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636B1 -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 Google Patents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636B1
KR100478636B1 KR10-2002-0047360A KR20020047360A KR100478636B1 KR 100478636 B1 KR100478636 B1 KR 100478636B1 KR 20020047360 A KR20020047360 A KR 20020047360A KR 100478636 B1 KR100478636 B1 KR 10047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ation
native
topsoil
native grass
gr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725A (ko
Inventor
오구균
Original Assignee
오구균
이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구균, 이한승 filed Critical 오구균
Priority to KR10-2002-004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6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생육기반 조성 및 보호를 위하여, 원 지형으로 추정되는 지형선을 복원한 후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지형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실시하는 지형복원단계와, 상기 지형복원단계가 실시된 후, 지형복원층 위에 자생풀포기를 이식하고, 표토를 원지표선까지 채워주는 자생풀포기이식 및 표토적층단계를 실시하며,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는 초원·관목지대의 완전나지에서 단위면적당 30%, 부분나지에서 25%, 교목지대에서는 자생풀포기를 완전나지에서 단위면적당 20%, 부분나지에서 15%로 이식하고, 자생풀포기 이식후 경사도에 따라 식물의 생육기반과 식생활착을 촉진하기 위하여 황마그물 멀칭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훼손지 주위에서 자생풀포기를 이식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을 적용하므로써 조기에 녹화 및 식생복원하여 생물종 다양성을 증대를 위한 산림생태계 및 자연경관을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TRANSPLANT REVEGETATION MEASURE USING PLUG SODDING IN ON-SITE}
본 발명은 자생풀포기이식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훼손지 주위에 자생하는 자생풀포기 이식을 통한 자연식생을 복원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국토의 67%가 산림인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 주거 및 산업용 토지개발을 위한 산림훼손이 불가피하게 발생함에 따라 절,성토 비탈면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과거에는 산림 절개 또는 발생하는 절,성토사면의 지반안정과 속성녹화를 목표로 하는 녹화기술이 도입 또는 개발되었으나 생태적 측면과 경관적 측면에서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자생풀포기이식공법은 산림생태계의 훼손지를 원식생으로 복원하기 위한 공법으로 훼손지 현지 주위에 자생하는 식물을 이식하여 자연식생을 복원하는 공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훼손지 주위에서 자생풀포기를 이식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을 적용하므로써 조기에 녹화 및 식생복원하여 생물종 다양성을 증대를 위한 산림생태계 및 자연경관을 복원하는 자연식생 복원녹화공법을 제공하는자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은 생육기반 조성 및 보호를 위하여, 원지형으로 추정되는 지형선을 복원한 후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지형 변형을 방지하도록 실시하는 지형복원단계와, 상기 지형복원단계가 실시된 후, 지형복원층 위에 자생풀포기를 이식하고, 표토를 원지표선까지 채워주는 자생풀포기이식 및 표토적층단계를 실시하며,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는 입지조건에 따라 적합하게 설정하여 이식하고, 자생풀포기 이식후 경사도에 따라 식물의 생육기반과 식생활착을 촉진하기 위하여 황마그물 멀칭을 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생풀포기이식 및 표토적층단계에서 기존 표토가 보존된 곳은 소정 깊이까지 갈아 엎어 연화처리를 하고, 표토유실 및 훼손이 심한 지역은 원지형으로 기반안정공사한 후 개량토 다짐처리를 행한다.
강한 바람맞이 지역이나 바람통로인 훼손지 복원 지역은 대나무 방풍울타리를 수직박기용재(철근 등)으로 고정하여 설치하므로써 초기 식생활착을 위한 미기후를 조성한다.
개량토는 외부에서 반입한 사양토성의 심토에 피트모스와 특수코팅한 완효성복합비료 등을 잘 섞은 토양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생풀포기이식 및 표토적층단계에서 식재공사는 겨울철의 동해를 막기 위하여 현지에 자생하는 식물로 대상지 식물의 생리활동이 시작되기 전(봄)이나 정지된 시기(가을)에 실시함과 아울러, 대상지 주변의 초원·관목지대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소정 크기와 두께로 떼어내며, 가능한 뿌리흙을 부착시킨 채 운반하여 식재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기반안정공사가 시공된 한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방풍울타리의 한 형태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황마그물 멀칭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황마그물 멀칭 형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및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는 통나무 묻히기 실시형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인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8은 흙자루 공법의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및 도 10에는 통나무 묻히기 및 흙자루 공법의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은 고산초원지대의 훼손지에 생육한 기반을 안정화하고, 토양을 개량된 상태에서 현지의 자생하는 자생풀포기를 이식하는 방법으로 식생복원을 하는 공법이다.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을 적용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훼손지의 지형복원과 기반안정이 이루어진 후, 자생풀포기를 이식했을시 식생활착이 가능하도록 생육기반 조성, 표토개량 등을 먼저 시행한다.
그리고, 자생풀포기이식공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제조건으로 훼손지의 지형복원과 기반안정이 이루어진 후, 자생식물 이식했을시 식생활착이 가능하도록 생육기반 조성, 표토개량 등을 먼저 시행한다
또, 지형복원 및 기반안정화로서 원지형으로 추정되는 지형선을 복원한 후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지형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기반안정공사를 실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식생 복원녹화을 위한 시공지역(S)의 원지표면, 즉 원지반선(S1)으로부터 깊이 15cm이상 훼손된 지역은 깊이 30cm까지는 잡석채우기(11), 깊이 30cm에서 15cm까지는 왕모래 잔자갈채우기(12)로 기반안정공사를 실시하고, 그 위에 표토(13)를 적층하여 기반안정화층(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잡석은 ø100 이상, 잔자갈은 ø50 이하의 골재를 사용하고 표토는 토양과 피트모스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 생육기반 조성 및 보호를 위한 단계에서는 지형안정, 미기후조절 기능을 하는 기존암석, 돌 등은 원상태로 유지하며 기반안정, 표토깔기를 실시한다.
표토깔기를 실시할때, 소반상(小斑狀) 또는 방석모양으로 분포하는 잔존식생은 보존하면서 표토를 채워가며 원 지형선으로 높이를 맞춘다. 그러나 불가피한 경우는 잔존식생을 떼어 한쪽에 가식하였다가 자생풀포기 이식에 사용한다.
기존 표토가 보존된 곳은 다음 표1과 같이, 깊이 10cm까지 갈아 엎어 연화처리를 하고, 표토가 유실된 곳은 훼손깊이에 따라 기반안정공사 후 개량된 표토를 깐 뒤 다짐기구를 이용하여 다짐처리한다.
훼손지 유형별 표토처리
유 형 처리방법 다짐처리 경도(야마나까식 경도지수)
표토보존 토양 연화처리 -
표토유실 훼손지 깊이 15cm 미만 침식된 원지형선까지 개량토 다짐처리 18mm∼23mm
훼손지 깊이 15cm이상 기반안정공사 후 두께 15cm로 개량토 다짐처리 18mm∼23mm
또, 강한 바람맞이 지역이나 바람통로 지역은 도 2와 같이 H400mm 또는 H1,000의 왕대반조각(21)을 10mm의 철근(22)에 반생(23)으로 고정 설치하여 대나무 방풍울타리(20)를 함으로써 초기 식생활착을 위한 미기후를 조성한다. 방풍울타리를 지지하는 고정 철근은 50cm마다, 방풍울 간격은 50cm로 견고히 설치한다.
그리고, 경사도에 따라 식물의 생육기반과 식생활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음 표와 같이 30% 미만인 지역은 황마(GEO-JUTE)그물 멀칭하고, 경사도가 30% 이상인 지역은 통나무묻히기 및 흙자루공법을 이용한다.
경사도별 생육기반 조성
경사 공법유형 방 법
10% 미만 황마(GEO-JUTE)그물 멀칭 자생풀포기를 식재한 후 기반안정과 식생활착을 촉진하기 위하여 황마그물(ø5×6.5×4.5)로 멀칭한다.
10%∼30%미만 황마(GEO-JUTE)그물 멀칭 황마그물을 경사지 위에서 아래로 펼친후 멀칭후 4㎡당 1개 이상의 고정핀(ø10, L=450)으로 고정한다.
30% 이상 통나무묻히기공법 연결지주 형식의 통나무묻히기 공사는 수직박기용 2개를 지면에 박기를 하여 지지력를 갖도록 한 뒤 수평깔기용 통나무를 깔아 고정시킨다.
흙자루공법 흙자루 30cmx50cm크기의 흙자루를 겹쳐 얹고 고정핀으로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은 위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경사도가 10% 미만인 지역에서는 자생풀포기를 이식한 후 기반안정과 식생활착을 촉진하기 위하여 황마그물(ø5×6.5×4.5)로 멀칭한다.
경사도가 10%∼30% 미만인 지역에서는 황마그물을 경사지 위에서 아래로 펼친후 멀칭후 4㎡당 1개 이상의 고정핀(ø10, L=450)으로 고정한다.
경사도가 30% 이상인 지역에서는 통나무묻히기 공법을 행하며, 도 6과 같이 통나무묻히기 공사는 수직으로 수직박기용재(통나무 등)을 지면에 박아 지지력를 갖도록 한 뒤 수평깔기용재(통나무, 각재, 판재 등)를 깔아 고정시킨다. 또는 흙자루공법을 행하면, 흙자루 30cm×50cm 크기의 흙자루를 겹쳐 얹고 고정핀으로 고정한다.
황마(GEO-JUTE)그물 멀칭 공법의 실시형태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이식한 자생풀포기(100) 위에 황마그물멀칭(30)을 행하고, 고정핀(31)으로 고정한다.
통나무묻히기 공법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한 형태(40)과 같이, 시공지역(S)에 예를 들어 무방부처리된 육송 통나무의 수평깔기용재(통나무, 각재, 판재 등)(41)와 수직박기용재(통나무 등)(42)를 고정꺽쇠(43)로 고정하여 설치한다.
또한 통나무묻히기 공사시 2단이상으로 수평깔기용재(통나무, 각재, 판재 등)(41)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경우 수평깔기용재 이음매가 서로 일직선이 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흙자루 공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된 자생풀포기(100) 위에 흙자루(50)를 배열해 적층하고 고정핀(51)으로 고정한다. 이때 흙자루(50)는 200mm×500mm, 자생풀포기(100)는 100mm×100mm의 크기로 실시한다.
상기 통나무묻히기 공법과 흙자루 공법은 필요에 따라 도 9 및 도 10과 같이 겸하여 실시한다.
한편, 표토개량으로 표토가 유실된 훼손지에는 기반안정공사 후 주변 식생지역의 토양수준으로 개량한 표토를 깔며, 개량표토의 양료기준은 토성이 사양토로서, 성분은 예를 들어 다음 표3과 같이 산도(pH) 5.0, 유기질 10%, 전질소 0.5%, P2O5 20ppm이고, 치환성양이온(m.e/100g)을 K:0.2, Na:0.8, Ca++:1.5, Mg++:0.4 를함유한다.
개량표토의 양료기준
토성 산도(pH) 유기질(%) 전질소(%) P2O5 (ppm) 치환성양이온(m.e/100g)
K Na Ca++ Mg++
사양토 5.0 10 0.5 20 0.2 0.8 1.5 0.4
*위 개량토의 양료기준은 우리 나라 산림식생지역의 일반적인 토양기준으로 양료한 것이다.
또, 개량토는 외부에서 반입한 사양토성의 심토에 피트모스를 15 /㎥, 특수코팅한 완효성복합비료(14-14-14) 30kg/m3 등을 잘 섞은 토양이며, 표토로 사용할 토양은 식물종자가 포함되지 않은 심토층이어야 한다.
그리고, 자생풀포기 이식공정으로, 자생풀포기 떼어내기 및 운반은 겨울철의 동해를 막기 위하여 식재공사는 현지에 자생하는 식물로 대상지 식물의 생리활동이 시작되기 전(봄)이나 정지된 시기(가을)에 실시하고, 대상지 주변의 초원·관목지대에서 10cm×10cm정도로 균질하게 자생풀포기를 떼어낸다. 또 자생풀포기는 가능한 탐방객들의 시야에서 벗어난 곳에서 채취하며, 자생풀포기를 떼어낸 다음 반드시 개량된 표토를 원 지표선까지 채워 흙다짐해 준다. 또한 자생풀포기를 떼어낼 때는 30cm이상 거리를 두어야 하고, 연속적으로 떼어내지 않으며, 자생풀포기는 두께 5cm정도 떼어내고, 가능한 뿌리흙을 부착시킨 채 운반한다.
자생풀포기 이식 시에 자생풀포기 식재깊이는 일정하게 심고, 발로 밟아 주어 다짐처리를 하며, 자생풀포기 이식후 4∼5일 사이는 비가 오지 않을시 가능한 관수를 한다. 자생풀포기 이식피도(식재피도)는 다음 표4와 같다.
입지조건별 자생풀포기 단위면적당 이식피도
입지조건 자생식물 이식피도
초원·관목지대 완전나지 30%
부분나지 25%
교목지대 완전나지 20%
부분나지 15%
이 표를 참조하면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는 입지조건에 따라 초원·관목지대에서는 완전나지에서 단위면적당 30%, 부분나지에서 25%로 하고, 또, 교목지대의 완전나지에서 단위면적당 20%, 부분나지에서 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입지조건별 공법적용예를 살펴보면, 훼손지의 초원,관목지대에서 완전나지와 부분나지로, 관목지대에서 완전나지지역과 부분나지지역으로 구분하여 자생식물 이식피도를 결정한다.
다음 표5와 같이, 입지환경의 경사도에 따라 10% 미만, 10%∼30% 미만, 30% 이상으로 구분하여 생육기반을 조성하고, 표토유무에 따라 연화처리 및 개량토 다짐처리를 하여 자생풀포기를 이식한다.
입지조건별 공법
공법 입지조건 이식피도(단위면적당) 경사도 생육기반조성 표토처리
공법Ⅰ 초원·관목지대 완전나지 30% 10% 미만 황마그물 멀칭 개량토포설 후 다짐처리
10%∼30%미만 황마그물 멀칭
30% 이상 통나무묻히기및 흙자루공법
공법Ⅱ 부분나지 25% 10% 미만 황마그물 멀칭 개량토포설 및 토양연화처리
10%∼30%미만 황마그물 멀칭
30% 이상 통나무묻히기및 흙자루공법
공법Ⅲ 교목지대 완전나지 20% 10% 미만 황마그물 멀칭 개량토포설 후 다짐처리
10%∼30%미만 황마그물 멀칭
30% 이상 통나무묻히기및 흙자루공법
공법Ⅳ 부분나지 15% 10% 미만 황마그물 멀칭 개량토포설 및 토양연화처리
10%∼30%미만 황마그물 멀칭
30% 이상 통나무묻히기및 흙자루공법
위 표5를 참조하면, 입지조건이 초원·관목지대로서 경사도가 10% 미만인 경우, 그리고 경사도가 10%∼30% 미만인 지역의 완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30%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으로 황마그물 멀칭을 하고, 포토처리는 개량토포설 후 다짐처리를 한다.
초원·관목지대로서 경사도가 10% 미만인 경우, 그리고 경사도가 10%∼30% 미만인 지역의 부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25%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으로 황마그물 멀칭을 하고, 포토처리는 개량토포설 및 토양연화처리를 한다.
또, 교목지대로서 경사도가 10% 미만인 경우, 그리고 경사도가 10%∼30% 미만인 지역의 완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20%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으로 황마그물 멀칭을 하고, 포토처리는 개량토포설 후 다짐처리를 한다.
교목지대로서 경사도가 10% 미만인 경우, 그리고 경사도가 10%∼30% 미만인 지역의 부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15%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으로 황마그물 멀칭을 하고, 포토처리는 개량토포설 및 토양연화처리를 한다.
한편, 초원·관목지대로서 경사도가 30% 이상인 지역의 완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30%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은 통나무묻히기 및 흙자루공법으로 하고, 포토처리는 개량토포설 후 다짐처리를 한다.
초원·관목지대로서 경사도가 30% 이상인 지역의 부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25%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은 통나무묻히기 및 흙자루공법으로 하고, 표토처리는 개량토포설 및 토양연화처리를 한다.
또, 교목지대로서 경사도가 30% 이상인 지역의 완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를 단위면적당 20%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은 통나무묻히기 및 흙자루공법으로 하고, 표토처리는 개량토포설 후 다짐처리를 한다.
교목지대로서 경사도가 30% 이상인 지역의 부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15%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은 통나무묻히기 및 흙자루공법으로 하고, 표토처리는 개량토포설 및 토양연화처리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을 실시예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초원·관목지대의 완전나지 지역은 지형복원 및 기반안정화 공사 후 표토개량을 한다.
훼손지 깊이 15cm이상 침식된 훼손지에는 기반안정공사 후 15cm 두께의 개량표토를, 깊이 15cm미만으로 침식된 훼손지에는 원 지형선까지 개량표토를 깐 뒤 다짐처리하고, 땅고르기를 한다.
표토의 다짐처리 경도는 야마나까식 경도지수 18mm∼23mm(지지강도 5kg/㎠∼10kg/㎠)정도로 달구판(땅다짐 기구)으로 다짐처리를 한다.
초원·관목지대의 완전나지지역에서는 10cm×10cm 정도의 자생풀포기를 떼어내어 이식피도 단위면적당 30%로 심는다.
훼손지의 경사도가 10% 미만인 경우 기반안정과 식생활착을 촉진하기 위하여 황마(GEO-JUTE)그물로 멀칭처리한다. 멀칭의 재료는 황마(ø5×6.5×4.5)그물, 고정핀(ø10, L=450)이다. 황마(GEO-JUTE)그물 멀칭은 경사지 위에서 아래로 펼쳐 깔며, 완경사지이므로 고정핀은 사용하지 않는다. 황마그물의 끝부분은 15cm정도 도랑을 파고 묻어준다. 겹치는 부분에는 10cm정도 겹치게 하고 1m간격으로 고정핀으로 고정시킨다.
훼손지의 경사도가 10%∼30% 미만인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황마(GEO-JUTE)그물로 멀칭 후 4㎡당 1개 이상의 고정핀(ø10, L=450)으로 고정한다. 훼손지의 경사도가 30% 이상인 경우 생육기반조성 방법으로 통나무묻히기 공법과 흙자루 공법을 사용한다.
통나무묻히기 공법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연결지주 형식의 통나무(ø105mm, L=900m : 무방부처리)묻히기 공사로 수직박기용재(통나무 등) 2개를 지면에 9할 박기를 하여 지지력을 갖도록 한 뒤 수평깔기용재(통나무, 각재, 판재 등)를 2단으로 깔아 고정꺽쇠로 고정시킨다.
흙자루공법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흙자루 30cm×50cm크기(흙 채웠을 때는 20cm×50cm)의 자생풀포기 줄심기 간격사이에 흙자루를 눌러 주며, 흙자루는 2.5cm씩 겹쳐 얹고 흙자루마다 1개씩 고정핀(ø10, L=450)으로 고정한다. 흙자루는 내부에 비료성분이 함유된 것을 이용하여 향후 자연적인 종자발아가 촉진되도록 한다.
강한 바람맞이 지역이나 바람통로 지역에는 식생활착을 위해 미기후를 조성을 할수 있도록 방풍울타리를 설치하며, H400mm 또는 H1,000mm의 대나무 방풍울타리를 10mm의 철근으로 고정하여 설치한다. 방풍울타리를 지지하는 고정 철근은 50cm마다, 방풍울 간격은 50cm로 견고히 설치한다.
실시예 2
초원·관목지대의 부분나지지역은 표토가 보존된 훼손지는 연화처리를 하고, 표토가 부분적으로 유실되어 있는 훼손지는 원지형까지 표토깔기를 실시하고 다짐처리를 한다. 표토의 다짐처리 경도는 야마나까식 경도지수 18mm∼23mm(지지강도 5kg/㎠∼10kg/㎠)정도로 달구판(땅다짐 기구)으로 다짐처리를 한다.
그리고, 10cm×10cm크기 정도의 자생풀포기를 떼어내어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25%로 심는다. 자생풀포기를 식재한 후 경사도에 따라 황마(GEO-JUTE)그물 멀칭, 통나무묻히기 및 흙자루 공법 등을 실시하여 생육환경을 안정화시킨다.
강한 바람맞이 지역이나 바람통로 지역에는 식생활착을 위해 미기후를 조성을 할 수 있는 방풍울타리를 설치한다.
실시예 3
교목지대의 완전나지 지역은 지형복원 및 기반안정화 공사 후 표토개량을 한다.
또, 훼손지 깊이 15cm 이상 침식된 훼손지에는 기반안정공사 후 15cm 두께의 개량표토를, 깊이 15cm미만으로 침식된 훼손지에는 원지형선까지 개량표토를 깐 뒤 다짐처리(야마나까식 경도지수 18mm∼23mm)하고, 땅고르기를 한다.
그리고, 10cm×10cm정도 크기의 자생풀포기를 떼어내어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20%로 심는다. 자생풀포기를 이식한 후 경사도에 따라 황마(GEO-JUTE)그물 멀칭, 통나무묻히기 및 흙자루 공법 등을 실시하여 생육환경을 안정화시킨다.
강한 바람맞이 지역이나 바람통로 지역에는 식생활착을 위해 미기후를 조성을 할수 있는 방풍울타리를 설치한다.
실시예 4
교목지대의 부분나지 지역은 지형복원 및 기반안정화 공사 후 표토개량을 한다.
또, 교목지대의 부분나지지역에서 표토가 보존된 훼손지는 연화처리를 하고, 표토가 부분적으로 유실되어 있는 지역은 원지형까지 표토깔기를 실시하고 다짐처리를 한다. 표토의 다짐처리 경도는 야마나까식 경도지수 18mm∼23mm(지지강도 5kg/㎠∼10kg/㎠)정도로 달구판(땅다짐 기구)으로 다짐처리를 한다.
그리고, 10cm×10cm정도 크기의 자생풀포기를 떼어내어 이식피도는 단위면적당 15%로 심는다. 자생풀포기를 식재한 후 경사도에 따라 황마(GEO-JUTE)그물 멀칭, 통나무묻히기 및 흙자루 공법 등을 실시하여 생육환경을 안정화 시킨다.
강한 바람맞이 지역이나 바람통로 지역에는 식생활착을 위해 미기후를 조성을 할 수 있는 방풍울타리를 설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훼손지 주위의 자생풀포기를 이식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을 적용하므로써 조기에 녹화 및 식생복원하여 생물종 다양성 증대를 위한 산림생태계 및 자연경관을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은 기반안정공사가 시공된 한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방풍울타리의 한 형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황마그물 멀칭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황마그물 멀칭 형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6 및 도 7은 통나무 묻히기 실시형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흙자루 공법의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통나무 묻히기 및 흙자루 공법의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반안정화층 11 : 잡석채우기
12 : 왕모래·잔자갈채우기 13 : 표토
20 : 대나무 방풍울타리 21 : 왕대 반조각
22 : 수직박기용재 23 : 반생
30 : 황마그물멀칭 31 : 고정핀
41 : 수평깔기용재 42 : 수직박기용재
43 : 고정꺽쇠 50 : 흙자루
51 : 고정핀 100 : 자생풀포기

Claims (11)

  1. 훼손지 주위에 자생하는 자생풀포기를 이식하여 자연식생을 복원하는 공법에 있어서, 생육기반 조성 및 보호를 위하여, 원지형으로 추정되는 지형선을 복원한 후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지형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실시하는 지형복원단계와, 상기 지형복원단계가 실시된 후, 지형복원층 위에 자생풀포기를 이식하고, 표토를 원지표선까지 채워주는 자생풀포기이식 및 표토적층단계를 실시하며,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는 초원, 관목지대의 완전나지에서 단위면적당 30%, 부분나지에서 25%, 교목지대의 완전나지에서 단위면적당 20%, 부분나지에서 15%로 이식하고, 자생풀포기 이식후 경사도에 따라 식물의 생육기반과 식생활착을 촉진하기 위하여 황마그물 멀칭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초원·관목지대로서 경사도가 10% 미만인 경우, 그리고 경사도가 10%∼30% 미만인 지역의 완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30%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으로 황마그물 멀칭을 하고, 포토처리는 개량토포설 후 다짐처리를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초원·관목지대로서 경사도가 10% 미만인 경우, 그리고 경사도가 10%∼30% 미만인 지역의 부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25%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으로 황마그물 멀칭을 하고, 포토처리는 개량토포설 및 토양연화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교목지대로서 경사도가 10% 미만인 경우, 그리고 경사도가 10%∼30% 미만인 지역의 완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20%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으로 황마그물 멀칭을 하고, 포토처리는 개량토포설 후 다짐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교목지대로서 경사도가 10% 미만인 경우, 그리고 경사도가 10%∼30% 미만인 지역의 부분나지에서는 자생풀포기 이식피도를 단위면적당 15%로 하고, 생육기반조성으로 황마그물 멀칭을 하고, 포토처리는 개량토포설 및 토양연화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생풀포기이식 및 표토적층단계에서 기존 표토가 보존된 곳은 깊이 10cm까지 갈아 엎어 연화처리를 하고, 표토유실의 훼손지 깊이가 15cm 미만인 곳에서는 토양 연화처리로서 침식된 원지형선까지 개량토 다짐처리를 행하며, 다짐처리 경도(야마나끼식 경도지수)는 18mm∼23mm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생풀포기이식 및 표토적층단계에서 기존 표토가 보존된 곳은 깊이 10cm까지 갈아 엎어 연화처리를 하고, 표토유실의 훼손지 깊이가 15cm 이상인 곳에서는 토양 연화처리로서 기반안정공사 후 두께 15cm로 개량토 다짐처리하며, 다짐처리 경도(야마나끼식 경도지수)는 18mm∼23mm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8. 제 1 항에 있어서, 강한 바람맞이 지역이나 바람통로 지역은 H400mm 내지 H1,000의 대나무 방풍울타리를 ø10mm의 철근으로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서 초기 식생활착을 위한 미기후를 조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개량토는 외부에서 반입한 사양토성의 심토에 피트모스를 15 /㎥와 특수코팅한 완효성복합비료(14-14-14) 30kg/m3 등을 잘 섞은 토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생풀포기이식 및 표토적층단계에서 식재공사는 겨울철의 동해를 막기 위하여 현지에 자생하는 식물로 대상지 식물의 생리활동이 시작되기 전(봄)이나 정지된 시기(가을)에 실시함과 아울러, 대상지 주변의 초원·관목지대에서 30cm 이상 거리를 두고, 자생풀포기는 크기 10cm×10cm와 두께 5cm로 떼어내고, 가능한 뿌리흙을 부착시킨 채 운반하여 식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원지표면으로부터 깊이 15cm이상 훼손된 지역은 깊이 30cm까지는 잡석채우기, 깊이 30cm에서 15cm까지는 왕모래 잔자갈채우기로 기반안정공사를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KR10-2002-0047360A 2002-08-10 2002-08-10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KR10047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360A KR100478636B1 (ko) 2002-08-10 2002-08-10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360A KR100478636B1 (ko) 2002-08-10 2002-08-10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725A KR20040014725A (ko) 2004-02-18
KR100478636B1 true KR100478636B1 (ko) 2005-03-24

Family

ID=3732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360A KR100478636B1 (ko) 2002-08-10 2002-08-10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378B1 (ko) * 2002-09-27 2005-07-12 오구균 리싸이클링 에코녹화공법
KR100817043B1 (ko) * 2007-10-12 2008-04-08 주식회사 에코탑 생태모델숲 조성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28A (ko) * 1993-06-28 1995-01-03 오형근 절개면 또는 성토면의 녹화 및 붕괴방지공법
KR950006157A (ko) * 1993-08-28 1995-03-20 최철호 법면 보호와 유실 방지를 위한 녹화 방법
JPH09111736A (ja) * 1995-10-13 1997-04-28 Daichi:Kk 渇水裸地の緑化工法
KR100307198B1 (ko) * 1998-08-12 2001-10-19 김용각 그린네트를 이용한 녹화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28A (ko) * 1993-06-28 1995-01-03 오형근 절개면 또는 성토면의 녹화 및 붕괴방지공법
KR950006157A (ko) * 1993-08-28 1995-03-20 최철호 법면 보호와 유실 방지를 위한 녹화 방법
JPH09111736A (ja) * 1995-10-13 1997-04-28 Daichi:Kk 渇水裸地の緑化工法
KR100307198B1 (ko) * 1998-08-12 2001-10-19 김용각 그린네트를 이용한 녹화공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생태학회지 제11권 제1호,37~45쪽(1997) *
환경생태학회,오구균 등 3명,1997,11(1),pp.37-4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725A (ko) 200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Bioengineering techniques of slope stabilization and landslide mitigation
US9015992B1 (en) Prevegetated blanket
KR100723260B1 (ko) 하천 하안 버드나무 식재방법
US8365467B1 (en) Prevegetated blanket
CN113100010A (zh) 一种山地树木保护移植施工方法
KR100830150B1 (ko)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Dreesen et al. Riparian restoration in the Southwest: species selection, propagation, planting methods, and case studies
KR100478636B1 (ko)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Roose et al. Six rules for the rapid restoration of degraded lands: Synthesis of 17 case studies in tropical and Mediterranean climates
KR100985810B1 (ko) 경사면 녹화용 혼합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방법
KR100478639B1 (ko) 자생풀포기이식녹화공법
JPH08308376A (ja) 岩盤法面の植生生育基盤の造成工法
CN105648999B (zh) 秸秆毯及其制造方法与应用
CN212983901U (zh) 一种岩石创面生态修复植生装置
KR101747933B1 (ko) 이식용 수목의 잔뿌리촉진매트 및 이를 이용한 수목 이식 방법
KR101108002B1 (ko) 친환경 녹화 공법
KR100307198B1 (ko) 그린네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473540B1 (ko) 향토를 이용한 절개지 복원 녹화 방법
JP4611124B2 (ja) 自然修復法面工法
Schiechtl FAO watershed management field manual: vegetative and soil treatment measures
JP3452185B2 (ja) 植生工法
JP2865624B2 (ja) 法面保護緑化構造
JPH0739261A (ja) 樹木の植栽方法
Constandache et al. Achievements and perspectives on the improvement by afforestation of degraded lands in Romania
AU657819B2 (en) Organic geotex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