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035Y1 -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 Google Patents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3035Y1 KR200433035Y1 KR2020060025785U KR20060025785U KR200433035Y1 KR 200433035 Y1 KR200433035 Y1 KR 200433035Y1 KR 2020060025785 U KR2020060025785 U KR 2020060025785U KR 20060025785 U KR20060025785 U KR 20060025785U KR 200433035 Y1 KR200433035 Y1 KR 20043303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ver
- space
- vegetation
- assembled
- amber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2892 amb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claims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308 Coriand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87 Coriandrum sativ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EDXJYDRNCIFBQ-UHFFFAOYSA-N aluminium(3+) Chemical class [Al+3] REDXJYDRNCIF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천 제방에 지지 말뚝과 방틀 종보가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틀 종보의 일끝단에 방틀 횡보가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상하면 및 배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사각 박스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의 배면에 네트론망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 내부에 호박돌을 채워 넣으며, 상기 호박돌의 상면에 수초가 식생된 식생 매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사각형상으로 방틀을 형성하여 하천 제방에 시공하고, 내부에 호박돌을 채우고, 상면에 식생 매트를 설치하여 수초가 자라고, 물고기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하천의 안정성과 생태계 보존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하천, 제방, 방틀, 환경, 생태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하천 제방 101 : 앵커 볼트
103 : 너트 110 : 지지 말뚝
120 : 방틀 종보 130 : 방틀 횡보
140 : 공간부 150 : 네트론망
160 : 호박돌 170 : 식생 매트
180 : 섬유 매트
본 고안은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각형상으로 통나무 틀을 형성하여 하천 제방에 시공하고, 내부에 호박돌을 채우고, 상면에 식생 매트를 설치하는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토의 도시화에 따라 토지 이용이 증대되고 하천 유역에서의 생산 활동이 증대되면서 하천은 이/치수 기능만을 고려한 배수로 기능을 담당하는 하천으로 되어 온 것이다.
즉, 자연스럽게 사행하던 하천이 직강화되거나 복개되고 호안은 콘크리트로 변하였고 각종 음식점이나 관거의 설치로 인한 유량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하천은 자정 능력을 상실한 채 다양하게 천변에 서식하던 식생, 어류 및 곤충 등이 사라지게 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와 같이 하천의 호안을 콘크리트 블럭으로 조성하게 될 경우 식물 뿌리의 생육공간이 부족해짐과 더불어 강알카리성으로 인해 식물이 자랄 수 없게 되어 천변 식생의 기반을 잃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천변의 식생이 제거됨에 따라 식물종 자체의 감소는 물론 연쇄적으로 어류, 조류, 수서 곤충류 등 의 서식 기반을 손상시키게 되며, 상기 호안에 구축된 콘크리트 블럭으로 인해 하천수 또는 빗물이 토양층에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자연 하천의 천변 식생을 건생화시키게 되고, 또한 천변 식생이 제공하는 그늘이 사라짐으로써 수온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며, 이에 따라 수중 저서 생물, 어류의 서식처 및 산란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하천의 황폐화를 막아주기 위해 근래에 들어 자연형 하천 공법이 시공되는 바, 상기 자연형 하천공법은 현재의 인위적인 하천을 생태적 자연 기법을 도입하여 자연성이 큰 하천으로 개선 또는 개량, 복원하려는 공법으로 서, 자연 환경을 사람 위주로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을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며, 상기 자연형 하천 호안의 정비 공법은 하천 환경의 정비중 하천 내에서 생태적으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고수 호안 및 저수 호안을 생태적으로 재생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습지 및 수생식물이 수변이나 육지의 사면에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자연형 하천 공법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어려움이 있고, 하천의 호안을 자연형으로 정비하는 공법이 아직 체계적이고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호안의 안정성을 이루기에는 미흡하며, 홍수 등으로 인하여 하천의 수위가 높아지고 유속이 빨라질 경우 안정성을 갖지 못하는 호안의 구조물이 유실됨으로써 자연 생태계 보호에 미흡할 뿐만아니라 시공효과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상으로 방틀을 형성하여 하천 제방에 시공하고, 내부에 호박돌을 채우고, 상면에 식생 매트를 설치하여 수초가 자라고, 물고기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하천의 안정성과 생태계 보존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하천 제방에 지지 말뚝과 방틀 종보가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조립되 어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틀 종보의 일끝단에 방틀 횡보가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상하면 및 배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사각 박스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의 배면에 네트론망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 내부에 호박돌을 채워 넣으며, 상기 호박돌의 상면에 수초가 식생된 식생 매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공간부의 저면에는 상기 호박돌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도록 섬유 매트가 더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100)는, 하천 제방(1)에 지지 말뚝(110)과 방틀 종보(120)가 앵커 볼트(101)와 너트(103)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다단으로 설치되고, 방틀 종보(120)의 일끝단에 방틀 횡보(130)가 앵커 볼트(101)와 너트(103)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상하면 및 배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공간부(140)가 형성되도록 사각 박스 형태로 설치되고, 공간부(140)의 배면에 네트론망(150)을 고정 설치하고, 공간부(140) 내부에 호박돌(160)을 채워 넣으며, 호박돌(160)의 상면에 수초가 식생된 식생 매트(170)를 설치한다. 이때, 공간부(140)의 저면에는 호박돌(160)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도록 섬유 매트(180)가 더 설치된다. 여기에서, 지지 말뚝(110)과, 방틀 종보(120) 및 방틀 횡보(130)는 통나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에 따라 콘크리트, 철, 합금, 합성수지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하천 제방(1)에 직각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2개의 지지 말뚝(110)이 한쌍을 이루도록 하면서 다단으로 지지 말뚝(110)을 직각면 저면에 고정 설치한다. 한편, 지지 말뚝(110)에는 앵커 볼트(101)가 삽입되는 제 1앵커 볼트홀(111)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그런 다음, 방틀 종보(120)를 지지 말뚝(110)에 종방향으로 앵커 볼트(101)와 너트(103)에 의해 각각 체결한다. 이때, 방틀 종보(120)에는 앵커 볼트(101)가 삽입되는 앵커 볼트홀(121)이 양단에 형성되며, 일끝단에는 두 개의 지지 말뚝(110)과 방틀 횡보(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3개의 앵커 볼트홀(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방틀 종보(120)의 일끝단에 방틀 횡보(130)를 횡방향으로 앵커 볼트(101)와 너트(103)에 의해 각각 체결한다. 이때, 방틀 횡보(130)에는 앵커 볼 트(101)가 삽입되는 앵커 볼트홀(13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런 다음, 다시 방틀 종보(120)의 일끝단에 지지 말뚝(110)에 수직방향으로 앵커 볼트(101)와 너트(103)에 의해 각각 체결한다.
체결이 완료되면, 공간부(140)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네트론망(150)을 앵커 볼트(101)와 너트(103)에 의해 지지 말뚝(110)에 체결하고, 공간부(140)의 저면, 즉 바닥면에 섬유 매트(180)를 깐 다음, 호박돌(160)을 채워 넣는다. 이때, 호박돌(160)은 공간부(140)에서 지지 말뚝(110)의 5/4정도 높이까지 채워진다.
그리고, 호박돌(160)의 상면에 수초가 식생된 식생 매트(170)를 적층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에 따르면, 사각형상으로 방틀을 형성하여 하천 제방에 시공하고, 내부에 호박돌을 채우고, 상면에 식생 매트를 설치하여 수초가 자라고, 물고기의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하천의 안정성과 생태계 보존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
- 하천 제방에 지지 말뚝과 방틀 종보가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틀 종보의 일끝단에 방틀 횡보가 앵커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조립되어 상하면 및 배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사각 박스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의 배면에 네트론망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 내부에 호박돌을 채워 넣으며, 상기 호박돌의 상면에 수초가 식생된 식생 매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공간부의 저면에는,상기 호박돌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도록 섬유 매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5785U KR200433035Y1 (ko) | 2006-09-25 | 2006-09-25 |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5785U KR200433035Y1 (ko) | 2006-09-25 | 2006-09-25 |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3035Y1 true KR200433035Y1 (ko) | 2006-12-07 |
Family
ID=4178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5785U KR200433035Y1 (ko) | 2006-09-25 | 2006-09-25 |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3035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8478B1 (ko) * | 2009-04-06 | 2009-09-24 | 백석건설 주식회사 | 방틀 |
KR101039658B1 (ko) * | 2011-01-12 | 2011-06-08 | (주)에코원 | 해안사구 생태복원 구조 |
KR101101985B1 (ko) | 2009-01-21 | 2012-01-02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바자 얽기 침상 |
KR101297716B1 (ko) * | 2010-07-05 | 2013-08-20 | 강인성 | 사면보호용 친환경 식재방틀 및 그것을 이용한 시공구조 |
KR101512721B1 (ko) * | 2014-10-08 | 2015-04-17 |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블록 |
-
2006
- 2006-09-25 KR KR2020060025785U patent/KR20043303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1985B1 (ko) | 2009-01-21 | 2012-01-02 |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 바자 얽기 침상 |
KR100918478B1 (ko) * | 2009-04-06 | 2009-09-24 | 백석건설 주식회사 | 방틀 |
KR101297716B1 (ko) * | 2010-07-05 | 2013-08-20 | 강인성 | 사면보호용 친환경 식재방틀 및 그것을 이용한 시공구조 |
KR101039658B1 (ko) * | 2011-01-12 | 2011-06-08 | (주)에코원 | 해안사구 생태복원 구조 |
KR101512721B1 (ko) * | 2014-10-08 | 2015-04-17 |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interwerp et al. | Managing erosion of mangrove-mud coasts with permeable dams–lessons learned | |
KR101078073B1 (ko) |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장치 | |
JP4784728B2 (ja) | 魚巣マングローブ護岸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護岸工法 | |
KR200433035Y1 (ko) |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 |
KR100665965B1 (ko) |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 |
CN105862673B (zh) | 一种蜂巢砌块及其应用 | |
KR100479351B1 (ko) | 기능성 세라믹 수질정화 방틀 | |
CN101387107A (zh) | 带桩式防浪结构的生态护岸 | |
CN100464030C (zh) | 一种生态护岸 | |
KR20100065450A (ko) | 환경친화형 호안블록을 이용한 법면 시공방법 | |
KR100891738B1 (ko) |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 |
KR0147724B1 (ko) | 하천변 얕은 만곡부의 자연형호안공법 | |
KR200356111Y1 (ko) | 호안블록 | |
KR200311986Y1 (ko) |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 |
KR100451983B1 (ko) |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 |
KR101223653B1 (ko) |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 |
KR100479439B1 (ko) | 하천 호안용 삼각 방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CN201228353Y (zh) | 带桩式防浪结构的生态护岸 | |
KR200439588Y1 (ko) |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 |
KR100867204B1 (ko) | 에이치빔을 이용한 해중림초 | |
KR100406812B1 (ko) | 격자형 망태블럭 | |
JPH10276598A (ja) | 浮きプランター及びその固定方法 | |
KR102264637B1 (ko) |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52876Y1 (ko) | 기능성 세라믹 수질정화 방틀 | |
KR100919614B1 (ko) |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