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88Y1 -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 Google Patents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588Y1
KR200439588Y1 KR2020080001962U KR20080001962U KR200439588Y1 KR 200439588 Y1 KR200439588 Y1 KR 200439588Y1 KR 2020080001962 U KR2020080001962 U KR 2020080001962U KR 20080001962 U KR20080001962 U KR 20080001962U KR 200439588 Y1 KR200439588 Y1 KR 200439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blocks
prefabricated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오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앤테크
Priority to KR2020080001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5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사면을 녹화함과 아울러 사면의 원활한 배수를 유도하여 사면과 초목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의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블록의 격자형 배치구조가 발휘하는 구조적인 강도를 이용하여 사면을 보강하면서 초목의 식재를 가능하게 하여 초목에 의해 사면을 녹화할 수 있으며, 블록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수를 유도하여 우수의 침투에 의한 사면과 초목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식물 활착을 위해 복토한 성토지역을 유니트화 하여 최악의 경우 흙의 흘러내림을 해당 구역으로만 제한시켜 흙의 유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식물성장을 위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야생화, 갈대, 물억새 등 수변 초본류나 갯버들, 개나리, 철쭉 등의 식물을 식재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토심을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식생대 조성이 가능한 친환경 하천 사면 녹화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한다.
하천, 사면, 경사, 식생, 조립식 블록

Description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Vegetation block for tree-planting around the rivers}
본 고안은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사면을 녹화함과 아울러 사면의 원활한 배수를 유도하여 사면과 초목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의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사면의 유실을 막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시공하여 왔다.
이러한 시공법을 따르면 정리된 하천이라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지만,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이 전혀 없어 의도적인 식재나 자연적인 식생이 불가능하고, 결국 친환경의 측면에서 볼 때 자연 하천의 미관이 크게 손상될 뿐만 아니라, 자연생태계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발표가 나오고 있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블록에 의해 풀이 자라지 못함에 따라 하천에 곤충이 살지 못하고, 곤충을 잡아먹는 새들이 찾아들지 못하며, 연쇄적으로 곤충의 유충을 먹고사는 어패류의 생식에도 악영향을 주게 됨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 서로 간의 지지력이 없고 단지 하천제방의 법면에 놓여 있는 형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강우시 그 콘크리트 블록들 사이의 틈새로 우수가 지속적으로 유입하게 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면이 쉽게 유실되어 콘크리트 블록 자체가 망실되어 버리거나 심한 경우에는 제방이 터져 버려 인근 마을의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위와 같은 전통적인 콘크리트 블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 블록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블록 위나 블록 사이에 천공을 하여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 블록 표면에 버드나무 등 관목류를 식재하는 방안, 콘크리트 블록의 사면 위에 일 정량의 흙을 복토한 후, 모기장과 같은 그물망 등을 덮고 고정시켜 그 위에 seed spray나 초목류 등을 식재하는 방안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방법 들은 식물활착이 어렵거나 유수 혹은 강풍 그리고 강우시에 복토한 흙이 흘러내려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하상을 상승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을 걷어내고 새로 식재가 가능하게 구멍이 뚫려 있는 블록으로 대체 하는 경우에는 안정된 식생활착이 가능하나, 장시간의 공사기간 및 대량의 폐기물발생과 높은 건설비 상승으로 문제가 있고,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의 블록 표면에 천공을 하여 식재를 하는 경우에는 식물의 활착여건이 불안 하고 갈대, 물억새등 호안주변에 주로 심어야하는 수변 초본류들은 식재가 불가능하고 버드나무 등 삽목이 가능한 식물만을 심어야하는 제한이 있다.
또한, 사면 전체에 흙을 복토한 후, 모기장과 같은 그물 망을 덮고 그 위에 seed spray나 초목류 등을 식재하는 경우에는 우수나 바람, 유속 등의 영향으로 흙이 하부로 흘려 내려서 사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식물의 활착이나 생육에 적절한 조건을 부여하지 못하여 부분 녹화로 끝나거나, 망체와 블록 표면 사이의 흙이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어 그 유동이 심하므로 유지 보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블록의 격자형 배치구조가 발휘하는 구조적인 강도를 이용하여 사면을 보강하면서 초목의 식재를 가능하게 하여 초목에 의해 사면을 녹화할 수 있으며, 블록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수를 유도하여 우수의 침투에 의한 사면과 초목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식물 활착을 위해 복토한 성토지역을 유니트화 하여 최악의 경우 흙의 흘러내림을 해당 구역으로만 제한시켜 흙의 유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식물성장을 위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야생화, 갈대, 물억새 등 수변 초본류나 갯버들, 개나리, 철쭉 등의 식물을 식재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토심을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식생대 조성이 가능한 친환경 하천 사면 녹화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은 식물이 안정적으로 활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천 사면의 기초 지반에 설치되는 식생 블록으로서, 4 방향으로 요입형 연결부를 갖는 다수의 기준 블록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기준 블록의 요입형 연결부에 각 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서로 연접하는 사각의 식생 구역을 다수 조성하는 다수의 구획 블록로 구성되어, 하천 사면의 전체 면적에 걸쳐 격자형 배치구조로 조성되는 각각의 식생 구역 내에 나무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블록과 구획 블록은 기준 블록의 요입형 연결부에 구획 블록의 단부 일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두 블록이 함께 볼트로 관통 체결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고, 이때의 볼트 체결구멍은 길이방향 유격조절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친환경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은 격자형 배치구조를 이용하여 사면을 보강하면서 초목을 식재하는 형태로 사면을 녹화함으로써, 하천의 사면을 친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콘크리트블록을 걷어내지 않고 그 상부에 본원고안의 블록을 설치한 후 내부에 토사 혹은 사석을 채워줌으로써 식물뿌리의 원활한 활착 및 상기 블록 하단부의 절단면을 통해 식물뿌리 엉김현상으로 지반의 견고함을 더욱더 유지할 수 있어 유수 및 파랑 등의 외부요인에 의한 사면과 초목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가로 블록과 세로 블록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식생구역을 연접해서 조성함에 따라 식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활착되어 자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블록을 격자형으로 짜 맞추는 형태이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간편할 뿐 아니라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결국 친환경적인 영구사면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블록은 통상의 시공방식에 의해 하천의 경사면으로 조성된 기초 지반상에 배치되어 서로 결속됨에 따라 사면이 침식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조립식 블록, 즉 식생 블록에는 식재를 위한 복토층이 타설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립식 식생 블록은 하나의 기준 블록(11)에 4 방향에서 4개의 구획 블록(13a),(13b)이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 구조가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계속해서 이어지면서 전체적으로 볼 때, 바둑판 모양의 격자형 배치 구조를 갖는 일체식의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즉, 조립식 식생 블록은 하천의 사면 전체 면적에 걸쳐 바둑판 모양을 하는 하나의 일체식 구조물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기준 블록(11)은 각각의 구획 블록(13a),(13b)을 연결 조립할 때 기준체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육면체로 이루어진 블록의 옆쪽 4 면에는 구획 블록(13a),(13b)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요입형 연결부(1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요입형 연결부(10)에는 두께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구 멍을 통해 구획 블록 단부와 함께 볼트를 체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은 장공(14)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구획 블록(13a),(13b)의 연결작업시 장공의 여유길이를 이용하여 유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반의 여건에 따라 기준 블록(11) 간의 위치 간격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도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장공은 기준 블록과 구획 블록 모두에 또는 어느 하나의 블록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블록(13a),(13b)은 기준 블록(11)을 이용하여 조립되면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2개의 블록에 의해 사각의 틀 형태로 짜여지는 부분으로서, 내측으로 사각의 식생 구역(12)을 조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구획 블록(13a),(13b)이 기준 블록(12)의 각 요입형 연결부(10)에 각 방향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 구조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되면서 전체적으로 볼 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형 배치구조를 이루게 되므로서, 다수의 사각 식생 구역(12)이 하천 사면의 전체 면적에 걸쳐 연접되는 형태로 연속해서 조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 블록(13a),(13b)은 길다란 직사각형의 판체로 되어 있으며, 양쪽 단부는 위아래로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15)로 인해 폭이 좁은 형태가 되고, 이렇게 좁은 폭의 단부가 기준 블록(11)의 요입형 연결부(10) 내에 삽입되어 함께 체결된다.
이때의 상기 단차부(15)는 고르지 못한 사면의 조건에서도 연결 작업시 구획 블록(13a),(13b)의 꺽임 등을 용이하게 해주므로, 경사지형에서도 시공을 수월한 시공을 가능하게 해준다.
물론, 구획 블록(13a),(13b)의 단부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구획 블록(13a),(13b)에는 블록 두께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16)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때의 홀(16)을 통로로 하여 한 곳의 식생 구역(12)에 있는 나무나 식물의 식생뿌리가 이웃하는 주변의 식생 구역(12)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서, 식생뿌리 간의 엉킴 등을 유도하여 식물이 안정적으로 활착될 수 있고, 또 주변 토사가 쓸려내려가는 침식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등 안정된 녹화사면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블록(13a),(13b)의 하단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면(17)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기초 지반상에 설치시 요철면(17)과 지반 간의 결속력이 더욱 견고해지면서 식생 블록의 설치상태 뿐만 아니라 녹화사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식생 블록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는데, 목재 등과 같이 통상의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 제작하는 것에 의해 장 기간에 걸쳐서 식물이 안정적으로 완전히 활착된 후에는 자연스럽게 흙으로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하천 사면의 기초 지 반(110)상에 격자 형태의 배치구조로 식생 블록(100)을 설치함에 따라 사면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식생 블록(100)이 만들어내는 각각의 식생 구역에 복토층을 형성하여 나무나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식생 블록(100)을 구성하는 격자형 구조물은 기준 블록(11)에 형성되어 있는 요입형 연결부(10)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구획 블록(13a),(13b)을 연이어서 조립한 상태에서, 즉 기준 블록(11)의 요입형 연결부(10)에 구획 블록(13a),(13b)의 단부를 끼운 다음, 장공(14)에 통상의 와셔와 함께 볼트를 체결하여 기준 블록(11)과 구획 블록(13a),(13b)을 서로 결속시킨 상태에서 기초 지반(1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의 조립시 요입형 연결부 내에 구획 블록 단부를 끼워 맞춘 다음, 볼트만 체결하면 조립작업이 완료되므로, 식생 블록의 시공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식생 블록(100)의 시공시, 기초 지반(110)상에서 식생 블록(100)이 견고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앵커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식생 블록(100)을 고정시킬 수 있고, 또 구획 블록(13a),(13b) 간의 사이에도 가로 걸쳐지는 연결핀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묶어줄 수도 있다.
이렇게 하천의 사면에 구축한 기초 지반(110)상에 식생 블록(100)을 설치한 상태에서 바둑판 모양의 각 식생 구역(12) 내에 복토층(120)을 구성하면, 주변 환경에 맞는 나무나 식물을 식재하여 자생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나무나 식물의 뿌리가 식생 구역(12)은 물론 기초 지반(110)을 통해 안정적으로 활착됨에 따라 자연 적인 응집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하천의 사면을 따라 우수가 흘러내릴 경우 식생 블록(100)의 복토층(120) 및 기초 지반(110)상에 식생뿌리가 강하게 활착되어 있어 어느 정도 우수의 수용이 가능하고, 또 식생 블록 격자형 구조물이 토사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식재되어 있는 나무나 식물, 토사 등이 유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하천의 사면에 격자형 배치구조로 설치되는 식생 블록을 이용하여 사면을 보강하면서 나무나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하천의 주변을 친환경적으로 녹화할 수 있고, 결국 하천 주변을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요입형 연결부 11 : 기준 블록
12 : 식생 구역 13a,13b : 구획 블록
14 : 장공 15 : 단차부
16 : 홀 17 : 요철면

Claims (5)

  1.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에 있어서,
    식물이 안정적으로 활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천 사면의 기초 지반에 설치되는 식생 블록으로서, 4 방향으로 요입형 연결부(10)를 갖는 다수의 기준 블록(11)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기준 블록(11)의 요입형 연결부(10)에 각 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서로 연접하는 사각의 식생 구역(12)을 다수 조성하는 다수의 구획 블록(13a),(13b)로 구성되어, 하천 사면의 전체 면적에 걸쳐 격자형 배치구조로 조성되는 각각의 식생 구역 내에 나무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 블록(13a),(13b)은 기준 블록(11)의 요입형 연결부(10)에 단부 일부가 끼워지는 동시에 볼트로 함께 관통 체결되는 구조로 연결되고, 이때의 볼트 체결구멍은 길이방향 유격조절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공(1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획 블록(13a),(13b)은 경사지형에 용이하게 설치되기 위하여 단부에 단차부(1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녹 화용 조립식 블록.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획 블록(13a),(13b)은 식생뿌리의 이동통로 역할을 하는 두께를 관통하는 형태의 다수의 홀(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획 블록(13a),(13b)은 기초 지반에 견고히 고정되기 위하여 하단면이 요철면(17)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2020080001962U 2008-02-14 2008-02-14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200439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62U KR200439588Y1 (ko) 2008-02-14 2008-02-14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62U KR200439588Y1 (ko) 2008-02-14 2008-02-14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588Y1 true KR200439588Y1 (ko) 2008-04-21

Family

ID=4134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962U KR200439588Y1 (ko) 2008-02-14 2008-02-14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5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710B1 (ko) * 2017-05-15 2017-11-20 (주)동림피엔디 경사지의 생태복원장치
CN110761304A (zh) * 2019-11-14 2020-02-07 成都城投城建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锚杆框架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710B1 (ko) * 2017-05-15 2017-11-20 (주)동림피엔디 경사지의 생태복원장치
CN110761304A (zh) * 2019-11-14 2020-02-07 成都城投城建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锚杆框架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4898B2 (ja) 河川護岸及び法面保護用植生マット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固定装置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0927393B1 (ko) 생태블록
KR20100063881A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및 그 고정장치
KR100839669B1 (ko) 사면녹화를 위한 자연친화형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사면시공구조
KR100665965B1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KR100770162B1 (ko)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408102Y1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KR100674635B1 (ko) 보강토 옹벽용 친환경 식생블록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JP4079386B2 (ja) 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101578349B1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KR200311986Y1 (ko)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KR101908315B1 (ko)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복합형 식생 개비온 어셈블리
KR20060099187A (ko) 식생매트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3403B1 (ko) 식생 셀
KR101012655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0937169B1 (ko) 식생매트, 이를 포함하는 식생매트 유닛과 식생매트의시공방법
KR20160024568A (ko) 사면 녹화용 블록 매트 조립체
KR100545940B1 (ko)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