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455B1 -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 Google Patents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455B1
KR102414455B1 KR1020210116192A KR20210116192A KR102414455B1 KR 102414455 B1 KR102414455 B1 KR 102414455B1 KR 1020210116192 A KR1020210116192 A KR 1020210116192A KR 20210116192 A KR20210116192 A KR 20210116192A KR 102414455 B1 KR102414455 B1 KR 10241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vegetation
anchor
slope
veget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일
박선화
이용진
이용호
Original Assignee
박광일
박선화
이용호
이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일, 박선화, 이용호, 이용진 filed Critical 박광일
Priority to KR1020210116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다각형의 앵커블록;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식생판;이 삽입되는 식생판삽입부;와, 상기 식생판삽입부에 관통 형성되며, 사면에 천공되어 삽입되는 앵커가 정착되는 앵커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 및 식생판이 구비된 앵커블록 구조를 적용함으로서 앵커블록구조가 적용된 도로, 도심 미관을 향상시키고,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앵커블록 내 식생판삽입부에 식재를 통한 차량 매연 등의 공기정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도심 내 녹지확보와 더 나아가 식생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를 통해 현재 국가적 과제인 탄소중립의 효과를 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Slope anchor block system using Vegetation plate}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 및 식생판이 구비된 앵커블록 구조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소일네일링 공법으로 절토사면을 보강하면서, 소일네일을 격자틀로 형태의 격자 식생블럭과 연계시키고, 상기 격자 식생블럭 내에는 식생공을 실시하는 사면 안정공법과 표층 보강공법의 복합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함께 인접설치되는 격자 식생블럭 간의 일체화 작업과 외장형 스프링을 이용한 외압의 도입으로 절토사면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키는 공법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적 공법이면서도, 종래 식생공법 만으로는 보장될 수 없는 토사안정을 보충하는 사면의 보강 보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그 설치가 용이하여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사면 보강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격자 식생블럭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을 적용하면, 상기 격자 식생블럭의 격자 틈새로 절토사면에 식생이 가능해지므로 녹화로 경관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다. 한편, 이는 지반의 전단보강 공법과 표층보강공법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것이므로 지반보강 효과와 표층보강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격자 식생블럭들은 상호 체결되어 일체화되므로 절토사면의 안전성이 강화되며, 소일네일 후두부에 스프링을 끼워 넣고 압축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지반 압착력이 가해져 절토사면 보강 효과는 극대화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격자 형태의 보강판은 다양한 재료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현장 여건에 따른 적용에 융통성이 있어 경제성, 작업능률 등을 적절히 꾀할 수 있게 한다.
특허문헌 002는 소일네일링 공법으로 절토사면을 보강하면서, 소일네일을 방사형 식생틀과 연계시키고, 상기 방사형 식생틀 내에는 식생공을 실시하는 사면 안정공법과 표층 보강공법의 복합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함께 인접설치되는 방사형 식생틀 간의 일체화 작업과 외장형 스프링을 이용한 외압의 도입으로 절토사면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키는 공법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적 공법이면서도, 종래 식생공법 만으로는 보장될 수 없는 토사안정을 보충하는 사면의 보강 보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그 설치가 용이하여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사면 보강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식생틀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을 적용하면, 상기 방사형 식생틀의 간살 사이로 절토사면에 식생이 가능해지므로 녹화로 경관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다. 한편, 이는 지반의 전단보강 공법과 표층보강공법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것이므로 지반보강 효과와 표층보강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방사형 식생틀들은 상호 체결되어 일체화되므로 절토사면의 안전성이 강화되며, 소일네일 후두부에 스프링을 끼워 넣고 압축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지반 압착력이 가해져 절토사면 보강 효과는 극대화 된다.
특허문헌 003은 절개사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되는 다수 개의 구덩이 절개사면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구덩이가 형성된 절개사면의 표면에 앙카핀으로 고정되는 철망; 상기 구덩이가 위치하는 상기 철망 부위의 상부에 결속선으로 고정되는 다수 개의 부직포 식생백; 및, 절개사면에 포설되어 상기 부직포식생백과 상기 철망을 덮고 상기 구덩이를 채워주는 녹생토층;으로 구성되되, 상기 부직포식생백의 내부에는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가 채워져 있고 미리 목본류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본류 식물이 미리 식재된 부직포 식생백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사면에 부착 고정시키고 녹생토를 포설하게 되는데, 부직포식생백의 하부에는 구덩이가 굴착되고 그 내부에 녹생토가 채워짐으로써 식재된 목본류(나무) 식물의 뿌리가 토양 깊숙히 성장하여 절개사면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다수 개의 부직포 식생백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함으로써 그 자체가 포설된 녹생토의 유실을 방지하는 담장 역할을 할 수 있다. 셋째, 부직포 식생백에 식재되는 나무의 종류를 구별하여 절개사면의 하단부에 인접한 곳에는 키가 작은 개나리나 무궁화와 같은 나무가 식재된 부직포 식생백을 설치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키가 큰나무를 식재하여 낙엽 등에 의하여 절개사면에 인접한 도로의 교통흐름이 저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녹생토 포설에 따른 화초 식재와 함께 부직포 식생백을 이용한 목본류의 식재가 동시에 가능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여행자에게 꽃 길과 숲 속을 달리는 느낌을 주고 주변 경관을 아름답게 개선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4는 패널의 일부가 식생상자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평소에는 패널로 사용되다가 필요 시 내부에 흙을 넣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상자로 사용되므로 절토사면 옹벽을 환경 및 미관측면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절토사면 옹벽 패널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패널의 일부가 식생상자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평소에는 패널로 사용되다가 필요 시 내부에 흙을 넣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상자로 사용되므로 절토사면 옹벽을 환경 및 미관측면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KR 10-2009-0081842 A (공개일자 2009년07월29일) KR 10-0999914 B1 (등록일자 2010년12월03일) KR 10-1195210 B1 (등록일자 2012년10월22일) KR 10-2143683 B1 (등록일자 2020년08월05일)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 및 식생판이 구비된 앵커블록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통상의 사면 보강을 위한 소일네일링이 활용된 앵커링 공법은 네일 보강체를 삽입하고 경사 사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통해 정착하는 것으로 원지반 자체의 전단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통해 지반의 안전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소일네일링 공법은 사면안정에는 효과적인 측면이 있으나, 주로 도로 및 보행로의 측면에 위치한 급경사지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블록이 매달려 있는 형상이 통행하는 차량 및 보행자에게 낙석등의 위협과 돌출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위압감을 주는 등 전반적으로 회색의 구조가 미관상 주변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생판이 구비된 앵커블록 구조를 적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다각형의 앵커블록;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식생판;이 삽입되는 식생판삽입부;와, 상기 식생판삽입부에 관통 형성되며, 사면에 천공되어 삽입되는 앵커가 정착되는 앵커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의 앵커삽입부는 다단 형성되며, 상단이 하단보다 넓게 구비되어 상기 앵커 정착용 정착판이 함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의 앵커삽입부 하면은 하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의 식생판삽입부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함몰형성되고, 내부에 식생판을 삽입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 구조에는 이웃하는 앵커블록 사이에 백업재부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삽입부에 삽입되는 식생판은 고분자 플라스틱 폐재를 재활용하여 활용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에는 공기정화식물이 식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 구조에는 저수부 및 상기 저수부에서 유출되어 상기 앵커블록 구조로 배수되는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밸브부에 연결되며, 상기 식생판에 식재된 식물에 살수를 위한 살수부로 형성되는 식생관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 및 식생판이 구비된 앵커블록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앵커블록구조가 적용된 도로, 도심 미관을 향상시키고,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앵커블록 내 식생판삽입부에 식재를 통한 차량 매연 등의 공기정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도심 내 녹지확보와 더 나아가 식생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를 통해 현재 국가적 과제인 탄소중립의 효과에 기여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앵커블록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돌출부가 구비된 앵커블록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앵커블록 구조가 설치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판이 구비된 앵커블록이 설치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앵커블록 구조에 식생관리부가 설치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의 인용관계는 기술적 이해를 돕고자 제시한 번호에 불과 할 뿐이며, 기타 인용하지 않은 다른 실시 예를 인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명시되지 않은 구성이어도 유사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하 실시 예에 명시하지 않은 하위개념 구성이어도 명시된 것으로 간주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다각형의 앵커블록(100); 상기 앵커블록의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식생판(200);이 삽입되는 식생판삽입부(110);와, 상기 식생판삽입부에 관통 형성되며, 사면(G)에 천공되어 삽입되는 앵커(150)가 정착되는 앵커삽입부(120);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100)은 사각의 액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100)은 제작 시 콘크리트 조성물에 조색제를 배합하여 컬러 앵커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절토 또는 성토 사면(G)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10)를 적용함에 있어 절토 또는 성토로 형성된 사면 영역에 통상의 소일네일링이라 불리는 앵커공법을 적용한다. 상기 앵커블록구조는 사면(G)영역 전반에 걸쳐 일정간격 형성된 앵커(150)를 앵커블록(100)을 통해 사면에 긴장하여 정착하는 것으로 완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복수개의 앵커블록을 통해 사면(G)을 보강하는 앵커블록 구조(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앵커블록(10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십자형 등 상기 앵커를 사면(G)에 정착하기 위한 블록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든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원형, 타원형 등을 적용하여 도시미관을 고려하여 기존의 다각형이 주는 직선의 절제된 형상을 탈피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비정형의 형상으로 각기 다른 형상의 앵커블록(100)이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앵커블록은 기본적으로 앵커블록(100)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식생판삽입부(110)를 형성하는데, 상기 식생판삽입부에는 식물 식재를 위한 식생판이 삽입된다. 통상의 앵커블록이 형성되는 사면은 인위적인 절토 또는 성토를 통해 형성되어 토사등이 그대로 노출된 형태로 방치되어 주변의 식생이 우거진 면과 대비되게 삭막하고, 정리되지 않은 듯한 느낌을 주어 통행하는 차량 및 보행자에게 낙석등의 위협과 돌출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위압감을 주는 등 전반적으로 회색의 구조가 미관상 주변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특성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미관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생판(200)을 앵커블록(100)에 적용한다. 상기 앵커블록은 식물의 식생 및 앵커(150)의 정착용도로 동시에 활용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사면(G)에 천공되어 삽입되는 앵커를 정착할 수 있는 앵커삽입부(120)를 상기 식생판삽입부(110)에 관통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블록(100)에 식생판(200)을 적용하기 위해 앵커블록의 형상을 액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이미 널리 활용되어지고 있는 통상의 식생판의 형상(사각형)을 고려한 것으로 액자형의 테두리부분은 두껍게 형성하고 내부는 함몰시켜 식생판삽입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블록(100)은 제작 시 콘크리트 조성물에 조색제를 배합하여 컬러 앵커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도심지 내 주변의 구조물과의 조화 및 미관 항상을 위해 적용되는 앵커블록(100)의 제작 시 콘크리트 배합 내 조색제를 첨가하여 원하는 컬러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룰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100)의 앵커삽입부(120)는 다단 형성되며, 상단이 하단보다 넓게 구비되어 상기 앵커(150) 정착용 정착판(130)이 함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100)의 앵커삽입부(120)는 상광하협으로 테이퍼 형성되어 상기 앵커 정착용 정착판(130)이 마찰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100)의 앵커삽입부(120) 하면은 하방향으로 돌출부(14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40)는 상광하협의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 또는 2-2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제작 시 상기 앵커삽입부(120) 영역만 고강도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블록(100)의 앵커삽입부(120)는 앵커정착을 위해 가장 효율적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앵커삽입부(120)를 계단식으로 다단 형성하여 상단의 삽입부 형상을 하단의 삽입부 형상보다 넓게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통되는 앵커(150)를 상기 앵커블록에 정착할 때 앵커삽입부(120)의 상단에 정착판(130)을 내입시켜 상기 식생판삽입부(110) 영역에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앵커(150)의 정착을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앵커블록(100)의 앵커삽입부(120)를 상광하협의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앵커블록과 앵커 정착용 정착판(130)이 마찰지지되도록 형성하여, 앵커(150) 정착성능의 신뢰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앵커정착용 정착판(130)이 상기 앵커블록의 앵커삽입부(120) 영역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앵커블록(100)의 앵커정착용 정착판(130) 지지영역이 지지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앵커블록의 앵커삽입부(120) 하면, 즉 상기 앵커블록이 사면과 맞닿는 부분이 하방향으로 돌출부(140)를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140)는 상광하협의 아치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정착판(130)이 지지되는 앵커블록(100)의 영역의 구체면적을 확보하는 것으로 앵커(150)의 긴장재 긴장력에 따라 상기 앵커 정착용 정착판(130)이 콘크리트에 가압하는 지압응력으로인해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상기 앵커블록이 지압파괴 또는 펀칭파괴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앵커블록의 앵커삽입부(120)의 지지성능을 보다 확실히 구현하기 위해 상기 앵커삽입부(120) 영역만 고강도 콘크리트로 형성하거나, 관통되어 사면(G)에 맞닿는 영역으로서 균열등에 따라 수분침투등의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폴리머콘크리트로 형성할 수 도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10)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의 식생판삽입부(110)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함몰형성되고, 내부에 식생판(200)을 삽입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의 식생판삽입부(110)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함몰형성되고 내부에 식생판(200)을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블록구조의 앵커블록(100)을 형성하는데 있어 식생판삽입부는 상광하협으로 함몰형성하여 식생판(200)의 삽입을 원활히 도모할 수 있다. 이는 평면기준 식생판의 영역을 앵커블록의 구조체에 비해 넓게 보이도록 하기위한 것으로 식생영역을 확대하여 식식재되는 식물로 외관상 앵커블록(100)을 최대한 가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식생판(200)은 태풍 등 외력에 의해 앵커블록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있어. 앵커블록(100)과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블록의 식생판삽입부(110)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내부에 식생판(200)을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는데, 이는 향후 공용중 식생판(200)의 유지관리를 위해 작업자가 식생판의 장착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세하게 앵커블록(100)의 식생판삽입부(110)의 입구를 내면보다 좁게 형성하고, 이에 맞게 식생판(200)을 형성하여 탄성변형이 가능한 식생판삽입부(110)를 작업자가 약간의 힘을 주어 축소 변형하여 상기 식생판삽입부에 억지로 끼워 삽입하는 형식으로 장착하는 것으로 웬만한 태풍 등 외력에 의해 탈거가 되지 않게 삽입할 수 있고, 조경 등 관리를 위해 식생판(200)을 탈거 시 작업자의 힘으로 식생판을 상기 식생판삽입부(110)로부터 꺼내어 교체, 수리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식생판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식생판(200) 일단에는 별도의 파지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 구조에는 이웃하는 앵커블록 사이에 백업재부(300)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백업재부(300)는 유색 또는 무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블록구조를 절토 또는 성토 사면에 형성함에 있어서, 도시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미적표현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상기 앵커블록구조에는 이웃하는 앵커블록(100)사이에 백업재부(300)를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백업재부(300)는 앵커블록구조의 획일화된 배치형상을 미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부가된 구성으로 앵커블록(100)간에 끼움등 고정되며, 다양한 색, 형상으로 표현되어 적용되는 것으로 본래의 앵커블록 목적을 포함하면서, 도시미관을 향상시키는데 부가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삽입부에 삽입되는 식생판(200)은 고분자 플라스틱 폐재를 재활용하여 활용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삽입부(110)에 삽입되는 식생판(200)은 생분해성재질을 활용하여 형성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블록 구조(10)의 앵커블록에 삽입되는 상기 식생판은 자원 재활용을 목적으로 플라스틱 폐재를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폐기되는 플라스틱 폐재를 재활용함과 동시에, 생산에 투입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색생판은 생분해성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어 식재된 식물이 앵커블록(100) 내 자리를 잡는 기간 동안 식생판(200)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토양과 함께 식재된 식물의 지지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200)에는 공기정화식물이 식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 구조의 식생판(200)에는 절토 또는 성토 사면의 형성 방향에 따라 생육성능이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이 식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앵커블록 구조(10)의 앵커블록에 삽입되는 식생판에는 다양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공기정화 효과가 뛰어난 식물이 식재되어 미세먼지 제거, 가습효과를 도모 수 있다. 대표적인 공기정화 식물로는 해피트리, 포인세티아, 극락조, 콤펙타, 아레카애자 등이 있고, 콤펙트 및 아레카야자 등은 음지에서도 잘자라는 특성이 있어 일조량이 적은 북향의 사면(G)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토 또는 성토사면은 도시계획 등에 따라 동서남북 등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면(G)의 방향에 따라 상기 앵커블록구조의 식생판(20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예를들어, 남향의 사면에는 하루종일 가장 긴 햇빛을 받기 때문에 식재되는 식물이 잘 자랄 가능성이 크고, 북향의 사면(G)에는 하루종일 햇빛을 받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이 상대적으로 남향의 사면에 식재된 식물보다 적게 자랄 확률이 크다. 따라서 절토 등에 따라 서로 마주보게되는 남향 또는 북향의 사면(G)에 같은 종류의 식물을 식재할 경우 생육의 차이에 의해 그 크기가 비교 되어 미관상 안 좋을 확률이 크므로 사면의 방향에 따라 생육성능이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을 식재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북향의 사면(G)에는 응지에서 잘 자라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남향의 사면에는 완전히 자라도 식물의 크기가 크지않는 종류의 식물을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다. 동향, 서향의 사면에도 그 지역의 기후, 기온, 주변환경등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 구조에는 저수부(410) 및 상기 저수부에서 유출되어 상기 앵커블록 구조로 배수되는 배수부(420) 및 상기 배수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밸브부(430)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450)와 상기 밸브부(430)에 연결되며, 상기 식생판(200)에 식재된 식물에 살수를 위한 살수부(440)로 형성되는 식생관리부(4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440)는 상기 식생틀 상면보다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식물에 직접 살수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식생관리부(400)는 상기 식생판(200) 내부에 온도센서(500) 및 습도센서(5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450)를 통해 온, 습도 정보를 수신하고, 기성청을 통한 강우 등 날씨 예보를 수신하여, 살수부(440)를 통한 살수 시기 및 살수량을 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블록 구조에는 상기 식생판에 식재된 식물의 관리를 위해 식생관리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시 앵커블록구조의 식생판(200)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절토 또는 성토로 형성된 사면(G)에 저수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410)는 통상의 물탱크형상의 저수조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든 무관하며, 급배수를 위해 사면인근 현장 여건에 따라 위치를 정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410)가 사면(G)의 하단에 위치할 경우 급수를 위해 별도의 급수펌프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저수부(410)가 사면의 상단에 형성될 경우 중력에 의한 자연배수를 통해 수분공급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저수부(41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은 직접 지하수를 끌어 저수부(410)에 저장하거나, 산고랑의 배수로에 연결된 집수정으로부터 공급을 받을 수도 있다. 이렇게 저수부(410)에 집수된 물은 저수부(410)에서 유출되어 상기 앵커블록 구조(10)에 배수부(420)를 통해 배수되는데 상기 배수부는 폴리염회비닐, 폴리에틸렌 및 폴리우레탄등의 연질의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및 고무등의 재질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앵커블록(100)의 위치에 따른 배수를 제어하기 위해 배수부(420)의 저수부(410)에 연결된 지점 또는 분기되는 각 지점에는 개폐가 가능한 밸브부(4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부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하여 제어부(450)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제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어부(450)는 무선통신을 통해 복수개의 밸브부(430)를 동시에 또는 각각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하게 제어부(450)는 전원부, 모니터부 및 무선통신장비(RC)구성을 포함하고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밸브부(4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50)의 전원부는 상기 제어부(450) 및 밸브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을 위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태양광, 풍력 발전 등 자가발전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저정할 수 있는 축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420)에 연결된 단부에는 살수부(440)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식생판(200)에 직접 물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상기 살수부(440)는 상기 식생판(200)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식생판(200)에 식재된 식물 표면에 직접 살수하는 것으로 식물에 급수를 실시함과 동시에 도심의 미세먼지등이 흡착된 식물의 잎을 청소하여 식물 광합성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 살수부(440)는 통상의 스프링클러일 수 있고, 배수부의 물공급을 통해 스프링클러가 회전하여 인접블록 전체에 골고루 살수를 할 수 있다.
또한, 식생판(200) 식생관리를 위해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상기 살수부(440)는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식생관리부(400)에는 상기 식생판(200)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온도센서(500) 및 습도센서(500)가 더 구비되고, 이는 제어부(45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온도센서(500) 및 습도센서(500)로부터 감지된 온, 습도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배수부(420)의 밸브부(430)를 개폐시켜 상기 저수부(410)로부터 물을 급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50)는 온도센서(500) 및 습도센서(500)의 정보를 수신하고, 기성청을 통한 강우 등 날씨 예보를 수신하여, 전달되는 계측값을 수집, 판단하여 살수부(440)를 통한 살수 시기 및 살수량을 정함과 동시에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만약 기 설정된 조건의 범위(온도조건, 강우조건 등)를 벗어난 경우 알람수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리는 등 앵커블록구조의 식생관리를 위한 전반의 과정을 관할하는 역할을 한다.
G : 사면
10 : 앵커블록 구조 100 : 앵커블록
110 : 식생판삽입부 120 : 앵커삽입부
130 : 정착판 140 : 돌출부
150 : 앵커
200 : 식생판
300 : 백업재부
400 : 식생관리부 410 : 저수부
420 : 배수부 430 : 밸브부
440 : 살수부 450 : 제어부
500 : 온도센서 600 : 습도센서

Claims (8)

  1. 절토 또는 성토 사면 보강을 위한 앵커블록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다각형의 앵커블록(100);
    상기 앵커블록(10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식생판(200);이 삽입되는 식생판삽입부(110);와,
    상기 식생판삽입부(110)에 관통 형성되며, 사면에 천공되어 삽입되는 앵커가 정착되는 앵커삽입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앵커블록(100)의 상기 앵커삽입부(120)는 다단 형성되며, 상단이 하단보다 넓게 구비되어 상기 앵커 정착용 정착판(130);이 함입되고,
    상기 앵커블록(100)의 상기 앵커삽입부(120) 하면은 하방향으로 돌출부(140);를 형성하고,
    상기 앵커블록(100)의 식생판삽입부(110)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도록 하여 내부에 상기 식생판(200)을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며,
    상기 앵커블록(100)에는,
    저수부(410);
    상기 저수부(410)에서 유출되어 상기 앵커블록(100) 구조로 배수되는 배수부(420);
    상기 배수부(42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밸브부(430);
    상기 밸브부(430)를 제어하는 제어부(450);
    상기 밸브부(430)에 연결되며, 상기 식생판(200)에 식재된 식물에 살수를 위한 살수부(440);로 형성되는 식생관리부(4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살수부(440)는 상기 식생판(200)의 상면보다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식생관리부(400)는 상기 식생판(200) 내부에 온도센서(500) 및 습도센서(5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450)를 통해 온, 습도 정보를 수신하고, 기성청을 통한 날씨 예보를 수신하여, 살수부(440)를 통한 살수 시기 및 살수량을 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블록 구조에는 이웃하는 앵커블록 사이에 백업재부;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삽입부에 삽입되는 식생판은 고분자 플라스틱 폐재를 재활용하여 활용한 것을 포함하는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에는 공기정화식물이 식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8. 삭제
KR1020210116192A 2021-09-01 2021-09-01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KR10241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92A KR102414455B1 (ko) 2021-09-01 2021-09-01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92A KR102414455B1 (ko) 2021-09-01 2021-09-01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455B1 true KR102414455B1 (ko) 2022-06-28

Family

ID=8226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192A KR102414455B1 (ko) 2021-09-01 2021-09-01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910B1 (ko) 2022-11-24 2023-06-28 (주)대한지오이엔씨 안정화된 식생기반층을 지니는 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842A (ko) 2008-01-25 2009-07-29 (주) 효창이엔지 격자 식생블럭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
KR100999914B1 (ko) 2008-04-24 2010-12-09 김용기 방사형 식생틀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
KR101195210B1 (ko) 2010-05-24 2012-10-29 한남수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101391238B1 (ko) * 2013-04-01 2014-05-02 주식회사 이앤앤이 유지보수용 탈부착 보호캡을 구비한 옹벽 패널
KR101818117B1 (ko) * 2017-05-12 2018-01-15 한주이엔씨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2143683B1 (ko) 2018-02-10 2020-08-12 정동욱 절토사면 옹벽 패널설치방법
CN113006096A (zh) * 2021-02-23 2021-06-22 江苏筑港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植被混凝土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842A (ko) 2008-01-25 2009-07-29 (주) 효창이엔지 격자 식생블럭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
KR100999914B1 (ko) 2008-04-24 2010-12-09 김용기 방사형 식생틀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
KR101195210B1 (ko) 2010-05-24 2012-10-29 한남수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101391238B1 (ko) * 2013-04-01 2014-05-02 주식회사 이앤앤이 유지보수용 탈부착 보호캡을 구비한 옹벽 패널
KR101818117B1 (ko) * 2017-05-12 2018-01-15 한주이엔씨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2143683B1 (ko) 2018-02-10 2020-08-12 정동욱 절토사면 옹벽 패널설치방법
CN113006096A (zh) * 2021-02-23 2021-06-22 江苏筑港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植被混凝土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910B1 (ko) 2022-11-24 2023-06-28 (주)대한지오이엔씨 안정화된 식생기반층을 지니는 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39184A1 (en) Green roof tile system and methods of use
KR20110102318A (ko) 입체 플랜트 구조
CN106013624B (zh) 一种基于植草板改造的绿色海绵屋顶的技术方法
WO2008062928A1 (en) The process of planting trees in a desert and arid regions
CN101502223A (zh) 边坡植土绿化用具及边坡植土绿化方法
CN109811776B (zh) 一种装配式格构框架梁
KR102414455B1 (ko) 식생판이 구비된 사면 앵커블록 구조
JP7075031B2 (ja) 法面の施工方法とそれに用いるシート体
CN111809475A (zh) 海绵城市生态市政道路
JP2003047346A (ja) 緑化用植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900361B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护坡结构
WO2009111995A1 (en) Vegetation roof, especially pitched,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EP0704009A1 (de) Schutzaufbau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4396691A (zh) 一种干旱砾漠区梭梭免灌植被造林方法
CN114402850B (zh) 一种适用于裸露岩质边坡植被恢复的构建方法
KR20150134255A (ko)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건축 구조물 및 그 구성방법
CN210459442U (zh) 一种海绵城市绿化道路
CN111492841B (zh) 一种园艺植物土壤湿度养护装置及其养护工艺
CN106702984A (zh) 岩质边坡景观排水装置
JP2005046006A (ja) 埋設型植栽装置
KR20120034970A (ko) 게비온 블럭 및 게비온 블럭 제조 방법
CN106593034B (zh) 一种速成地面绿荫停车场及其施工方法
CN213427462U (zh) 白茬山掌子面微地貌生态篱笆客土室漫天星式绿化系统
JP2008259484A (ja) 屋上緑化ユニット
CN1864455A (zh) 内灌式节水地槽植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