (ko) 식생이 용이한 보강토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38037A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돌망태 녹화구조
KR101664736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식생토낭
KR100531213B1 (ko) 식재가 가능한 석축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