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210B1 -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5210B1 KR101195210B1 KR1020100048095A KR20100048095A KR101195210B1 KR 101195210 B1 KR101195210 B1 KR 101195210B1 KR 1020100048095 A KR1020100048095 A KR 1020100048095A KR 20100048095 A KR20100048095 A KR 20100048095A KR 101195210 B1 KR101195210 B1 KR 1011952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wire mesh
- slope
- pit
- ba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사면(11)에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되는 다수 개의 구덩이(110); 절개사면(11)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구덩이(110)가 형성된 절개사면(11)의 표면에 앙카핀(220)으로 고정되는 철망(210); 상기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상기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결속선(320)으로 고정되는 다수 개의 부직포식생백(310); 및, 절개사면(11)에 포설되어 상기 부직포식생백(310)과 상기 철망(210)을 덮고 상기 구덩이(110)를 채워주는 녹생토층(410);으로 구성되되, 상기 부직포식생백(310)의 내부에는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채워져 있고 미리 목본류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개사면을 녹화하기 위한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목본류 식물이 미리 식재된 부직포식생백을 활용하여 목본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고 포설된 녹생토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의 신설이나 경사면을 절토한 후 건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자연적인 지형을 절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절개지 사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절개사면의 토양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녹화공법으로 시드스프레이(seed spray), 볏짚공법, 녹생토공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절개사면이 완만하고 절개지 토양이 양질의 토지인 경우에는 간단한 녹화공법으로 시드스프레이, 볏짚공법이 사용되고, 절개사면의 경사가 급하고 절개지 토양이 자갈층이나 풍암, 연암 등으로 되어 있어 녹화가 곤란한 경우에는 녹화토에 씨앗을 배합하여 만든 녹생토를 절개사면에 흡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녹생토공법은 토목공사가 완료되어 정비된 절개지 경사면에 녹생토가 흘러내리지 않고 흡착될 수 있도록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사면에 능형망(철망)을 덮고 앙카핀을 타설하여 능형망을 지면에 고착시킨 후 그 상부에 녹화토와 씨앗을 배합한 녹생토를 고압으로 포설하여 일정한 두께(10 내지 15 ㎝)가 형성되도록 시공한다.
이러한 종래의 녹생토공법은 목본류의 식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녹화토에 초본류 씨앗과 목본류 씨앗을 혼합한 녹생토를 포설하면 초본류(풀)의 씨앗이 먼저 발아하여 성장함으로써 초본류의 그늘에 가려진 목본류 씨앗은 발아 및 성장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녹생토 시공 후 녹생토 시공면을 굴착하여 나무를 심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절개면에 포설된 녹생토가 홍수 등에 의하여 유실될 위험성이 높아 시공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녹생토공법을 개선하여 녹생토 시공과 동시에 절개지 경사면에 나무가 식재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현행 녹생토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녹생토시공과 동시에 절개지 경사면에 목본류(나무)가 식재되어 성장할 수 있는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절개사면(11)에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되는 다수 개의 구덩이(110); 절개사면(11)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구덩이(110)가 형성된 절개사면(11)의 표면에 앙카핀(220)으로 고정되는 철망(210); 상기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상기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결속선(320)으로 고정되는 다수 개의 부직포식생백(310); 및, 절개사면(11)에 포설되어 상기 부직포식생백(310)과 상기 철망(210)을 덮고 상기 구덩이(110)를 채워주는 녹생토층(410);으로 구성되되, 상기 부직포식생백(310)의 내부에는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채워져 있고 미리 목본류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개사면(11)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구덩이(110)를 굴착하는 제1단계; 구덩이(110)가 굴착된 절개사면(11)에 철망(210)을 덮고 앙카핀(220)으로 고정하는 제2단계;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내장된 부직포식생백(310)을 설치하고 결속선(320)으로 철망(210)에 고정하는 제3단계; 및, 절개사면(11)에 녹생토를 포설하여 구덩이(110)를 채우고 부직포식생백(310) 및 철망(210)을 덮는 녹생토층(410)을 형성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공법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본류 식물이 미리 식재된 부직포식생백(310)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사면(11)에 부착고정시키고 녹생토를 포설하게 되는데, 부직포식생백(310)의 하부에는 구덩이(110)가 굴착되고 그 내부에 녹생토가 채워짐으로써 식재된 목본류(나무) 식물의 뿌리가 토양 깊숙히 성장하여 절개사면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다수 개의 부직포식생백(310)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함으로써 그 자체가 포설된 녹생토의 유실을 방지하는 담장 역할을 할 수 있다.
셋째, 부직포식생백(310)에 식재되는 나무의 종류를 구별하여 절개사면(11)의 하단부에 인접한 곳에는 키가 작은 개나리나 무궁화와 같은 나무가 식재된 부직포식생백(310)을 설치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키가 큰 나무를 식재하여 낙엽 등에 의하여 절개사면(11)에 인접한 도로의 교통흐름이 저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녹생토 포설에 따른 화초 식재와 함께 부직포식생백(310)을 이용한 목본류의 식재가 동시에 가능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여행자에게 꽃길과 숲속을 달리는 느낌을 주고 주변 경관을 아름답게 개선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녹생토공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녹화구조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녹화구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된 부직포식생백(310)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5는 식생백수용함(510)이 부직포식생백(310)과 함께 사용된 경우를 도시하는데 철망(210)의 하부는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녹화구조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녹화구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된 부직포식생백(310)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5는 식생백수용함(510)이 부직포식생백(310)과 함께 사용된 경우를 도시하는데 철망(210)의 하부는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녹화구조를 도시하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녹화구조의 단면을 도시한다.
구덩이(110)는 절개가 완료된 절개사면(11)에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되는데 부직포식생백(310)에 식재되는 나무의 성장시 크기를 고려하여 상하좌우 간격을 절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즉 절개지의 토목공사가 완료되어 잘 정비된 절개사면(11)에 굴착기를 이용하여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덩이(110)를 만들어 시공후 나무의 뿌리가 잘 자랄 수 있는 토양과 영양을 공급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구덩이(110)의 규격은 부직포식생백(310)에 식재되는 목본류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가로/세로/깊이)로 굴착한다.
철망(210)은 절개사면(11)을 덮어 절개사면(11)의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구덩이(110) 굴착이 완료된 절개사면(11)의 표면에 철망(210)을 덮고 일정한 간격으로 앙카핀(220)을 타설하여 철망(210)을 절개사면(11)에 고착시킨다.
부직포식생백(310)은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결속선(320)을 이용하여 부직포식생백(310)을 철망(210)에 고정시킨다.
부직포식생백(31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식재된 목본류 식물의 뿌리가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통공(315)이 천공된 부직포를 봉제하거나 접착 또는 열융착하여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로 제작하는데, 최종 제품의 형태가 반드시 직육면체 블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부직포식생백(310)의 두께(높이)는 나중에 포설된 녹생토층(410)의 두께(10 내지 15 ㎝)를 고려하여 이와 유사한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제작한다.
부직포의 재질이 PE(폴리에틸렌) 또는 PP(폴리프로필렌)인데 흙속에서는 자외선 등으로부터 차단되어 부식되지 않으므로 절개사면(11)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부직포식생백(310) 내부에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를 단단히 채워 나무를 식재하면 이식할 때 성장된 나무의 뿌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부직포식생백(310)의 내부에는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채워져 있고 미리 목본류 식물이 식재된다.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는 일반적으로 나무의 생장촉진과 절개지 암벽녹화에 필요한 다량의 유기물과 지효성 비료질을 함유한 인공토를 의미하는데 법면 유실 방지를 위하여 토양안정제가 함께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형태로 제작되어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채워진 부직포식생백(310)을 철망(21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함으로써 이후 포설되는 녹생토층(410)이 풀이 자라기 전에 홍수 등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담장 역할을 하게 된다.
도5의 경우에는 식생백수용함(510)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는데, 식생백수용함(510)은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로서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앙카핀(220)으로 고정된다.
식생백수용함(510)의 구체적 형상이나 규격, 재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상자가 사용되며 수용되는 부직포식생백(310)의 크기와 형상을 고려하여 제작된다. 필요에 따라 식생백수용함(510)에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식생백수용함(510)이 사용되는 경우 부직포식생백(310)을 식생백수용함(510)에 넣기만 하면 되며 별도의 결속선(320)이 필요하지 않다.
절개사면(11)을 덮는 철망(210)과 부직포식생백(310)을 철망(210)에 고정시키는 결속선(320)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외표면에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 피복재가 덮혀 있어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녹생토층(410)은 부직포식생백(31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절개사면(11)에 고압으로 포설되는데, 부직포식생백(310)과 철망(210)을 덮음은 물론 구덩이(110)의 내부 공간도 채워주게 된다.
녹생토층(410)은 식물의 생장촉진과 절개지 암벽녹화에 필요한 다량의 유기물과 지효성 비료질을 함유한 인공토를 의미하는데 법면 유실 방지를 위하여 토양안정제가 함께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녹생토층(410)은 초본류 종자와 혼합되어 포설되는데, 구덩이(110) 내부와 함께 철망(210)과 부직포식생백(310)을 덮어 절개사면(11)의 녹화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녹화구조를 완성하는 공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1.부직포식생백(310)을 사용하는 경우
(1) 제1단계
절개지의 토목공사가 완료된 절개사면(11)을 따라 굴착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구덩이(110)를 굴착하는 단계이다.
구덩이(110)의 간격이나 규격은 부직포식생백(310)에 식재되는 나무의 종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2) 제2단계
구덩이(110)가 굴착된 절개사면(11)에 철망(210)을 덮고 앙카핀(220)으로 고정하는 단계인데 철망(210)은 절개사면(11)의 유실이나 낙석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나중에 포설되는 녹생토층(410)의 부착력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
(3) 제3단계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내장된 부직포식생백(310)을 설치하고 결속선(320)으로 철망(210)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부직포식생백(310)이 철망(2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설치됨으로써 부직포식생백(310)은 나중에 포설되는 녹생토층(410)의 유실을 방지하는 담장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제3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미리 부직포식생백(310)을 제작하여야 하는데,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채워진 부직포식생백(310) 내부에 미리 목본류 식물을 식재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결속선(320)을 이용하여 철망(210)에 고정시키게 된다.
(4) 제4단계
절개사면(11)에 녹생토를 포설하여 구덩이(110)를 채우고 부직포식생백(310) 및 철망(210)을 덮는 녹생토층(4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최종 녹화구조가 완성되며, 구덩이(110)에 채워진 녹생토층(410)은 부직포식생백(310)에 채워진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와 함께 목본류(나무)의 성장에 필요한 토양과 양분을 공급하여 나무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본류와 목본류가 함께 성장할 수 있다.
2.식생백수용함(510)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1) 제1단계
절개지의 토목공사가 완료된 절개사면(11)을 따라 굴착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구덩이(110)를 굴착하는 단계이다.
구덩이(110)의 간격이나 규격은 부직포식생백(310)에 식재되는 나무의 종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2) 제2-1단계
구덩이(110)가 굴착된 절개사면(11)에 철망(210)을 덮고 앙카핀(220)으로 고정하는 단계인데 철망(210)은 절개사면(11)의 유실이나 낙석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나중에 포설되는 녹생토층(410)의 부착력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
(3) 제2-2단계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식생백수용함(510)을 배열하고 앙카핀(220)으로 고정하는 단계이다.
(3) 제3단계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내장된 부직포식생백(310)을 식생백수용함(510)에 수용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부직포식생백(310)과 식생백수용함(510)이 철망(2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설치됨으로써 나중에 포설되는 녹생토층(410)의 유실을 방지하는 담장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제3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미리 부직포식생백(310)을 제작하여야 하는데,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채워진 부직포식생백(310) 내부에 미리 목본류 식물을 식재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식생백수용함(510)에 넣으면 된다.
(4) 제4단계
절개사면(11)에 녹생토를 포설하여 구덩이(110)를 채우고 부직포식생백(310) 및 철망(210)을 덮는 녹생토층(4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최종 녹화구조가 완성되며, 구덩이(110)에 채워진 녹생토층(410)은 부직포식생백(310)에 채워진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와 함께 목본류(나무)의 성장에 필요한 토양과 양분을 공급하여 나무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본류와 목본류가 함께 성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1:절개사면
110:구덩이
210:철망(능형망)
220:앙카핀
310:부직포식생백
311:목본류 식생용 녹생토 315:통공
320:결속선
410:녹생토층
510:식생백수용함
110:구덩이
210:철망(능형망)
220:앙카핀
310:부직포식생백
311:목본류 식생용 녹생토 315:통공
320:결속선
410:녹생토층
510:식생백수용함
Claims (7)
- 절개사면(11)에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되는 다수 개의 구덩이(110);
절개사면(11)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구덩이(110)가 형성된 절개사면(11)의 표면에 앙카핀(220)으로 고정되는 철망(210);
상기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상기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결속선(320)으로 고정되는 다수 개의 부직포식생백(310); 및,
절개사면(11)에 포설되어 상기 부직포식생백(310)과 상기 철망(210)을 덮고 상기 구덩이(110)를 채워주는 녹생토층(410);
으로 구성되되,
상기 부직포식생백(310)의 내부에는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채워져 있고 미리 목본류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 절개사면(11)에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되는 다수 개의 구덩이(110);
절개사면(11)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구덩이(110)가 형성된 절개사면(11)의 표면에 앙카핀(220)으로 고정되는 철망(210);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로서 상기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상기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앙카핀(220)으로 고정되는 식생백수용함(510);
상기 식생백수용함(510)에 수용되는 다수 개의 부직포식생백(310); 및,
절개사면(11)에 포설되어 상기 부직포식생백(310)과 상기 철망(210)을 덮고 상기 구덩이(110)를 채워주는 녹생토층(410);
으로 구성되되,
상기 부직포식생백(310)의 내부에는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채워져 있고 미리 목본류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부직포식생백(310)은,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로 제작되며 표면에 다수 개의 통공(3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 제1항에서, 상기 철망(210)과 상기 결속선(320)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외표면에는 합성수지 피복재가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 절개사면(11)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구덩이(110)를 굴착하는 제1단계;
구덩이(110)가 굴착된 절개사면(11)에 철망(210)을 덮고 앙카핀(220)으로 고정하는 제2단계;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내장된 부직포식생백(310)을 설치하고 결속선(320)으로 철망(210)에 고정하는 제3단계; 및,
절개사면(11)에 녹생토를 포설하여 구덩이(110)를 채우고 부직포식생백(310) 및 철망(210)을 덮는 녹생토층(410)을 형성하는 제4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공법. - 절개사면(11)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구덩이(110)를 굴착하는 제1단계;
구덩이(110)가 굴착된 절개사면(11)에 철망(210)을 덮고 앙카핀(220)으로 고정하는 제2-1단계;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식생백수용함(510)을 배열하고 앙카핀(220)으로 고정하는 제2-2단계;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내장된 부직포식생백(310)을 식생백수용함(510)에 수용하는 제3단계; 및,
절개사면(11)에 녹생토를 포설하여 구덩이(110)를 채우고 부직포식생백(310) 및 철망(210)을 덮는 녹생토층(410)을 형성하는 제4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공법. -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제3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부직포식생백(310) 내부에 미리 목본류 식물을 식재하는 목본류 식재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8095A KR101195210B1 (ko) | 2010-05-24 | 2010-05-24 |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8095A KR101195210B1 (ko) | 2010-05-24 | 2010-05-24 |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8576A KR20110128576A (ko) | 2011-11-30 |
KR101195210B1 true KR101195210B1 (ko) | 2012-10-29 |
Family
ID=45396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8095A KR101195210B1 (ko) | 2010-05-24 | 2010-05-24 |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521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14086A (zh) * | 2014-10-23 | 2015-01-28 | 深圳市东华园林绿化有限公司 | 高陡岩质边坡生态恢复结构及实施方法 |
KR102414455B1 (ko) | 2021-09-01 | 2022-06-28 | 박광일 |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68585B (zh) * | 2012-12-09 | 2015-07-29 | 甘肃治沙研究所 | 一种沙冬青容器育苗方法 |
CN105756071A (zh) * | 2016-01-27 | 2016-07-13 | 宏大国源(芜湖)资源环境治理有限公司 | 一种边坡复绿装置及方法 |
CN106069586B (zh) * | 2016-06-12 | 2019-06-28 | 浙江省林业科学研究院 | 库岸消落带生态植被修复方法 |
KR101879729B1 (ko) * | 2018-01-23 | 2018-07-19 | (주)에코블록 |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칸막이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
CN110733138B (zh) * | 2019-11-15 | 2022-05-27 | 西安奕斯伟材料科技有限公司 | 防止工件掉落的保护装置、工件切割系统及切割方法 |
KR102226656B1 (ko) * | 2020-07-30 | 2021-03-10 | 한남수 |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
CN113367057B (zh) * | 2021-07-20 | 2023-05-23 | 广西北投交通养护科技集团有限公司 | 一种基于微灌技术的边坡绿化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9586B1 (ko) | 2002-03-25 | 2004-09-18 | 한남수 | 능형망을 이용한 호안 공법 |
KR100449585B1 (ko) | 2002-03-25 | 2004-09-18 | 한남수 |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
KR100675666B1 (ko) | 2005-04-01 | 2007-02-02 | 최경환 | 수목의 식재 공법 및 그 장치 |
-
2010
- 2010-05-24 KR KR1020100048095A patent/KR1011952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9586B1 (ko) | 2002-03-25 | 2004-09-18 | 한남수 | 능형망을 이용한 호안 공법 |
KR100449585B1 (ko) | 2002-03-25 | 2004-09-18 | 한남수 |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
KR100675666B1 (ko) | 2005-04-01 | 2007-02-02 | 최경환 | 수목의 식재 공법 및 그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14086A (zh) * | 2014-10-23 | 2015-01-28 | 深圳市东华园林绿化有限公司 | 高陡岩质边坡生态恢复结构及实施方法 |
KR102414455B1 (ko) | 2021-09-01 | 2022-06-28 | 박광일 |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8576A (ko) | 2011-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5210B1 (ko) |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 |
CN108589743B (zh) | 一种用于边坡防护的生态土工格栅 | |
KR102226656B1 (ko) |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 |
KR101273514B1 (ko) | 암비탈면의 녹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CN111316850A (zh) | 一种高陡边坡植被及其种植方法 | |
US20200170202A1 (en) | Protective tree tube, method, and revetment using tree contained in same | |
CN107100176A (zh) | 一种高速公路边坡绿化系统 | |
KR20100136795A (ko) |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식생 개비온 블록 및 식생 개비온 블록의 제조방법 | |
KR101659168B1 (ko) |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 |
CN112012229A (zh) | 一种用于石灰岩矿采场高陡坡岩石边坡的生态修复系统 | |
JP7075031B2 (ja) | 法面の施工方法とそれに用いるシート体 | |
JP2003268773A (ja) | ポケット付き植生袋体並びに該植生袋体を用いた緑化基盤体及び該緑化基盤体による緑化方法 | |
CN104770270B (zh) | 一种边坡防护中的灌木建植方法及其护苗罩 | |
KR20080001582A (ko) |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 |
KR20100100509A (ko) |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 |
CN216254315U (zh) | 一种适用于高陡岩石边坡修复的放射式藤本装置 | |
CN1807772A (zh) | 单层、多层无纺面料保护边坡基质的绿化施工结构 | |
KR101488888B1 (ko) | 식생용철망 | |
KR20070012944A (ko) | 부직포 식생백, 이를 이용한 사면구조 및 사면공법 | |
KR101282286B1 (ko) | 개비온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 |
KR100859853B1 (ko) |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 |
KR102443511B1 (ko) | 피스톤식 고정용 앵커를 이용한 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 |
KR101238787B1 (ko) |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 |
KR20230020215A (ko) |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 |
KR20010046694A (ko) | 녹화 마대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지의 녹화 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