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083B1 -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083B1
KR100948083B1 KR1020090056111A KR20090056111A KR100948083B1 KR 100948083 B1 KR100948083 B1 KR 100948083B1 KR 1020090056111 A KR1020090056111 A KR 1020090056111A KR 20090056111 A KR20090056111 A KR 20090056111A KR 100948083 B1 KR100948083 B1 KR 100948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yarn
slope
porous green
riv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각
Original Assignee
(주)다원녹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원녹화건설 filed Critical (주)다원녹화건설
Priority to KR102009005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식재용 조성물과 필라멘트사 및 종자를 하천의 비탈면에 취부하고 이후 황마와 생분해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함으로써 종자의 발아를 촉진하고, 보습, 보비력을 유지시켜 피복율이 증가되도록 하며 유수에 의한 토사유실을 방지하여 하천 및 호안에 친환경적인 생태공간이 효율적으로 조성되도록 하는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식재용 조성물과 종자를 혼합하여, 필라멘트사와 함께 비탈면에 분사 취부하는 비탈면 녹화공법에 있어서, 목질섬유, 마사토, 유기질원, 피트모스, 무기질재료를 포함하는 식재용 조성물과, 상기 식재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필라멘트사 및 종자의 혼합물 0.05 ~ 0.15중량부를 혼합하여 비탈면에 건식 또는 습식 취부한 후 식재용 조성물과 필라멘트사가 취부된 비탈면에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친환경, 다공성 그린네트, 하천, 녹화

Description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River afforesting method using porosity green net of eco-textile}
본 발명은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식재용 조성물에 종자를 혼합하고 필라멘트사와 하천의 비탈면이나 호안에 분사 취부한 후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하여 토사유실을 방지하고 우수한 녹화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까지 하천 및 호안의 토사비탈면에 적용되는 녹화공법은 종자뿜어붙이기(seed-spray), 종자매트공법 등의 여러 가지 공법이 적용되어 왔다. 종자뿜어붙이기 공법은 침식안정제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피복제(fiber), 복합비료, 착색제(M-green) 등을 종자 및 물과 함께 혼합한 것을 호스를 이용하여 단순 살포해 주는 방법으로서, 강우 또는 강풍시 토양 양분이 쓸려 내려가거나 종자유실이 발생하여 목적하는 침식방지 및 발아촉진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종자매트공법은 피복재료인 천연섬유 자체가 썩어서 섬유질 비료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매트에 의한 토양유실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척박한지역에서 천연섬유의 비료역할을 할 수 있는 기대효과가 미흡하여 발아효과 및 식생피복율이 크게 떨어진다.
즉, 이러한 종래의 하천 및 호안의 녹화공법은 건조하고 척박한 마사토지역, 자연식생의 활착이 어려운 구조물지역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최근에는 각종 유기질계 자재(예컨대, 피트모스(pitmoss), 바크퇴비, 유니비료, 이탄 등) 또는 다기능 고분자계 자재를 이용하여 녹화적용 지역에 대한 제한을 극복하고자 하였으나, 강우 또는 강풍시 여전히 슬라이딩(sliding), 세골 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비탈면과 식생 기반재와의 결합성이 결여되어 일어나는 것임에 착안하여, 비탈면과 식생 기반재와의 응집력을 상승시켜 줄 수 있는 매개체로서 능형망(PVC 코팅망)을 식생 기반재 취부층 중간에 설치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상기 능형망은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인위적으로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보다 가볍고 환경친화적인 매개체가 요구되고 있는 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재용 조성물과 필라멘트사 및 종자를 하천의 비탈면에 취부하고 이후 황마와 생분해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함으로써 종자의 발아를 촉진하고, 보습, 보비력을 유지시켜 피복율이 증가되도록 하며 유수에 의한 토사유실을 방지하여 하천 및 호안에 친환경적인 생태공간이 효율적으로 조성되도록 하는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하천이나 호안의 비탈면을 녹화공법에 있어서,
목질섬유 10~60wt%, 마사토 10~40wt%, 유기질원 1~30wt%, 피트모스 1~20wt%, 무기질재료 0.1~10w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재용 조성물과, 상기 식재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필라멘트사 및 종자의 혼합물 0.05 ~ 0.15중량부를 혼합하여 비탈면에 건식 또는 습식 취부한 후 식재용 조성물과 필라멘트사가 취부된 비탈면에 황마65~80wt%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함량이 95%이상인 생분해성수지17~40wt%를 섬유화하여 서로 교차시켜 그물망 형태로 직조한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필라멘트사는, 천연곡물에 포도당을 제거한 후 이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물을 가수분해 시켜 제조되는 100%식물성 플라스틱인 생분해성 필라멘트사 또는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의 축중합체인 여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자연분해성 수지를 섬유질로 제조한 자연분해성 필라멘트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재용 조성물, 필라멘트사 및 종자가 취부된 비탈면에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함으로써 식재용 조성물과 종자가 비탈면 하단부로 쓸려 내려오는 유실현상 및 강우 또는 강풍에 의한 침식현상을 방지해줘 식물생장에 적합한 식생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성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 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목질섬유, 마사토, 유기질원, 피트모스, 무기질재료로 이루어진 식재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필라멘트사 및 종자의 혼합물 0.05~0.15중량부 혼합하여 호안에 건식 또는 습식 취부한 후 호안에 식물생장에 적합한 식생환경을 조성하고 우수나 하천의 흐름, 강풍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는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재용 조성물과 필라멘트사 및 종자의 혼합물은 분출기를 통해 450~900m/min의 사출속도로 분사되고, 호안에 흘러내림 없이 안정적으로 취부되어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10~150mm의 두께로 취부한다.
상기 식재용 조성물은 비탈면, 호안의 녹화 공법에 사용되는 조성물로서 종자가 비탈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며 또한 양분을 공급하여 발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목질섬유 10~60wt%, 마사토 10~40wt%, 유기질원 1~30wt%, 피트모스 1~20wt%, 무기질재료 0.1~10wt%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질섬유는 코코넛이나 야자수 열매에서 추출한 후 부숙시켜 형성한 것으로, 이러한 목질섬유는 토양에서 유기질화되어 토양을 개량하고 입자간의 공극률이 높아 대기층과 토양층 사이의 통수작용으로 함수율을 조절한다.
상기 마사토는 각종암석의 풍화작용에 의해 생성된 흙으로서, 배수성이 뛰어나고 흙속의 산소 함유량이 높아 담압에 의한 식물성장을 억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기질원은 동식물을 원료로 하는 비료로서, 식물생육에 있어 중요한 성장요소인 자연생성 무기양분(N, P, K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비료 및 영양소 역할을 한다.
상기 피트모스는 퇴적된 유기물로서, 보수력 및 완충력이 좋아 토양의 중량에 의한 담압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건조한 지역에서 수분을 함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무기질재료는 토목이나 건축용의 무기질(無機質)의 결합경화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러 재료들을 교착시키는 결합제 역할을 하며, 산화철(Fe2O3),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등으로 이루어진 점토 및 석회(CaO)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러한 무기질재료는 토양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토양에 장기적인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온상압하에서 무기질재료의 수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산화칼슘은 무기질재료 교착제를 알칼리성으로 만들어 산성화된 토양을 점차적으로 중성화시킨다.
상기 필라멘트사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연분해성 필라멘트사 또는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섬유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라멘트사로 구성된다.
상기 자연분해성 필라멘트사는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의 축중합체인 여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자연분해성 수지를 섬유질로 제조하여 얻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여 얻은 백색의 필라멘 트사,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필라멘트사 등으로 구성되고, 인위적인 추출과정과 제조과정을 거쳐 생성된 것으로, 색재용 조성물이 비탈면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력을 유지시켜 주는 매개체 작용을 하고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상기 생분해성 필라멘트사는 유산이라고 하는 생체내 등에 존재하는 저분자량 화합물의 중합체로 옥수수 등과 같은 천연 곡물에 포도당을 제거한 후 이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물을 가수분해 시켜 만든 것으로 100% 식물성 플라스틱을 말한다. 식재용 조성물이 비탈면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력을 유지시켜 주는 매개체 작용을 하고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연분해성 필라멘트사 및 생분해성 필라멘트사는 종자의 발아 진행 초기 단계부터 최종 정착단계까지 필요한 인장력을 제공하고, 토양내 통기성 및 수분이동을 위한 모세관 역할을 안정적으로 하며, 생장력을 진행시키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자연분해 과정을 거쳐 자연 환경을 복원시킴으로써 생태계 파괴를 방지한다.
상기 다공성 그린네트는 파랑에 의한 사면의 쇄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안정적인 식생기반층을 유지시켜 장기적인 하천 및 호안 수변에 식생공간을 조성하며, 강우 및 하천수에 의한 식생기반재와 종자 유실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자연분해 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고 자연 환경을 복원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공성 그린네트는 황마와 생분해성수지를 섬유화하여 서로 교차시켜 그물망 형태로 직조한 네트이다.
즉 가로방향으로는 황마를, 세로방향으로는 생분해성수지를 직조하여 제조되고, 황마에 생분해성수지를 코매듭형태로 연결하여 연결된다.
한편 상기 다공성 그린네트는 황마 65~80wt%와, 생분해성수지17~40wt%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황마는 100% 천연소재를 이용하며, 생분해성수지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함량 95%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다공성 그린네트는 인장강도 10N이상, 인장신도 10%, 루프강도 10N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이러한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목질섬유 40 wt%, 마사토 25 wt%, 유기질원 20 wt%, 피트모스 10 wt% 및 무기질재료 5 wt%로 혼합한 식재용 조성물 0.040 ㎥,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섬유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라멘트사(원진산업의 PLA(Poly Latic Acid)) 26g, 및 잔디종자 20g 을 혼합한 후 코매트 분출기((주)다원녹화건설)를 이용하여 사출속도를 450m/min 으로 조작하면서 토사 비탈면(구배 2.0:1.0)에 평균 20mm의 두께로 살포하고, 그 위에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하였다. 분사 취부후 30, 60 및 90일째에 비탈면의 발아율 및 토사유출량(인공강우량 20mm/hr 기준)을 관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목질섬유 45 wt%, 마사토 25 wt%, 유기질원 15 wt%, 피트모스 10 wt% 및 무기질재료 5 wt%을 혼합한 식재용 조성물 0.040 ㎥,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섬유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라멘트사(원진산업의 PLA(Poly Latic Acid)) 26g, 및 잔디종자 20g 을 혼합한 후 코매트 분출기((주)다원녹화건설)를 이용하여 사출속도를 450m/min 으로 조작하면서 토사 비탈면(구배 2.0:1.0)에 평균 20mm의 두께로 살포하고, 그 위에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하였다. 분사 취부후 30, 60 및 90일째에 비탈면의 발아율 및 토사유출량(인공강우량 20mm/hr 기준)을 관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목질섬유 35 wt%, 마사토 25 wt%, 유기질원 25 wt%, 피트모스 10 wt% 및 무기질재료 5 wt%을 혼합한 식재용 조성물 0.040 ㎥,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섬유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라멘트사(원진산업의 PLA(Poly Latic Acid)) 26g, 및 잔디종자 20g 을 혼합한 후 코매트 분출기((주)다원녹화건설)를 이용하여 사출속도를 450m/min 으로 조작하면서 토사 비탈면(구배 2.0:1.0)에 평균 20mm의 두께로 살포하고, 그 위에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하였다. 분사 취부후 30, 60 및 90일째에 비탈면의 발아율 및 토사유출량(인공강우량 20mm/hr 기준)을 관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다공성 그린네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분사 취부하였다. 분사 취부후 30, 60 및 90일째에 비탈면의 발아율 및 토사유출량(인공강우량 20mm/hr 기준)을 관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목질섬유 40 wt%, 마사토 25 wt%, 유기질원 20 wt%, 피트모스 10 wt% 및 무기질재료 5 wt%을 혼합한 식재용 조성물 0.040 ㎥ 및 잔디종자 20g 을 혼합한 후 토사 비탈면(구배 2.0:1.0)에 평균 20mm의 두께로 살포하고, 그 위에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하였다. 분사 취부후 30, 60 및 90일째에 비탈면의 발아율 및 토사유출량(인공강우량 20mm/hr 기준)을 관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목질섬유 20 wt%, 마사토 50 wt%, 유기질원 15 wt%, 피트모스 10 wt% 및 무기질재료 5 wt%을 혼합한 식재용 조성물 0.040 ㎥,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섬유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라멘트사(원진산업의 PLA(Poly Latic Acid)) 26g, 및 잔디종자 20g 을 혼합한 후 토사 비탈면(구배 2.0:1.0)에 평균 20mm의 두께로 살포하고, 그 위에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하였다. 분사 취부후 30, 60 및 90일째에 비탈면의 발아율 및 토사유출량(인공강우량 20mm/hr 기준)을 관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구분 취부후 경과시간 30일 60일 90일
실시예1 발아율(%) 50 80 95
토사유출량(g) 17 - -
실시예2 발아율(%) 49 78 92
토사유출량(g) 18 - -
실시예3 발아율(%) 48 77 91
토사유출량(g) 18 - -
비교예1 발아율(%) 45 75 90
토사유출량(g) 48 32 28
비교예2 발아율(%) 45 75 90
토사유출량(g) 30 25 21
비교예3 발아율(%) 35 60 75
토사유출량(g) 22 - -
상기 표 1의 실시예1,2,3은 식재용 조성물, 필라멘트사 및 종자의 혼합물을 비탈면에 분사, 취부하고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30일이 경과한 상태에서 각각 50%, 49%, 48%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났고, 인공 강우에 의한 토사유출량이 초기 발아상태(분사 취부한지 30일째)에서도 각각 17g, 18g, 18g을 보인 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혀 표면침식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예1은 식재용 조성물, 필라멘트사 및 종자만의 혼합물을 비탈면에 분사, 취부한 것이고, 비교예2는 필라멘트사 없이 식재용 조성물과 종자를 사면에 취부한 후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한 것이며, 비교예3은 식재용 조성물의 마사토 혼합비를 본 발명의 마사토 혼합비 범위 이상으로 투입하여 분사한 것으로,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교예1,2는 발아율은 뛰어나나, 토사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비교예3은 토사의 유출은 발생되지 않으나 종자의 발아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자의 발아 효율이 뛰어나고, 토사유출량을 저감시켜 표면침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비탈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공법을 이용하여 비탈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공법의 시공 후 60일 경과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공법의 시공 후 90일 경과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Claims (5)

  1. 하천이나 호안의 비탈면을 녹화공법에 있어서,
    코코넛이나 야자수 열매에서 추출한 후 부숙시켜 형성한 목질섬유10~60wt%, , 마사토 10~40wt%, 유기질원 1~30wt%, 피트모스 1~20wt%, 무기질재료 0.1~10w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재용 조성물과, 상기 식재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필라멘트사 및 종자의 혼합물 0.05 ~ 0.15중량부를 혼합하여 비탈면에 건식 또는 습식 취부한 후 식재용 조성물과 필라멘트사가 취부된 비탈면에 황마65~80wt%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함량이 95%이상인 생분해성수지17~40wt%를 섬유화하여 서로 교차시켜 그물망 형태로 직조한 다공성 그린네트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사는,
    천연곡물에 포도당을 제거한 후 이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물을 가수분해 시켜 제조되는 100%식물성 플라스틱인 생분해성 필라멘트사 또는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글리콜의 축중합체인 여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자연분해성 수지를 섬유질로 제조한 자연분해성 필라멘트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KR1020090056111A 2009-06-23 2009-06-23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KR100948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11A KR100948083B1 (ko) 2009-06-23 2009-06-23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11A KR100948083B1 (ko) 2009-06-23 2009-06-23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083B1 true KR100948083B1 (ko) 2010-03-16

Family

ID=4218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111A KR100948083B1 (ko) 2009-06-23 2009-06-23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617B1 (ko) 2011-07-19 2013-01-24 김병구 폴리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복합소재를 활용한 하천 블럭형 강화 식생매트 제조방법
CN104389302A (zh) * 2014-10-30 2015-03-04 天津城建大学 一种控制砒砂岩小流域沟道泥沙输移的植物治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99A (ko) * 1998-08-12 2000-03-06 김용각 그린네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419583B1 (ko) * 2003-03-26 2004-02-19 주식회사 삼오녹화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99A (ko) * 1998-08-12 2000-03-06 김용각 그린네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419583B1 (ko) * 2003-03-26 2004-02-19 주식회사 삼오녹화 신규한 녹지토 조성물의 습식분사에 의한 녹화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617B1 (ko) 2011-07-19 2013-01-24 김병구 폴리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복합소재를 활용한 하천 블럭형 강화 식생매트 제조방법
CN104389302A (zh) * 2014-10-30 2015-03-04 天津城建大学 一种控制砒砂岩小流域沟道泥沙输移的植物治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82608A (zh) 一种植被复绿无土混合纤维喷播辅助材料、喷播材料及植被复绿施工方法
JP4824644B2 (ja) 植生緑化用固砂工法
CN103262692A (zh) 一种保水保肥的人工土壤喷播绿化方法
CN102926391A (zh) 黄土边坡生态防护方法
CN109601272B (zh) 一种矿渣、碎石质地边坡植被恢复方法
CN103053301B (zh) 一种荒山绿化技术
CN206667272U (zh) 一种植被护坡结构
KR100888230B1 (ko) 사면 자연녹화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CN101363227A (zh) 连续喷丝植生法
KR101821553B1 (ko)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구조물
CN108967120A (zh) 一种用于公路边坡生态防护的客土喷播基材混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955309A (zh) 一种用于边坡生态修复的人工海绵基质及施工方法
KR100844008B1 (ko) 활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1283514B1 (ko) 보강재와 유기식생기반재를 이용한 생태복원방법
CN101705688A (zh) 纤维束加筋加固陡边坡人工土壤的方法
KR100948083B1 (ko) 친환경 섬유인 다공성 그린네트를 이용한 하천 식생 녹화공법
KR10128227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유기물 식생자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CN113796268A (zh) 一种高海拔地区的高陡边坡植被生态修复系统及修复方法
CN113216222A (zh) 具有连通结构的绿植生态边坡防护系统及其施工方法
JP3291419B2 (ja) 注入可能な植生土壌基質及びその製法
KR100831938B1 (ko) 절개지 법면용 토양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JP2009121173A (ja) 地面被覆工及び地面被覆工法
CN110419373B (zh) 高陡岩质和砼处理坡面的植被恢复方法
KR100454720B1 (ko) 자연분해성 필라멘트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CN112753530A (zh) 山体护坡基质强化剂、山体强化护坡基质和山地边坡的强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