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751A -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 Google Patents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751A
KR20090053751A KR1020087031905A KR20087031905A KR20090053751A KR 20090053751 A KR20090053751 A KR 20090053751A KR 1020087031905 A KR1020087031905 A KR 1020087031905A KR 20087031905 A KR20087031905 A KR 20087031905A KR 20090053751 A KR20090053751 A KR 20090053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ontents
greening
nail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순 창
Original Assignee
유순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순 창 filed Critical 유순 창
Priority to KR102008703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3751A/ko
Publication of KR20090053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방의 비탈 표면에 깔아 설치하는 내용물 자루, 해당 내용물 자루에 채워 넣을 충전재 및 견인못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내용물 자루에는 식물 씨앗과 해당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충전재를 채워 넣고, 상기 충전재 및 식물 씨앗이 채워진 완성된 내용물 자루를 제방의 비탈 표면에 깔아 놓은 후, 견인못을 내용물 자루를 관통하여 땅에 박아 내용물 자루가 비탈 표면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비탈을 보호하는 효과와 동시에 녹지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탈 표면, 내용물 자루, 충전재, 견인못, 식물 씨앗, 연결부품, 돌출걸림부, 판 구멍

Description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A PLANTING SLOPE STRUCTURE}
본 발명은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안정적으로 비탈을 보호하면서도 녹지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탈진 제방을 보호할 때 사용하는 구조는 시멘트, 돌, 철근, 모래 또는 흙 등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공방식은 비교적 복잡하여 보통 인력으로 우선 형판을 고정한 후에야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야만 원하는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방법으로 작업을 완성한 후, 다시 식물을 심어서 녹지화 시공을 해야만 제방 비탈의 토양이 빗물에 씻겨 흘러 내리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콘크리트를 사용한 방식은 물이 스며들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별도로 배수 시설을 설치해 배수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배수 시설 역시 돌이나 모래 등으로 인해 종종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여 배수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심지어 비탈의 토양 내의 수분을 증가시켜 더욱 심각하게 토석류를 발생시키거나 비탈 구조 자체를 망가뜨리는 결과 를 초래하기도 한다.
상기된 내용을 종합하면, 기존에 사용하는 방식은 시공 과정이 복잡하고, 작업량이 방대하며, 많은 노력과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를 사용하므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고 미관을 해칠 수도 있으며 쉽게 망가질 수 있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는 방식은 종종 생태계를 파괴시키기도 하고, 주변의 기온을 상승시키며, 소음을 높이고, 녹지화 효과도 적어 시장성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종전의 구조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목적은 비탈 상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보호 및 시각적 효과의 목적을 동시에 얻으며, 또한 안정적으로 비탈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녹지형의 비탈진 제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채택하였다.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우선 제방의 비탈 표면에 깔아 설치하는 내용물 자루, 해당 내용물 자루에 채워 넣을 충전재, 식물 씨앗 및 견인못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내용물 자루에는 식물 씨앗과 해당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충전재를 채워 넣고, 상기 충전재 및 식물 씨앗이 채워진 완성된 내용물 자루를 제방의 비탈 표면에 깔아 놓은 후, 견인못을 내용물 자루를 관통하여 땅에 박아서 내용물 자루를 땅 표면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비탈을 보호하는 효과와 동시에 녹지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수한 선택 방안은 다음과 같다.
상술된 식물 씨앗은 내용물 자루 표면에 직접 뿌리거나, 또는 충전재와 함께 섞어 내용물 자루에 넣거나, 또는 내용물 자루가 여러 층으로 겹쳐진 경우에는 내용물 자루 사이에 뿌려 넣는다. 상기 모든 내용물 자루는 공기와 수분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식물이 생장하는데 용이하게 하고, 상기 씨앗과 같이 섞어 내용물 자루에 넣는 충전재는 토양이나 유기 토양 또는 식물 생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한다.
상기 충전재에는 수분 흡수 재료가 포함되고, 수분 흡수 재료로는 수분 흡수용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가뭄이나 수분 부족 등과 같은 상황에서도 식물 생장에 필요한 일정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견인못(牽引釘)은 못대가리형 견인못 또는 팽창형 견인못 또는 나선형 견인못 또는 와셔형 견인못 등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견인못은 역바늘 형태 또는 순바늘 형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시공 현장의 필요에 의해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견인못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견인못은 상기 내용물 자루를 효과적으로 비탈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용물 자루는 작은 조각형태 유닛 또는 긴 자루형태 유닛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중 상기 긴 자루형태의 내용물 자루는 비탈의 상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비탈의 하단까지 늘여서 덮고, 내용물 자루의 바닥부를 지면 깊은 곳에 묻거나 또는 비탈의 상단에서 가로로 비탈의 측면까지 덮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용물 자루를 가로로 연결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해 서로 접해있는 두 개의 내용물 자루들 사이에 연결부품을 사용해 서로 연결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품은, 그 가운데 구멍이 뚫리고 역바늘 형태 또는 순바늘 형태의 돌출형걸림부로 구성되거나 가운데 구멍이 뚫리지 않고 역바늘 형태 또는 순바늘 형태의 돌출형걸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형걸림부는 서로 접해 있는 두 개의 내용물 자루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품 중에서 그 가운데 구멍이 뚫리고 역바늘 형태 또는 순바늘 형태의 돌출형걸림부로 구성된 것은 가운데 구멍 내로 상기 견인못을 박아 비탈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제방의 비탈을 보호할 때 사용하는 구조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비탈의 전면 혹은 국부에 녹지화가 가능한 내용물 자루를 설치함으로써 식물을 빠른 속도로 자라게 하여 비탈을 보호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녹지화 및 환경 미화의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2. 사용되는 재료들이 모두 환경 보호가 가능한 재료들로 제작되기 때문에, 어떠한 비탈 상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시멘트, 돌 및 흙 등과 같은 자연적인 비탈 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생태계 녹지화의 효과도 갖추고 있어 공기 지수를 높이고, 열량을 흡수할 수 있으며, 소음 방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견인못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연결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h는 본 발명의 내용물 자루와 연결부가 서로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비탈 2. 내용물 자루
3. 충전재 4. 식물씨앗
5. 견인못 51. 받침판
6. 연결부품 61. 돌출걸림부
62. 역바늘형태 63. 판구멍
본 발명에 관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인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는 비탈(1) 표면에 덮을 수 있는 복수 개의 내용물 자루(2), 해당 내용물 자루(2)에 채워 넣을 수 있는 충전재(3), 복수 개의 식물 씨앗(4) 및 복수 개의 견인못(5)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내용물 자루(2)는, 조각형태 유닛(unit)으로 구성되어 있고, 공기 및 수분이 투과되며, 상기 충전재(3)가 내용물 자루 밖으로 새어 나오지 않는 재질의 재료를 선택하고, 여과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해당 내용물 자루(2) 내에는 충전재(3)를 채워넣고, 해당 충전재(3)는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재료와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를 혼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충전재(3) 중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재료로 토양 또는 유기토양을 사용하고,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는 수분 흡수용 수지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물 씨앗(4)을 상기 충전재(3) 내에 혼합하는 방식을 택했으며, 상기 충전재(3)의 식물 생장용 재료와 수분 흡수용 재료에서 양분과 수분을 공급받아 식물 씨앗(4)이 발아하고 생장할 수 있으며 그 뿌리가 아래로 자라면서 상기 내용물 자루(2)를 뚫고 비탈 지면으로 뻗어 자라게 되고, 줄기와 잎은 위로 자라면서 상기 내용물 자루(2)의 상단부를 뚫고 생장하게 된다.
시공 시, 상기 식물 생장 재료와 수분 흡수용 재료로 구성된 충전재(3)를 상기 내용물 자루(2)에 채워 넣어 조각형태 유닛으로 구성한 후, 식물 씨앗(4)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 개의 내용물 자루(2)를 비탈 표면(1)에 덮고,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견인못(5)을 상기 내용물 자루(2)를 관통하여 비탈 표면에 박아 상기 내용물 자루(2)가 비탈(1) 표면 상에 고정되어 비탈(1)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상기 내용물 자루(2)가 더욱 견고하게 비탈(1) 상에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비탈 보호 및 녹지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상기 견인못(5)은 역바늘(도 8b 참조)을 갖춘 형태 또는 역바늘을 갖추지 않은 형태의 못대가리형 견인못(도 8a 참조)을 사용하거나 팽창형 견인못(도 8c 참조) 또는 나선형 견인못(도 8d 참조) 또는 받침판(51)을 갖춘 와셔형 견인못(도 8e 참조)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견인못(5)을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견인못(5)이 상기 내용물 자루(2)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내용물 자루를 서로 고정시켜 자루끼리 미끌어져 어긋나거나, 또는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더욱 정돈되고 안정된 비탈 구조를 완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그 내용이 상기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단지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식물 씨앗을 상기 충전재(3) 상에 혼합하여 상기 내용물 자루(2)에 채워 넣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 개의 내용물 자루(2)를 먼저 비탈에 덮은 후, 상기 식물 씨앗(4)을 내용물 자루(2) 표면에 뿌려 식물의 뿌리가 아래로 자랄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식물은 충전재의 식물 생장재료와 수분 흡수용 재료에서 수분과 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인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는 비탈(1) 표면에 덮을 수 있는 복수 개의 내용물 자루(2), 해당 내용물 자루(2)에 채워 넣을 수 있는 충전재(3), 복수 개의 식물 씨앗(4) 및 복수 개의 견인못(5)을 포함하고 있다.
본 제3 실시예와 전술된 실시예의 차이점은 해당 내용물 자루(2)가 긴 자루형태 유닛으로 구성되어, 해당 긴 자루형태의 내용물 자루를 비탈(1)의 상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비탈(1)의 하단까지 늘여서 덮고 내용물 자루(2)의 바닥부를 지면 깊은 곳에 묻을 수 있으며 (지면에 묻지 않아도 됨), 이 때 비탈(1)의 기울기로 견인못(5)의 수량을 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긴 자루형태의 내용물 자루(2)가 비탈(1) 표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될 수 있게 한다. 그 중 본 실시예의 식물 씨앗(4)은 상기 충전재(3)에 혼합하여 사용하며, 기타 내용물 자루(2), 충전재(3), 견인못(5) 등은 모두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함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그 내용이 상기 제3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단지 제3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식물 씨앗을 상기 충전재(3) 상에 혼합하여 상기 내용물 자루(2)에 채워 넣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 개의 내용물 자루(2)를 먼저 비탈에 덮은 후, 상기 식물 씨앗(4)을 내용물 자루(2) 표면에 뿌리는 방식을 선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5 실시예와 상기 제3 실시예의 다른 점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내용물 자루(2) 사이에 복 수개의 연결부품(6)을 사용하여 상기 내용물 자루(2)와 비탈(1) 사이 및 두 개의 내용물 자루(2) 사이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게 하며, 그 중 본 실시예에서는 식물 씨앗(4)을 충전재(3)에 섞어 사용하여 내용물 자루(2)에 채워 넣는 방식을 선택한다.
도 9a와 함께 참조해보면, 상기 연결부품(6)은 하나의 판(plate) 표면에 최소한 두 개 이상의 돌출걸림부(61)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내용물 자루(2) 사이의 결속력을 더욱 증가시켰으며, 또한 도 9b와 함께 참조해보면, 각 돌출걸림부(61)는 역바늘 형태(6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품(6)은 필요에 따라, 판구멍(63)을 뚫거나 또는 뚫지 않아도 된다. 판구멍(63)을 뚫은 경우에는 상기 견인못(5)을 해당 구멍으로 박아 넣어 상기 연결부품이 더욱 견고하게 비탈(1) 상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해보면, 구멍을 뚫지 않은 연결부품의 돌출걸림부(61) 또는 역바늘 형태(62)를 가진 돌출걸림부(61)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내용물 자루(2) 하단에 연결 설치한다. 또한, 도 10c 및 도 10d를 참조해보면, 판 구멍(63)을 뚫은 연결부품(6)의 돌출걸림부(61) 또는 역바늘을 형태(62)를 가진 돌출걸림부(61)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내용물 자루(2) 상단에 연결 설치하여, 견인못이 상기 판구멍(63)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품(6)이 비탈(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0e 및 도 10f를 참조해보면, 판구멍(63)을 뚫은 연결부품(6)의 돌출걸림부(61) 또는 역바늘 형태(62)를 가진 돌출걸림부(61)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내용 물 자루(2)의 하단에 연결 설치한다. 또한, 도 10g 및 도 10h를 참조해보면, 상기 견인못(5)은 상기 판구멍(63)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품(6)이 비탈(1) 상에 먼저 고정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돌출걸림부(61) 또는 역바늘 형태(63)를 가진 돌출걸림부(61)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내용물 자루(2) 하단에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그 내용이 상기 제5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단지 전술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식물 씨앗을 상기 충전재(3)와 혼합하여 상기 내용물 자루(2)에 채워 넣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 개의 내용물 자루(2)를 먼저 비탈에 덮은 후, 상기 식물 씨앗(4)을 내용물 자루(2) 표면에 뿌리는 방식을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용물 자루(2)와 식물 씨앗(4)의 결합에 관한 실시예는 상기 식물 씨앗(4)을 상기 내용물 자루(2)들이 여러층으로 겹쳐있는 그 사이에 뿌리는 방식으로도 할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 역시 식물 발아 및 생장 방면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그 내용이 상기 제3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단지 전술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긴 자루형태 유닛의 내용물 자루(2)를 비탈(1)의 상단에서 가로방향으로 비탈(1)의 측면까지 늘여서 덮게 구성될 수 있다. 그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가로로 길게 덮을 수 있는 긴 자루형태 유닛의 내용물 자루(2) 역시 연결부품을 사용해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식물 씨앗을 결합하는 방식 역시 전술된 각 실시예의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을 생략한다.
도 1에서 도 6까지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에 의해 시공을 마친 후, 바로 물을 뿌려서 상기 충전재(3)의 식물 생장재료 및 수분 흡수용 재료가 신속하게 수분을 흡수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장시간 수분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하여 가뭄이나 비가 오지 않는 계절에도 수분을 식물 씨앗(4)에 공급하여, 식물 씨앗(4)이 발아되어 내용물 자루(2) 상단으로 자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식물의 뿌리가 내용물 자루(2) 밑바닥을 관통하여 비탈(1)의 지면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게 한다. 이 때 만약 비탈(1)의 재질이 토양과 같은 비교적 부드러운 재질이라면 식물의 뿌리와 줄기는 더욱 더 무성하고 견고하게 자랄 수 있어 영구적인 자연 제방의 비탈이 완성될 수 있고, 또한 만약 비탈(1)의 재질이 돌이나 시멘트 같은 단단한 재질이라도 녹지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식물 생장에 적합한 내용물 자루(2)와 비탈(1)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토사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미관 상 더욱 아름답고, 환경보호 및 생태계 보호, 녹지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비탈의 전면 또는 국부에 녹지화가 가능한 내용물 자루를 설치함으로써 식물이 빠른 속도로 자라게 하여 비탈을 보호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녹지화 및 환경 미화의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되는 재료들이 모두 환경 보호가 가능한 재료들로 제작되기 때문에, 어떠한 비탈 상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시멘트, 돌 및 흙 등과 같은 자연적인 비탈 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생태계 녹지화의 효과도 갖추고 있어 공기 지수(空氣指數)를 높이고, 열량을 흡수할 수 있으며, 소음 방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특허 신청의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특허 신청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특허 신청 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Claims (14)

  1.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에 있어서,
    제방의 비탈 표면에 깔아 설치하는 내용물 자루, 해당 내용물 자루에 채워 넣을 충전재 및 견인못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자루에는 식물 씨앗과 해당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충전재를 채워 넣고, 상기 충전재 및 식물 씨앗이 채워진 완성된 내용물 자루를 비탈진 제방 표면에 깔아 놓은 후, 견인못을 내용물 자루를 관통하여 땅에 박아 내용물 자루가 비탈 표면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비탈을 보호하는 효과와 동시에 녹지화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씨앗은 내용물 자루 표면에 직접 뿌리거나 또는 충전재와 함께 섞어 내용물 자루에 넣거나 내용물 자루가 여러 층으로 겹쳐진 경우에는 내용물 자루 사이에 뿌려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자루는 공기와 수분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중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재료로 토양 또는 유기토양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에 포함되는 수분 흡수 재료는 수분 흡수용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못은, 못대가리형 견인못 또는 팽창형 견인못 또는 나선형 견인못 또는 와셔형 견인못 등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못은 역바늘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자루는 작은 조각형태 유닛 또는 긴 자루형태 유닛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긴 자루형태의 내용물 자루는 비탈의 상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비탈의 하단까지 늘여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자루의 바닥부를 지면 깊은 곳에 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긴 자루형태의 내용물 자루는 비탈의 상단에서 가로방향으로 비탈의 측면까지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두 개의 내용물 자루 사이에 연결부품을 사용해 가로로 연결하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품은, 그 중간에 구멍이 뚫리고 역바늘 형태의 구조를 갖춘 돌출걸림부 또는 역바늘 형태의 구조를 갖추지 않은 돌출걸림부로 구성되거나, 그 중간에 구멍이 뚫리지 않고 역바늘 형태의 구조를 갖춘 돌출걸림부 또는 역바늘 형태의 구조를 갖추지 않은 돌출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14. 제 13항에서
    상기 연결부품의 중간에 구멍이 뚫리고 역바늘 형태의 구조를 갖춘 돌출걸림부 또는 역바늘 형태의 구조를 갖추지 않은 돌출걸림부로 구성된 형태는 그 중간에 뚫린 구멍으로 견인못을 박아 넣어 비탈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KR1020087031905A 2008-12-30 2006-06-01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KR20090053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31905A KR20090053751A (ko) 2008-12-30 2006-06-01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31905A KR20090053751A (ko) 2008-12-30 2006-06-01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751A true KR20090053751A (ko) 2009-05-27

Family

ID=4086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905A KR20090053751A (ko) 2008-12-30 2006-06-01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37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8425A (zh) * 2010-12-31 2011-08-03 张宇顺 爬藤植物绿化墙面/边坡结构
CN109555134A (zh) * 2018-10-09 2019-04-02 荟岩环境建设(无锡)有限公司 一种河道高陡边坡生态复绿时三维植被体的施工方法
CN110468779A (zh) * 2019-08-28 2019-11-19 中国电建集团江西省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生态袋的应用系统
KR20230090800A (ko) * 2021-12-15 2023-06-22 안은솔 형상 가변형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8425A (zh) * 2010-12-31 2011-08-03 张宇顺 爬藤植物绿化墙面/边坡结构
CN102138425B (zh) * 2010-12-31 2013-02-20 张宇顺 爬藤植物绿化墙面/边坡结构
CN109555134A (zh) * 2018-10-09 2019-04-02 荟岩环境建设(无锡)有限公司 一种河道高陡边坡生态复绿时三维植被体的施工方法
CN110468779A (zh) * 2019-08-28 2019-11-19 中国电建集团江西省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生态袋的应用系统
CN110468779B (zh) * 2019-08-28 2024-05-28 中国电建集团江西省电力建设有限公司 一种生态袋的应用系统
KR20230090800A (ko) * 2021-12-15 2023-06-22 안은솔 형상 가변형 식생 골막이낭 및 이를 이용한 골막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CN101932227B (zh) 加固型边坡绿化结构
WO2007137455A1 (fr) Structure en pente pour plantation
CN100393948C (zh) 防冲刷基材生态护坡方法
KR101101281B1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US8381432B2 (en) Vegetation and support lay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13235623A (zh) 一种适用于高陡边坡生态恢复的厚层基材客土喷播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90053751A (ko)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0935176B1 (ko) 도로사면 보호용 친환경 식생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45473B1 (ko) 지면 보호용 식생블록 구조물 및 이 식생블록 구조물의 현장 타설 방법
KR20060011929A (ko) 토사면의 녹지화촉진 요철매트활용 식생공법
KR101074565B1 (ko) 황마네트와 펄프를 이용한 친환경 사면 녹화 시공방법
KR101002043B1 (ko) 법면녹화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법면 녹화시공방법
KR102223403B1 (ko) 식생 셀
KR100618279B1 (ko) 훼손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물매트
JP2007002427A (ja) 法面の緑化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JP4749970B2 (ja) 傾斜地緑化構造及び傾斜地緑化工法
KR200167805Y1 (ko) 토목공사용 경사면 보호용 볏짚 매트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5382500U (zh) 混合边坡
RU2449087C2 (ru) Структура укрепления откосов
CN221167861U (zh) 一种增强植生混凝土面层附着力及耐根穿刺的施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18

Effective date: 2013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