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582A -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 Google Patents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582A
KR20080001582A KR1020060112696A KR20060112696A KR20080001582A KR 20080001582 A KR20080001582 A KR 20080001582A KR 1020060112696 A KR1020060112696 A KR 1020060112696A KR 20060112696 A KR20060112696 A KR 20060112696A KR 20080001582 A KR20080001582 A KR 20080001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tree planting
tree
planting
vegeta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0150B1 (ko
Inventor
이천길
Original Assignee
(주)덕산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산조경 filed Critical (주)덕산조경
Publication of KR2008000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40Afforestation or refores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의 사면과 같이 급경사지는 사면, 성토영역이 좁은 사면이나 암석 지반의 사면에서 수목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고, 식재된 수목의 조기 고착 및 완전한 성장을 유도하며, 녹화시공시 사면상에 살포되는 수생 기반제가 이루는 근권층 및 종자 상토층의 지반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면 녹화공법은 대상 사면을 정리하고, 이 정리된 사면에 기초망을 포설한 후, 기초망상에 횡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로 타공이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구가 형성되는 수목 식재 기구를 배치시켜, 앙카볼트로 수목 식재 기구를 사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수목 식재 기구가 설치된 후, 식생 기반재를 살포하여 근권층을 시공하고, 근권층상에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므로써 종자 상토층을 시공한 후, 수목 식재 기구에 수목을 식재한다.

Description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INCLINED PLANE GREENING METHOD AND TREE PLANTING DEVICE FOR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근권층과 종자 상토층을 형성하여 살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을 위한 수목 식재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의 시공 순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면 녹화공법에서 수목 식재 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기초망을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와 같이 형성된 절개부에 수목 식재 기구를 배치하여 설치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식재기구의 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수목 식재 기구의 배치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목 식재 기구 11 : 프레임
12 : 원형 철사 13 : 수평 철사
14 : 내부 공간 16 : 타공
18 : 식재구 20 : 앙카볼트
22 : 그라우팅 30 : 기초망
32 : (기초망) 절개부 40 : 식생 기반층
42 : 근권층 44 : 종자 상토층
본 발명은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로, 매립지 등의 토목공사시 절토 및 성토 등에 의해 발생되는 사면을 자연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대규모 단지, 광산, 매립지 등의 공사시 발생되는 사면 또는 폭우나 홍수로 훼손된 사면을 녹화시키는 방법에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0-0279284호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은 강우로 인한 침식의 우려가 큰 경사면, 특히 성토 경사면을 조기에 그리고 항구적으로 녹화할 수 있는 성토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성토 경사면을 정지하고, 그 하단의 지면에 경사면 쪽으로 적당히 기운 자갈층을 조성하여 흙으로 덮고, 이 흙에 생나무가지를 꽂은 다음에 흙 위에 기층 돌망태를 올려놓고, 경사면과 기층 돌망태 사이의 공간에 기층 돌망태 보다도 약간 높게 양토를 채워다지며, 양토에 2층 생나무가지를 꽂은 다음 양토 위에 기층 돌망태와는 계단을 이루도록 2층 돌망태를 쌓고, 경사면과 2층 돌망태 사이에 양토를 채워 다지는 방법으로 경사면을 따라 최상위 지점까지 반복 시행한 다음에 돌망태에 초본류종자를 접착제와 파이버 혼합물로 붙이는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06392호 "토사경사면의녹화공법"은 절토면 등의 토사경사면에 저부면이 내측으로 향하여 하향경사진 골을 형성하는 단계와; 골의 저부면에 조기에 발근하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강한 생명력을 보이는 복수의 생나무가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생나무가지가 배치된 골을 주변의 흙으로 복토하는 단계와; 복토영역을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면 녹화공법을 제 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면 녹화공법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거나 성토영역이 충분한 곳에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도로변의 사면과 같이 급경사지는 사면, 성토영역이 좁은 사면이나 암석 지반의 사면에서는 용이하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수목을 식생하는 방법이 아니므로, 식생된 나무가지의 발육부진과 고사로 인해 효과적인 녹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공고번호 특0156022호 "암반사면녹화공법"은 암반사면에 수목이 생육할 수 있도록 발파에 의해 또는 인위적으로 요부를 형성시켜 이들의 요부 일부에는 수세미 화분 또는 멍석화분의 배양토에 의해 생육한 강건묘목을 식재하고, 그 외 부분에는 멍석화분에 의한 향토 초목류를 식재함과 아울러 암반사면의 붕괴우려가 있는 사면부분만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록볼트 또는 앵커로 지지하도록 하는 사면 녹화공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부분적으로 수목을 식재하는 공법이므로 사면을 전체적으로 녹화시키에는 부족한 면이 있고, 발파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요부를 형성해야 하므로 수목이 식재되는 요부의 형성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자연적인 경관을 조성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인위적으로 형성된 요부의 한정된 공간에 수목이 식재되므로 수목의 성장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46053호 "녹화 마대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지의 녹화 공법"은 상부면은 다공질의 재질을 가지며, 하부면은 배수가 잘되지 않는 재질을 갖고, 상부외측에는 복수개의 연결부를 갖도록 일측이 개방된 소정크기를 갖는 녹화 마대를 제작하는 단계; 녹화 마대의 내부에 피트모스와 퇴비 및 보습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에 소정량의 ph 완충제로 이루어진 식생기반재를 충진하고, 녹화마대의 개방면을 묶고 연결부에 연결고리를 연결하는 단계; 식생 기반재가 충진된 녹화마대를 비탈면에 설치된 낙석방지망의 특정부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복수개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녹화 마대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고 묘목을 식재 또는 삽수하고, 종비토 뿜어 붙이기 공법에 의하여 녹화 마대가 연결된 낙석방지망상에 식생기반재를 뿜어 붙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사면 녹화공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면 녹화방법은 녹화가 어려웠던 급경사 숏크리트 비탈면, 급경사 경암 비탈면, 채석장 잔벽면 등의 녹화가 가능하다는 점은 있으나, 사면에서 녹화 마대가 노출되어 시공되므로 자연경관을 해치게 되고, 유수 등으로 인해 마대의 내용물이 소멸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식재된 수목은 녹화 마대내의 기반재에 의존하게 되므로 그 성장에 한계가 있고, 외부 환경(온도 등)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수목의 발육부진과 고사로 인해 효과적인 녹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25253호 "절개지 사면에 목본식물을 도입하는 공법 및 기구"는 급경사를 이루는 절개면에 다수의 지지구를 설치하되 지지구는 후레임 내에 망형지지판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고정봉으로 절개면에 고정가능하도록 하며, 지지구상에는 뿌리 보호용 포대에 약 1년 정도 자란 나무와 적절히 배합한 인공토양을 담아 안치시켜 뿌리 보호용 포대를 고정봉의 절곡단부로 지지하도록 한 사면 녹화공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면 녹화방법은 전술한 예에 비해 수목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점은 있으나, 도로변의 사면과 같이 급경사지는 사면, 성토영역이 좁은 사면이나 암석 지반의 사면에서는 용이하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도로변의 사면과 같이 급경사지는 사면, 성토영역이 좁은 사면이나 암석 지반의 사면에서 수목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고, 식재된 수목의 조기 고착 및 완전한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횡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로 타공이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구가 형성되는 수목 식재 기구를 적용하므로써 수목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지반을 보강하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를 제공하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대상 사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리된 사면에 기초망을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망상에 횡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로 타공이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구가 형성되는 수목 식재 기구를 배치시켜, 앙카볼트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를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목 식재 기구가 설치된 후, 식생 기반재를 살포하여 근권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근권층상에 상기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므로써 종자 상토층을 시공한 후, 상기 수목 식재 기구에 수목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상기 식생 기반재는 상기 사면의 성토시 발생되는 원토와, 폐목재를 파쇄하여 형성되는 톱밥과, 토양 개량제 및 토양 안정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상기 식생 기반재와, 상기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단계는 물은 혼입하여 습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수목 식재 기구에 수목을 식재하는 단계는 상기 근권층과 종자 상토층이 양생된 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상기 종자 상토층을 시공한 후, 상기 종자 상토층상에 상부망을 포설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는 상기 사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되, 상기 사면의 양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상기 앙카볼트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를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앙카볼트 주위에 그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대상 사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횡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로 타공이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구가 형성되는 수목 식재 기 구를 배치시켜, 앙카볼트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를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목 식재 기구가 설치된 후, 식생 기반재를 살포하여 식생 기반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목 식재 기구에 수목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를 상기 사면에 설치하기 전에 상기 정리된 사면에 기초망을 포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목 식재 기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망상에 상기 수목 식재 기구가 놓이는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므로써 절개부를 형성한 후, 상기 수목 식재 기구가 상기 절개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절개부에서 상기 기초망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상기 식생 기반층을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목 식재 기구가 설치된 후, 식생 기반재를 살포하여 근권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근권층상에 상기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므로써 종자 상토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면에 수목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녹화공법을 위한 수목 식재 기구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로 타공이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구가 형성되므로써, 상기 사면에 양측으로 평행 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식재 기구에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는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원형의 철사와, 이 원형의 철사들의 둘레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원형의 철사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평 철사가 서로 엮이어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설계된 수목 식재 기구를 적용하여 사면에 수목을 식생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사면의 녹화를 위해 식생 기반재를 근간으로 하여 형성되는 식생 기반층{4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근권층(42)과 종자 상토층(44)에 해당}의 지반강도가 수목 식재 기구에 의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과 다른 형태의 수목 식재 기구를 사용하여 수목을 식재하고, 지반강도가 보강되는 식생 기반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로변의 사면과 같이 급경사지는 사면, 성토영역이 좁은 사면이나 암석 지반의 사면에서 수목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고, 식재된 수목의 조기 고착 및 완전한 성장을 유도할 수 있어, 자연경관의 복원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목 식재 기구는 대형 장비가 필요없이 사면에 설치할 수 있고, 그 자체가 지반 보강재로서의 기능을 하므로, 생산성 향상을 통한 공사기간의 단축으로 건 설비용을 줄일 수 있고, 식물생육환경을 최적화시킴으로써 더욱 빨리 주변경관과 유사한 자연경관을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목공사시 발생하는 산림 표토(원토) 및 폐목재를 사면 녹화시에 사용될 식생 기반재의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건설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사면의 녹화조건을 지역적 환경특성에 가장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사면 녹화공법 등 통상 이 분야의 관련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근권층과 종자 상토층을 형성하여 살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을 위한 수목 식재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의 시공 순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면 녹화공법에서 수목 식재 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기초망을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와 같이 형성된 절개부에 수목 식재 기구를 배치하여 설치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식재기구의 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에서 수목 식재 기구의 배치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은 먼저, 대상 사면을 정리(S100)한다. 이와 같은 사면의 정리는 대상지가 각종 잔재들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 이들을 제거함과 동시에 뜬돌 등을 제거하여 시공과 식생 정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성토나 복토한 부분은 다짐을 확인한다.
이와 같이 사면이 정리되면,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리된 사면에 기초망(30)을 포설(S110)한다. 여기서 기초망(30)은 암반 및 급경사지(경사가 1:1 이상인 경우)에는 격자식 코팅 철망으로 비닐코팅이 되어 있어 녹이 발생하지 않는 능형망을 포설하여 암사면 보호와 녹화용 식색 기반재를 뿜어 붙일 때 흘러내리지 않고, 서로 엉켜 붙어 있도록 한다. 그리고 평균 1㎡당 1개의 고정핀을 설치하되, 정 간격에 설치하는 것보다는 요철이 심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고정하여 추후 조성되는 식생 기반층이 안정적으로 위치를 잡도록 한다. 풍화암아니 리핑암이 일반토사와 혼합되어 있는 경우는 두께 5cm 정도로 시공하며, 능형망 대신에 다른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급경사지가 아닌 경우 부직포 또는 폴리에틸렌 망에 펄 프지를 부착하여 구성된 형태의 기초망을 설치하므로써 부직포 및 펄프지에 의해 수분 보습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기초망을 혼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기초망(30)의 포설이 완료된 후,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망(30)상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라 구성된 수목 식재 기구(10)를 배치시켜, 앙카볼트(20)로 수목 식재 기구(10)를 사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 식재 기구(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내부 공간(14)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로 타공(16)이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구(1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목 식재 기구(10)는, 도 8a 및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되, 상기 사면의 양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설치되므로써,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후 설치되는 근권층(42)과 종자 상토층(44)으로 이루어지는 식생 기반층(40)의 지반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 식재 기구(10)는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원형 철사(12)와, 이 원형 철사(12)들의 둘레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원형 철사(12)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평 철사(13)가 서로 엮이어 형성되는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목 식재 기구(10)는 수직으로 교차되는 철망을 지름 25~40cm로 돌려 말아서 원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철근으로 결속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식재 기구(10)는 충분한 강성과 부식되지 않는 재질(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아연도금철선을 적용하였다)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분한 강성이란 차후 시공되는 식생 지반층과 엮이어 시공되므로써 지반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체화되어 강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급경사지가 아닌 경우(평편한 성토지)에는 천연섬유질로 형성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필요한 경우에는 상술한 예의 프레임(11)과 천연 섬유질 재료의 망체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목 식재 기구(10)는 기본적으로 타공(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추후 식생 기반재를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근권층(42)과 종자 상토층(44)을 뿜어 붙이기 할 때 내부 공간(14)에 식생 기반재가 충진되게 된다.
한편,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식재 기구(10)는 그라우팅 공법을 사용하여 사면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수목 식재 기구(10)는 수목을 사면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식생 기반재가 충진되도록 하여 수목을 지지하는 역할도 하지만, 근권층(42)과 종자 상토층(44)으로 이루어지는 식생 기반층(40)의 지반강도를 보강하는 기능도 하게 되므로 그 고정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그라우팅 공법을 적용하여 앙카볼트(20)가 그라우팅(22)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목 식재 기구(10)를 설치(S120)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뿜어 붙이기 공법으로 근권층을 시공(S130; 도 4c 참조)하고, 종자 상토층을 시 공(S140; 도 4c 참조)한 후, 식재구(18)를 통해 수목을 식재하게 되는데, 이 뿜어 붙이기 과정에서 식재구(18)를 표시하기 위해 표식 말뚝 등을 설치하여, 뿜어 붙이기를 통한 식생 기반층(40)의 시공 후, 식재구(18)를 통해 수목을 식재하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수목 식재 기구(10)의 설치는 기초망(30)을 일부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절개부(34)}에 수목 식재 기구(10)를 배치하여 사면에 고정한다. 즉, 정리된 사면에 기초망(30)을 포설한 후, 수목 식재 기구(30)를 설치하는 단계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망(30)상에 수목 식재 기구(10)가 놓이는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므로써 절개부(32)를 형성한 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목 식재 기구(10)가 절개부(32)에 배치되도록 하고, 절개부(32)에서 기초망(10)과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목 식재 기구(10)와 기초망(30)을 결합고정시키므로써 식재 기반층(40)의 지반보강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도 1, 도 4c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수목 식재 기구(10)의 설치(S120)가 완료되면, 식생 기반층(40)을 시공한다. 이 식생 기반층(40)의 시공은 장기적으로 사면의 전면이 주위 환경과 유사하게 녹화되도록 하기 위해 종자를 살포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종자의 효과적인 발육을 위해 근권층(42)과 종자 기반층(44)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적인 기반층을 갖도록 한다. 즉, 식생 기반재를 살포하여 근권층(32)을 시공(S130)하고, 그 다음 근권층(32)상에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므로써 종자 상토층(34)을 시공한다. 이때 사용되는 식생 기반재는 사면의 성토시 발생되는 원토와, 폐목재를 파쇄하여 형성되는 톱밥과, 토양 개량제 및 토양 안정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 기반재는 녹화시공이 요구되는 지역의 현지토양(현지 표토 또는 현지 마사토)을 사용한다. 이때 시공 현장 주변의 현지 표토에는 기존 수림대의 종사 및 숙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현지 토양으로 시공시 시공되는 주변 경관과 유사한 수종의 수림대가 형성되는 효과가 있으며, 현지 토양을 사용하므로써 기존의 녹생토와 같은 운반비의 절감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톱밥은 도로공사 등으로 훼손된 임목 잔해물을 파쇄하여 생산되므로 물류비 및 별도의 유기물 구입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토양 개량재 및 토양 안정제는 통상 뿜어 붙이기 공법에 사용되는 요소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식생 기반재에 혼합되어 종자 상토층(34)을 이루는 종자에는 대상지의 녹화목표를 구분하여 재래종 위주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경관성이 필요로 하는 대상지는 야생초화류(감국, 구절초, 금계국, 달막이, 패랭이, 벌개미취 등)를 10%이상 혼합한다. 일반적으로 재래초본류에는 비수리, 억새, 띠, 쑥 등이 있고, 재로목본류에는 자귀나무, 붉나무, 사방오리, 아카시아, 자작나무, 곰솔 등의 교목과 싸리류, 낭아초, 안고초 등의 관목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목 식재 기구(10)의 설치(S120)가 완료되면, 사면의 성토시 발생되는 원토와, 폐목재를 파쇄하여 형성되는 톱밥과, 토양 개량제 및 토양 안정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식생 기반재를 살포하여 식물 생육에 적합한 기초층인 근권층(42)을 시공(S130)하고, 그 다음 근권층(42)상에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므로써 자연경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종자 상토층(44)을 시공(S140)한다. 이때 식생 기반재 및 이에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방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기와 취부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혼합기는 톱밥, 원토, 토양 개량제 및 토양 안정제를 혼합하고, 취부기는 혼합기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물을 해당 사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식생 기반재와, 이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단계는 물은 혼입하여 습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목 식재 기구(10)에 수목을 식재(S160)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식생 기반재와, 이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방법은 통상 뿜어 붙이기 공법으로 알려진 방법이 적용되고, 이와 같은 뿜어 붙이기 공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공고번호 특0166347호 "녹화기반 조성 공법", 등록번호 제10-0500378호 "리싸이클링 에코녹화공법" 및 등록번호 제10-0545001호 "사면 녹화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는 녹화공법" 등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부분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e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종자 상토층(44)을 시공(S140)한 후, 종자 상토층(44)상에 상부망을 포설(S150)하여, 근권층(42)과 종자 상토층(44)으로 이루어지는 식생 기반층(40)을 다시 한번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망은 성토 사면인 경우 통상 그리드 형태의 망(PE망)을 적용하고, 급경사의 사면인 경우 철망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은 특별히 설계된 수목 식재 기구를 사용하여 시공하므로써 수목을 안정적으로 식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면상에 주위 환경과 연계되는 자연경관이 형성되도록 근권층과 종자 상토층으로 이루어지는 식생 기반층의 지반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므로써 궁극적으로 사면의 녹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종래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있는 녹화공법은 수목을 위치시킬 수 있는 점에만 주안점을 두거나, 식생 기반층을 형성하는 점에만 초점이 맞추어지므로써, 수목의 효과적인 성장과 식생 기반층의 고착화가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은 수목 식재 기구를 사용하여 그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에 의하면, 종래 기술과 다른 형태의 수목 식재 기구를 사용하여 수목을 식재하고, 지반이 보강되는 기반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로변의 사면과 같이 급경사지는 사면, 성토영역이 좁은 사면이나 암석 지반의 사면에서 수목을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고, 식재된 수목의 조기 고착 및 완전한 성장을 유도할 수 있어, 자연경관의 복원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목 식재 기구는 대형 장비가 필요없이 사면에 설치할 수 있고, 그 자체가 지반 보강재로서의 기능을 하므로, 생산성 향상을 통한 공사기간의 단축으로 건설비용을 줄일 수 있고, 식물생육환경을 최적화시킴으로써 더욱 빨리 주변경관과 유사한 자연경관을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목공사시 발생하는 산림 표토(원토) 및 폐목재를 사면 녹화시에 사용될 식생 기반재의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건설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사면의 녹화조건을 지역적 환경특성에 가장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1)

  1. 대상 사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리된 사면에 기초망을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망상에 횡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로 타공이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구가 형성되는 수목 식재 기구를 배치시켜, 앙카볼트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를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목 식재 기구가 설치된 후, 식생 기반재를 살포하여 근권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근권층상에 상기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므로써 종자 상토층을 시공한 후, 상기 수목 식재 기구에 수목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기반재는 상기 사면의 성토시 발생되는 원토와, 폐목재를 파쇄하여 형성되는 톱밥과, 토양 개량제 및 토양 안정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기반재와, 상기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단계는 물은 혼입하여 습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 상토층을 시공한 후, 상기 종자 상토층상에 상부망을 포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는 상기 사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되, 상기 사면의 양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앙카볼트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를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앙카볼트 주위에 그라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
  7. 대상 사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횡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로 타공이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구가 형성되는 수목 식재 기구를 배치시켜, 앙카볼트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를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목 식재 기구가 설치된 후, 식생 기반재를 살포하여 식생 기반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목 식재 기구에 수목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를 상기 사면에 설치하기 전에 상기 정리된 사면에 기초망을 포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목 식재 기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망상에 상기 수목 식재 기구가 놓이는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므로써 절개부를 형성한 후, 상기 수목 식재 기구가 상기 절개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절개부에서 상기 기초망과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기반층을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목 식재 기구가 설치된 후, 식생 기반재를 살포하여 근권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근권층상에 상기 식생 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므로써 종자 상토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
  10. 사면에 수목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녹화공법을 위한 수목 식재 기구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둘레로 타공이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구가 형성되므로써, 상기 사면에 양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을 위한 수목 식재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식재 기구는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원형 철사와, 상기 원형 철사들의 둘레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상기 원형 철사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평 철사가 서로 엮이어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 기구.
KR1020060112696A 2006-06-29 2006-11-15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KR100830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7600 2006-06-29
KR2020060017600 200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582A true KR20080001582A (ko) 2008-01-03
KR100830150B1 KR100830150B1 (ko) 2008-05-20

Family

ID=3921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696A KR100830150B1 (ko) 2006-06-29 2006-11-15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1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711B1 (ko) * 2007-07-04 2009-10-13 엔지니어스 주식회사 토양 안정 및 개량제를 이용한 사면보호 시공방법
KR101411887B1 (ko) * 2011-08-17 2014-07-03 대한민국 폐광지의 식생복원을 위한 녹화공법
CN110552356A (zh) * 2019-09-25 2019-12-10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原区道路下边坡挂渣综合治理系统及其施工方法
CN112854263A (zh) * 2021-03-01 2021-05-28 张佳晓 一种市政边坡加固机构及加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340B1 (ko) 2009-04-21 2011-11-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탈면 녹화공법
CN103947505A (zh) * 2014-04-24 2014-07-30 梁文荣 一种飞播造林的炼山的方法
KR101719244B1 (ko) 2016-05-16 2017-03-23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811B1 (ko) * 1999-05-12 2002-01-09 전부영 법면 녹화토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200224548Y1 (ko) * 2000-12-19 2001-05-15 주식회사아썸 식재 삽입홀이 형성된 야자섬유로 충진한 두루마리
KR100523709B1 (ko) * 2003-01-08 2005-10-2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비탈면 녹화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711B1 (ko) * 2007-07-04 2009-10-13 엔지니어스 주식회사 토양 안정 및 개량제를 이용한 사면보호 시공방법
KR101411887B1 (ko) * 2011-08-17 2014-07-03 대한민국 폐광지의 식생복원을 위한 녹화공법
CN110552356A (zh) * 2019-09-25 2019-12-10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原区道路下边坡挂渣综合治理系统及其施工方法
CN110552356B (zh) * 2019-09-25 2024-02-06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原区道路下边坡挂渣综合治理系统及其施工方法
CN112854263A (zh) * 2021-03-01 2021-05-28 张佳晓 一种市政边坡加固机构及加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150B1 (ko)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8499B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KR100830150B1 (ko)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JPH09302667A (ja) 自然生態自己復元式法面工法および法面構造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CN110552356B (zh) 一种高原区道路下边坡挂渣综合治理系统及其施工方法
KR20100061964A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JPH0941384A (ja) 法面の補強・緑化工法およびその袋体
CN209816870U (zh) 利于边坡植被生长陡立混凝土框格梁护坡系统
CN1807772A (zh) 单层、多层无纺面料保护边坡基质的绿化施工结构
JP3880673B2 (ja) 切土法面の緑化装置及び緑化工法
JP4611124B2 (ja) 自然修復法面工法
KR19990046526A (ko) 조경법면설치구조물및그것을이용한시공방법
Schiechtl FAO watershed management field manual: vegetative and soil treatment measures
JP3452185B2 (ja) 植生工法
KR100425923B1 (ko) 척박한 토양의 녹화방법
CN114215081B (zh) 一种露天矿山边坡生态修复施工方法
JP5699291B2 (ja) 植生工法
KR102437529B1 (ko) 우드 식생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CN1696413A (zh) 单层和多层无纺面料保护边坡的绿化施工结构
JP3485547B2 (ja) 仕切り材
JP3117066B2 (ja) 法面の補強・緑化工法およびその布製シート
KR100478636B1 (ko)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KR200282967Y1 (ko) 게비온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