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215A -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 Google Patents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215A
KR20230020215A KR1020210102029A KR20210102029A KR20230020215A KR 20230020215 A KR20230020215 A KR 20230020215A KR 1020210102029 A KR1020210102029 A KR 1020210102029A KR 20210102029 A KR20210102029 A KR 20210102029A KR 20230020215 A KR20230020215 A KR 2023002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wire mesh
anchor
incision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공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공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공간
Priority to KR1020210102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215A/ko
Publication of KR2023002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9Geo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절개지 사면의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절개지 사면(11)을 덮도록 설치되어 철망고정앙카(110)로 고정되는 능형철망(100); 상기 능형철망(100)의 하단 상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호 결속되는 다수의 식생블록(200); 및, 절개지 사면(11)에 미리 설정된 두께로 포설되면서 상기 능형철망(100) 및 상기 식생블록(200)을 덮으며 식물의 종자가 함께 혼합된 포설용 녹생토층(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로 절개지 사면의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절개지 사면(11)을 덮도록 설치되어 철망고정앙카(110)로 고정되는 능형철망(100); 상기 능형철망(100)의 하단 상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유실방지댐(500); 및, 절개지 사면(11)에 미리 설정된 두께로 포설되면서 상기 능형철망(100) 및 상기 유실방지댐(500)을 덮으며 식물의 종자가 함께 혼합된 포설용 녹생토층(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Cut Slope Area Gre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도로 절개지 사면의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호우에 의한 토양 유실을 최소화하면서 식물에 의한 표면 녹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녹화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신설이나 경사면을 절토한 후 건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자연적인 지형을 절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절개지 사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절개사면의 토양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녹화공법으로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 볏짚공법, 녹생토공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절개사면이 완만하고 절개지 토양이 양질의 토지인 경우에는 간단한 녹화공법으로 시드스프레이, 볏짚공법이 사용되고, 절개사면의 경사가 급하고 절개지 토양이 자갈층이나 풍암, 연암 등으로 되어 있어 녹화가 곤란한 경우에는 녹화토에 씨앗을 배합하여 만든 녹생토를 절개사면에 흡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녹생토공법은 토목공사가 완료되어 정비된 절개지 경사면에 녹생토가 흘러내리지 않고 흡착될 수 있도록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사면에 능형망(철망)을 덮고 앙카핀을 타설하여 능형망을 지면에 고착시킨 후 그 상부에 녹화토와 씨앗을 배합한 녹생토를 고압으로 포설하여 일정한 두께(10 내지 15 ㎝)가 형성되도록 시공한다.
이러한 종래의 녹생토공법은 목본류의 식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녹화토에 초본류 씨앗과 목본류 씨앗을 혼합한 녹생토를 포설하면 초본류(풀)의 씨앗이 먼저 발아하여 성장함으로써 초본류의 그늘에 가려진 목본류 씨앗은 발아 및 성장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녹생토 시공 후 녹생토 시공면을 굴착하여 나무를 심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절개면에 포설된 녹생토가 홍수 등에 의하여 유실될 위험성이 높아 시공이 곤란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녹생토공법을 개선하여 녹생토 시공과 동시에 절개지 경사면에 나무가 식재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도2와 같이 개발되었는데, 절개사면(11)에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되는 다수 개의 구덩이(110); 절개사면(11)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구덩이(110)가 형성된 절개사면(11)의 표면에 앙카핀(220)으로 고정되는 철망(210); 상기 구덩이(110)가 위치하는 상기 철망(210) 부위의 상부에 결속선(320)으로 고정되는 다수 개의 부직포식생백(310); 및, 절개사면(11)에 포설되어 상기 부직포식생백(310)과 상기 철망(210)을 덮고 상기 구덩이(110)를 채워주는 녹생토층(410);으로 구성되되, 상기 부직포식생백(310)의 내부에는 목본류 식생용 녹생토(311)가 채워져 있고 미리 목본류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호우(홍수)가 발생할 경우 도로면 하단부부터 조금씩 시작된 토양 유실이 전체 영역으로 확대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특히 암반 또는 풍암사면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선행기술목록]
등록특허 제10-1195210호
등록특허 제10-1879729호
등록특허 제10-0946389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우가 발생하더라도 절개지 사면 하단부의 토양 유실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토양 유실이 절개지 사면 전체로 확대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녹화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뿜어붙이기 공법과 식생블록 및 모종앙카가 혼합된 새로운 개념의 녹화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식생블록의 하부에 별도의 유실방지댐을 설치하여 토양유실을 극소화함과 동시에 배수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은 개념의 녹화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로 절개지 사면의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절개지 사면(11)을 덮도록 설치되어 철망고정앙카(110)로 고정되는 능형철망(100); 상기 능형철망(100)의 하단 상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호 결속되는 다수의 식생블록(200); 및, 절개지 사면(11)에 미리 설정된 두께로 포설되면서 상기 능형철망(100) 및 상기 식생블록(200)을 덮으며 식물의 종자가 함께 혼합된 포설용 녹생토층(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로 절개지 사면의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절개지 사면(11)을 덮도록 설치되어 철망고정앙카(110)로 고정되는 능형철망(100); 상기 능형철망(100)의 하단 상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유실방지댐(500); 및, 절개지 사면(11)에 미리 설정된 두께로 포설되면서 상기 능형철망(100) 및 상기 유실방지댐(500)을 덮으며 식물의 종자가 함께 혼합된 포설용 녹생토층(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우가 발생하더라도 절개지 사면 하단부의 토양 유실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토양 유실이 절개지 사면 전체로 확대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뿜어붙이기 공법과 식생블록 및 모종앙카가 혼합된 새로운 개념의 녹화구조를 제공하여 토양유실 방지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식물 식생 및 활착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식생블록의 하부에 별도의 유실방지댐을 설치하여 토양유실을 극소화함과 동시에 배수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기술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4는 (a)식생블록(200), 및 (b)모종앙카(400)의 구체적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5는 유실방지댐(500)이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6은 유실방지댐(500)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7은 식생블록(200)이 사용되지 않고 유실방지댐(500)만 사용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로 절개지 사면의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능형철망(100), 식생블록(200), 포설용 녹생토층(300), 모종앙카(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능형철망(100)은 절개지 사면(11)을 덮도록 설치되는 철망 구조물로서 절개지 사면(11)의 유실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능형철망(100)의 규격이나 사양은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제품 가운데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능형철망(100)은 철망고정앙카(110)에 의하여 절개지 사면(11)에 고정된다.
철망고정앙카(110)는 능형철망(100)의 면적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타설하여 절개지 사면(11)에 관입한다.
식생블록(200)은 능형철망(100)으로 덮힌 절개지 사면(11)의 하단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즉,능형철망(100)의 하단 상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와이어나 호그링 등으로 상호 결속되어 호우에 의하여 절개지 사면(11)의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식생블록(200)은 도4(a)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상자(210), 제1천공부직포(220), 충진용 녹생토(230), 제2천공부직포(240) 및 덮개망(250)으로 구성된다.
외부상자(210)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은 완전히 개방되며, 내부에 충진용 녹생토(2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구조이다.
제1천공부직포(220)는 외부상자(210) 내부의 바닥면과 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제1천공부직포(220)에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식물의 뿌리가 뚫고 나와 활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는데, 천공되는 구멍의 수량 및 직경은 식생되는 식물의 종류나 현장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한다. 구멍의 수량이나 직경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구멍의 수량이 너무 많거나 직경이 클 경우에는 그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용 녹생토(230)가 쉽게 유실될 위험이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충진용 녹생토(230)는 제1천공부직포(220)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채워지며 식물의 종자가 함께 혼합된다.
충진용 녹생토(230)에 함께 혼합될 식물의 종자는 주변 여건이나 토양, 자연 환경(기온, 강수량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품종을 선택한다.
제2천공부직포(240)는 충진용 녹생토(230)를 채운 후 그 상부면을 덮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천공부직포(220)와 제2천공부직포(240)를 대체할 수 있는 포대 형태로 제작된 천공 부직포식생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덮개망(250)은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구조로서 외부상자(210)의 상부에 결속되어 덮개 역할을 한다. 덮개망(250)을 외부상자(210)와 결속선(와이어)로 결속하면 하나의 식생블록(200)이 완성되는데, 이러한 식생블록(200)을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결속선(와이어)나 호그링 등으로 상호 결속되어 절개지 사면(11) 하단의 토양 유실을 방지하는 댐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식생블록(200)은 덮개망(250)을 관통하여 절개지 사면(11)에 관입되는 철근앙카(260)로 고정될 수 있다.
철근앙카(260)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머리부분이 "T" 형, "ㄱ" 형, 또는 "∩" 형 등으로 이루어져 식생블록(200)의 덮개망(250)을 눌러주면서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됨이 바람직하다.
포설용 녹생토층(300)은 절개지 사면(11)에 미리 설정된 두께(개략 5 내지 12cm)로 포설(뿜어 붙이기)되면서 능형철망(100) 및 식생블록(200)을 덮는다.
이러한 포설용 녹생토층(300)에도 식물의 종자가 함께 혼합되는데, 충진용 녹생토(230)에 혼합되는 것과 같은 품종일 수도 있고, 종류가 다른 품종이 선택될 수도 있다.
모종앙카(400)는 포설용 녹생토층(300)이 형성된 후 포설용 녹생토층(300)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관입된다.
모종앙카(400)는 도4(b)에 도시된 것처럼 선식생된 모종이 내부에 담겨진다.
모종앙카(400)는 원통관 형태의 앙카본체(410)와 그 하부에 구비된 원뿔 또는 각뿔 형상의 돌기부(420)로 이루어지며, 모종앙카(400)의 내부공간은 식물의 종자와 상토(床土)로 채워지거나, 종자가 발아하여 선식생된 모종이 포함될 수 있다.
상토(床土)는 모종을 가꾸는 온상에 쓰는 토양. 부드럽고 물 빠짐과 물 지님이 좋으며 여러 가지 양분을 고루 갖춘 흙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잘 썩은 퇴비와 산의 황토를 반반씩 섞어 만들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상토 가운데 적절한 제품을 선택할 수도 있다.
모종앙카(400)의 내부공간을 식물의 종자와 상토(床土)로 채울 경우에는 먼저 모종앙카(400)를 타설하여 관입한 후 상토와 식물의 종자를 혼합하여 펄프 시트로 포장한 것으로 모종앙카(400)의 내부공간을 채울 수 있다.
또한, 모종앙카(400)의 내부공간에 미리 상토와 식물의 종자를 선식생하여 활착시킨 후 모종앙카(400)를 타설하여 관입하는 방식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모종앙카(400)는 포설용 녹생토층(300)이나 식생블록(200)과는 달리, 단순히 식물의 종자가 상토와 혼합된 상태가 아니라 상토와 혼합된 식물의 종자가 발아하여 선식생된(활착된) 모종이 포함된 상태로 포설용 녹생토층(300)에 관입되는 것이다.
식물의 종자는 발주처에 따라 달라지며 혼합 종자를 주로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한국도로공사의 경우 관목류 20%, 야생화류 50%, 양잔디 20% 등 20 여종으로 규정하고 있다.
모종앙카(400)에 선식생되는 식물은 포설용 녹생토층(300)이나 식생블록(200)의 녹생토에 혼합되는 식물과는 다른 종류가 선택되는데, 일반적으로 포설용 녹생토층(300)이나 식생블록(200)의 녹생토에 혼합되는 식물(통상적으로 초본류 식물)보다 발아 시기가 늦은 야생화와 같은 목본류 식물을 미리 발아시켜 선식생한 상태로 시공 현장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초본류와 목분류의 성장을 도모할 경우 이들의 종자(씨앗)를 동시에 뿌릴 경우에는 초본류의 종자가 먼저 발아하여 성장함으로써 초본류의 그늘에 가려진 목본류의 발아 및 성장이 극히 어려워지거나 불가능한데, 본 발명처럼 발아 시기가 상대적으로 늦은 식물을 모종앙카(400)에서 먼저 선식생한 상태로 시공 현장에 투입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모종앙카(400)의 구체적 형상은 적절히 변형이 가능한데, 앙카본체(410)에는 모종의 뿌리가 빠져 나와 토양에 활착될 수 있도록 적절히 절개된 뿌리통과공(411)가 구비되어야 하며, 취급의 편의성을 위하 앙카본체(410)의 양측으로 날개부(412)가 형성되거나 앙카본체(4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41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종앙카(400)는 포설용 녹생토층(300)과 능형철망(100)을 통과하여 도로 절개지 사면(11)에 관입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포설용 녹생토층(300)의 깊이까지만 관입될 수도 있다.
충진용 녹생토(230) 또는 포설용 녹생토층(300)으로 사용되는 녹생토는 일반적으로 나무의 생장촉진과 절개지 암벽녹화에 필요한 다량의 유기물과 비료질을 함유한 인공토를 의미하는데 필요에 따라 토양안정제가 함께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5는 식생블록(200의 하부에 유실방지댐(500)이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유실방지댐(500)은 절개지 사면(11)의 하단부를 따라 설치되어 식생블록(200)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면서, 식생블록(200)이 도로면(22)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받쳐주는 기능을 하여 호우가 발생할 경우 1차적으로 토양 유실을 방지하는 댐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실방지댐(500)은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유실방지댐(500)을 관통하여 지면에 관입되는 댐고정앙카(570)를 사용하여 도로 절개지 사면(11) 또는 도로면(22)에 고정될 수 있는데, 댐고정앙카(570)는 배수공(530)을 통과하여 지면에 관입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도6에는 유실방지댐(500)의 구체적 실시예가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유실방지댐(500)은 이탈방지턱(510), 배수공(530) 및 배수홈(540)으로 이루어지며, 이탈방지턱(510)의 형성된 외측보다 절개지 사면(11)을 향하는 내측의 상부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제작될 수 있다.
이탈방지턱(510)의 유실방지댐(500)의 상부면 일측(외측)으로 돌출되어 식생블록(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공(530)은 유실방지댐(5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배수홈(540)은 유실방지댐(500)의 하부면을 따라 절개되어 배수공(530)과 연결된다.
아울로, 유실방지댐(500)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결착돌기(550)가 돌출되며, 길이 방향 타측으로 결착홈(560)이 함몰되는 구조가 되는데,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결착돌기(550)가 이웃하는 유실방지댐(500)의 결착홈(56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7은 식생블록(200)이 사용되지 않고 유실방지댐(500)만 사용되는 경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데, 유실방지댐(500)은 능형철망(100)의 하단 상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고, 댐 역할을 하면서 호우시 포설용 녹생토층(300)의 유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아래의 부호는 본 발명에 관한 도면인 도3 내지 도7에만 적용된다.
11:절개지 사면 22:도로면
100:능형철망
110:철망고정앙카
200:식생블록
210:외부상자
220:제1천공부직포
230:충진용 녹생토
240:제2천공부직포
250:덮개망
260:"ㄷ"형 앙카
300:포설용 녹생토층
400:모종앙카
410:앙카본체
411:뿌리통과공
412:날개부
413:플랜지부
420:돌기부
500:유실방지댐
510:이탈방지턱
530:배수공
540:배수홈
550:결착돌기
560:결착홈
570:댐고정앙카

Claims (7)

  1. 도로 절개지 사면의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절개지 사면(11)을 덮도록 설치되어 철망고정앙카(110)로 고정되는 능형철망(100);
    상기 능형철망(100)의 하단 상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호 결속되는 다수의 식생블록(200); 및,
    절개지 사면(11)에 미리 설정된 두께로 포설되면서 상기 능형철망(100) 및 상기 식생블록(200)을 덮으며 식물의 종자가 함께 혼합된 포설용 녹생토층(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2. 도로 절개지 사면의 녹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절개지 사면(11)을 덮도록 설치되어 철망고정앙카(110)로 고정되는 능형철망(100);
    상기 능형철망(100)의 하단 상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유실방지댐(500); 및,
    절개지 사면(11)에 미리 설정된 두께로 포설되면서 상기 능형철망(100) 및 상기 유실방지댐(500)을 덮으며 식물의 종자가 함께 혼합된 포설용 녹생토층(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포설용 녹생토층(300)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관입되며, 선식생된 모종이 내부에 담겨져 있는 다수의 모종앙카(400);
    가 더 포함되며,
    상기 모종앙카(400)는,
    원통관 형태의 앙카본체(410)와 그 하부에 구비된 원뿔 또는 각뿔 형상의 돌기부(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종앙카(400)를 타설하여 관입한 후 상기 모종앙카(400)의 내부공간은 상토와 식물의 종자를 혼합하여 펄프 시트로 포장한 것으로 채우거나,
    상기 모종앙카(400)의 내부공간에 미리 상토와 식물의 종자를 선식생하여 활착시킨 후 상기 모종앙카(400)를 타설하여 관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식생블록(200)은,
    철망으로 이루어진 외부상자(210);
    상기 외부상자(210) 내부의 바닥면과 측면 전체를 감싸는 제1천공부직포(220);
    상기 제1천공부직포(220)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채워지며 식물의 종자가 함께 혼합된 충진용 녹생토(230);
    상기 충진용 녹생토(230)의 상부면을 덮는 제2천공부직포(240); 및,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구조로서 상기 외부상자(210)의 상부에 결속되어 덮개 역할을 하는 덮개망(250);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망(250)을 통과하여 절개지 사면(11)에 관입되는 철근앙카(26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5. 제4항에서,
    절개지 사면(11)의 하단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식생블록(200)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식생블록(200)이 도로면(22)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올려주는 유실방지댐(50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유실방지댐(500)에는,
    상부면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식생블록(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510);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배수공(530); 및,
    하부면을 따라 절개되며 상기 배수공(530)과 연결되는 배수홈(540);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7. 제5항에서,
    상기 유실방지댐(500)은,
    길이 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결착돌기(550); 및,
    길이 방향 타측으로 함몰된 결착홈(560);
    이 구비되어 상기 결착돌기(550)가 이웃하는 유실방지댐(500)의 상기 결착홈(56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KR1020210102029A 2021-08-03 2021-08-03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KR20230020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029A KR20230020215A (ko) 2021-08-03 2021-08-03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029A KR20230020215A (ko) 2021-08-03 2021-08-03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215A true KR20230020215A (ko) 2023-02-10

Family

ID=8522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029A KR20230020215A (ko) 2021-08-03 2021-08-03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02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CN101818499B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CN107893422B (zh) 一种加固型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273514B1 (ko) 암비탈면의 녹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10565586A (zh) 一种用于粉质砂土盐碱地护坡水土保持的施工工艺
KR20100061964A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KR102122967B1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KR100830150B1 (ko)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CN201972156U (zh) 立体绿化植被垫护坡系统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KR20160045281A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JPH1132568A (ja) 乾燥地・沙漠地における緑化方法
KR20230020215A (ko) 도로 절개지 사면 녹화구조
KR100346053B1 (ko) 녹화 마대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지의 녹화 공법
KR100859853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20070012944A (ko) 부직포 식생백, 이를 이용한 사면구조 및 사면공법
JP3880673B2 (ja) 切土法面の緑化装置及び緑化工法
KR102443511B1 (ko) 피스톤식 고정용 앵커를 이용한 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100352889B1 (ko) 포트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KR101282286B1 (ko) 개비온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JP2003102258A (ja) 果樹又は野菜類等の栽培方法
KR20210038037A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돌망태 녹화구조
JP2000120072A (ja) 法面の緑化装置
JP5699291B2 (ja) 植生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