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500B1 -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500B1
KR100479500B1 KR10-2003-0044919A KR20030044919A KR100479500B1 KR 100479500 B1 KR100479500 B1 KR 100479500B1 KR 20030044919 A KR20030044919 A KR 20030044919A KR 100479500 B1 KR100479500 B1 KR 100479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steel rod
formwork
steel
record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659A (ko
Inventor
문지훈
Original Assignee
문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지훈 filed Critical 문지훈
Priority to KR10-2003-0044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500B1/ko
Publication of KR2005000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 및 성토사면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의 전면에 H빔으로 방호벽을 설치한 후, 사면보호잭을 이용하여 H빔에 거푸집을 하단부와 상단부에 고정시키고, 지반에 강재봉을 고정한 후 토목섬유와 보강토를 성토한 다음 다시 강재봉을 끼워 넣는 방법으로, 토체를 안정시키고, 강재봉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사면 전면에 식생토체를 형성하여 경제적인 친환경적 구조체가 되도록 한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절토 및 성토사면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H빔을 설치하는 단계(a); 상기 사면의 하단부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절토면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H빔의 측면에 사면보호잭을 설치함과 동시에 거푸집의 상하단부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c); 상기 사면과 거푸집과의 절토면상으로 강재봉을 지반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d); 상기 거푸집의 내측면 및 상기 강재봉상에 토목섬유를 포설하는 단계(e); 상기 토목섬유상에 토사를 성토하여 성토층을 형성하는 단계(f)를 순차적으로 반복 시행하여 사면녹화 구조체를 시공함으로써, 사면과 전면에 H빔을 이용한 방호벽을 설치한 후 사면보호잭을 이용하여 사면에 거푸집을 고정시키고, 지반에 강재봉을 고정한 후 토목섬유와 보강토를 성토한 다음 다시 강재봉을 끼워 넣는 방법으로 각층을 시공함으로써, 강재봉의 분리 및 일체형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전면 H빔을 이용한 방호벽으로 인하여 시공시 예상치 못한 사면의 붕괴로 인한 주변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The slope tree-planting structure using socket type steel pipe, and hi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토 및 성토사면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의 전면에 H빔으로 방호벽을 설치한 후, 사면보호잭을 이용하여 H빔에 거푸집을 하단부와 상단부에 고정시키고, 지반에 강재봉을 고정한 후 토목섬유와 보강토를 성토한 다음 다시 강재봉을 끼워 넣는 방법으로, 토체를 안정시키고 조립식 소켓형 강재봉 또는 일체형 강봉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사면 전면에 식생토체를 형성하여 경제적인 친환경적 구조체가 되도록 한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토 및 성토사면에서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이 발생했을 때 대부분의 경우에는 사면을 원래대로 복구한다는 것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지 파괴된 사면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어스앵커 쏘일네일, 락앵커, 엄지말뚝 등으로 지반을 보강한 후 녹생토 등의 사면녹화공법이 시행되는 보강공법과 사면완화공법으로 경사를 완만하게 하는 공법 등이 주로 쓰인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보강공법은 흙운반공, 보강공, 식생공 등의 각각의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용지확보에 따른 토지의 매입이나 또 다른 민원발생 결과를 초래하여 경제적인 문제와 영구식생이 불가능하여 비효율적인 보수, 보강 결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강토벽 공법은 경제적인 면에서 기존의 성토공법이나 콘크리트 옹벽 등의 공법에 비해 부지면적의 감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보강토벽 공법에서는 대부분 콘크리트 및 블록을 이용한 강성벽면을 형성하고 있어 천연골재 사용으로 인해 환경의 훼손 및 골재에 대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상기 보강토벽 공법은 콘크리트 제품 사용으로 인하여 시각적으로 미관상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사면의 전면에 H빔을 이용한 방호벽을 설치한 후 사면보호잭을 이용하여 H빔에 거푸집을 고정시키고, 지반에 강재봉을 고정하고, 토목섬유와 보강토를 성토, 다짐작업 후 다시 강재봉을 끼워 넣는 방법으로, 토체를 안정시켜 절토 및 성토 사면에 통기, 접착 및 보습력이 우수한 녹화재료에 식생 종자를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식물 생육에 가장 이상적이며, 안정적인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는 절토 및 성토사면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사면보호잭과; 상기 사면보호잭의 측면에 경사지게 상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매입됨과 동시에 다단으로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강재봉과; 상기 거푸집의 내측 및 강재봉상에 포설 설치되는 토목섬유와; 상기 토목섬유상에 토사로 채워지는 성토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시공방법은 절토 및 성토사면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H빔을 설치하는 단계(a); 상기 사면의 하단부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절토면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H빔의 측면에 사면보호잭을 설치함과 동시에 거푸집의 상하단부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c); 상기 사면과 거푸집과의 절토면상으로 강재봉을 지반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d); 상기 거푸집의 내측면 및 상기 강재봉상에 토목섬유를 포설하는 단계(e); 상기 토목섬유상에 토사를 성토하여 성토층을 형성하는 단계(f)를 순차적으로 반복 시행하여 사면녹화 구조체를 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는 절토 및 성토사면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10)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H빔(20)과; 상기 H빔(20)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사면보호잭(40)과; 상기 사면보호잭(40)의 측면에 경사지게 상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거푸집(50)과; 상기 거푸집(50)으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매입됨과 동시에 다단으로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강재봉(60)과; 상기 거푸집(50)의 내측 및 강재봉(60)상에 포설 설치되는 토목섬유(70)와; 상기 토목섬유(70)상에 토사로 채워지는 성토층(8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강재봉(60)은 그 두부면에 다른 강재봉이 삽입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되는 소켓형 강재봉으로 형성되거나, 그 두부면에 다른 강재봉이 용접으로 접합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되는 일체형 강재봉으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는 사면(10), H빔(20), 사면보호잭(40), 거푸집(50), 강재봉(60), 토목섬유(70) 및 성토층(8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의 시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시공방법은 절토 및 성토사면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10)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H빔(20)을 설치하는 단계(a); 상기 사면(10)의 하단부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절토면(30)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H빔(20)의 측면에 사면보호잭(40)을 설치함과 동시에 거푸집(50)의 상하단부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c); 상기 사면(10)과 거푸집(50)과의 절토면(30)상으로 강재봉(60)을 지반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d); 상기 거푸집(50)의 내측면 및 상기 강재봉(60)상에 토목섬유(70)를 포설하는 단계(e); 상기 토목섬유(70)상에 토사를 성토하여 성토층(80)을 형성하는 단계(f)를 순차적으로 반복 시행하여 1단의 사면녹화 구조체(S)를 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성토층(80) 형성단계(f)후 필요에 따라 사면녹화 구조체(S)를 시공할 경우에는 수직으로 설치된 H빔(20)상에 강판(90)을 수평하게 설치하는 강판(90) 설치단계(g)를 추가하여 사면녹화 구조체(S)를 시공한다.
한편, 상기 강판(90) 설치단계(g)후 강판(90)의 인접부분에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사면녹화 구조체(S) 시공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2단 및 그 이상의 사면녹화 구조체(S)를 시공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시공방법은 절토 및 성토사면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10)의 전면에 H빔(20)으로 방호벽을 설치한 후, 상기 H빔(20)에 사면보호잭(40)을 거푸집(50)을 하단부와 상단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거푸집(50)의 내측 지반에 강재봉(60)을 고정한 후, 상기 강재봉(60)상에 토목섬유(70)를 포설하고, 상기 토목섬유(70)상에 보강토를 성토하여 성토층(80)을 형성한 후, 상기 성토층(80)에 다시 강재봉(60)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사면 녹화 구조체(S)를 시공함으로써, 토체를 안정화 시키고, 조립식 소켓형 강재봉 또는 일체형 강재봉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사면의 전면에 식생토체를 형성하여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친환경 사면녹화 구조체를 구축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은 사면과 전면에 H빔을 이용한 방호벽을 설치한 후 사면보호잭을 이용하여 사면에 거푸집을 고정시키고, 지반에 강재봉을 고정한 후 토목섬유와 보강토를 성토한 다음 다시 강재봉을 끼워 넣는 방법으로 각층을 시공함으로써, 강재봉의 분리 및 일체형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사면 전면의 H빔을 이용한 방호벽으로 인하여 시공시 예상치 못한 사면의 붕괴로 인한 주변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은 사면의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 및 환경성 등의 여건을 충족하며, 기존의 콘크리트 옹벽을 탈피하여 사면의 전면에 안정한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녹화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를 도시한 예시도.
도 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의 시공
순서를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면 20 : H빔
30 : 절토면 40 : 사면보호잭
50 : 거푸집 60 : 강재봉
70 : 토목섬유 80 : 성토층
90 : 강판 S : 사면녹화 구조체

Claims (6)

  1. 절토 및 성토사면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사면보호잭과;
    상기 사면보호잭의 측면에 경사지게 상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매입됨과 동시에 다단으로 다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강재봉과;
    상기 거푸집의 내측 및 강재봉상에 포설되는 토목섬유와;
    상기 토목섬유상에 토사로 채워지는 성토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봉은 그 두부면에 다른 강재봉이 삽입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되는 소켓형 강재봉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봉은 그 두부면에 다른 강재봉이 용접으로 접합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되는 일체형 강재봉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4. 절토 및 성토사면 파괴와 불안정한 사면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H빔을 설치하는 단계(a);
    상기 사면의 하단부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절토면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H빔의 측면에 사면보호잭을 설치함과 동시에 거푸집의 상하단부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c);
    상기 사면과 거푸집과의 절토면상으로 강재봉을 지반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d);
    상기 거푸집의 내측면 및 상기 강재봉상에 토목섬유를 포설하는 단계(e);
    상기 토목섬유상에 토사를 성토하여 성토층을 형성하는 단계(f)를 순차적으로 반복 시행하여 사면녹화 구조체를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성토층 형성단계(f)후 수직H빔상에 강판을 수평하게 설치하는 강판 설치단계(g)를 추가하여 사면녹화 구조체를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설치단계(g)후 강판의 인접부분에 청구항4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사면녹화 구조체를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시공방법.
KR10-2003-0044919A 2003-07-03 2003-07-03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79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919A KR100479500B1 (ko) 2003-07-03 2003-07-03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919A KR100479500B1 (ko) 2003-07-03 2003-07-03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356U Division KR200328589Y1 (ko) 2003-07-03 2003-07-03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659A KR20050004659A (ko) 2005-01-12
KR100479500B1 true KR100479500B1 (ko) 2005-03-31

Family

ID=3721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919A KR100479500B1 (ko) 2003-07-03 2003-07-03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38B1 (ko) 2019-03-27 2019-12-05 주식회사 바이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495B1 (ko) * 2022-10-04 2023-12-05 임주은 절토부 자립식 옹벽시공 방법
KR102570383B1 (ko) * 2023-01-17 2023-08-25 조문선 다단 구조를 이용한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38B1 (ko) 2019-03-27 2019-12-05 주식회사 바이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659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162B1 (ko)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JP2007154413A (ja) 親杭式土留アンカー式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195504B1 (ko) 보강부재와 cip공법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1011169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13497A (ko)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KR102195510B1 (ko) 보강부재와 phc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0947627B1 (ko) 터널의 강화 그라우팅구조 및 이를 적용한 터널 시공방법
KR100786695B1 (ko) 경사지, 절개지 또는 성토지에 대한 조경시설물의 시공방법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20000003270A (ko) 토피가 얕은 지역의 터널구축방법
KR100479500B1 (ko)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46094B1 (ko) 편경사를 갖는 산악지역 설치용 교대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KR102497458B1 (ko) 엄지말뚝 균등 간격 수단 겸 띠장 받침 수단 및 이를 이용하는 cip 흙막이 시공 공법
KR102218755B1 (ko) 보강토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KR101032408B1 (ko) 선 보강칼럼 및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0984040B1 (ko) 이중 보강 공법을 통한 절토용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200328589Y1 (ko)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KR102150531B1 (ko) 연직형 지중삽입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95496B1 (ko) 더블 아이 빔이 포함된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JP3768220B2 (ja) 橋脚工法及び橋脚
KR102194381B1 (ko)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JP7115923B2 (ja) 基礎構造補強方法及び基礎構造補強構造
KR100477357B1 (ko) 차수벽 흙막이 공법
KR100697001B1 (ko) 다중방식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