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804B1 -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 Google Patents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804B1
KR101244804B1 KR1020120070733A KR20120070733A KR101244804B1 KR 101244804 B1 KR101244804 B1 KR 101244804B1 KR 1020120070733 A KR1020120070733 A KR 1020120070733A KR 20120070733 A KR20120070733 A KR 20120070733A KR 101244804 B1 KR101244804 B1 KR 10124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taining wall
gravel layer
inclined wall
friendly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선
Original Assignee
(주)대한지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지오이엔씨 filed Critical (주)대한지오이엔씨
Priority to KR102012007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절취면에 일체로 시공되어지는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에 있어서, 상기 복합식 옹벽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이 가압부에 의하여 지반절취면에 맞대어져 콘크리트로 매립되어 경사벽체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가압부는 천공홀에 삽입된 지지철근이 그라우팅재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지지철근의 단부에 숫나사를 형성하여 스트랜드를 갖는 연결대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트랜드가 인너가압판과 아우터가압판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하여 아우터가압판의 가압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인너가압판과 아우터가압판 사이에 강화연결대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강화연결대에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이 묶여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네일합벽이 가압부에 의하여 지반철취면에 맞대어지게 시공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절취된 지반이 안정화되어지도록 하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경사벽체의 하부로 식재공간부를 갖는 직립벽체로 이루어진 식재부가 구비되어지도록 하여 초목이 자라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초목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Retaining Law Carbon Eco-friendiy Wall}
본 발명은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사벽체가 가압부에 의하여 지반절취면에 일체로 맞대어져 시공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철도 및 주택단지조성 등에서 용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대규모 지반절취가 이루어지며, 특히 택지조성을 위한 지반절취시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옹벽은 중력식, 반중력식, 역T형식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자중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높이에 따라 옹벽 높이의 약60~70% 정도 길이의 기초가 설치되는데, 옹벽의 앞굽을 제외하더라도 옹벽 높이의 50%이상 배면부지의 터파기가 요구되고, 옹벽 구축이 완성된 후에는 되메우기 작업이 뒤따라야 하는 바, 작업량이 많아짐은 물론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역T형식의 옹벽인 경우, 현장여건상 옹벽 배면의 터파기가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제안된 것이 역L형식 옹벽이나, 이러한 역L형 식 옹벽은 자체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옹벽 배면이 경사진 경우는 옹벽의 전도침하를 일으키지 않도록 토압지지공법과 병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 제698758(2007.03.16)호의 네일보강 합벽식 옹벽 및 그 구축방법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옹벽은 네일링 공법에 의해 일단부가 지반에 정착되면서 타단부가 지반 절취면 표면으로 돌출되는 네일; 상기 네일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네일 주변부의 지반 절취면 표면을 누르면서 네일에 고정되는 지압판;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이 교차 배근되는 것으로 돌출된 네일 타단부에 걸쳐지도록 배치되는 철근망; 및 돌출된 네일의 타단부, 철근망 및 지압판이 매설되도록 타설 양생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졌으나,단순한 콘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으로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지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재공간부가 없어 초목이 자라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주변경관과 부조화를 이루게 되는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옹벽의 하부에 식재부가 구비되어지도록 할 경우, 외부로부터 별도로 제작된 식재부를 갔다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동시에 식재부에 심겨진 초목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네일합벽이 가압부에 의하여 지반철취면에 맞대어지게 시공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네일합벽의 하부에 별도의 식재부가 구비되어지도록 하지 않고, 네일합벽을 구성하는 경사벽체의 하부에 직립벽체로 이루어진 식재부가 일체로 구비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식재부에서 초목이 용이하기 자라나도록 하여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물이 계속 공급됨에 따라 초목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물공급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반절취면에 일체로 시공되어지는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A)에 있어서, 상기 복합식 옹벽(A)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배근된 철근(10)이 가압부(20)에 의하여 지반절취면(31)에 맞대어져 콘크리트(32)로 매립되어 경사벽체(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가압부(20)는 천공홀(21)에 삽입된 지지철근(22)이 그라우팅재(23)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지지철근(22)의 단부에 숫나사(221)를 형성하여 스트랜드(241)를 갖는 연결대(24)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트랜드(241)가 인너가압판(25)과 아우터가압판(26)을 관통하여 너트(N)에 의하여 아우터가압판(26)의 가압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인너가압판(25)과 아우터가압판(26) 사이에 강화연결대(27)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강화연결대(27)에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배근된 철근(10)이 묶여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화연결대(27)는 스터드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터드의 끝이 아우터 가압판(26)을 관통하여 너트(N)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벽체(30)의 하부에 식재부(4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식재부(40)는 경사벽체(30)의 하부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직립벽체(41)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벽체(30)의 저면과 직립벽체(41)의 배면 사이에 식재공간부(4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식재공간부(42)의 하부에 자갈층(43)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자갈층(43)의 상부에 토사층(44)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자갈층(43)의 상부로 위치된 경사벽체(30)에 지하수 유입홀(45)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자갈층(43)의 하부로 위치된 직립벽체(41)의 하부에 배수홀(411)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공간부(42)는 내부에 자갈층(43)과 토사층(44)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물공급유도부(46)가 매립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공간부(42)는 자갈층(43)의 상부와 토사층(44)의 하부 사이에 부직포 또는 그리드로 이루어진 토사유실방지부(47)가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재공간부(42)는 자갈층(43)의 하부에 물유실억제부(48)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물유실억제부(48)는 스폰지 또는 부직포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재공간부(42)는 자갈층(43)이 구비된 직립벽체(41)의 배면에서 배수홀(411)까지 배수관(49)이 연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네일합벽이 가압부에 의하여 지반철취면에 맞대어지게 시공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절취된 지반이 안정화되어지도록 하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반절취면에 일체로 시공되어지는 경사벽체의 하부로 식재공간부를 갖는 직립벽체로 이루어진 식재부가 구비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직립벽체로 이루어진 네일합벽의 하부에 초목이 자라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경사벽체의 하부에 직립벽체로 이루어진 식재부가 일체로 구비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식재부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경사벽체의 배면으로부터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초목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물공급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의 하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의 가압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의 가압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A)은 지반절취면(31)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절취된 지반절취면(31)에 소정 두께를 가지며 일체로 시공되어지는 것으로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배근된 철근(10)이 가압부(20)에 의하여 지반절취면(31)에 맞대어져 콘크리트(32)로 매립되어 양생되어진 경사벽체(30)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경사벽체(30)의 하부에 본 발명의 특징인 식재부(40)가 일체로 구비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20)는 철근(10)을 포함하는 경사벽체(30)가 외부로부터 지반절취면(31)을 향하여 일정한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지반과 일체화되어 지반절취면(31)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20)는 지반절취면(31)에서 지반속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천공홀(21)에 삽입된 지지철근(22)이 그라우팅재(23)에 의하여 상기 천공홀(21)의 내부에서 고정되어지고, 상기 지지철근(22)의 단부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숫나사(221)가 형성되어 스트랜드(241)를 갖는 연결대(24)가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랜드(241)는 너트(N)의 조임력에 의하여 가압부(20)를 구성하는 인너가압판(25)이 지반절취면(31)으로 가압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연결대(24)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철근(22)의 단부에 형성된 숫나사(221)에 나사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스트랜드(241)는 인너가압판(25)과 아우터가압판(26)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노출된 스트랜드(241)에 결합된 너트(N)가 아우터가압판(26)을 가압할 수 있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아우터가압판(26)의 내측으로 강화연결대(27)가 인너가압판(25)에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철근(10)이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배근되어짐과 동시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32)가 양생 경화되어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강화연결대(27)는 스터드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터드의 끝이 아우터 가압판(26)을 관통하여 너트(N)로 결합되어짐으로써, 아우터가압판(26)과 인너가압판(25)이 항상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재부(40)는 초목이 식재되어질 수 있는 공간이 경사벽체(30)의 하부에 일체로 시공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경사벽체(30)의 하부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직립벽체(41)가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경사벽체(30)의 저면과 직립벽체(41)의 배면 사이에 식재공간부(42)가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재공간부(42)의 하부에는 자갈층(43)이 구비되어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지고, 상기 자갈층(43)의 상부에는 토사층(44)이 구비되어 초목의 뿌리가 안정되게 활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갈층(43)의 상부로 위치된 경사벽체(30)에 지하수 유입홀(45)이 형성되어 지반절취면(31)의 내부로부터 유출되어지는 물이 식재공간부(43)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갈수기에 초목(60)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갈층(43)의 하부로 위치된 직립벽체(41)의 하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배수홀(411)이 형성되어 식재공간부(42)로 공급된 물이 직립벽체(41)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재공간부(42)의 내부에는 자갈층(43)과 토사층(44)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물공급유도부(46)가 매립된 상태로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토사층(44)의 상부로 식재된 초목(60)의 뿌리 부근까지 물이 용이하게 공급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재공간부(42)의 내부로 구비된 자갈층(43)의 상부와 토사층(44)의 하부 사이에는 토사유실방지부(47)가 삽입되어 토사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토사유실방지부(47)는 부직포 또는 그리드로 이루어져 미세한 토사까지 자갈층(43)을 통해 물과 함께 배수홀(411)로 배수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재공간부(42)의 내측 하부로 구비된 자갈층(43)의 하부에는 스폰지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물유실억제부(48)가 형성되어 식재공간부(42)로 유입된 물이 그대로 외부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느 정도의 물이 식재공간부(42)의 내부에 잔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재공간부(42)의 내부로 구비된 자갈층(43)의 전면 즉, 직립벽체(41)의 배면에는 소정 공간을 갖는 배수홀(411)이 직립벽체(41)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홀(411)까지 연결되어지는 배수관(49)이 형성되어져 있음으로써, 우천시 경사벽체(30)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토사층(44)에 스며들어 토사유실방지부(47)와 자갈층(43)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수되어지는 시간적인 여유가 없을 경우, 자갈층(43)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배수홀(411)을 통해 배수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A)은 먼저, 지반절취면(31)에 형성된 천공홀(21)에 지지철근(22)이 삽입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그라우팅재(23)가 주입되어 경화됨에 따라 지지철근(22)이 시공되어지게 된다.
다음, 지반절취면(31)으로 노출된 숫나사(221)에 스트랜드(241)에 형성된 연결대(24)의 암나사를 나사결합시킨 후 스트랜드(241)에 인너가압판(25)가 아우터가압판(26)을 끼우고, 아우터가압판(26)을 관통하여 노출된 스트랜드(241)에 너트(N)를 조여 가압부(20)의 인너가압판(25)이 지반절취면(31)의 표면에 맞닿아 항상 가압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 가압부(20)에 형성된 강화연결대(27)에 철근(10)이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배근되어진 후 미도시한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32)가 타설 경화되어 경사벽체(30)가 형성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경사벽체(30)의 하부인 배면측 즉, 지반절취면(31)의 내부로는 경사진 형태를 갖는 지하수유입홀(45)이 천공되어지도록 하고, 경사벽체(30)의 하부인 전면측에는 수직인 형태를 갖는 직립벽체(41)가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직립벽체(41)의 배면과 경사벽체(30)의 하측 전면 사이로 소정의 식재공간부(42)가 형성되어 경사벽체(30)의 하부에 식생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다음, 식재공간부(42)의 하부로 물유실억제부(48)가 형성되어지도록 한 후 물유식억제부(48)의 상부로 소정 두께를 갖는 자갈층(43)이 형성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자갈층(43)의 상부로 토사유실방지부(47)가 덮혀지도록 한 후 토사층(44)이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이어 초목이 토사층(44)에 식재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경사벽체(30)의 하부로 형성되어진 식재부(40)에 초목이 식재되어지게 된다.
A:복합식 옹벽 10:철근
20:가압부 21:천공홀
22:지지철근 23:그라우팅재
24:연결대 25:인너가압판
26:아우터가압판 27:강화연결대
30:경사벽체 31:지반절취면
32:콘크리트 221:숫나사
241:스트랜드

Claims (7)

  1. 지반절취면에 일체로 시공되어지는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A)에 있어서,
    상기 복합식 옹벽(A)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배근된 철근(10)이 가압부(20)에 의하여 지반절취면(31)에 맞대어져 콘크리트(32)로 매립되어 경사벽체(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가압부(20)는 천공홀(21)에 삽입된 지지철근(22)이 그라우팅재(23)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지지철근(22)의 단부에 숫나사(221)를 형성하여 스트랜드(241)를 갖는 연결대(24)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트랜드(241)가 인너가압판(25)과 아우터가압판(26)을 관통하여 너트(N)에 의하여 아우터가압판(26)의 가압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인너가압판(25)과 아우터가압판(26) 사이에 강화연결대(27)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강화연결대(27)에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배근된 철근(10)이 묶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연결대(27)는 스터드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터드의 끝이 아우터 가압판(26)을 관통하여 너트(N)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체(30)의 하부에 식재부(4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식재부(40)는 경사벽체(30)의 하부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직립벽체(41)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벽체(30)의 저면과 직립벽체(41)의 배면 사이에 식재공간부(4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식재공간부(42)의 하부에 자갈층(43)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자갈층(43)의 상부에 토사층(44)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자갈층(43)의 상부로 위치된 경사벽체(30)에 지하수 유입홀(45)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자갈층(43)의 하부로 위치된 직립벽체(41)의 하부에 배수홀(411)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간부(42)는 내부에 자갈층(43)과 토사층(44)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물공급유도부(46)가 매립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간부(42)는 자갈층(43)의 상부와 토사층(44)의 하부 사이에 부직포 또는 그리드로 이루어진 토사유실방지부(47)가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간부(42)는 자갈층(43)의 하부에 물유실억제부(48)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물유실억제부(48)는 스폰지 또는 부직포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간부(42)는 자갈층(43)이 구비된 직립벽체(41)의 배면에서 배수홀(411)까지 배수관(49)이 연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KR1020120070733A 2012-06-29 2012-06-29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KR10124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733A KR101244804B1 (ko) 2012-06-29 2012-06-29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733A KR101244804B1 (ko) 2012-06-29 2012-06-29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804B1 true KR101244804B1 (ko) 2013-03-18

Family

ID=4818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733A KR101244804B1 (ko) 2012-06-29 2012-06-29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8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1481A (zh) * 2018-04-25 2018-09-18 金海珍 一种垂直绿化种植架
KR20180103460A (ko) * 2017-03-10 2018-09-19 (주)대한지오이엔씨 식생틀이 구비된 기능성 식생 에코 옹벽
CN108560914A (zh) * 2018-05-29 2018-09-2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构筑无锚钉砼挡墙的大模板支撑结构拆除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758B1 (ko) 2005-10-18 2007-03-22 김재선 네일보강 합벽식 옹벽 및 그 구축방법
KR20100094139A (ko) * 2009-02-18 2010-08-26 케이앤씨컨설턴트 주식회사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997229B1 (ko) 2008-01-15 2010-11-29 김경희 다단 주입관과 벽체패널을 이용한 사면 보호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45019B1 (ko) 2009-03-06 2011-06-30 문희정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758B1 (ko) 2005-10-18 2007-03-22 김재선 네일보강 합벽식 옹벽 및 그 구축방법
KR100997229B1 (ko) 2008-01-15 2010-11-29 김경희 다단 주입관과 벽체패널을 이용한 사면 보호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94139A (ko) * 2009-02-18 2010-08-26 케이앤씨컨설턴트 주식회사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045019B1 (ko) 2009-03-06 2011-06-30 문희정 블록식 옹벽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460A (ko) * 2017-03-10 2018-09-19 (주)대한지오이엔씨 식생틀이 구비된 기능성 식생 에코 옹벽
KR101956078B1 (ko) * 2017-03-10 2019-06-27 (주)대한지오이엔씨 식생틀이 구비된 기능성 식생 에코 옹벽
CN108541481A (zh) * 2018-04-25 2018-09-18 金海珍 一种垂直绿化种植架
CN108560914A (zh) * 2018-05-29 2018-09-2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构筑无锚钉砼挡墙的大模板支撑结构拆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374B1 (ko) 절취사면의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 및 강봉네일링에의한 사면보강시공법
CN113250213B (zh) 一种针对土石混合边坡具有灌溉功能的护坡结构及构建方法
CN109594567A (zh) 一种锚喷防护岩石边坡生态防护结构布置及其方法
KR101244804B1 (ko)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1244808B1 (ko) 보강합벽을 이용한 에코네일 합벽옹벽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1019776B1 (ko)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KR101364586B1 (ko) 그리드 네일링 사면보강공법용 네일 조립체, 보강시설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 네일링 사면보강공법
CN208415279U (zh) 土木工程用护坡防水土流失结构
KR101250499B1 (ko)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44810B1 (ko) 식생기반재를 사용한 친환경 옹벽
KR100549498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럭의 설치구조
CN210341948U (zh) 一种园林生态护坡
CN208956593U (zh) 一种基于现浇生态护坡的植物浇灌装置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KR101818117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CN107268642B (zh) 边坡加固综合构造和施工方法
JP4543139B2 (ja) 集合住宅等のバルコニーに敷設する立体庭園
KR100893789B1 (ko) 식생옹벽
KR20010025308A (ko) 섬유대와 네일링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사면보강방법
CN217027148U (zh) 一种高陡岩质边坡蓄排灌生态护坡结构
KR20150103815A (ko) 식생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08691316A (zh) 一种坡面构造板及护坡结构
KR100929366B1 (ko) 목재생태블록 및 목재생태블록을 이용한 법면공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