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915B1 -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915B1
KR100869915B1 KR1020060108204A KR20060108204A KR100869915B1 KR 100869915 B1 KR100869915 B1 KR 100869915B1 KR 1020060108204 A KR1020060108204 A KR 1020060108204A KR 20060108204 A KR20060108204 A KR 20060108204A KR 100869915 B1 KR100869915 B1 KR 10086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soil
slope
dry
we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0353A (ko
Inventor
김안세
Original Assignee
김안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안세 filed Critical 김안세
Priority to KR102006010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91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식생 기반층 제공과 조속한 녹화로 사면의 안정과 생태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황토가 배합되며, 건식상태로 비탈면에 취부되는 건식 인공토양; 수분과 혼합되어 액상 상태로 상기 건식 인공토양의 상면에 취부되는 습식 인공토양; 그리고, 상기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의 취부와 동시에 분사되어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에 혼합되는 연속장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탈면의 낙석 및 부석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에 능형망을 고정설치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에 황토가 일정 비율로 배합된 건식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건식 인공토양 상면에 수분과 혼합된 액상 상태의 습식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면 녹화방법을 제공한다.
사면 녹화, 황토, 건식 인공토양, 습식 인공토양

Description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A botanical composition for the afforestation of slope and afforesta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이 취부되어 있는 비탈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비탈면의 면정리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비탈면에 능형망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탈면에 건식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건식 인공토양의 상면에 습식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비탈면 110: 건식 인공토양
120: 습식 인공토양 130: 연속장섬유
140: 능형망 150: 앵커 핀(anchor pin)
본 발명은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분한 식생 기반층 제공과 조속한 녹화로 사면의 안정과 생태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토는 온난 다습한 기후 조건으로 국토의 67%가 산지로 되어 있고, 산림으로 피복되어 있으나 급격한 경사의 산지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자연환경속에서 우리나라에는 70년대 이후 산업 고도화에 따른 공단 조성, 주택단지 개발, 도로 건설 등 각종 SOC 기반 사업의 확충으로 불가피하게 나지(裸地) 상태의 절토 또는 성토 사면(비탈면)이 다수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면 지역은 초목의 자연생장여건이 불리하기 때문에 공사 후 사면 토사의 유실 방지와 주변의 초목과의 조경을 도모하기 위해 비탈면에 각종 식생재가 혼합된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인공녹화공법을 이용해 녹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면의 녹화를 위해 종래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인공녹화공법으로는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공법, 녹생토 공법, 그린녹화공법 등이 있다.
상기 시드 스프레이 공법은 녹화를 하고자 하는 사면에 식물의 씨앗을 살포하여 살포된 씨앗으로부터 발아된 식물초본을 통해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기 시드 스프레이 공법의 경우 살포된 씨앗이 사면에 뿌리를 내리기 전에 강우에 의해 사면이 침식되면 씨앗이 유실되어 사면 녹화가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식물의 씨앗이나 사면의 토양이 유실되지 않더라도 사면에 취부된 인공토양의 수분유지가 어려워 초기 식물의 발아에 지장을 초래하여 녹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거나, 녹화 이후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양분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식물의 지속적인 성장이 저해됨으로써 재시공을 해야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녹생토 공법은 사면을 부착망으로 안정시키고 식물의 씨앗이 포함된 식생재를 사면에 취부함으로써 발아된 식물초본에 의해 사면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녹생토 공법은 피복 두께가 두꺼워 식생재 내에서 종자의 발아와 생육이 잘되며 낙석방지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 종래뿐만 아니라 현재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녹생토 공법은 피복 두께가 두꺼워 씨앗의 발아시기가 일정하지 않아 초기에 발아에 의한 초기 안정효율을 기대하기 어렵고, 식생재의 보습력과 결속력이 약하여 초기 강우에 의한 유실 및 침식 등의 발생 빈도가 높으며 또한, 토양내 수분 유지가 어려워 식물 발아에 지장을 초래하며, 풍화에 대한 내성이 작아 존속 기간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그린녹화공법은 인공토양에 수분을 혼합하여 사면에 취부하는 일종의 습식 녹화방법으로 인공토양에는 자체 무게의 200배까지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Propenamide 와 Propenamide-Propenoate의 중합체가 토양 보습제로서 배합된다. 따라서, 상기 토양보습제를 통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조기 녹화 및 영구 녹화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그린녹화공법은 시공 두께가 3~5mm 정도로 얇기 때문에 시공 초기 급속한 탈수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기반재의 빈약함으로 조기 발아에 의한 조기 녹화와 장기적인 양분 공급이 부족하여 자생적 사면녹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주로 사용되는 인공녹화공법들은 많은 장점이 있지만 다양한 단점 역시 함께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식생 기반층 제공과 조속한 녹화로 사면의 안정과 생태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황토가 배합되며, 건식상태로 비탈면에 취부되는 건식 인공토양; 수분과 혼합되어 액상 상태로 상기 건식 인공토양의 상면에 취부되는 습식 인공토양; 그리고, 상기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의 취부와 동시에 분사되어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에 혼합되는 연속장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탈면의 낙석 및 부석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에 능형망을 고정설치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에 황토가 일정 비율로 배합된 건식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건식 인공토양 상면에 수분과 혼합된 액상 상 태의 습식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면 녹화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이 취부되어 있는 비탈면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조성물은 비탈면(100)에 취부되는 건식 인공토양(110)과, 상기 건식 인공토양(110)의 상면에 취부되는 습식 인공토양(120), 그리고 상기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110, 120)의 취부와 동시에 분사되어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110, 120)에 혼합되는 연속장섬유(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건식 인공토양(110)은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배합되어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토양으로 비탈면(100)에 5~10cm 두께로 취부되어 빠른 녹화조성을 위해 혼합된 씨앗(종자)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식생 기반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식 인공토양(110)은 표 1과 같이 일정 비율로 배합된 다양한 물질들로 구성된다.
표 1. 건식 인공토양의 배합비
품 명 배합비(%) 품 명 배합비(%)
정수장오니(슬러지) 10 ~ 20 황 토 10 ~ 20
제지(Fiber) 20 ~ 30 마사토 5 ~ 10
토 탄 4 ~ 7 고농축 유기물 5 ~ 10
연소제 5 ~10 기 타 5 ~ 10
기존의 사면 녹화에서 건식 인공토양(110)의 배합은 주로 양분 위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식생 기반층이 씨앗(종자)에 양분을 충분히 공급하여 빠른 식생환경이 조성될 수 있었으나 식생 기반층의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기반층 전반이 연약화와 풍화로 인해 두께가 얇아지면서 기반층 자체가 소멸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오히려 사면 녹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비탈면(100)의 원지반이 리핑암이나 발파암등 척박할 경우 발생빈도가 높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건식 인공토양(110)에는 표 1과 같이 황토가 10~20% 배합된다. 물론, 상기 황토의 배합 비율은 비탈면의 경사 및 지질 여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황토는 크기가 0.02~0.05mm 정도로 아주 가는 다공질 모래로 이루어진 흙으로 다량의 탄산칼슘이 함유되어있어 쉽게 부서지지 않고 수분을 포함하면 큰 점착력을 가지게 되어 건식 인공토양(110)의 결속력을 크게 증가시키며, 카탈리아제, 디페놀 옥시디아제, 시카라제, 프로테아제 등 1300여 종류의 다양한 효소를 함 유하고 있어 토양내의 독소 제거 및 토양의 활성도를 높여준다.
즉, 상기 황토는 그 특성상 완전 건조가 아닌 흡습 상태에서는 점착력이 높으므로, 황토가 일정 비율로 배합되면 인공토양의 점착력이 높아져 조밀한 토양층 형성이 가능해져 필요한 취부 두께를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며, 1300여 가지의 효소를 가지고 있어 표 1과 같이 인공토양에 배합되는 정수장 오니 등에 함유되어 있는 과산화수소 등 여러 가지 독소들을 해독하고 정화하여 토양의 활성도를 높여준다.
그리고, 황토는 이끼, 곰팡이, 방사균, 세균 등의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어 유기물의 신속한 분해를 통한 건식 인공토양(110)의 부숙을 촉진시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입자 표면이 매우 거칠은 구조로 수많은 공간이 형성되어 다량의 수분과 양분의 흡수가 가능하여 충분한 수분과 양분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황토는 “태양에너지의 저장고”라 불릴 만큼 원적외선을 다량 흡수, 저장하여 식물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여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상기 황토는 건식 인공토양(110) 내에서 결속제, 독소 제거제, 부숙촉진제, 보습제 및 성장 촉진제 등의 기능을 하며, 높은 결속력으로 인공토양의 풍화에 대한 내성을 크게 하여 장기적인 사면 녹화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습식 인공토양(120)은 유기질 토양, 유기질 액비 및 혼합종자(양잔디 등) 등에 물(수분)이 혼합되어 액상 상태로 만들어진 토양으로 건식 인공토양(110) 의 상면에 취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습식 인공토양(120)은 표 2와 같은 비율로 배합되는 물질들과, 상기 물질들에 혼합되는 수분으로 구성된다.
표 2. 습식 인공토양의 배합비
품 명 배합비(%) 품 명 배합비(%)
펄프, 식품 sludge 25 ~ 30 수 피 5 ~ 10
유기물자재류 20 ~ 25 연소재, 기타 5 ~ 10
화강 풍화토 25 ~ 30 토 탄 5 ~ 10
여기서, 상기 습식 인공토양(120)은 비탈면(100)에 취부된 건식 인공토양(110)의 표면이 건조되기 전에 건식 인공토양(110)의 상면에 5~10mm 두께로 취부된다.
이러한 습식 인공토양(120)은 건식 인공토양(110)의 상면에 덧씌워져 건식 인공토양(110)층을 보호하는 피막 역할을 하며, 보습과 온도조절 효과를 줌으로서 건식 인공토양(110)의 조기 부숙에 기여하며, 건식 인공토양(110)의 취부 후 1일 이내에 취부되어 매끈한 표면을 형성함으로서 시공 후 강우에 의한 인공토양의 침식이나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습식 인공토양(120)은 5~10mm로 얇은 두께로 취부되기 때문에 씨앗이 얇은 상부 표층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씨앗이 발아할 때 발아 저항이 작아 조기에 비탈면 녹화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110, 120)에 혼합되는 씨앗(종자)은 자연녹화 및 자연천이를 고려하여 양잔디와 향토초종을 적정비율로 배합한 혼합종자로서 그 구성 및 배합비는 아래 표 3 및 표 4와 같다.
표 3. 건식 인공토양의 종자 배합비
구 분 종 자 비 율(%) 구 분 종 자 비 율(%)
도입초본류 Toll fescus 20 재래목본 낭아초 10
Perennial fegrass 20 참싸리 20
재래초본류 비수리 등 일반초본류 10 자귀나무 10
쑥류 및 기타 10
표 4. 습식 인공토양의 종자 배합비
구 분 종 자 비 율(%)
도입초본류 Toll fescus 30~40
Perennial fegrass 30~40
Kentucky bluegrass 30~40
여기서, 표 3 및 표 4에 나타난 종자의 종류 및 배합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예에 불과하며 실제에 있어서는 적용지역의 기후적 영향을 반드시 고려하여 향토 식생종을 우선 적용하는 등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된다.
상기 연속장섬유(130)는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110, 120)이 취부될 때 원사사출기(미도시)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에서 분사되어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110, 120)에 혼합된다. 따라서, 상기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110, 120)의 취부가 완료되면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110, 120)층에는 연속장섬유(130)가 복잡하게 뒤엉켜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연속장섬유(130)는 600~900 데니아의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인공토양 1㎥당 0.5~1.0kg이 소모되며, 건식 또는 습식 인공토양(110, 120)의 취부시 인공토양에 혼합되기 때문에 자체 마찰력과 인장력으로 인공토양을 일체화하여 토양의 전단강도 특성을 매우 증가시켜 인공토양의 균열이나 탈락 등을 방지하고 토양 내에서 수분과 양분의 소통 경로 역할을 함으로서 수분과 양분의 과잉과 결핍 등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비탈면(100)에는 건식 인공토양(110)의 이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능형망(140)이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능형망(140)은 건식 인공토양(110)과 비탈면(100)의 원지반을 상호 연결시켜 응집력을 상승시킴으로써 건식 인공토양(110)이 강우 또는 강풍 등에 의해 비탈면(100)에서 흘러내리는 현상 등을 방지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건식 인공토양(110)에 연속장섬유(130)가 혼합되면 건식 인공토양(110)에 뒤엉켜 있는 연속장섬유(130)가 능형망(140)과 결합되기 때문에 건식 인공토양(110)이 비탈면(100)의 원지반에 보다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능형망(140)은 주로 P.V.C 코팅 처리되어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철망으로 제작되며,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앵커 핀(anchor pin)(150) 또는 착지핀 등에 의해 비탈면(100)의 원지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조성물을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비탈면의 면정리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비탈면에 능형망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탈면에 건식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건식 인공토양의 상면에 습식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도로 공사 등에 의해 나지 상태의 비탈면(100)이 발생하면 작업자가 비탈면(100)에서 낙석 및 부석 등을 제거하여 면 정리를 시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비탈면(100)이 정리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형망(140)을 이용해 비탈면(100)을 덮는다. 상기 능형망(140)은 P.V.C 코팅 처리된 철망이 주로 사용되며, 앵커 핀(150) 또는 착지핀에 의해 비탈면(100)의 원지반에 강하게 고정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형망(140)이 설치된 비탈면(100)에 황토가 배합된 건식 인공토양(110)을 취부한다. 상기 황토는 건식 인공토양(110)에 10~20%의 비율로 배합되며, 점착력으로 인공토양의 결속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식생 기반층의 소멸을 억제한다. 이러한 상기 건식 인공토양(110)은 5~10cm 두께로 비탈 면(100)에 취부된다.
한편, 상기 건식 인공토양(110)이 비탈면(100)에 취부될 때 연속장섬유(130)가 동시에 시공된다. 상기 연속장섬유(130)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서 원사사출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통해 건식 인공토양(110)에 분사되어 건식 인공토양(110)과 함께 비탈면(100)에 취부된다.
따라서, 건식 인공토양(110)의 취부가 완료되면 연속장섬유(130)가 건식 인공토양(110)에 뒤엉켜 있는 상태가 되며, 특히 비탈면(100)에 능형망(140)이 설치될 경우 상기 연속장섬유(130)는 능형망(140)과 결합되어 건식 인공토양(110)이 비탈면(100)의 원지반과 일체화되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건식 인공토양(110)의 취부가 완료되면 상기 건식 인공토양(110)의 상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과 혼합된 액상 상태의 습식 인공토양(120)이 취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습식 인공토양(120)은 양수기, 취부기 등을 장착하고 있는 습식 시공 전용 특수 자동차에 의해 건식 인공토양(110)의 상면에 5~10mm 두께로 취부된다.
이러한 상기 습식 인공토양(120)은 건식 인공토양(110)의 표면을 코팅 처리한 것과 같은 효과를 줌으로써 건식 인공토양(110)의 보습 및 보온효과를 높이고, 거친 건식 인공토양(110)의 취부면을 덮어 매끄럽게 만들어 수류 마찰 및 저항을 작게하여 인공토양의 침식 및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습식 인공토양(120)은 5~10mm 두께로 얇게 취부되기 때문에 혼합된 식생 종자의 분포 심도가 균일해져 종자의 균일한 발아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습식 인공토양(120)이 취부될 때에도 상술한 건식 인공토양(110)과 같이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연속장섬유(130)가 동시에 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습식 인공토양(120)의 취부시 분사되는 연속장섬유(130)는 건식 인공토양(120)에 뒤엉켜 있는 연속장섬유(130)와 결합되어 습식 인공토양(120)과 건식 인공토양(110)의 결착력을 강화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건식 인공토양에 결속제, 독소 제거제, 부숙촉진제, 보습제 및 성장 촉진제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는 황토를 배합함으로써 녹화 사면의 생태 환경 여부에 관계없이 충분한 식생 기반층을 형성하여 비탈면의 조기 녹화 및 영구 녹화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본 발명은 건식 인공토양의 취부 후 건식 인공토양의 상면에 습식 인공토양을 재차 취부한다. 따라서, 건식 인공토양의 표면이 습식 인공토양에 의해 코팅 처리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여 건식 인공토양의 보습 및 보온효과를 높이고, 건식 인공토양의 거친 취부면을 덮어 매끄럽게 만들어줌으로서 수류 마찰 및 저항을 작게하여 인공토양의 침식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5~10cm로 비교적 두껍게 취부되는 건식 인공토양과 달리 습식 인공토양은 5~10mm의 얇게 취부되기 때문에 혼합된 종자의 분포 심도가 균일해 씨앗의 균일한 발아가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황토가 배합되며, 건식상태로 비탈면에 취부되는 건식 인공토양;
    수분과 혼합되어 액상 상태로 상기 건식 인공토양의 상면에 취부되는 습식 인공토양; 그리고,
    상기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의 취부와 동시에 분사되어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에 혼합되는 연속장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의 배합비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인공토양의 취부 두께는 5~10cm이며, 상기 습식 인공토양의 취부 두께는 5~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는 건식 인공토양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P.V.C 능형망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5. 비탈면의 낙석 및 부석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에 능형망을 고정설치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에 황토가 배합된 건식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건식 인공토양 상면에 수분과 혼합된 액상 상태의 습식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면 녹화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또는 습식 인공토양의 취부와 동시에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연속장섬유가 분사되어 건식 및 습식 인공토양에 혼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면 녹화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의 배합비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인공토양의 취부 두께는 5~10cm이며, 상기 습식 인공토양의 취부 두께는 5~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녹화방법.
KR1020060108204A 2006-11-03 2006-11-03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KR10086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204A KR100869915B1 (ko) 2006-11-03 2006-11-03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204A KR100869915B1 (ko) 2006-11-03 2006-11-03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353A KR20080040353A (ko) 2008-05-08
KR100869915B1 true KR100869915B1 (ko) 2008-11-21

Family

ID=3964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204A KR100869915B1 (ko) 2006-11-03 2006-11-03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9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588B1 (ko) 2011-01-11 2013-09-12 한국도로공사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KR102051838B1 (ko) 2019-03-27 2019-12-05 주식회사 바이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KR102352120B1 (ko) 2021-05-14 2022-01-20 주식회사 퍼스트이앤씨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적인 사면부 녹화공법
KR102547910B1 (ko) 2022-11-24 2023-06-28 (주)대한지오이엔씨 안정화된 식생기반층을 지니는 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5363B (zh) * 2017-12-27 2019-11-22 北京东方园林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破损山体的边坡生态修复方法
KR102578867B1 (ko) 2023-07-12 2023-09-14 (주)코리원조경 사면 녹화용 조성물 및 드론을 이용한 사면 녹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886A (ko) * 1990-07-20 1992-02-28 김은숙 토공용 암반 법면의 녹화시공방법
KR20020049841A (ko) * 2000-12-20 2002-06-26 허 태 학 다층뿜어붙이기 비탈면 녹화공법
KR100346054B1 (ko) 1999-12-13 2002-07-24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KR100631380B1 (ko) * 2006-05-16 2006-10-04 김성철 절취사면의 생태복원을 위한 강섬유함유 합성녹화토의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886A (ko) * 1990-07-20 1992-02-28 김은숙 토공용 암반 법면의 녹화시공방법
KR100346054B1 (ko) 1999-12-13 2002-07-24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KR20020049841A (ko) * 2000-12-20 2002-06-26 허 태 학 다층뿜어붙이기 비탈면 녹화공법
KR100631380B1 (ko) * 2006-05-16 2006-10-04 김성철 절취사면의 생태복원을 위한 강섬유함유 합성녹화토의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588B1 (ko) 2011-01-11 2013-09-12 한국도로공사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
KR102051838B1 (ko) 2019-03-27 2019-12-05 주식회사 바이디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KR102352120B1 (ko) 2021-05-14 2022-01-20 주식회사 퍼스트이앤씨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적인 사면부 녹화공법
KR102547910B1 (ko) 2022-11-24 2023-06-28 (주)대한지오이엔씨 안정화된 식생기반층을 지니는 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353A (ko)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915B1 (ko)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CN108575591A (zh) 用于山体生态修复的喷播种植基材及制备方法及喷播工艺
CN108513874A (zh) 一种矸石山边坡抗侵蚀植被恢复方法
CN102396329B (zh) 野花组合播种及养护方法
KR20060124250A (ko) 고흡수성 폴리머 피브이에이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KR20060130987A (ko) 식생매트 시공방법
US3600852A (en) Hardenable plant-seed-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plant growth
KR100989449B1 (ko) 식생 카페트를 사용한 사면녹화 공법
KR100294516B1 (ko) 잔디발아용종자매트및그제조방법
KR20090006396A (ko)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KR19990040485U (ko) 법면녹화용식생지제조방법
CN105993257B (zh) 保水剂雨中吸水的湿施方法
KR20110092855A (ko) 잔디 러너 스프레이 녹화공법
KR100334258B1 (ko) 잔디종자를 이용한 법면 초지조성방법
KR100610511B1 (ko) 박층의 사면녹화용 배양토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100494567B1 (ko) 활엽수칩을 이용한 폐광지 식생복원방법
KR960009729B1 (ko) 암절개면 녹화공법
KR100970189B1 (ko) 그린복합토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CN109983976B (zh) 矿山生态修复方法
KR100513146B1 (ko) 사면 녹화용 식생조성물
KR100798125B1 (ko) 흙이 없는 법면 보호 및 녹화용 인공 배양토
KR100950466B1 (ko) 친환경 네트 고정장치를 이용한 생태하천 조성공법
JP3183854B2 (ja) 斜面保護用組成物及び斜面保護工法
KR100307198B1 (ko) 그린네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20050077405A (ko) 훼손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물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27

Effective date: 2008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