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244B1 -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244B1
KR101719244B1 KR1020160059624A KR20160059624A KR101719244B1 KR 101719244 B1 KR101719244 B1 KR 101719244B1 KR 1020160059624 A KR1020160059624 A KR 1020160059624A KR 20160059624 A KR20160059624 A KR 20160059624A KR 101719244 B1 KR101719244 B1 KR 101719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attachment
fixing
support bloc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환 박
정 환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Priority to KR102016005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01G1/00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9/1086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부착망(10)을 사면(S)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부착망과 상기 사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부착망을 상기 사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받침 블록(110); 및 상기 사면에 박혀서 상기 받침 블록을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160)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 블록(110)은 상면에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두 안착홈(121, 122)과, 상기 고정 핀(160)이 통과하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130)을 구비하는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 {ADHESION NET FIXING DEVICE FOR GREENING A SLOPE}
본 발명은 사면 녹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면 녹화에 사용되는 부착망을 고정시키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면 녹화공법은 사면에 부착망을 설치한 후 식생 기반제를 사면에 취부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부착망을 설치하는 목적은 식생 기반제의 부착능력 향상을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부착망이 사면에 착지핀에 의해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부착망이 착지핀에 의해 사면에 고정되는 종래의 방식의 경우, 부착망이 사면과 밀착되기 때문에, 식생 기반제의 대부분이 부착망의 상부에 위치하여 충분한 부착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30150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2008.05.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70189 "그린복합토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2010.07.14.)
본 발명은 사면 녹화공법에서 부착망에 대한 식생 기반제의 부착성능을 형상시켜주는 부착망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착망(10)을 사면(S)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부착망과 상기 사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부착망을 상기 사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받침 블록(110); 및 상기 사면에 박혀서 상기 받침 블록을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160)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 블록(110)은 상면에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두 안착홈(121, 122)과, 상기 고정 핀(160)이 통과하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130)을 구비하는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받침 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두 안착홈의 교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관통 구멍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핀 걸림면(140)이 마련되며, 상기 핀 걸림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과 상기 두 안착홈의 교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일 수 있다.
상기 고정 핀은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사면에 박히는 연장부(161)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꺾여 연장되어서 상기 두 안착홈의 교점을 지나는 연장부(162)와, 상기 연장부(162)로부터 꺾여 연장되어서 상기 핀 걸림면에 인접하는 걸림부(16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착망 고정 장치는 상기 받침 블록에 결합되어서 상기 받침 블록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높이 조절 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으로서, 사면 위에 상기 부착망을 설치하는 부착망 설치 단계; 및 상기 사면 위에 식생 기반제를 살포하여 식생기층(20)을 형성하는 식재기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망 설치 단계는 사면 위에 부착망을 놓는 단계와, 상기 받침 블록을 상기 부착망의 망목을 통해 통과시켜서 상기 부착망과 상기 사면 사이에 위치시킨 후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두 안착홈에 상기 부착망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 핀을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사면에 박아서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공법이 제공된다.
상기 식생 기반제는 숯, 오니류, 제지펄프류, 유기질비료 및 마사토가 배합한 배합 재료에 광촉매제를 첨가한 것이며, 상기 광촉매제는 상기 배합 재료 0.110㎥에 대해 상기 광촉매제 10 내지 50g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착망을 사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부착망을 받치는 받침 블록과, 받침 블록을 부착망과 함께 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을 포함하는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가 제공되므로 식생 기반제의 두께방향 중간 지점에 부착망이 위치하여 부착망에 대한 식생 기반제의 부착능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망 고정 장치가 사용된 사면 녹화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착망 고정 장치의 평면도로서, 고정되는 부착망의 일부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착망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받침 블록에 높이 조절 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망 고정 장치가 사용된 사면 녹화의 일 예가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부착망 고정 장치(100)에 의해 부착망(10)이 사면(S)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에 따라, 사면 녹화에 사용되는 식생기층(20)의 높이 방향 중간에 부착망(10)이 위치하여, 부착망(10)과 식생기층(20) 사이의 부착능력이 종래에 부착망이 지면과 접촉하여 고정되는 방식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착망 고정 장치(100)는 부착망(10)을 아래에서 받쳐서 사면(S)과 이격시키는 받침 블록(110)과, 받침 블록(100)을 사면(S)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160)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부착망 고정 장치가 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착망 고정 장치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부착망 고정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받침 블록(110)은 부착망(10)을 아래에서 받쳐서 사면(S)과 이격시키고, 고정 핀(160)에 의해 사면(S)에 고정된다. 받침 블록(110)은 부착망(10)의 망목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받침 블록(110)은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에서 한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태 블록으로서, 상면(111)에 형성되는 제1, 제2 안착홈(121, 122)과, 높이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130)과, 측면에 형성되는 핀 걸림면(140)을 구비한다.
제1 안착홈(121)과 제2 안착홈(122)은 받침 블록(110)의 상면(111)에서 각각은 직선으로 연장되고 대체로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한다. 제1 안착홈(121)과 제2 안착홈(122)에 부착망(10)이 안착된다. 두 안착홈(121, 122)의 교점은 받침 블록(110)의 중심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따라 벗어나서 위치한다.
관통 구멍(130)은 받침 블록(1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관통 구멍(130)을 통해 받침 블록(110)을 사면(S)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160)이 통과한다. 관통 구멍(130)은 받침 블록(110)의 상면(111)에서 두 안착홈(121, 122)에 의해 분할되는 네 구역 중 가장 큰 구역(112)에 두 안착홈(121, 122)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두 안착홈(121, 122)의 교점과 가능한 인접하여 위치한다.
핀 걸림면(140)은 받침 블록(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편평한 면으로서, 두 안착홈(121, 122)의 교점을 사이에 두고 관통 구멍(13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핀 걸림면(140)은 관통 구멍(130)의 중심과 두 안착홈(121, 122)의 교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대체로 직각을 이룬다. 핀 걸림면(140)에 고정 핀(160)의 일부가 걸려서 고정 핀(160)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부착망(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고정 핀(160)은 받침 블록(110)을 사면(S)에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받침 블록(110)에 안착되는 부착망(10)의 십자 연결 부분을 받침 블록(110)에 고정시킨다. 고정 핀(160)은 대체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앵커부(161)와, 앵커부(161)로부터 꺾여서 연장되는 연장부(165)와, 연장부(165)로부터 꺾여서 연장되는 걸림부(168)를 구비한다.
앵커부(161)는 대체로 직선으로 연장되며, 일단은 연장부(165)와 이어지고, 타단은 뾰족하게 형성된다. 앵커부(161)는 받침 블록(110)의 관통 구멍(130)을 통과하여 사면(S)에 박힌다.
연장부(165)는 앵커부(161)의 끝단(도면에서 상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서 직선으로 연장된다. 연장부(165)는 받침 블록(110)의 두 안착홈(121, 122)의 교점 위를 지나서 안착홈(121, 122)에 안착된 부착망(10)의 십자 연결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연장부(165)는 받침 블록(110)의 관통 구멍(130)과 핀 걸림면(14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걸림부(168)는 연장부(165)의 끝단으로부터 앵커부(161)와 같은 방향인 직각 아래로 꺾여서 직선으로 연장되다. 걸림부(168)의 길이는 받침 블록(110)의 높이보다 작다. 걸림부(168)의 측면이 받침 블록(110)의 핀 걸림면(140)에 인접하여 걸리게 된다. 그에 따라, 고정 핀(160)의 회전이 방지되어서 부착망(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착망 고정 장치는 받침 블록(110)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 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180)에 의해 받침 블록(110)의 위치가 더 높아져서 더 큰 녹화 두께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높이 조절 부재(180)는 설정된 두께를 갖는 몸체부(181)와, 몸체부(18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2개의 결합 날개부(185)를 구비한다.
몸체부(181)는 받침 블록(110)을 높이고자 하는 크기만큼의 높이를 갖는다. 몸체부(181)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연결 통로(182)가 마련된다. 높이 조절 부재(180)가 받침 블록(110)에 결합되었을 때, 연결 통로(182)는 받침 블록(110)의 관통 구멍(130)과 이어진다. 높이 조절 부재(180)가 받침 블록(110)에 결합되었을 때, 몸체부(181)가 받침 블록(110)을 아래에서 받쳐서 받침 블록(110)과 사면(S) 사이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킨다.
결합 날개부(185)는 몸체부(18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위로 연장되며, 적어도 두 결합 날개부(185) 각각은 연결 통로(182)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결합 날개부(185)의 바깥측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단(186)이 형성된다. 걸림단(186)과 결합 날개부(185)의 끝단 사이의 바깥면(187)은 끝단으로 갈수록 모아지도록 경사진다.
받침 블록(110)의 관통 구멍(130)에는 결합 날개부(185)가 삽입되어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31)가 마련된다. 결합부(131)에는 결합 날개부(185)의 걸림단(185)에 대응하는 단턱부(133)가 형성된다. 결합 날개부(185)가 탄성변형되면서 결합부(131)로 끼워지고, 원형으로 회복되면서 걸림단(185)이 단턱부(133)에 걸리게 된다.
이제, 위에서 설명한 부착망 고정 장치(100)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 녹화공법은 사면 정리 단계와, 부착망 설치 단계와, 식생기층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사면 정리 단계에서는 사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노출된 잔재들이 제거된다. 사면 정리 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부착망 설치 단계가 수행된다.
부착망 설치 단계에서는 사면(S) 위에 부착망(10)이 부착망 고정 장치(100)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부착망(10)에 사면(S) 위에 놓인다. 다음, 다수의 받침 블록(110)을 부착망(10)의 망목을 통해 위에서 아래로 통과시켜 받침 블록(110)을 부착망(10)과 사면(S) 사이에 위치시킨 후, 위치를 조정하여 받침 블록(110)의 두 안착홈(121, 122)에 부착망(10)의 십자 연결부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높이 조절 부재(180)가 받침 블록(110)에 결합되어서 부착망(10)과 사면(S) 사이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요구되는 식생기층의 두께에 따라 다른 높이의 높이 조절 부재(180)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 고정 핀(160)을 이용하여 받침 블록(110)을 부착망(10)과 함께 사면(S)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 핀(160)의 앵커부(161)가 받침 블록(110)의 관통 구멍(130)(높이 조절 부재(180)가 결합된 경우에는 높이 조절 부재(180)의 연결 통로(182)도 함께)을 통과하여 사면(S)에 박히고, 고정 핀(160)의 연결부(165)는 부착망(10)의 십자 연결부 위를 지나며, 걸림부(168)는 받침 블록(110)의 핀 걸림면(140)에 인접하여 걸리게 된다. 부착망 설치 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식생기층 형성 단계가 수행된다.
식생기층 형성 단계에서는 식생 기반제가 부착망(10)이 고정된 사면(S) 위에 살포되어서 식생기층(20)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망 고정 장치(100)에 의해 부착망(10)이 사면(S)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식생기층(20)의 중간에 부착망(10)이 위치하므로, 부착망(10)에 대한 식생기층(20)의 부착능력이 향상된다.
식생기층 형성 단계에서 사용되는 식생 기반제는 상기 식생 기반제는 수분보습효과를 위한 숯, 성장토양을 위한 오니류, 흡착능력증가를 위한 제지펄프류, 영양분 제공을 위한 유기질비료 및 성장토양을 위한 마사토가 배합한 배합 재료에 오니류 탈취 및 식물성장촉진을 위한 광촉매제를 첨가제로서 첨가한 것이다. 표 1에는 식생 기반제의 구체적인 성분비의 일예가 나타나 있다.
성분 함량 비율
0.0165㎥ 15.0%
하수, 정수 오니류 0.0220㎥ 20.0%
제지펄프류 0.0330㎥ 30.0%
유기질비료 0.0055㎥ 5.0%
마사토 0.0330㎥ 30.0%
합계 0.110㎥ 100.0%
첨가제(산화티탄) 10~50g -
표 1을 참조하면, 식생 기반제는 숯 15%, 오니류 20%, 제지펄프류 30%, 유기질비료 5%, 마사토 30%의 부피비로 배합한 0.110㎥ 배합 재료에 광촉매제를 첨가제로 첨가하며 분말 형상의 광촉매제를 사용하는 경우 0.110㎥ 배합 재료에 대해 10 내지 50g을 첨가한다. 광촉매제의 함량은 기반제의 유동 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첨가제인 광촉매제로서 산화티탄(TiO2)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표 1의 성분 중 하수 및 정수 오니류는 고유의 악취를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악취는 광촉매제의 탈취 효과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제는 대기 중의 수분과 산소를 이용하여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서 식물의 초기 성장을 촉진시키므로, 비탈면의 신속한 복구에 도움이 된다. 광촉매는 공기 중의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자동차 매연)과 같은 대기 내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서 일반적으로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 비탈면 녹화에서 식물 성장 초기에 매연 등으로 인한 고사 및 성장 방해 요소를 제거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부착망 20 : 식생기층
100 : 부착망 고정 장치 110 : 받침 블록
121 : 제1 안착홈 122 : 제2 안착홈
130 : 관통 구멍 140 : 핀 걸림면
160 : 고정 핀 161 : 앵커부
165 : 연장부 168 : 걸림부
180 : 높이 조절 부재

Claims (6)

  1. 부착망(10)을 사면(S)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부착망과 상기 사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부착망을 상기 사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받침 블록(110);
    상기 받침 블록에 결합되어서 상기 받침 블록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높이 조절 부재(180); 및
    상기 사면에 박혀서 상기 받침 블록을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160)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 블록(110)은 상면에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두 안착홈(121, 122)과, 상기 고정 핀(160)이 통과하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130)을 구비하며,
    상기 받침 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두 안착홈의 교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관통 구멍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핀 걸림면(140)이 마련되며,
    상기 핀 걸림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과 상기 두 안착홈의 교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이며,
    상기 고정 핀은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사면에 박히는 앵커부(161)와, 상기 앵커부로부터 꺾여 연장되어서 상기 두 안착홈의 교점을 지나는 연장부(162)와, 상기 연장부(162)로부터 꺾여 연장되어서 상기 핀 걸림면에 인접하는 걸림부(1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59624A 2016-05-16 2016-05-16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 KR101719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24A KR101719244B1 (ko) 2016-05-16 2016-05-16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24A KR101719244B1 (ko) 2016-05-16 2016-05-16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244B1 true KR101719244B1 (ko) 2017-03-23

Family

ID=5849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624A KR101719244B1 (ko) 2016-05-16 2016-05-16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491B1 (ko) 2017-04-20 2017-08-11 이우연 콘크리트 인공조형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조형물의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513A (ja) * 2005-09-05 2007-04-12 Eco Green:Kk 補強用建築材料、その補強用建築材料を用いた緑化補強土基盤造成方法、及び、緑化補強土基盤造成システム。
KR100800575B1 (ko) * 2007-06-28 2008-02-04 주식회사 풍록원 매트고정판
KR100830150B1 (ko) 2006-06-29 2008-05-20 (주)덕산조경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KR20090099146A (ko) * 2008-03-17 2009-09-22 신용근 세굴방지용 블록
KR100970189B1 (ko) 2009-11-09 2010-07-14 지케이건설조경(주) 그린복합토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JP2012072651A (ja) * 2011-10-25 2012-04-12 Hirotoshi Masuda 階段状構築物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施工方法で構築された階段状構築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513A (ja) * 2005-09-05 2007-04-12 Eco Green:Kk 補強用建築材料、その補強用建築材料を用いた緑化補強土基盤造成方法、及び、緑化補強土基盤造成システム。
KR100830150B1 (ko) 2006-06-29 2008-05-20 (주)덕산조경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KR100800575B1 (ko) * 2007-06-28 2008-02-04 주식회사 풍록원 매트고정판
KR20090099146A (ko) * 2008-03-17 2009-09-22 신용근 세굴방지용 블록
KR100970189B1 (ko) 2009-11-09 2010-07-14 지케이건설조경(주) 그린복합토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JP2012072651A (ja) * 2011-10-25 2012-04-12 Hirotoshi Masuda 階段状構築物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施工方法で構築された階段状構築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491B1 (ko) 2017-04-20 2017-08-11 이우연 콘크리트 인공조형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조형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6121126B3 (de) Klimatisch abgeschlossene Klimazelle zur Aufzucht von Pflanzen in Innenräumen
EP2801250B1 (de) Pflanzengerüst, Pflanzengerüstsystem und Verwendung eines Pflanzengerüsts und Pflanzengerüstsystems
US7716873B2 (en) Multilayer vegetation support system
US20150208596A1 (en) Water retention device for an individual plant container
JP2010207100A (ja) プランター支持枠装置
US20200329644A1 (en) Multi-tiered plant growing aid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719244B1 (ko) 사면 녹화용 부착망 고정 장치
WO2018141507A1 (de) Tray zum kultivieren von pflanzen und system umfassend tray und pflanztopf
US20120055083A1 (en) Framework For Horizontally Supporting Plants
JP3793524B2 (ja) 草食動物による食害の防止装置
US9149008B1 (en) Plant support apparatus
EP2399449A2 (de) Fassadenbegrünungselement und Fassadenbegrünungssystem
DE60013520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üchten von Sämlingen
EP1593301A1 (de) Pflanztopf-Anordnung
KR102239095B1 (ko) 조립식 이중 화분
JP2006109847A (ja) 草食動物による食害の防止装置
EP3319414A1 (de) Palette für pflanztopfe
EP1281813A2 (de) Abdeckplatte, insbesondere Baumscheibe
KR102493048B1 (ko) 토마토 줄기의 유인 장치
US20210153443A1 (en) Leaf yard net
AT513873A1 (de) Pflanzgefäß, insbesondere eine Schale
DE202016100279U1 (de) Höhenverstellbares Stützlager
CN206603474U (zh) 植物生长支撑架
DE212018000274U1 (de) Trennstruktur
JP2011147358A (ja) 飛砂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