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054B1 -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054B1
KR100346054B1 KR1019990057057A KR19990057057A KR100346054B1 KR 100346054 B1 KR100346054 B1 KR 100346054B1 KR 1019990057057 A KR1019990057057 A KR 1019990057057A KR 19990057057 A KR19990057057 A KR 19990057057A KR 100346054 B1 KR100346054 B1 KR 100346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vegetation base
bark
rock slope
r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760A (ko
Inventor
김학영
황애민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0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침엽수 혹은 활엽수의 나무껍질을 잘게 부순 바크와 코코넛 섬유로 만든 코코피트, 점토, 발효볏짚, 왕겨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식생기반재에 종자와 점착제를 혼합하여 종비토뿜어붙이기 기계를 이용하여 암비탈면에 취부하는 환경친화적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일정 수분을 함유하는 바크, 코코넛 섬유를 잘게 절단한 코코피트, 발효볏짚 및 점토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식생기반재를 제조하는 단계; 식생기반재가 제조되면 녹화 대상지의 암비탈면에 PVC 코팅된 부착망과 철선을 설치하고, 앙카핀 및 착지핀을 상기 암비탈면에 박아 부착망을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부착망의 부착이 완료되면 식생기반재와 종자 및 점착제와 물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액체를 혼합하여 암반 비탈면에 일정두께로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식생기반재를 제조함으로서 갈라짐과 기존지반과의 분리등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method for tree planting on a base rock-incline using a bark compost}
본 발명은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엽수 혹은 활엽수의 나무껍질을 잘게 부순 바크와 코코넛 섬유로 만든 코코피트, 점토, 발효볏짚, 왕겨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식생기반재에 종자와 점착제를 혼합하여 종비토뿜어붙이기 기계를 이용하여 암비탈면에 취부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화암, 발파암과 같은 변암과 경암등의 바위로 이루어진 비탈면을 녹화하기 위한 암비탈면 녹화공법에는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공법개발을 위해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암비탈면 녹화공법에는 식물을 직접 식재하는 공법이나 식생기반재를 종자와 함께 취부하여 녹화하는 종비토뿜어올이기공법등이 사용되었다.
이중 식물을 직접 식재하는 공법에는 암반에 천공하여 식물을 식재하거나 암반에 일정한 크기의 돌들을 쌓아 식재구덩이를 만들고 식재하는 방법등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빠른시일내에 녹화는 가능하지만 녹화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실질적으로 이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종비토 뿜어 붙이기공법에 의한 암비탈면 녹화공법은 하수오니, 연탄재, 토탄 등을 혼합하여 만든 식생기반재와 종자를 혼합하여 암비탈면에 종비토 뿜어 붙이기 기계를 이용하여 취부하는 공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식생기반재의 갈라짐, 기존 지반과의 분리, 하수오니등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 등이 야기되면서 점차 사용량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종비토 뿜어 붙이기공법에 의한 암비탈면 녹화공법은 식생기반재의 경화로 종자의 발아율 저하와, 식생기반재의 갈라짐에 의한 기존 지반과의 분리 특히 중금속이 함유된 하수슬러지의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친환경적 공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환경에 무해한 천연소재인 바크(bark)와 식물성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암비탈면을 녹화함으로서 식물이 정착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만들어 주고 식생기반재의 양생후에도 경화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탄력성을 주어 갈라짐과 기존지반과의 분리 등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바크퇴비를 이용한 종비토뿜어붙이기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이 적용된 암비탈면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식생기반재 120 : 암비탈면
130 : 부착망 132 : 철선
134 : 앙카핀 136 : 착지핀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수분을 함유하는 바크, 코코넛 섬유를 잘게 절단한 코코피트, 발효볏짚 및 점토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식생기반재를 제조하는 단계;
식생기반재가 제조되면 녹화 대상지의 암비탈면에 PVC 코팅된 부착망과 철선을 설치하고, 앙카핀 및 착지핀을 상기 암비탈면에 박아 부착망을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부착망의 부착이 완료되면 식생기반재와 종자 및 점착제와 물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액체를 혼합하여 암반 비탈면에 일정두께로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식생기반재를 제조함으로서 갈라짐과 기존지반과의 분리등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이 적용된 암비탈면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비탈면 녹화 공법중 풍화암, 발파암과 같은 변암과 경암등의 암비탈면을 녹화하기 위한 종비토 뿜어 붙이기공법이다. 즉, 식물의 생육이 어려운 암비탈면에 환경에 무해한 천연재료인 바크와 코코피트, 점토, 발효볏짚, 왕겨등으로 제조된 식생기반재를 일정한 두께로 취부하여 식물이 암비탈면에 효과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바크(bark)는 침엽수 흑은 활엽수의 나무껍질을 잘게 분쇄한 천연소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비탈면 녹화공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크와 코코넛 섬유로 만든 코코피트, 점토, 발효볏짚, 왕겨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식생기반재(110)을 녹화할 지역의 암비탈면(120)에 취부시킨다. 이를 위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비탈면(120)에 PVC로 코팅된 부착망(130)과 철선을 앙카핀(134)과 착지핀(136)으로 고정시킨 후 종비토뿜어붙이기 기계를 이용하여 종자와 식생기반재, 점착제를 혼합하여 취부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생기반재는 잘게부순 바크를 장기간 부숙시켜 수분함유량이 60∼63% 정도 되도록 하고, 코코넛 섬유를 잘게 절단하여 15mm눈금체를 통과시켜 코코피트를 제조한다. 양송이볏짚이나 혹은 느타리볏짚등과 같은 볏짚을 장기간 부숙시켜 미생물이 풍부한 볏짚을 3-5cm정도로 절단한다. 이물질이 함유되어있지 않은 점토를 덩어리가 지지 않도록 잘게 부순다. 이와 같이 제조한 재료를 바크50-70%, 코코피트 20-30%, 발효볏짚 10∼20%,점토 5-10%가 되도록하여 혼합하여식생기반재를 제조한다
식생기반재가 제조되면 취부작업전 녹화 대상지의 암비탈면(120)에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름이 3-4mm이고 PVC 코팅된 철선으로 가로*세로가 약 58*58mm로 형성된 부착망(130)을 설치하고, 가로 3M,세로 1.5M간격으로 부착망(130)의 상부에 철선(132)을 고정시킨 다음 앙카핀(134) 및 착지핀(136)을 암반천공 후 박아 부착망(130)을 고정한다. 부착망(130)은 식생기반재(110)를 취부할 때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일부 잔재된 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부착망(130)의 부착이 완료되면 제조된 식생기반재(110)와 종자를 혼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계를 통과시켜 공기압으로 취부기의 호스를 통해 취부한다. 이때 물탱크에 점착제와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펌프를 통해 취부기로 이송하여 식생기반재와 종자가 취부되는 시점에서 혼합되어 취부되도록 한다. 취부두께는 암반의 굴곡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평균 8cm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고르게 취부한다.
이에 본 공법은 바크퇴비와 같은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식물이 정착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만들어 주고 식생기반재의 양생후에도 경화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탄력성을 주어 식생기반재의 갈라짐과 기존지반과의 분리등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기반재(110)는 시공후에도 천연소재의 사용으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기반재(110)는 비료성분이 풍부하며 비소, 카드늄, 수은, 납등 중금속의 함유량이 낮기 때문에 식생기반재(110)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한다.
식생기반재의 물리,화학적 성분분석표
항목 규격기준 검측량 비고
질소(%) 0.50 *분석방법:농촌진흥청고시비료분석법에 준함*pH, 전기전도도1 : 10 희석
인산(%) 0.31
가리(%) 0.52
유기물(%) 25이상 25.48
유기물대 질소비 50이하 48.76
비소(㎎/㎏) 50이하 0.97
카드늄(㎎/㎏) 5이하 0.16
수은(㎎/㎏) 2이하 흔적
납(㎎/㎏) 150이하 12.99
크롬(㎎/㎏) 300이하 26.42
구리(㎎/㎏) 500이하 14.33
pH 6.08
전기전도도(ms) 0.94
수분(%) 39.48
염분(%) 0.02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생기반재(110)는 바크와 코코넛 섬유로 만든 코코피트, 점토, 발효볏짚, 왕겨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고, 일정한 수분을 함유함으로서 시공후 경화현상을 방지하여 식생정착의 최적의 조건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식생기반재(110)의 갈라짐에 의한 기존지반과의 분리현상이 방지되고, 주변환경을 오염 및 파괴시키지 않는 친환경적 제품이다.
이와 같은 식생기반재(110)에 종비토 뿜어붙이기 공법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암비탈면에 부착할 수 있어서, 주변식생의 자연적인 이입에 의한 생태적 천이가 빠른 시일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경에 무해한 천연소재인 바크와 식물성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암비탈면을 녹화함으로서 식물이 정착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만들어 주고, 일정한 수분을 함유하도록 식생기반재를 제조하여 식생기반재의 양생후에도 경화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탄력성을 주어 갈라짐과 기존지반과의 분리 등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그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

  1. ⅰ)일정 수분을 함유하는 바크, 코코넛 섬유를 잘게 절단한 코코피트, 발효볏짚 및 점토를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식생기반재를 제조하는 단계;
    ⅱ)상기 단계에서 식생기반재가 제조되면 녹화 대상지의 암비탈면에 PVC 코팅된 철선으로 형성된 부착망을 설치하고, 앙카핀 및 착지핀을 상기 암비탈면에 박아 상기 부착망을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ⅲ)상기 부착망의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식생기반재와 종자 및 점착제와 물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액체를 혼합하여 상기 암반 비탈면에 일정두께로 취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는 잘게 부수고 장기간 부숙시켜 수분함유량이 55∼65%로 조정된 바크 50-70%, 코코넛 섬유를 잘게 절단하여 15mm이하로 거른 코코피트 20-30%, 미생물이 풍부한 볏짚을 3-5cm정도로 절단한 발효볏짚 10∼20% 및 덩어리가 지지 않도록 잘게 부순 점토 5-10%의 범위내에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와 종자 및 점착제와 물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액체는 암반비탈면상에 8㎝두께로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 공법.
KR1019990057057A 1999-12-13 1999-12-13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KR100346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57A KR100346054B1 (ko) 1999-12-13 1999-12-13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57A KR100346054B1 (ko) 1999-12-13 1999-12-13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760A KR20010055760A (ko) 2001-07-04
KR100346054B1 true KR100346054B1 (ko) 2002-07-24

Family

ID=1962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057A KR100346054B1 (ko) 1999-12-13 1999-12-13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0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067B1 (ko) * 2001-12-18 2003-08-27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사면녹화용 식생재
KR100734218B1 (ko) 2006-04-06 2007-07-02 재 술 나 식생을 위한 와이어네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0869915B1 (ko) 2006-11-03 2008-11-21 김안세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KR101267231B1 (ko) 2012-06-29 2013-05-27 (주)대한지오이엔씨 핫크레이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녹화구조체
KR101283514B1 (ko) * 2013-03-22 2013-07-15 이철우 보강재와 유기식생기반재를 이용한 생태복원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688B1 (ko) * 2007-03-28 2007-07-04 동원녹화산업 (주) 경사면 식재용 토양 조성물
KR100853258B1 (ko) * 2007-05-02 2008-08-20 이홍택 특정 문양이 디스플레이되는 암절개지 법면 식생 공법
KR100970189B1 (ko) * 2009-11-09 2010-07-14 지케이건설조경(주) 그린복합토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KR101909607B1 (ko) * 2016-07-18 2018-10-18 (주)에스엔비 친환경 발효볏짚으로 제조된 배양토 기반의 식생기반재를 이용한 법면녹화공법
CN109601045B (zh) * 2018-12-10 2022-08-09 中节能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岩质边坡修复方法
KR102628088B1 (ko) * 2023-03-02 2024-01-25 주식회사 태림 식물섬유를 이용한 녹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067B1 (ko) * 2001-12-18 2003-08-27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사면녹화용 식생재
KR100734218B1 (ko) 2006-04-06 2007-07-02 재 술 나 식생을 위한 와이어네트 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0869915B1 (ko) 2006-11-03 2008-11-21 김안세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KR101267231B1 (ko) 2012-06-29 2013-05-27 (주)대한지오이엔씨 핫크레이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녹화구조체
KR101283514B1 (ko) * 2013-03-22 2013-07-15 이철우 보강재와 유기식생기반재를 이용한 생태복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760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054B1 (ko) 바크퇴비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CN102037845B (zh) 一种植物在锰尾矿渣上定居的方法
KR100631380B1 (ko) 절취사면의 생태복원을 위한 강섬유함유 합성녹화토의시공방법
CN110122270A (zh) 一种北方地区高陡边坡喷播基质及其应用方法
CN112854261A (zh) 一种适用于喷砼边坡生态修复的方法
KR100775985B1 (ko) 사면 녹화용 조성물 및 그를 구비한 사면 녹화용 구조체
KR101654044B1 (ko) 녹화용 식생 조성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KR20180075828A (ko) 무토지 및 척박한 환경에 조기녹화 및 자연식생 활착유도를 위한 식생토를 이용한 녹화공법
CN1824894A (zh) 一种坡面植被修复方法
KR20010088027A (ko) 경사지 녹화용 객토 조성물
Brindle Use of native vegetation and biostimulants for controlling soil erosion on steep terrain
KR100765909B1 (ko) 인공 식생기반토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친환경적 녹화방법
KR100938893B1 (ko) 유기질토 조성물을 이용한 사면 생태 복원공법
KR100491497B1 (ko) 후리졸녹산토녹화공법
KR20020077571A (ko) 절개지 녹화공법
KR100970189B1 (ko) 그린복합토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KR101239202B1 (ko) 어분을 이용한 법면식생 녹화재 조성물
KR19980074216A (ko) 인공토양
KR100950466B1 (ko) 친환경 네트 고정장치를 이용한 생태하천 조성공법
KR960011616B1 (ko) 부식토조성물
KR20160148868A (ko) 식생기반 개선용 식생복원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의 녹화공법
KR100352829B1 (ko) 법면 배양토
KR100286577B1 (ko) 사면녹화용 식생재와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CN115843661B (zh) 一种利用葎草和椰糠土提高重度石漠化水分条件的方法
CN215857766U (zh) 一种适用于喷砼边坡生态修复的施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