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838B1 -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838B1
KR102051838B1 KR1020190034942A KR20190034942A KR102051838B1 KR 102051838 B1 KR102051838 B1 KR 102051838B1 KR 1020190034942 A KR1020190034942 A KR 1020190034942A KR 20190034942 A KR20190034942 A KR 20190034942A KR 102051838 B1 KR102051838 B1 KR 10205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embossing
installing
m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후
서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디
Priority to KR1020190034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2Cellulo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자연 배수로를 형성시킬 수 있고, 식물의 초기 생육에 필요한 적정의 수분과 양분을 보존할 수 있으면서도 강우시 종자가 쉽게 유실되지 않을 수 있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은, 경사도와 길이에 맞추어 사면을 정리하는 사면 정리 단계;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수용홈이 형성된 엠보싱 매트를 상기 사면의 상하 길이를 따라 소정 폭과 간격으로 설치하는 엠보싱 매트 설치 단계; 상기 엠보싱 매트를 덮도록 상기 사면에 전체적으로 코아네트를 설치하는 코아네트 설치 단계; 상기 코아네트를 덮도록 상기 사면에 전체적으로 메시 구조의 부착망을 설치하는 부착망 설치 단계; 복수 개의 앵커를 설치하여 상기 엠보싱 매트, 코아네트 및 부착망을 고정하는 앵커 설치 단계; 및 상기 부착망을 덮도록 종자와 토양이 포함된 스프레이 혼합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혼합물 분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Slope Vegetation Method using Embossing}
본 발명은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토된 사면(斜面)을 따라 식물이 쉽게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사면(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이 정착되지 않은 성토나 절토된 사면은 강우시 토사가 아래쪽으로 쓸려 내려오게 되면서 붕괴되거나 굴토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따라서 이러한 사면(비탈면)에는 일반적으로 식물이 쉽게 정착할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생육 환경을 조성하여 사면이 쉽게 붕괴되지 않도록 비탈면 녹화(斜面綠化) 시공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비탈면 녹화공법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888230호의 사면 자연녹화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사면 자연녹화 조성방법은 수분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는 급경사면에 토사, 발포 폐유리 경량골재 및 장섬유로 된 기반재를 선취부하고, 그 위에 보강용 망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용 망과 기반재 사이의 유격부분에 식생기반재를 재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사면 자연녹화 조성방법은 사면이 고르지 않거나 급경사 또는 역경사가 있는 암반 부분은 기반재와 사면 간에 간격(들뜸)이 생기면서 기반재가 사면에 밀착 설치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의해 식물이 사면을 따라 원활하고 균일하게 정착되지 못하면서 사면녹화의 보수시공이 빈번하게 요구되게 된다.
또한, 강우시 사면을 따라 많은 양의 빗물이 빠르게 흘러내리게 되면서 종자(씨앗)가 쉽게 유실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면녹화 시공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빗물을 따라 종자가 쉽게 유실되지 않고, 사면(비탈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식물이 균일하게 정착(생육)될 수 있는 비탈면 녹화공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0353012 B1 (2002. 11. 07.) KR 10-0479500 B1 (2005. 03. 19.) KR 10-0869915 B1 (2008. 11. 17.) KR 10-0888230 B1 (2009. 03. 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탈면 녹화공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자연 배수로를 형성시킬 수 있고, 식물의 초기 생육에 필요한 적정의 수분과 양분을 보존할 수 있으면서도 강우시 종자가 쉽게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은, 경사도와 길이에 맞추어 사면을 정리하는 사면 정리 단계;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수용홈이 형성된 엠보싱 매트를 상기 사면의 상하 길이를 따라 소정 폭과 간격으로 설치하는 엠보싱 매트 설치 단계; 상기 엠보싱 매트를 덮도록 상기 사면에 전체적으로 코아네트를 설치하는 코아네트 설치 단계; 상기 코아네트를 덮도록 상기 사면에 전체적으로 메시 구조의 부착망을 설치하는 부착망 설치 단계; 복수 개의 앵커를 설치하여 상기 엠보싱 매트, 코아네트 및 부착망을 고정하는 앵커 설치 단계; 및 상기 부착망을 덮도록 종자와 토양이 포함된 스프레이 혼합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혼합물 분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사면 정리 단계에서 상기 사면의 상단 부분을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배수로를 형성시키는 배수로 형성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앵커 설치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앵커에 각각 소정 지름을 가지는 가압판이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에 의해 상기 부착망이 소정 폭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엠보싱 매트 설치 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엠보싱 매트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스프레이 혼합물 분사 단계에서 상기 스프레이 혼합물에 아미노산 발효 부산 비료액, 토양미생물제제가 더 포함되어 분사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엠보싱 매트가 사면을 따라 설치되어 사면과 엠보싱 매트 사이에 적정의 자연배수 공간(유로)이 형성됨과 동시에 엠보싱 매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종자와 적정량의 토양이 투입된 상태로 시공되므로 강우시 빗물을 따라 종자가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지름을 가지는 가압판이 앵커에 설치되어 소정 범위의 부착망과 코아네트가 사면에 가압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역경사가 있는 암반 부분도 사면에 밀착되도록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엠보싱 매트가 시공후 6~8개월이 경과되면 자연적으로 분해되므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그리고 토질에 따라 엠보싱 매트, 코아네트, 부착망 및 앵커의 설치 여부와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고, 성토부에는 코아네트를 대신하여 자연 분해가 더욱 용이한 볏집 등으로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의 예를 보인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의 상부를 따라 배수로가 시공되고 엠보싱 매트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 매트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 매트가 사면에 설치된 예를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 매트 위에 코아네트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아네트 위에 부착망이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와 가압판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와 가압판이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 매트를 통해 식물이 생육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자연 배수로를 형성시킬 수 있고, 식물의 초기 생육에 필요한 적정의 수분과 양분을 보존할 수 있으면서도 강우시 종자가 쉽게 유실되지 않을 수 있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정리 단계(S10), 엠보싱 매트 설치 단계(S20), 코아네트 설치 단계(S30), 부착망 설치 단계(S40), 앵커 설치 단계(S50) 및 혼합물 분사 단계(S60)를 포함한다.
(1) 사면 정리 단계(S10)
이 단계는 사면녹화 시공되는 사면(1)의 경사도와 길이 등과 같은 현장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사면녹화 시공 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계획에 맞추어 사면(1)의 표면 등을 정리하는 것으로, 이때 사면(1)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적절한 폭의 단차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계단 모양이 되도록 정리한다.
그리고 사면(1)의 상단 부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폭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배수로(2)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강우시 많은 양의 빗물이 배수로(2)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되면서 상대적으로 사면(1)을 따라 흐르는 빗물의 양이 감소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계단 모양의 단차 부분을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중간배수로(도시하지 않음)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하측의 배수로를 서로 연결하도록 연결배수로(도시하지 않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2) 엠보싱 매트 설치 단계(S20)
이 단계는 사면 정리 단계(S10)에서 표면 정리된 사면(1) 위에 엠보싱 매트(10)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엠보싱 매트(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얇은 판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엠보싱 매트(10)는 토사구간을 제외한 암구간(리핑암 등)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암구간(리핑암 등)의 경우 식물의 정착이 토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운 점에서 기인된다.
그리고 엠보싱 매트(10)의 상면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복수 개의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면에 수용부(11)가 형성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저면에는 돌출부(12)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수용부(11)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관통공(13)이 복수 개 형성되고, 이에 의해 수용부(11)에 소정량의 빗물이 저류되거나 관통공(13)을 통해 엠보싱 매트(10)와 사면(1) 사이의 공간으로 빗물이 배수되면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적정의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되게 된다.
이때 관통공(13)은 빗물이 배수되는 기능에 더하여 수용부(11)에서 생육되는 식물이 사면(1)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기능도 한다.
이에 더해 엠보싱 매트(10)의 저면과 사면(1) 사이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12)로 인해 자연스럽게 적정의 공간(유로)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엠보싱 매트(10)를 통과하여 침투된 빗물이 공간(유로)을 따라 흐르면서 아래쪽으로 자연 배수되도록 유도되며, 그 결과 사면(1)에 식물이 충분히 정착될 때까지 사면(1)으로 많은 양의 빗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사면(1)의 붕괴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더욱이 엠보싱 매트(1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후 소정 기간(예를 들면, 6~8개월)이 경과되면 자연 분해되면서 엠보싱 매트(10)의 수용부(11)에 생육된 식물이 자연스럽게 사면(1)에 정착되어 사면(1)이 더욱 견고해지게 된다.
이때 엠보싱 매트(10)에는 외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아미노산 발효 부산 비료액과 토양미생물제제의 혼합액이 분사되어 코팅되고, 이에 의해 엠보싱 매트(10)가 자연 분해되면서 자연스럽게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적정의 양분이 제공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엠보싱 매트(10)가 사면(1)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사면(1)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열로 설치되어 소정 폭의 배수로를 형성시키는 용도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3) 코아네트 설치 단계(S30)
이 단계는 사면(1)에 엠보싱 매트(10)가 설치되고 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매트(10)의 상면을 덮도록 전체적으로 코아네트(20)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코아네트(20, coir net)는 코코넛 열매의 껍질을 이용하여 만든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망 구조물이다.
이러한 코아네트(20)는 자연 분해되면서 유기질 비료 역할을 하여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적정의 영양분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코아네트(20)를 대신하여 자연 분해가 용이한 볏집 등으로 변경되어 시공되어도 무방하다.
(4) 부착망 설치 단계(S40)
이 단계는 코아네트 설치 단계(S30)에서 코아네트(20)가 설치되고 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아네트(20)의 상면을 덮도록 전체적으로 부착망(30)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부착망(30)에 의해 코아네트(20)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때 부착망(30)은 코팅된 피복철선을 이용하여 제조된 망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5) 앵커 설치 단계(S50)
이 단계는 부착망 설치 단계(S40)에서 부착망(30)이 설치되고 나면 복수 개의 앵커(40)를 설치하여 엠보싱 매트(10), 코아네트(20) 및 부착망(30)을 강건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이때 앵커(4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모양의 판으로 이루어진 소정 크기의 가압판(41)이 설치되고, 이러한 앵커(40)와 가압판(41)에 의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범위의 부착망(30)이 가압판(41)에 의해 사면(1)에 밀착 가압되면서 고정되고, 그 결과 엠보싱 매트(10), 코아네트(20) 및 부착망(30) 등이 사면(1)에서 들떠 시공의 하자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때 가압판(41)은 필요에 따라 열십자 모양의 판재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6) 혼합물 분사 단계(S60)
이 단계는 앵커 설치 단계(S50)에서 복수 개의 앵커(40)가 설치되고 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자, 토양 및 영양제가 혼합된 스프레이 혼합물을 전체적으로 분사하는 것으로, 이때 스프레이 혼합물에는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생육촉진제, 아미노산 발효 부산 비료액 및 토양미생물제제가 포함되어 빠르게 식물이 생육되어 정착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혼합물 분사 단계(S60)에서는 스프레이 혼합물이 엠보싱 매트(10)에 형성된 수용부(11)에 적절히 충전되도록 분사되고, 이에 의해 식물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를 기준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균일하게 생육될 수 있으면서도 강우시에도 종자가 쉽게 유실되지 않게 된다.
위에서는 앵커(40)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가압판(41)이 설치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더해 복수 개의 앵커(40)가 설치된 다음, 각각의 앵커(40)가 와이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더욱 넓은 범위의 부착망(30)이 와이어에 의해 균일하게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앵커(40)를 연결하거나 또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앵커(40)를 연결하도록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매트(10), 코아네트(20), 부착망(30) 및 앵커(40)는 사면의 토질 등에 따라 설치 여부 및 간격 등이 적절하게 변경되어 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엠보싱 매트가 사면에 설치됨으로써 사면과 엠보싱 매트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인해 빗물 등이 쉽게 배수되고, 또한 엠보싱 매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오목한 공간상에 종자와 토양 등이 머무르게 되면서 식물의 안정적인 생육이 가능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사면 2: 배수로
10: 엠보싱 매트 11: 수용부
12: 돌출부 13: 관통공
20: 코아네트 30: 부착망
40: 앵커 41: 가압판

Claims (5)

  1. 경사도와 길이에 맞추어 사면(1)을 정리하는 사면 정리 단계(S10);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수용홈(11)이 형성된 엠보싱 매트(10)를 상기 사면(1)의 상하 길이를 따라 소정 폭과 간격으로 설치하는 엠보싱 매트 설치 단계(S20);
    상기 엠보싱 매트(10)를 덮도록 상기 사면(1)에 전체적으로 코아네트(20)를 설치하는 코아네트 설치 단계(S30);
    상기 코아네트(20)를 덮도록 상기 사면(1)에 전체적으로 메시 구조의 부착망(30)을 설치하는 부착망 설치 단계(S40);
    복수 개의 앵커(40)를 설치하여 상기 엠보싱 매트(10), 코아네트(20) 및 부착망(30)을 고정하는 앵커 설치 단계(S50); 및
    상기 부착망(30)을 덮도록 종자와 토양이 포함된 스프레이 혼합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혼합물 분사 단계(S60);
    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 매트 설치 단계(S20)에서 사용되는 상기 엠보싱 매트(1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소정 지름을 가지는 복수 개의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수용부(11)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저면에 돌출부(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1)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복수 개의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상기 엠보싱 매트(10)와 상기 사면(1) 사이의 공간으로 빗물이 배수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용부(11)에서 생육되는 식물이 상기 사면(1)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기능을 하고,
    상기 엠보싱 매트(10)는,
    외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아미노산 발효 부산 비료액과 토양미생물제제의 혼합액이 분사되어 코팅면서 토사구간을 제외한 암구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사면 정리 단계(S10)에서는,
    상기 사면(1)의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소정 폭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 설치 단계(S50)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앵커(40)에 각각 소정 지름을 가지는 가압판(41)이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41)에 의해 상기 부착망(30)이 소정 폭 가압되어 고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앵커(40)가 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부착망(30)이 상기 와이어를 통해 균일하게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면 정리 단계(S10)에서는,
    상기 사면(1)의 상단 부분을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배수로(2)를 형성시키는 배수로 형성 단계(S1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혼합물 분사 단계(S60)에서는,
    상기 스프레이 혼합물에 아미노산 발효 부산 비료액, 토양미생물제제가 더 포함되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KR1020190034942A 2019-03-27 2019-03-27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KR10205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942A KR102051838B1 (ko) 2019-03-27 2019-03-27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942A KR102051838B1 (ko) 2019-03-27 2019-03-27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838B1 true KR102051838B1 (ko) 2019-12-05

Family

ID=6900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942A KR102051838B1 (ko) 2019-03-27 2019-03-27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8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5045A (zh) * 2020-01-17 2020-06-09 高善峰 矿区水资源污染监测及生态治理方法
CN111869469A (zh) * 2020-08-29 2020-11-03 湖南创价生态园林有限公司 一种新型边坡绿化用植生网
CN112647518A (zh) * 2020-12-10 2021-04-13 海城市中兴镁质合成材料有限公司 一种菱镁矿矿区综合治理生态恢复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012B1 (ko) 2000-04-12 2002-09-1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녹화용 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JP2005009306A (ja) * 2003-05-26 2005-01-13 Yoshika Kk 斜面保護方法
KR100479500B1 (ko) 2003-07-03 2005-03-31 문지훈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404318Y1 (ko) * 2005-07-28 2005-12-21 윤영숙 친환경적인 사면보강구조
KR100869915B1 (ko) 2006-11-03 2008-11-21 김안세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KR100873750B1 (ko) * 2007-06-15 2008-12-15 나승재 캡슐형 식생공간을 갖는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88230B1 (ko) 2006-08-25 2009-03-23 (주)현이앤씨 사면 자연녹화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KR20100010807A (ko) * 2008-07-23 2010-02-02 한국광해관리공단 식생기반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 방법
KR101578349B1 (ko) * 2015-08-12 2015-12-17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012B1 (ko) 2000-04-12 2002-09-1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녹화용 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JP2005009306A (ja) * 2003-05-26 2005-01-13 Yoshika Kk 斜面保護方法
KR100479500B1 (ko) 2003-07-03 2005-03-31 문지훈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404318Y1 (ko) * 2005-07-28 2005-12-21 윤영숙 친환경적인 사면보강구조
KR100888230B1 (ko) 2006-08-25 2009-03-23 (주)현이앤씨 사면 자연녹화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KR100869915B1 (ko) 2006-11-03 2008-11-21 김안세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KR100873750B1 (ko) * 2007-06-15 2008-12-15 나승재 캡슐형 식생공간을 갖는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10807A (ko) * 2008-07-23 2010-02-02 한국광해관리공단 식생기반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 방법
KR101578349B1 (ko) * 2015-08-12 2015-12-17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5045A (zh) * 2020-01-17 2020-06-09 高善峰 矿区水资源污染监测及生态治理方法
CN111869469A (zh) * 2020-08-29 2020-11-03 湖南创价生态园林有限公司 一种新型边坡绿化用植生网
CN112647518A (zh) * 2020-12-10 2021-04-13 海城市中兴镁质合成材料有限公司 一种菱镁矿矿区综合治理生态恢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838B1 (ko)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KR100527359B1 (ko) 식물 재배 매트
KR20080015351A (ko) 초목용의 식재장치와 식재구조
KR200447372Y1 (ko) 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KR101210572B1 (ko) 스톤네트 및 이를 이용한 스톤네트 시공방법
KR101471062B1 (ko) 벽면 녹화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벽면 녹화 구조물
KR100876938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CN212612526U (zh) 一种用于陡边坡网格梁内植草支护结构
CN112335500A (zh) 一种砼防护坡面的灌注式双层客土喷混植生绿化方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20170076342A (ko) 생분해성 pla 망을 이용한 친환경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47094A (ko) 암사면에 대한 녹화시공방법
KR20140080194A (ko) 블록조립체
KR20080092594A (ko) 다공질물질과 식생매트를 사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0853728B1 (ko)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100427588B1 (ko)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녹화시공방법
KR100814749B1 (ko) 기존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복원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40594A (ko) 지면 안정화용 식생매트 및 이 식생매트의 시공방법
KR20150103815A (ko)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271901Y1 (ko) 법면용 매트의 고정구조
KR101007658B1 (ko) 식물 발아용 매트
KR100795395B1 (ko) 화분이 구비된 경사면 설치구조물
KR200430347Y1 (ko) 화분이 구비된 경사면 설치구조물
JP3170480B2 (ja) 法面の緑化工法
KR100588289B1 (ko) 그린피트와 폴리네트를 이용한 사면 녹화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