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583B1 -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583B1
KR100419583B1 KR1020030018825A KR20030018825A KR100419583B1 KR 100419583 B1 KR100419583 B1 KR 100419583B1 KR 1020030018825 A KR1020030018825 A KR 1020030018825A KR 20030018825 A KR20030018825 A KR 20030018825A KR 100419583 B1 KR100419583 B1 KR 100419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eening
composition
green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규
권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오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오녹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오녹화
Priority to KR102003001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7Pulp, e.g. bagas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정한 보습력, 보비력 및 통기성을 가지며, 경량화 재료의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도 표면의 균열 또는 침식에 대한 강한 내성을 보유하고, 심한 강우에도 적정 수분을 흡수한 이후에는 잉여 수분은 표면 배수시켜 붕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신규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Afforestation process using wet spray of novel soil composition}
본 발명은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인위적인 식생조건을 필요로 하는 절토 또는 성토 지역 등에 발생하는 절개지역의 환경복원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인공토양 조성물을 습식분사하는 녹화 공법에 관한 것이다.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절토 및 성토 지역 등의 일반 절개지역에서 계속 진행되는 토양 침식, 우천시 발생되는 사면 붕괴, 자연스러운 경관의 파괴 등이 발생한지역의 환경복원을 위한 녹화는 필수적이다.
이에, 환경복원을 위한 녹화에 사용되는 인공토양 조성물이 다수 개발되어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제1992-10930호에서는 "피트, 연탄재, 오니케이크 및 펄프슬러지를 혼합하여 제조된 녹생토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996-11616호에서는 "연탄재, 제지부산물, 부숙톱밥, 토탄, 마사토, 보습제메텔 및 유기물을 함유한 부식토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녹화공법으로는, 어떠한 네트도 설치하지않고 식물종자만을 취부하는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 공법, 거적덮기, 나일론 네트를 설치한 후에 식물종자를 취부하는 공법, 코매트(CO-MAT)를 설치한 후에 식물종자를 취부하는 공법 등 다수가 있다.
한편, 기존의 인공토양을 이용하여 개발된 녹화공법들은 크게 건식공법(인공토양 재료의 자체 수분을 이용하여 살포하는 공법)과 습식공법(건식 인공토양 재료에 물을 혼합하여 살포하는 공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공사 시의 취부(살포) 두께는 대략 5 내지 7cm, 또는 10 내지 15cm의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참조: 대한민국 특허 제1992-10930호 및 제1996-11616호}.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공법들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된 인공토양 (인공토양이 사용되는 경우)이 녹화대상인 원지반 토양과의 흡착력 부족 등으로 인해 시공 후에 흘러내림(슬라이딩) 현상이나 시공 후 건조시에 인공 토양의 흡착력 부족에 의한 기존 토양과 표토층의 심각한 이격현상과 균열현상 및 보습력 부족으로 인한 녹화용 식물의 생육 불량 상태를 보이는 점, 강우가 심할 경우에 과다한 수분흡수로 인하여 그 토양이 자체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붕괴됨으로써 공사의 하자를 초래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경관미가 요구되는 지역 (예를 들면, 골프장, 주요 도로변 등)에 거적덮기 등의 기존의 공법을 적용할 경우, 시공 후의 자재의 후락에 의해 시각적인 이미지가 저하되어 미관상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따라서, 인위적인 식생조건을 필요로 하는 절토 또는 성토 지역 등의 녹화에 사용될 수 있는 인공토양 조성물과, 이에 적합한 종류 및 치수의 네트를 사용하는 새로운 녹화 공법에 대한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오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녹화용 인공토양 및 녹화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한 신규한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정한 보습력, 보비력 및 통기성을 가지며, 경량화 재료의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도 표면의 균열 또는 침식에 대한 강한 내성을 보유하고, 심한 강우에도 적정 수분을 흡수한 이후에는 잉여 수분은 표면 배수시켜 붕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신규한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2는, 영동고속도로 확장공사 제O공구 법면보호공사 지역 (STA.2+600 ∼ 2+630)에서 시행된, 본 발명의 녹지토 조성물 및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을 이용한 경우와 그렇지 아니한 경우의 비교시험결과를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은 시험시공을 수행하고 있는 당시 현장상황을 보여주는 사진도이고, 도 2는 시공후 3개월 경과후의 녹화 정도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하는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을 제공한다:
(1) 시공 지역에 코네트 또는 황마 네트를 설치하고 고정시키는 단계;
(2) 토탄 0 내지 5중량%, 부숙수피 0 내지 10중량%, 축분 5 내지 20중량%,마사토 15 내지 30중량%, 활성탄 0 내지 5중량%, 제지슬러지 15 내지 35중량%, 제지화이바 15 내지 2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0 내지 2중량% 및 복합비료 2 내지 4중량%를 혼합하여 녹지토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3) 상기한 녹지토 조성물에, 시공 지역에 따라 적합한 식물 종자와 적정량의 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4) 상기한 녹지토 조성물/식물 종자/물의 혼합물을 습식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살포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토탄 0 내지 5중량%, 부숙수피 5 내지 10중량%, 축분 10 내지 20중량%, 마사토 20 내지 25중량%, 활성탄 2 내지 4중량%, 제지슬러지 15 내지 25중량%, 제지화이바 15 내지 2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0 내지 1중량%, 및 복합비료 2 내지 4중량%를 포함하는 녹지토 조성물을 사용하는,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토탄 5중량%, 부숙수피 7중량%, 축분 15중량%, 마사토 20중량%, 활성탄 4중량%, 제지슬러지 20중량%, 제지화이바 2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1중량%, 및 복합비료 3중량%를 포함하는 녹지토 조성물을 사용하는,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직경 1.0 내지 2.0mm이고 간격치수 2.5cm×2.5cm 내지 3.0cm×3.0cm인 황마 네트를 사용하여 절토 또는 성토 지역의 녹화에 효과적인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직경 3.0 내지 3.5mm이고 간격치수 3.0cm×3.0cm 내지 3.5cm×3.5cm인 코네트를 사용하여 절토 또는 성토 지역의 녹화에 효과적인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녹지토 조성물/식물 종자/물의 혼합물의 취부 두께가 1 내지 3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사토, 리핑암 또는 풍화암으로 이루어진 성토 또는 절토 지역의 녹화에 효과적인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녹지토 조성물에 사용되는 "토탄"은, 연대가 오래되지 않아 탄화작용이 충분히 발달되지 못한 석탄의 일종으로서, 발열량이 적어 비료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있는 천연비료이다. 이는, 낙엽이 충분히 부숙된 것과 같은 성분 및 특성을 보이며, 비료성분과 함께 시공후 통기력, 보습력 등의 토양물리성을 증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토탄의 함량은, 0 내지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중량%)에서 통기성, 보습력 및 보비력 향상 등에 효과적이다.
"부숙수피"는, 소나무 등의 껍질을 잘게 분쇄한 뒤에 미생물 제제와 기타 비료를 혼합하여 충분히 부숙시킨 후 토양개량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보비력 및 보수력의 향상효과를 가져다준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부숙수피의 함량은, 0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중량%)에서 보비력 및 보수력 향상 등에 효과적이다.
"축분"은, 완전 부숙시킨 우분과 돈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많은 유기물 및 미량요소를 함유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축분"은, 2차 부숙과정을 거침으로써 가스 발생을 완전히 방지시킨 것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축분의 함량은, 5 내지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이다.
"마사토"는, 땅속에서 채취되는 붉은 색을 띄는 단립구조의 자연토양으로서, 이물질 및 병균이 없고 배수력이 뛰어나 오염도가 낮으며, 종자 발아시 발아 기반층이 되며, 원지반의 토양과 흡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마사토의 함량은, 15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중량%)이다.
"활성탄"은, 산성토양을 중화시키고, 토양 속의 유해한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토양 속의 악취를 없애주며,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흡수하여 공급해줄 뿐만 아니라, 각종 미생물이 발산하는 탄산가스를 흡수하고 산소를 공급해주며, 토양의 온도를 높여 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지토 조성물에 포함되는 활성탄은,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시켜, 타 재료와의 혼합시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적정량을 사용하는 경우에 토양개량 효과에 탁월한 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활성탄은, 타 재료들과의 흡착력을 증대시켜, 시공후 균열과 침식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활성탄의 함량은, 0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중량%)이다.
"제지슬러지"의 경우, 완전 부숙된 제지 슬러지는 특히 질소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잔디 종자 등의 발아 후에 초기 생육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제지슬러지는, 보습력, 보비력 및 통기성이 우수하며, 접착력이 증가되어 시공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제지슬러지의 함량은, 15 내지 3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중량%)이다. 하지만, 1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습력, 보비력, 통기성 및 접착력 등이 줄어들며, 35중량%을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효과가 포화되어 가뭄의 피해 및 통기성 등에 문제 및 인공토양 자체가 고결화되어 식물종자의 발아 및 생육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지슬러지"는 완전히 부숙된 것을 사용하는 데, 이는 미부숙된 제지슬러지를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는 경우에 가스 발생 등으로 인해 종자의 발아 및 성장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지화이바"는, 제지 부산물(슬러지)을 일정한 크기의 규격으로 살균, 압축 처리한 경량재료로서, 현재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 공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특히 습식 분사공법 등에 사용되는 경우, 타 재료와의 흡착력이 강하여 재료들 간에 완전한 혼합을 이루게 하여 종자파종시 균일한 살포를 유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보습력을 높여, 식재층의 수분 함유량을 유지시켜, 종자의 초기발아 및 생육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제지화이바의 함량은, 15 내지 2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이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는, 식물에 무해한 생분해성 응집제로서, 인공 토양의 결집력을 높이고 접착력을 향상시켜 흘러내림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는효과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CMC의 함량은, 0 내지 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이다. 한편, CMC의 함량이 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본 발명의 녹지토 조성물의 고결화를 증가시켜 통기성 부족으로 인한 식물 생육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복합비료"는 식물의 발아 및 생육에 도움을 주는 질소, 인산, 칼리 등이 혼합된 비료를 의미하며, 그 이외에 망간, 철 등의 미량원소들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비료의 질소:인산:칼리의 함량비는 21:17:17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복합비료의 함량은, 2 내지 4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이다.
본 발명의 녹지토 조성물을 취부하여 녹화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종자"는, 톨 페스큐(Tall Fescue), 페레니알 라이그라스 (Perennial Ryegrass), 크리핑 페스큐(Creeping Fescue)와 같은 한지형 잔디와, 참싸리, 비수리 등의 향토초목류 등 시공 지역환경조건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 및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네트"는, 코코넛 껍질에서 100% 섬유를 추출하여 직조한 네트로서, 내구성이 강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보온 및 보습성이 뛰어나고, 보온 보습성이 뛰어나 씨앗의 발아 및 착근에 효과적이고, 고르지 못한 사면에도 적응력이 높아 시공성이 양호한 네트이다. 이는, 풍화암 절토사면, 경질 마사토 절토사면, 면 정리가 고르지 못한 절토사면 등의 녹화공법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네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마 네트"는, 천연섬유인 황마(黃麻)로 짜여진특히 성토 지역의 녹화공법에 유용한 네트로서, 섬유자체가 특유한 유연성이 있어 지면에 밀착되므로 법면공사 및 토양보존 등에 도움을 주며, 인장도가 강하여 토목공사 후 법면에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인 네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습식분사 장치"로는, 본 발명의 『녹지토 조성물/식물 종자/물』의 혼합물을 녹화공법 시공지역에 균일하게 습식분사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통상의 습식분사 장치 또는 이의 개량 장치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출력이 강한 튜브식 펌프 등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지면에 살포하는 순간의 압력을 강하게 하여 지면과의 점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시공후 표면유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정한 보습력, 보비력 및 통기성을 가지며 경량화 재료의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도 표면의 균열 또는 침식에 대한 강한 내성을 보유하고 지면과 네트 사이에 강한 응집력이 생겨 바람에 의한 침식 또는 강우에 의한 표면 유실이 방지되며, 심한 강우에도 적정 수분을 흡수한 이후에는 잉여 수분은 표면 배수시켜 과습에 의한 표면 침식이나 붕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시공시 취부 두께가 1 내지 3cm에 불과한,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을 습식분사하는 녹화공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녹화공법은, 기존의 녹화공법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은 식생조건이 매우 불량한 토질, 특히 마사토, 리핑암 또는 풍화암으로 이루어진 성토 또는 절토 지역의 녹화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녹지토 조성물의 제조실시예 1
토탄 5중량%, 부숙수피 5중량%, 축분 12중량%, 마사토 25중량%, 활성탄 4중량%, 제지슬러지 20중량%, 제지화이바 2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1중량%, 및 복합비료 3중량%을 준비하였다.
상기한 성분 중에서, 부숙수피는 "그린산업 (상표명: 새로나)"에서 구입한 소나무껍질을 이용한 부숙수피이며; 제지 슬러지는 "신기산업"에서 구입하였으며; 제지화이바 및 CMC는 "칠보생물산업"에서 구입하였으며; 복합비료는 "(주)남해화학 (상표명 - 슈퍼 21; N:P:K = 21:17:17)"에서 구입하였으며; 활성탄은 코코넛 숯(coconut charcoal)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성분 중 부숙수피, 축분, 제지슬러지 등은 완전히 부숙과정을 거친 상태이며, 특히 축분 및 제지슬러지에 대해서는 추가 부숙과정을 거쳐 가스발생을 완전히 방지시켜 안정화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각 재료를 혼합기에 넣어 균일하게 혼합한 후, 스크린 선별기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양호한 녹지토 조성물을 걸러내었다.
녹지토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
토탄 5중량%, 부숙수피 7중량%, 축분 15중량%, 마사토 20중량%, 활성탄 4중량%, 제지슬러지 20중량%, 제지화이바 2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1중량%, 및 복합비료 3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실시예 1과 동일하다.
녹지토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3
토탄 5중량%, 부숙수피 5중량%, 축분 12중량%, 마사토 20중량%, 활성탄 3중량%, 제지슬러지 25중량%, 제지화이바 2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1중량%, 및 복합비료 4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실시예 1과 동일하다.
녹지토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4
토탄 5중량%, 부숙수피 8중량%, 축분 15중량%, 마사토 23중량%, 활성탄 2중량%, 제지슬러지 20중량%, 제지화이바 23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1중량%, 및 복합비료 3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실시예 1과 동일하다.
녹지토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5
부숙수피 10중량%, 축분 15중량%, 마사토 15중량%, 활성탄 5중량%, 제지슬러지 25중량%, 제지화이바 2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2중량%, 및 복합비료 3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실시예 1과 동일하다.
녹지토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6
축분 15중량%, 마사토 30중량%, 제지슬러지 35중량%, 제지화이바 1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2중량%, 및 복합비료 3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제외하고는, 제조실시예 1과 동일하다.
녹지토 조성물의 특성비교
아래의 표 1에서는, 연세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에 의뢰하여 얻은, 상기한 제조실시예 1 내지 3의 녹지토 조성물과 일반 토양 및 기존의 녹화용 부식토 (특허 제1996-11616호)의 특성을 서로 비교한 결과를 보여준다.
일반 토양 부식토 제조실시예 1 제조실시예2 제조실시예 3
산도(pH) 5.10 6.38 - 6.59 7.10 6.97 7.20
유기물O.M.(%) 1.09 31.8 - 35.49 31.59 33.61 28.68
유효인산(P2O5)(g/kg) 157.80 112 - 198 728.00 773.00 719.00
칼리(K2O) (cmol/kg ) 4.84 - 3.15 4.43 3.19
양이온치환능력(CEC)(cmol/kg) - 0.51-2.22 408.10 409.30 406.50
총 질소(T-N) (%) 0.02 3.37 - 4.26 1.63 1.82 1.28
포장 용수량 (%) - 40.9 - 47.6 45.84 48.96 46.60
유효수분(%) - 17.5 - 23.0 14.66 17.37 13.48
공극률(%) - 51.2 - 58.1 53.21 53.62 50.07
가비중(g/cm3) - - 0.52 0.49 0.52
진비중(g/cm3) - - 3.10 3.02 2.62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녹지토 조성물을 일반 토양과 비교해 보면, 일반 토양에 비해 "유기물 함량"은 약 30배 이상, "총 질소함량"은 약 80배 이상 높아, 초기 발아 및 생육에 매우 유리함을 알 수 있으며; 기존의 부식토에 비해서도 "유효인산"과 "칼리"의 함량 및 "양이온 치환능력(CEC)" 면에 있어서 월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지토의 "유효수분" 및 "포장 용수량"은, 제조실시예 1 내지 3 모두 각각 10% 이상 및 40% 이상을 유지함으로써 식물종자의 초기발아 및 생육에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녹지토의 "토양 공극률"의 경우, 세사양토(공극률 - 51%) 및 미사양토(공극률 - 56%)에 비해서도 이와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 중에서도 제조실시예 2에서 제조된 녹지토 조성물이 가장 양호한 녹지토로 적출되었다.
본 발명의 녹화공법 시공
본 발명의 녹지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영동고속도로 확장공사 제O공구 법면보호공사 지역 (STA.2+600 ∼ 2+630)에서 시험시공하였다 {참조: 도 1 및 도 2}. 상기 절토 법면의 토질구성은 토사가 섞인 리핑암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녹화용 식물로는 한지형 잔디에 속하는 톨 페스큐(Tall Fescue), 페레니알 라이그라스 (Perennial Ryegrass) 및 크리핑 페스큐(Creeping Fescue)와 향토초목류에 속하는 비수리 종자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지역 STA.2+610 ∼ 2+620 (면적 200m2; 도 2의 중앙부분 - "Soil spray"로 표시)의 법면을 균일하게 고른 후, 직경 1.0mm이고 치수 2.5cm×2.5cm인 황마 네트를 상기 지역 중 절반 부분에 포설하고, 나머지 절반 부분에는 직경 3mm이고 치수 3.0cm×3.0cm인 코네트를 포설한 후, 고정핀을 이용하여 단단히 설치하였다. 네트 설치가 완료된 후, 본 발명의 녹지토 조성물 {조성 - 토탄 5중량%, 부숙수피 5중량%, 축분 10중량%, 마사토 25중량%, 활성탄 5중량%, 제지슬러지 30중량%, 제지화이바 1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2중량%, 및 복합비료 3중량%}과 상기 혼합된 종자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적정량의 물과 함께 약 1cm 두께로 습식분사 장치를 사용하여 살포하였다.
이와 비교하기 위해, 지역 STA.2+620 ∼ 2+630 (면적 200m2; 도 2의 좌측부분 - "코아 네트(Coir net)"로 표시) 및 지역 STA.2+600 ∼ 2+610 (면적 200m2; 도 2의 우측부분 -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로 표시)에는 본 발명의 녹지토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고 시공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역 STA.2+620 ∼ 2+630 (면적 200m2; 도 2의 좌측부분)의 경우, 현재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직경 5mm이고 치수 2.5cm×2.5cm인 코아 네트를 설치하여 상기 혼합된 종자를 살포하였으며; 지역 STA.2+600 ∼ 2+610 (면적 200m2; 도 2의 우측부분)의 경우, 아무런 네트도 사용하지 않고 상기 혼합된 종자를 살포하였다.
도 1 및 2와 아래의 표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녹지토 조성물을 사용하여 녹화시공한 경우를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한 결과, 미관, 보습력, 발아율, 활착율 등 모든 면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공후 3개월 경과후의 특성 비교평가
비교 공법 본 발명의 공법
시드 스프레이(네트 불사용) 코아 네트(직경 5mm; 치수 2.5cm×2.5cm) 황마 네트(직경 1mm; 치수 2.5cm×2.5cm) 코네트(직경 3mm; 치수 3.0cm×3.0cm)
1. 시공성 양호(8) 양호(7) 양호(7) 양호(8)
2. 초기 미관 불량(2) 양호(7) 양호(8) 양호(8)
3. 보습력 불량(2) 보통(5) 양호(8) 양호(8)
4. 발아율 불량(1) 불량(2) 양호(8) 양호(8)
5. 활착율 불량(2) 불량(3) 양호(8) 양호(8)
6. 활착 미관 불량(3) 보통(5) 양호(8) 양호(8)
7. 사후 관리 불량(3) 양호(7) 양호(8) 양호(8)
{상기 표의 내용은, 각 특성별로 시각적으로 평가한 후 1 ∼ 9의 수치범위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이다 (1 ∼ 3은 "불량"; 4 ∼ 6은 "보통"; 7 ∼ 9는 "양호")}.
황마 네트 및 코네트의 직경 및 치수 적출
(1) 녹화공법에 네트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네트의 직경 및 간격치수가 녹화공법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사항인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녹지토를 습식분사하는 녹화공법에 황마 네트를 사용하는 경우, 황마 네트의 적합한 직경 및 치수 결정이 중요하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되는 녹지토 조성물을 고려하여, 네트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취부시 녹지토가 네트에 걸려 원지반 토양과 이격현상이 생겨 가뭄시 탈락 현상 및 초기 발아후 식물이 고사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네트의 간격이 너무 넓은 경우에도 녹지토와 네트와의 응집력이 떨어져 시공후 탈락 현상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녹화공법에 적합한 황마 네트의 직경 및 간격을 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 및 다수의 시험시공을 통해 결정하였다. 그 결과, 직경 1.0 내지 2.0mm이고 간격치수 2.5cm×2.5cm 내지 3.0cm×3.0cm인 황마 네트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습식분사 녹화공법에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2) 기존의 녹화공법에 사용되던 코아 네트는 대부분 직경 5mm이고 치수 2.5cm×2.5cm로 시공되고 있는 데, 표토와 접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초기에는 발아가 일부 진행되나 후기에는 표면과 코아 네트가 서로 분리되어 식물이 고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조: 도 2의 좌측부분}. 특히,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이 습식 인공토양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아 네트의 서로 잡아당기는 인장력에 의해 인공토양재료와 법면의 접촉이 더욱 불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황마 네트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네트의 직경 및 간격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본 발명의 녹지토 조성물을 습식분사하는 경우에 적합한 코네트의 직경 및 치수간격을 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 및 다수의 시험시공을 통해 결정하였다. 그 결과, 직경 3.0 내지 3.5mm이고 간격치수 3.0cm×3.0cm 내지 3.5cm×3.5cm인 코네트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습식 녹화공법에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아래 표 3은, 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에서 분석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치수의 코네트(직경 - 3.0mm) 및 황마 네트(직경 - 1.0mm)의 인장강도 및 수분 흡수율 특성을 보여준다.
코네트 1 코네트 2 코네트 3 황마 네트
경사 위사 경사 위사 경사 위사 경사 위사
치수(cm) 3.0 3.0 3.5 3.5 3.5 3.0 2.5 2.5
인장강도(N/10cm) 545.6 774.2 759.1 469.0 688.4 732.1 289.1 208.5
수분흡수율(%) 321 395 326 289

Claims (7)

  1. 시공 지역에 코네트 또는 황마 네트를 설치하고 고정시키는 단계; 녹지토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한 녹지토 조성물에, 시공 지역에 따라 적합한 식물 종자와 적정량의 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한 녹지토 조성물/식물 종자/물의 혼합물을 습식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에 있어서,
    (i) 상기한 코네트는, 직경 3.0 내지 3.5mm이고 치수 3.0 cm×3.0cm 내지 3.5cm×3.5cm이고;
    (ii) 상기한 황마 네트는, 직경 1.0 내지 2.0mm이고 치수 2.5 cm×2.5cm 내지 3.0cm×3.0cm이며;
    (iii) 상기한 녹지토 조성물은, 토탄 3 내지 5중량%, 부숙수피 5 내지 10중량%, 축분 10 내지 20중량%, 마사토 20 내지 25중량%, 활성탄 2 내지 4중량%, 제지슬러지 15 내지 25중량%, 제지화이바 15 내지 2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1 내지 2중량% 및 복합비료 2 내지 4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녹지토 조성물이, 토탄 5중량%, 부숙수피 7중량%, 축분 15중량%, 마사토 20중량%, 활성탄 4중량%, 제지슬러지 20중량%, 제지화이바 25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 1중량%, 및 복합비료 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녹지토 조성물/식물 종자/물의 혼합물의 취부 두께가 1 내지 3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마사토, 리핑암 또는 풍화암으로 이루어진 성토 또는 절토 지역의 녹화시공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KR1020030018825A 2003-03-26 2003-03-26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KR10041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825A KR100419583B1 (ko) 2003-03-26 2003-03-26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825A KR100419583B1 (ko) 2003-03-26 2003-03-26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9583B1 true KR100419583B1 (ko) 2004-02-19

Family

ID=3732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825A KR100419583B1 (ko) 2003-03-26 2003-03-26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58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17B1 (ko) * 2006-02-11 2007-07-02 배숙희 절토 및 성토면 안정을 위한 녹화공법
KR100743579B1 (ko) 2006-02-10 2007-07-30 강태호 단립화 개선용 인공토양혼합물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KR100948083B1 (ko) * 2009-06-23 2010-03-16 (주)다원녹화건설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KR101576988B1 (ko) * 2015-07-27 2015-12-11 임만구 희토비료가 포함된 비탈면 식생기반재 조성물과 식생기반재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복원녹화공법
KR101624692B1 (ko) * 2015-12-29 2016-05-26 최산용 한천이 함유된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101881420B1 (ko) * 2015-07-27 2018-08-24 합자회사 가온 경사지 생태 복원을 위한 식생 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생 매트 그리고 그에 의한 경사지 생태 복원 방법
CN109006345A (zh) * 2018-07-19 2018-12-18 青岛冠中生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城市绿地的人工海绵土壤
KR102095740B1 (ko) * 2019-08-05 2020-04-02 주식회사 제이에스비건설 폐기물 슬러지를 이용한 식생복원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시공 방법
KR102472593B1 (ko) 2022-02-25 2022-11-30 주식회사 삼오녹화 인공 녹지토 조성물
KR102572256B1 (ko) 2022-09-14 2023-08-29 정구식 미세섬유망 수용액을 이용한 식생기반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79B1 (ko) 2006-02-10 2007-07-30 강태호 단립화 개선용 인공토양혼합물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KR100733917B1 (ko) * 2006-02-11 2007-07-02 배숙희 절토 및 성토면 안정을 위한 녹화공법
KR100948083B1 (ko) * 2009-06-23 2010-03-16 (주)다원녹화건설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KR101576988B1 (ko) * 2015-07-27 2015-12-11 임만구 희토비료가 포함된 비탈면 식생기반재 조성물과 식생기반재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복원녹화공법
KR101881420B1 (ko) * 2015-07-27 2018-08-24 합자회사 가온 경사지 생태 복원을 위한 식생 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생 매트 그리고 그에 의한 경사지 생태 복원 방법
KR101624692B1 (ko) * 2015-12-29 2016-05-26 최산용 한천이 함유된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CN109006345A (zh) * 2018-07-19 2018-12-18 青岛冠中生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城市绿地的人工海绵土壤
KR102095740B1 (ko) * 2019-08-05 2020-04-02 주식회사 제이에스비건설 폐기물 슬러지를 이용한 식생복원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시공 방법
KR102472593B1 (ko) 2022-02-25 2022-11-30 주식회사 삼오녹화 인공 녹지토 조성물
KR102572256B1 (ko) 2022-09-14 2023-08-29 정구식 미세섬유망 수용액을 이용한 식생기반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gger Potential compost benefits for restoration of soils disturbed by urban development
KR100832467B1 (ko)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KR101224632B1 (ko)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haudhri et al. Investigations on the role of Suaeda fruticosa Forsk in the reclamation of saline and alkaline soils in West Pakistan plains
KR100839201B1 (ko) 사면 녹화용 식생토 조성물
KR100419583B1 (ko)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JP5185732B2 (ja) 緑化用基盤材、及び該緑化用基盤材を用いた緑化方法
CN111328641A (zh) 一种坡面裸露砒砂岩区土壤改良植草的装置及方法
KR100634569B1 (ko)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4244B1 (ko) 식물 섬유를 이용한 녹화재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화시공방법
KR200417955Y1 (ko) 법면 조경용 식생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1327A (ko) 커피박을 포함하는 녹화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186035B1 (ko)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생 기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복원공법
KR101305475B1 (ko) 죽초액을 포함하는 식생토 및 그 제조방법
KR100831938B1 (ko) 절개지 법면용 토양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423004B1 (ko) 산림표토성분 조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생표토층조성에 의한 생태복원 녹화방법
KR102335450B1 (ko) 다기능성 녹화토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KR100855318B1 (ko) 친환경 사면보호 복합식생토 조성물(gmp) 및 그제조방법
KR100950047B1 (ko) 경사면 녹화용 식생토
KR100478194B1 (ko) 경량화된 뗏장의 생산 방법
KR102472593B1 (ko) 인공 녹지토 조성물
KR960009729B1 (ko) 암절개면 녹화공법
KR20060043975A (ko) 박층의 사면녹화용 배양토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100858937B1 (ko) 친환경 반습식 녹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100513146B1 (ko) 사면 녹화용 식생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