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3815A -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3815A
KR20150103815A KR1020140025303A KR20140025303A KR20150103815A KR 20150103815 A KR20150103815 A KR 20150103815A KR 1020140025303 A KR1020140025303 A KR 1020140025303A KR 20140025303 A KR20140025303 A KR 20140025303A KR 20150103815 A KR20150103815 A KR 20150103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retaining
retaining wall
vegetation ma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748B1 (ko
Inventor
김용각
Original Assignee
(주)다원녹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원녹화건설 filed Critical (주)다원녹화건설
Priority to KR102014002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7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3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 보강토옹벽에 관한 것으로, 옹벽블록을 축조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은 유지한 상태에서 식생기반재의 취부를 통해 옹벽의 전면에 전체적인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생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옹벽블록의 전방에 앞채움재를 많이 채워 넣을 수 있어 옹벽의 상부에서 하부로 투과되는 수분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옹벽블록의 전방에 식생매트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식생매트를 통해 식생기반재에서 발아되는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의 공급 및 뿌리의 활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다단으로 축조되는 다수의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들 사이에 설치되고 옹벽블록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옹벽블록을 지지해주는 보강재; 상기 옹벽블록의 하부면에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옹벽블록의 전방을 노출되는 다수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받쳐져 옹벽블록들의 전면에 설치되어 식생에 필요한 영양분의 공급 및 식물이 뿌리활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식생매트; 상기 옹벽블록에 설치되고 식생매트를 옹벽블록의 전면에 고정시켜주는 식생매트 고정부재; 상기 식생매트의 외측으로 설치되고 다수의 망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망; 상기 고정망 및 식생매트의 외측에 분사되어 식생이 이루어지게 하는 식생기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REINFORCED RETAINA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옹벽블록을 축조함과 동시에 옹벽블록의 전면에 식생매트의 설치 및 식생기반재를 취부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빠른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철도 및 주택단지조성 등에서 용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대규모 지반절취가 이루어지며, 특히 택지조성을 위한 지반절취시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종래에는 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였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은 단순히 옹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옹벽블록이 전면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옹벽블록의 안쪽으로 식생을 위한 공간을 구비하여 공간을 통해 식생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 하로 적층된 옹벽블록의 특성상 일부분적인 식생만이 생육될 수 있으며 이마저도 토심부족과 콘크리트의 염기성 성분에 의해 고사되는 경우가 있으며 일부분만 생육이 이루어지기에 식생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2001-007350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블록을 축조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은 유지한 상태에서 식생매트의 설치와 식생기반재의 취부를 통해 옹벽의 전면에 전체적인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생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옹벽블록과 식생매트 사이에 앞채움재인 자갈 및 토사 혼합층을 다량 채워 넣을 수 있어 옹벽의 상부에서 하부로 투과되는 수분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식생매트를 통해 식생기반재에서 발아되는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의 공급 및 뿌리의 활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다단으로 축조되는 다수의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들 사이에 설치되고 옹벽블록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옹벽블록을 지지해주는 보강재; 상기 옹벽블록의 하부면에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옹벽블록의 전방을 노출되는 다수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받쳐져 옹벽블록들의 전면에 설치되어 식생에 필요한 영양분의 공급 및 식물이 뿌리활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식생매트; 상기 옹벽블록에 설치되고 식생매트를 옹벽블록의 전면에 고정시켜주는 식생매트 고정부재; 상기 식생매트의 외측으로 설치되고 다수의 망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망; 상기 고정망 및 식생매트의 외측에 분사되어 식생이 이루어지게 하는 식생기반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은, 상부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블록몸체; 상기 블록몸체 전면의 일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매트 고정부재가 설치되기 위한 가로홈 및 상기 가로홈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세로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측벽부;를 포함 하도록 구성되고, 이웃하는 옹벽블록의 전방측벽부 사이에 앞채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측벽부의 전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식생매트가 밀착되고 수분을 흡수하며 식물이 생육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옹벽블록의 걸림홈에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끼움판; 상기 끼움판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옹벽블록의 전방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식생매트가 놓여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식생매트가 미끄러지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매트 고정부재는, 전방측벽부의 가로홈에 삽입되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의 중심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세로홈을 통해 전방측벽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핀으로 구성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의 연장핀에 결합되어 상,하에 위치한 2개의 식생매트를 가압 고정하고 일측면에는 식생매트에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끼움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사면의 전방 바닥면을 정리하고 기초를 형성하는 기초 형성단계; 상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전면 일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측벽부로 이루어진 옹벽블록을 기초의 상부에 다단으로 축조하면서 옹벽블록의 전방 및 후방에 채움재를 채워 넣되, 적어도 3개 단 마다 위치하는 옹벽블록들의 사이에 보강재를 설치하여 사면으로 연장하고, 옹벽블록의 걸림홈에 걸려지고 옹벽블록의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대를 설치하여 옹벽블록을 축조하는 옹벽블록 축조단계; 상기 받침대에 받쳐지도록 하여 옹벽블록의 전방에 다수의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식생매트 설치단계; 상기 옹벽블록에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식생매트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핀 및 고정핀에 체결되어 식생매트를 옹벽블록 방향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식생매트를 고정해주는 식생매트 고정단계; 상기 식생매트의 외측에 고정망을 설치하고, 고정망 위에 식생기반재를 분사하여 취부하는 식생기반재 취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측벽부의 상부면에 가로홈 및 가로홈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개구되는 세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가로홈에 설치되는 걸림핀과, 걸림핀의 중심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세로홈을 통해 전방측벽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핀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통해 식생매트를 가압 고정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 축조단계에서의 받침대는, 걸림홈에 걸려지게 되는 끼움판과, 상기 끼움판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옹벽블록의 전방 외측으로 노출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식생매트가 미끄러지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옹벽의 구조적인 부분은 옹벽블록 및 보강재를 이용하여 안정화시키고, 식생기반재를 취부하여 옹벽블록의 외측에 전체적인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 콘크리트 보강토 블록으로 하락된 경관을 개선시키고 환경 친화적인 식생을 도입하여 생태계를 복원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대 및 식생매트 고정수단을 통해 옹벽블록의 전면에 식생매트가 설치됨으로써 식물이 발아되며 식생기반재의 양분을 1차적으로 섭취하게 되고 식생매트를 통해 2차적인 양분을 섭취하게 된다. 또한 식생매트 뒷면으로 놓인 자갈층과 토사를 통해 3차적인 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체계적인 단계를 통해 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며 뿌리 활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코코넛섬유로 제작된 식생매트는 우기시 수분을 함유하여 건기시에도 일정 기간동안 수분을 공급하기에 식물의 생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옹벽블록의 전방측벽부 사이에 앞채움재인 자갈과 토사를 혼합하여 채워줌으로써 수분의 투과 후 식생매트로의 수분전달 및 식생의 뿌리가 앞채움재까지 뻗어나와 수분을 흡입할 수 있도록하여 식생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보강토옹벽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옹벽블록의 축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블록에 식생매트 고정부재 및 받침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보강토옹벽의 시공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보강토 옹벽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보강토옹벽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면의 전방에 다단으로 축조되는 다수의 옹벽블록(100)과, 상기 옹벽블록(100)들의 사이에 설치되고 옹벽블록(100)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옹벽블록(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보강재(700)와, 상기 옹벽블록(100)의 하부면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옹벽블록(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받침대(300)와, 상기 받침대(300)에 받쳐져 옹벽블록(100)들의 전면에 설치되고 식생에 필요한 영양분의 공급 및 식물의 뿌리 활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매트(200)와, 상기 옹벽블록(100)에 설치되고 식생매트(200)를 옹벽블록(100)의 전면에 고정시켜주는 식생매트 고정부재(400)와, 상기 식생매트(200)의 외측으로 설치되고 다수의 망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망(500)과, 상기 고정망(500) 및 식생매트(200)의 외측에 분사되어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생기반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옹벽블록(100)은, 보강토 옹벽이 구조적인 안정성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다단으로 적층되고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블록몸체(110)와, 상기 블록몸체(110)의 전면 일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측벽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옹벽블록(100)을 축조할 경우 좌, 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옹벽블록(100)의 전방측벽부(120) 사이에 잡석과 토사가 혼합된 앞채움재(130)를 채워 넣어 옹벽의 상부에서의 물이 하부방향으로 용이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옹벽블록(100)은 전방측벽부(120)를 일측에만 형성됨으로써 앞채움재(130)의 채움공간이 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앞채움재(130)의 채움량이 증가되어 물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에는 걸림돌기(112)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12)에 대응되는 걸림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옹벽블록(100)의 축조시,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100)의 걸림돌기(112)에 상부에 축조되는 옹벽블록(100)의 걸림홈(111)이 삽입되도록 축조함으로써 상,하 옹벽블록(100)들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축조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112)는 걸림홈(111)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하로 축조되는 옹벽블록(100)이 일정한 거리만큼 후방으로 후퇴되면서 축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방측벽부(120)의 상부면에는 식생매트 고정부재(400)를 설치하기 위한 가로홈(121) 및 상기 가로홈(121)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세로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강토의 마감부 시공은 옹벽블록(100)의 전방측벽부(120)가 블록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블록으로 마감처리 한다.
한편 상기 옹벽블록(100)의 전방측벽부(120)는, 상기 식생매트가 식생에 유리한 조건으로 빗물을 머금을 수 있도록 경사면(133)을 형성한다.
즉 옹벽블록(100)의 축조시 옹벽블록(100)이 후퇴되면서 다단으로 축조되기 때문에 식생매트(200) 또한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이때 식생매트(200)의 경사각에 맞게 전방측벽부(120)에 경사면(133)을 형성하여 식생매트(200)가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보강재(700)는 통상의 지오그리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옹벽블록(100)들 사이에서 걸림돌기(112)에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옹벽블록(100)을 지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300)는 옹벽블록(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홈(111)에 걸려지게 되는 끼움판(320)과, 상기 끼움판(320)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옹벽블록(100)의 전방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식생매트(200)가 놓여지게 되는 받침판(310)과, 상기 받침판(310)의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식생매트(200)가 미끄러지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판(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330)은 끼움판(320)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여 식생매트(20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판(330)에 의해 식생매트(2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식생매트(200)는 코코넛섬유와 같은 자연성분의 섬유로 제작되어 유해 물질에 전혀 없으며 내부에 식물생장에 도움이 되는 코코피트를 원료로 한 개량자재를 삽입 후 압축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식생매트(200)는 상기 받침대(300)를 통해 옹벽블록(1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의 공급 및 뿌리의 활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수분함유량이 높아 건기시에도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식생매트 고정부재(400)는, 옹벽블록(100)의 전방측벽부(120)에 형성된 가로홈(121)에 삽입되어 걸려지게 되는 걸림핀(411)과, 상기 걸림핀(411)의 중심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세로홈(122)을 통해 전방측벽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핀(412)으로 이루어진 고정핀(410)과, 상기 고정핀(410)의 연장핀(412)에 결합되어 상,하에 위치한 2개의 식생매트(200)를 가압 고정하는 고정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연장핀(412)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420)이 연장핀(4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장핀(412)에 너트(413)를 체결하여 고정판(420)을 고정해주게 된다.
상기 고정판(420)의 일측면에는 요철부를 더 형성하여 식생매트의 외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식생매트를 견고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는 끼움핀(421)을 형성하여 끼움핀(421)이 식생매트(200)에 삽입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하로 이웃하는 식생매트(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망(500)은 식생기반재(600)의 취부시 식생기반재(600)가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인 취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망눈이 형성된 통상의 PVC철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생기반재(600)는 종자가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며 종자에 양분을 공급하여 발아되도록 하면서 지속적인 식생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식생기반재는, 토탄, 펄라이트, 유기질원, 마사토, 화이바, 제올라이트, 규조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식생기반재의 취부시에는 종자 및 친환경 장섬유를 함께 취부하게 되고, 친환경 장섬유에 의해 식생기반재의 유실이 방지되면서 우수한 녹화품질을 발휘하게 되어, 경제적인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종자는 소나무, 참싸리, 낭아초, 땅비싸리, 비수리, 자주개자리, 금계국, 기생초, 유채, 토끼풀, 메밀, 벌노랑이, 페레니얼라이그라스, 크리핑레드훼스큐, 오챠드그라스, 위핑러브그라스 등 다양한 종자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생 보강토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시공하고자 하는 사면의 전방 바닥면을 정리하고 기초(10)를 형성한다.
이후 기초의 상부에 상기 옹벽블록(100)을 서로 엇갈리도록 다단으로 축조하되, 적어도 2개 단 마다 위치하는 옹벽블록(100)에 받침대를 설치하면서 옹벽블록(100)을 축조하는 옹벽블록(100) 축조한다.
이후 받침대(300)의 지지판(330)에 받쳐지도록 하여 옹벽블록(100)의 전방에 다수의 식생매트(200)를 설치한다.
이후 식생매트 고정부재(400)를 이용하여 상, 하에 위치하는 식생매트(200)를 옹벽블록(100)에 고정해준다.
이후 식생매트(200)의 와 옹벽블록(100)의 사이 빈공간에 자갈과 토사를 혼합한 채움재를 채워준다.
이후 식생매트(200)의 전면에 고정망(500)을 설치하고, 고정망(500) 위에 식생기반재(600)를 취부하여 완료된다.
상기 기초(10)를 형성하는 과정은 옹벽블록(100)들이 침하되지 않도록 바닥면에 잡석을 채워 넣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옹벽블록(100)을 축조하는 과정은, 하부에 위치한 상부에 위치한 옹벽블록(100)의 걸림홈(111)이 하부에 위치한 옹벽블록(100)의 걸림돌기(112)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 하에 축조되는 옹벽블록(100)이 서로 맞물리면서 축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옹벽블록(100)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옹벽블록(100)의 후면을 뒤채움재(30)로 뒤채움하고 옹벽블록(100)의 전방측벽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채움공간에 앞채움재(130)를 채워 넣으면서 축조한다.
또한 상, 하에 위치하는 옹벽블록(100)들의 사이에 보강재(700)를 설치하여 옹벽사면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다.
한편 받침대(300)는 옹벽블록(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홈(111)에 받침대(300)의 끼움판(320)이 걸려지도록 설치하고 지지판(330)이 전방측벽부(120)의 전방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식생매트(20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100)의 최상단에는 덮개블록(140)을 설치하여 옹벽블록(100)의 상단부를 마감해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록(100)의 후방을 뒤채움할 경우에, 지면 최하단부 옹벽블록(100)의 후방에 유공관(20)을 설치하여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식생매트(200)는 받침대(300)의 지지판(330)에 걸려지도록 설치하여 옹벽블록(100)의 전방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식생매트 고정부재(400)는 전방측벽부(120)의 가로홈(121) 및 세로홈(122)에 끼워지도록 고정핀(410)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핀(410)의 연장핀(412)에 고정판(420)을 체결한 후 연장핀(412)에 너트(430)를 체결하여 고정판(420)을 고정해 주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420)에 형성된 끼움핀(421)이 식생매트(200)에 삽입되어 상, 하에 위치하는 식생매트(200)를 동시에 가압 고정해주게 된다. 또한 요철부가 식생매트(200)의 외면에 밀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식생매트(200)를 고정해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생기반재(600)는 생분해성 장섬유를 포함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하여 사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취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옹벽의 구조적인 부분은 옹벽블록(100) 및 보강재(700)를 이용하여 안정화시키고, 식생기반재(600)를 취부하여 옹벽블록(100)의 외측에 전체적으로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식생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받침대(300) 및 식생매트 고정수단(400)을 통해 옹벽블록(100)의 전면에 식생매트(200)를 설치함으로써 식생기반재(600)를 통해 식생되는 식물에 영양분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식물의 뿌리가 자라나는 공간을 제공해주게 된다.
또한 식생매트(200)가 수분을 함유하여 건기시에도 일정 기간동안 식물의 식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옹벽블록(100)의 전방측벽부(120) 사이에 앞채움재(130)를 채워 넣어 수분의 투과 및 식생매트(200)로의 수분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식생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기초 (20) : 유공관
(30) : 뒤채움재 (100) : 옹벽블록
(110) : 블록몸체 (111) : 걸림홈
(112) : 걸림돌기 (120) : 전방측벽부
(121) : 가로홈 (122) : 세로홈
(133) : 경사면 (130) : 앞채움재
(140) : 덮개블록 (200) : 식생매트
(300) : 받침대 (310) : 받침판
(320) : 끼움판 (330) : 지지판
(400) : 식생매트 고정부재 (410) : 고정핀
(411) : 걸림핀 (412) : 연장핀
(413) : 너트 (420) : 고정판
(421) : 끼움핀
(430) : 너트 (500) : 고정망
(600) : 식생기반재 (700) : 보강재

Claims (8)

  1. 다단으로 축조되는 다수의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들 사이에 설치되고 옹벽의 안정성을 확보해주는 보강재;
    상기 옹벽블록의 하부면에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옹벽블록의 전방을 노출되는 다수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받쳐져 옹벽블록들의 전면에 설치되어 식생에 필요한 영양분의 공급 및 식물이 뿌리활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식생매트;
    상기 옹벽블록에 설치되고 식생매트를 옹벽블록의 전면에 고정시켜주는 식생매트 고정부재;
    상기 식생매트의 외측으로 설치되고 다수의 망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망;
    상기 고정망 및 식생매트의 외측에 분사되어 식생이 이루어지게 하는 식생기반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은,
    상부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블록몸체;
    상기 블록몸체 전면의 일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매트 고정부재가 설치되기 위한 가로홈 및 상기 가로홈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세로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측벽부;를 포함 하도록 구성되고,
    이웃하는 옹벽블록의 전방측벽부 사이에 자갈과 토사를 혼합한 앞채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벽부의 전면에 경사면을 더 형성하여 상기 식생매트가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옹벽블록의 걸림홈에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끼움판;
    상기 끼움판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옹벽블록의 전방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식생매트가 놓여지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식생매트가 미끄러지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 고정부재는,
    전방측벽부의 가로홈에 삽입되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의 중심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세로홈을 통해 전방측벽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핀으로 구성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의 연장핀에 결합되어 상,하에 위치한 2개의 식생매트를 가압 고정하고 일측면에는 식생매트에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끼움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
  6. 시공하고자 하는 사면의 전방 바닥면을 정리하고 기초를 형성하는 기초 형성단계;
    상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전면 일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방측벽부로 이루어진 옹벽블록을 기초의 상부에 다단으로 축조하면서 옹벽블록의 전방 및 후방에 채움재를 채워 넣되, 적어도 2개의 단 마다 위치하는 옹벽블록들의 사이에 보강재를 설치하여 배면으로 연장하고, 옹벽블록의 걸림홈에 걸려지고 옹벽블록의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대를 설치하여 옹벽블록을 축조하는 옹벽블록 축조단계;
    상기 받침대에 받쳐지도록 하여 옹벽블록의 전방에 다수의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식생매트 설치단계;
    상기 옹벽블록에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식생매트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핀 및 고정핀에 체결되어 식생매트를 옹벽블록 방향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식생매트를 고정해주는 식생매트 고정단계;
    상기 식생매트의 외측에 고정망을 설치하고, 고정망 위에 식생기반재를 분사하여 취부하는 식생기반재 취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벽부의 상부면에 가로홈 및 가로홈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개구되는 세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가로홈에 설치되는 걸림핀과, 걸림핀의 중심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세로홈을 통해 전방측벽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핀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통해 식생매트를 가압 고정하는 특징으로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 축조단계에서의 받침대는, 걸림홈에 걸려지게 되는 끼움판과, 상기 끼움판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옹벽블록의 전방 외측으로 노출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식생매트가 미끄러지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20140025303A 2014-03-04 2014-03-04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60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303A KR101605748B1 (ko) 2014-03-04 2014-03-04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303A KR101605748B1 (ko) 2014-03-04 2014-03-04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815A true KR20150103815A (ko) 2015-09-14
KR101605748B1 KR101605748B1 (ko) 2016-03-24

Family

ID=5424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303A KR101605748B1 (ko) 2014-03-04 2014-03-04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417A (zh) * 2019-06-21 2019-10-11 岳阳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绿色无污染的建筑工程用挡土墙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053A (ko) 2019-02-21 2020-08-31 이양석 조립식 식생틀을 이용한 식생 보강토옹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092A (ko) * 2005-11-28 2005-12-20 이상기 식생 녹화 보강토옹벽의 축조 공법
KR101197247B1 (ko) * 2010-01-25 2012-11-05 최선호 전면식생을 고려한 식생블록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417A (zh) * 2019-06-21 2019-10-11 岳阳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绿色无污染的建筑工程用挡土墙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748B1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4073B2 (en) Water-permeable ground grid for pavings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1421111B1 (ko) 습지식물의 근경을 이용한 부유형 매트의 제조방법 및 조성방법
KR101337425B1 (ko)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105178337A (zh) 一种植生槽与挂网喷播组合的边坡生态防护方法
JP2014117189A (ja) 樹木栽培方法
KR102051838B1 (ko) 엠보싱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1605748B1 (ko)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51345A (ko)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0945473B1 (ko) 지면 보호용 식생블록 구조물 및 이 식생블록 구조물의 현장 타설 방법
KR101250304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1029317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1116242B1 (ko) 벽면 속성 녹화 공법
KR100841978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101244804B1 (ko)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KR101577972B1 (ko) 게비온 철망용 식생블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090053751A (ko)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200384467Y1 (ko) 축조블록
JPH08120693A (ja) 擁 壁
KR101104956B1 (ko) 식생블록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