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729B1 - 암절개면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암절개면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729B1
KR960009729B1 KR1019920018368A KR920018368A KR960009729B1 KR 960009729 B1 KR960009729 B1 KR 960009729B1 KR 1019920018368 A KR1019920018368 A KR 1019920018368A KR 920018368 A KR920018368 A KR 920018368A KR 960009729 B1 KR960009729 B1 KR 960009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green
artificial
soil layer
green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452A (ko
Inventor
김영구
Original Assignee
김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구 filed Critical 김영구
Priority to KR101992001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729B1/ko
Publication of KR94000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암절개면 녹화방법
본 발명은 식생이 불가능한 암절개면을 녹화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녹생토(녹산종합건설주식화사제 : 상품명)에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잡초, 볏집을 섞어 취부하는 암절개면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인공토양을 이용한 암절개면의 녹화공법중에는 일본국 특개소 55-36576호에 소개된 바와 같이 암반 등의 법면상에 철망을 펼쳐놓고 앵커 등으로 고정하여 법면으로 함과 동시에 망면을 형성하고, 코이어 화이버와 같은 섬유체와 니토와 양생제를 혼합한 니토 슬러리를 망면상에 취부하여 니층을 형성하며, 피복재, 양생제, 토양, 종자 등으로 이뤄지는 인공토양과 물을 혼합한 인공토양 슬러리를 니층 위에 취부하여 인공토양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말하는 코이어 화이버(Coir fiber)란 종모(種毛) 섬유이다. 코이어 화이버는 오래도록 부숙되지 않기 때문에 위에 토양물리성에 쉽게 영향을 주지 못하므로 식물의 초기 생육 및 정착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또, 니토는 마찰계수가 적기 때문에 비탈면에 취부한 경우 미그러져 내리기 쉽다. 그래서 법면에 철망을 깔아 니토가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하는 것인데, 시공비가 높고, 급경사진 곳에서는 안전사고에 철저히 대비해야 하고, 불안한 위치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만큼 작업속도도 느리다.
한편, 일본국 특개평 2-197621호는 콘크리트내에 혼련 또는 취부에서 타설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식물성 장섬유 다발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콘크리트내에 혼입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고, 그 콘크리트 구조체에 식물이 착근가능하도록 녹화하는 방법인데, 콘크리트는 인공토양과 비교할 때 물성과 성분, 화학적 작용 또한 상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적용할 수 없어 비교가 되지 않는다.
상기 이외에 인공토양에 점착력의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토양안정제를 혼합하여 취부하는 공법이 있는데, 토양안정제가 초목의 발아가 더딘 경우에는 인공토양이 굳어져서 발아, 생장 및 뿌리의 활착에 오히려 장애가 되고, 흡수력을 저해하여 한발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보습량의 부족으로 인한 피해가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토양의 응집력을 증가시켜 크랙을 방지하고, 구배도가 1 : 1.2이하의 암절개면에서는 철망을 깔지 않고도 인공토양층이 쓸려내리지 않고 목초분류의 발아, 생장 및 조기활착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또한 인공토양의 보습력이 높은 새로운 암절개면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암절개면에 5cm 이상의 두께로 녹생토를 취부하여 기층 인공토양층을 형성하고, 이 기층 인공 토양층 위에 2-15cm 정도의 길이로 절단한 볏짚 또는 볏짚에 버금가는 잡초를 3-20% 첨가한 녹생토 혼합물을 5cm 이상 두께로 취부한 후 그 표면에 목초본류의 종자를 물에 타서 고압분사하여 멀칭하는 암절개면 녹화공법을 특징으로 한다. 녹생토에 대한 볏짚, 잡초의 비율 3-20%는 취부면적(㎡)당 100g에 상당한다.
녹생토의 총 취부두께는 적어도 10cm은 되어야만이 가뭄에도 물기가 마르지 않고 식물이 발아,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보수력을 지닐 수 있다.
볏짚, 잡초를 혼합하는 이유는 취부한 후의 녹색토층의 균열방지에 그 목적이 있다. 볏짚, 잡초가 너무 짧으면 크랙방지효과를 거둘 수 없고, 너무 길면 취부기로 취부하기가 여의치 않다. 또 볏짚, 잡초의 양이 과하면 토양이 아니라 퇴비화되기 때문에 오히려 종자의 발아 및 발아후 생장에 해롭다.
볏짚과 기존의 녹화공법에서 사용했던 코이어 화이버의 화학적 성분을 아래 표에 나타낸다.
헤미셀루로스와 셀룰로스의 분해는 질소함량에 영향을 받는다. 이들 성분이 분해되려면 질소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표 2에서, 볏짚의 질소는 0.68%인데 대하여 코이어 화이버의 질소함량은 0.45%이다. 또, 셀룰로스의 함량은 볏짚이 31%인 반면에 코이어 화이버는 26.5%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α-셀룰로스 및 헤미셀룰로스는 후발효되는 동안 급속히 감소되고, 균사가 생장하는 동안에는 서서히 감소되며, 영양원으로 이동할시에는 감소가 빠르고, 리그닌은 거의 일정량으로 존재한다. 하지만 코이어 화이버에는 이런 성분이 함유돼 있지 않으므로 그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볏짚첨가가 토양물리성에 끼치는 영향중에서 단립증가에 따른 물리성의 개선효과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단립의 형성은 1주 이내에 일어나며, 동시에 토양의 투수성도 증가된다. 단립의 형성은 볏짚 등 유기물 첨가로 미생물의 활성이 증대되면서 토양 응집체가 붕괴되어 분산이 촉진되고, 토양이 풍건(風乾)되면 미생물 균체와 그 대사산물 등의 결합물질에 의하여 내수성 단립이 증가한다.
단립의 형성은 유기물의 분해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역(易)분해성 탄소화합물이 많을수록 증가하지만 상대적으로 거친 섬유 등이 많은 재료는 분해의 지속성이 길고, 내수성 단립은 유기물의 분해과정을 통하여 생성된다. 분해과정에서 암모니아 생성이 완성될 때에는 pH 8을 넘는 알칼리성이 되었다가 다시 초산의 생성이 진행되면 pH 6으로 저하되기도 하며, 질소의 형태변화는 토양의 반응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또한 볏짚 등의 유기물의 시용(施用)은 공극량의 증대와 조직을 팽연(膨軟)시키고, 미생물의 활동으로 토양이 입단화되어 토양입자간의 마찰저항이 증가되므로 토양물리성이 발달되어 식물의 발아 및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이어 화이버에 비해 많은 장점을 지닌 볏짚은 다른 식물성 섬유에 비하여 부숙이 서서히 진행되므로 절개지에 취부된 인공토양의 초기정착에 도움이 되고, 이에 따라 인공토양에서 크랙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1-2개월 이내에는 부숙이 빨리 진행되지 않고 응집력의 지탱으로 안정화되면서 서서히 부숙되어 토양의 물리성 발달에 아주 고무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다음으로, 짧게 절단한 볏짚 5-10용량%를 녹생토에 섞어 암절개면에 취부한 결과를 볏짚무첨가인 경우를 대비하여 평가한 것을 적어본다.
1. 보수력
수분함량 60-70%였던 기존의 녹생토는 취부 2일 후에 측정한 결과 녹생토의 수분잔량이 40-45%정도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녹생토의 수분함량이 50-60%였다. 본 발명에 의해 시공한 녹화공법에서의 보수력이 종전 보다도 개선되었음이 입증된 것이다. 볏짚 등이 수분을 머금고 있는 양이 많아서 건조가 더디게 진행 되었기 때문이다.
2. 흡습성
기존의 순수 녹생토 및 인공토양층에서는 강우 또는 관수시 유, 무기질로 흡수성이 있었던데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볏짚 등의 흡습성이 보태져 10-20%정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3. 수분증발량
기존의 순수 녹생토 및 인공토양층에서는 수분증발량의 억제기능이 저조하였으나 본 발명의 녹화공법에서의 녹색토층에서는 수분증발억제효과가 2-5%가량 늘어갔다.
4. 통기성
기존의 순수 녹생토 및 인공토양층에서는 균열된 부분에 있어서의 통기는 양호한 편이나 비균열부분이 상대적으로 많아 전반적으로 통기성이 낮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녹색토층에서는 볏짚, 잡초설을 첨가함에 따라 통기성이 대폭 개선되었고, 수분유지력 또한 월등히 향상되어 건조기에도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5. 치밀성 및 견고성
기존의 순수 녹생토 및 인공토양층은 치밀하고 경고해서 식물뿌리의 신장에 큰 지장을 줬는데, 본 발명의 녹생토층에서는 치밀성과 경고성이 줄어 식물근의 신장에 도움이 되었다.
6. 팽윤 및 수축성
기존의 녹생토 및 인공토양층은 팽윤성이 낮아 한발시 수축현상이 두드러졌지만, 본 발명의 녹색토층은 강우 및 관수하면 팽윤성이 증대되어 한발건조시에도 수축현상이 완만하게 나타났다.
7. 취부 녹색토층에 대한 수식성(水蝕性) 및 내부착성
종래의 녹생토를 비록한 인공토양층에서는 암절개면에 취부한 후의 부착력이 급격히 약화되어 부분적으로 박리현상이 두드러졌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식성이 낮은 반면 내부착성은 상대적으로 높아서 발아성공율이 높고 생장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8. 발아성
종래의 녹생토 및 인공토양층은 주로 갈라진 틈새에서 발아가 이뤄졌으나, 본 발명의 녹색토층은 전반적으로 보수력, 통기성이 향상되고 치밀성과 경고성은 낮아 발아가 활발히 이뤄졌다.
시험파종의 일례로써, 5%의 잡초를 섞어 파종한 경우 파종한 종자의 발아율은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 비해 2% 가량 높게 나타났고, 10%의 잡초를 첨가한 경우에는 5%의 발아율차가 나타났다.
9. 식물근의 신장
종래의 목생토 및 인공토양층에서는 취부후 수분감소가 물리성의 악화로 식물근의 신장이 저조하였는데 대하여, 본 발명의 녹색토층은 물리성이 개량된 결과 식물근의 신장에 큰 도움을 준다. 일례를 들면, 참싸리의 경우 파종 60일이 지난 후에 관찰한 결가 5%이 잡초가 섞인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은 5cm의 신장차이를 보였고, 잡초 10%가 섞인 녹색토층과 잡초무첨가 녹색토층과는 10cm 이상의 신장차이가 나타났다.

Claims (1)

  1. 암절개면에 공지의 녹생토(인공토양)를 두께 5cm로 취부하고, 이 녹색토층 위에 2cm 이상의 길이로 절단한 볏짚이나 잡초를 녹생토에 대하여 3-20용량% 섞은 녹생토 혼합물을 5cm이상 두께로 취부하며, 표층 녹색토층의 포면에 물에 묽게 갠 목초본류의 종자를 압축공기식 취부기로 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절개면 녹화방법.
KR1019920018368A 1992-10-07 1992-10-07 암절개면 녹화공법 KR960009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368A KR960009729B1 (ko) 1992-10-07 1992-10-07 암절개면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368A KR960009729B1 (ko) 1992-10-07 1992-10-07 암절개면 녹화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452A KR940009452A (ko) 1994-05-20
KR960009729B1 true KR960009729B1 (ko) 1996-07-23

Family

ID=1934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368A KR960009729B1 (ko) 1992-10-07 1992-10-07 암절개면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175B1 (ko) * 2000-03-10 2002-10-11 강수용 경사지 녹화용 객토 조성물
KR100426129B1 (ko) * 2001-04-02 2004-04-08 트랜스코리아개발 주식회사 절개지 녹화공법
KR20020084796A (ko) * 2001-05-04 2002-11-11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자생 식물을 이용한 녹화 방법
WO2008144727A1 (en) 2007-05-21 2008-11-27 Wind Hill Concept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heets
KR101654044B1 (ko) 2015-11-30 2016-09-05 (주)천지인 녹화용 식생 조성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452A (ko) 199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54706A (en) Method for improving soil qualities
US20080280760A1 (en) Composite Growth Media for Plant Propagation
US4720935A (en) Sod-grow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it
Dudeck et al. Mulches for Grass Establishment on Fill Slopes 1
HU226599B1 (en) Vegetation element for greening artificial or natural surfac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869915B1 (ko) 사면 녹화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녹화방법
KR960009729B1 (ko) 암절개면 녹화공법
US3600852A (en) Hardenable plant-seed-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plant growth
KR101085352B1 (ko) 사면녹화용 뿜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0419583B1 (ko)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KR200417955Y1 (ko)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3934B1 (ko)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umwenda et al. Biomass production by legume green manures on exhausted soils in Malawi: A soil fertility network trial
JP2649668B2 (ja) 緑化工法
JP3400926B2 (ja) 緑化基盤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937876B2 (ja) 植物生育用基材及びその施工方法
JP3481439B2 (ja) 覆土材
WO2002037947A1 (en) Method of use of phenol methylene interconnected urea ter-polymer foam as a potting media ingredient, soil amendment, or soil substitute
JP3183854B2 (ja) 斜面保護用組成物及び斜面保護工法
KR100334258B1 (ko) 잔디종자를 이용한 법면 초지조성방법
EP3682729A1 (en) Mulch composition
KR100352829B1 (ko) 법면 배양토
JP3112649B2 (ja) コーティング種子を用いた緑化工法
KR100517277B1 (ko) 배합토 조성물
JP3107195B2 (ja) 樹木導入厚層基材吹付け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1213

Effective date: 200507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012

Effective date: 200507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930

Effective date: 2006072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901

Effective date: 200609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