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708B1 - 식생용 옹벽블럭 - Google Patents

식생용 옹벽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708B1
KR100681708B1 KR1020060072347A KR20060072347A KR100681708B1 KR 100681708 B1 KR100681708 B1 KR 100681708B1 KR 1020060072347 A KR1020060072347 A KR 1020060072347A KR 20060072347 A KR20060072347 A KR 20060072347A KR 100681708 B1 KR100681708 B1 KR 10068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vegetation
retaining wall
horizontal
comb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찬
Original Assignee
(주)부림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림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부림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7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용 옹벽블럭을 제공한다. 상기 식생용 옹벽블럭은 중앙부에 중공형상의 식생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결합부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몸체의 하단 타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 2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양측부에 형성된 제 3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지지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식생용 옹벽블럭{A BREAST WALL BLOCK FOR GARDE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들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들이 경사면에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옹벽블럭 110 : 몸체
120 : 제 3결합부 140 : 제 1결합부
150 : 제 2결합부 160 : 관통홀
170 : 파일 삽입홀 180 : 지지체
200 : 파이프 300 : 법면보호공
본 발명은 식생용 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건축공간에서의 인공옹벽건축에 채택되어 경사면에서의 지지력 증가와 환경친화를 고려한 식생용 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건축물 또는 하천, 유수지, 도로 절개지 등의 경사면을 보호하는 방법은 옹벽 블록을 설치함과 동시에 블록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옹벽 블록은 식생 공간에서 자라나는 식물에 의해 자연 생태계의 복원 및 물의 유속흐름을 조절하고 지반 침하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서 곤충, 어패류, 조류 등의 서식처 및 산란처로서의 기능을 갖게 한다.
공동주택을 건설함에 있어서 주변부에 위치되는 산을 사면으로 깍아 공간을 확보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된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옹벽 블록등이 설치되고 있다. 대부분의 종래의 옹벽 블록들은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주변 생태계의 단절을 초래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생태계의 보존 및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환경 친화적인 옹벽 블록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옹벽 블록들은 사각 몸체의 좌우 양측면에 사다리꼴 형상의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의 전후 양측면에 제3의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됨으로서 인접 시공되는 블록들의 끼움부와 끼움돌기가 서로 끼워져 시공 되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옹벽 블록들은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나, 블록의 시공에서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끼워져 시공되는 구조로 별도의 결합수단이 마련되지 못하고, 또한 블록간의 틈이 상대적으로 크게 시공됨에 따라 블록간의 결합력이 떨어져 집중 호우시 블록들 각각이 유실되고, 이러한 경우가 발생되면 블록 간의 상호 결합력이 현저하게 떨어짐으로서 연쇄적으로 유실과 이탈이 발생하여 경사면이 무너지어 산사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옹벽들은 식생 공간이 좁고, 또한 우천시에 상기 식생공간으로 물이 채워져 식물이 원활하게 자랄 수 없게 된다. 이에 더하여, 블록의 식생공간에서 죽은 식물들로 인하로 인하여 환경미화적 측면에서 낙후되고, 또한 새로운 식물을 다시 심기 위한 금전적 재정 및 노동력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옹벽블럭들을 서로 다중 결합시키고, 상기 옹벽블럭들을 경사면에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경사면에 고정하여, 우천시에 토사유출 및 옹벽블럭들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식생용 옹벽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고, 유천시에 상기 식생공간에 물이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평상시에는 통기성을 부여하여 식물이 식생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식생용 옹벽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생용 옹벽블럭을 제공한다.
상기 식생용 옹벽블럭은 중앙부에 중공형상의 식생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결합부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몸체의 하단 타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 2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양측부에 형성된 제 3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지지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결합부는 서로 둔각이 형성되는 제 1경사결합면과 제 1수평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경사결합면에는 상기 제 1경사결합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경사결합돌기와, 상기 제 1수평결합면에는 상기 수평결합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수평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결합부는 상기 제 1경사결합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된 제 2경사결합면과 상기 제 1수평결합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 2경사결합면과 연결된 제 2수평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경사결합면에는 상기 경사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크기의 경사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수평결합면에는 상기 수평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크기의 수평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는 원형의 체결돌기와, 상기 몸체의 타측부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지는 크기의 체결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 2결합부 측으로 상기 몸체의 저면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생홀의 노출면에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통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통기홀이 형성되되, 상기 통기홀은 상기 몸체의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의 양측부에는 지지파이프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100)은 중앙부에 중공형상의 식생홀(130)이 형성된 몸체(110)가 구비된다. 상기 식생홀(130)은 사각형상일 수도 있고 원형의 홀형상일 수도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하방을 따라 그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도 있다.
상기 몸체(110)는 상단 일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 1결합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결합부(140)는 하방으로 경사진 제 1경사결합면(141a)과 상기 제 1경사결합면(141a)에 연장되는 제 1수평결합면(141b)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경사결합 면(141a)에는 그 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경사결합돌기(14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수평결합면(141b)에는 그 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수평결합돌기(143)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제 1결합부(140)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대응되는 하단 타측에 단차진 제 2결합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제 2결합부(150)는 상방으로 경사진 제 2경사결합면(151a)과 상기 제 2경사결합면(151a)에서 연장된 제 2수평결합면(151b)이 구비된다. 상기 제 2경사결합면(151a)은 상기 제 1경사결합면(141a)과의 경사각이 서로 동일하다. 상기 제 2경사결합면(151a)에는 상기 경사결합돌기(142)가 삽입되는 크기의 경사결합홈(15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수평결합면(151b)에는 상기 수평결합돌기(143)가 삽입되는 크기의 수평결합홈(153)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그 양측부에 제 3결합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 3결합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부에 돌출되고 원기둥형상의 체결돌기(122)와, 상기 체결돌기(122)로부터 대응되는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상기 체결돌기(122)가 삽입되는 크기의 체결홈(121)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기(122)는 원기둥 이외의 마름모 형상의 돌기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121)도 마름모 형상의 홈일 수도 있다.
상기 몸체(110)는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110)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지지체(18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체(180)는 후에 기술될 경사면(S)의 경사각과 동일하도록 경사진다. 상기 지지체(180)의 경사각 (θ)은 상기 몸체(110)의 저면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식생홀(130)은 그 노출면에 상기 몸체(110)의 외부로 연통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통기홀(131)이 형성된다. 4면이 형성된 상기 식생홀(130)의 노출면에는 적어도 3면에 상기 통기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홀(131)은 상기 몸체(110)의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몸체(110)는 관통홀(160)이 더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60)은 상기 체결돌기(122)와 체결홈(121)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관통홀(160)은 상기 제 1결합부(140) 및 제 2결합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60)에는 파이프와 같은 지지물(200, 도 4도시)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상면과 하면 서로 관통되는 파일 삽입홀들(170)이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파일 삽입홀(170)에는 스크류 형식으로 경사면(S)에 삽입되는 파일(250. 도 4 도시)이 삽입되고, 상기 파일(250)의 머리부가 상기 파일 삽입홀(170)의 상단에 걸치어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들의 결합방식과, 경사면에 배치되는 것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들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들이 경사면에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들(100)이 준비된다. 옹벽블럭들(100)간의 측방으로의 결합은 제 3결합부(12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옹벽블럭(100)의 체결돌기(122)는 다른 옹벽블럭(100)의 체결홈(121)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된다. 상기 체결돌기(122)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체결홈(1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어, 옹벽블럭(100)간의 상방으로의 결합은 제 1결합부(140)와 제 2결합부(15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어느 하나의 옹벽블럭(100)의 경사결합돌기(142)는 다른 옹벽블럭(100)의 경사결합홈(152)에 끼워지어 결합된다. 이와 아울러 수평결합돌기(143)는 다른 옹벽블럭(100)의 수평결합홈(153)에 끼워지어 결합된다. 따라서, 제 1경사결합면(141a) 및 제 1수평결합면(141b)과 제 2경사결합면(151a) 및 제 2수평결합면(151b)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옹벽블럭들(100)이 측방 또는 상방으로 결합되면, 상기 옹벽블럭들(100)의 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60)은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연통된 관통홀(160)로 파이프(2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옹벽블럭들(100)의 몸체(110)의 상부에는 파일 삽입홀들(170)이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파일 삽입홀(170)에는 파일(2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파일(250)의 머리부는 상기 파일 삽입홀(170)의 상단부에 걸치어 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로 하여,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옹벽블럭들이 경사면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서 처럼 결합되는 옹벽블럭들(100)은 경사부(400)의 경사면(S)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옹벽블럭들(100)의 몸체(110) 저부에 마련된 지지체(180)는 그 경사각(θ)이 상기 경사면(S)의 경사각과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180)는 경사부(400)에 삽입되어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몸체(110)를 지지한다.
이어, 상기 파일 삽입홀들(160)에 삽입되는 파일들(250)은 상기 경사면(S)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10)를 추가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최하단부의 옹벽블럭(100)은 경사결합돌기(142)와 수평결합돌기(143)가 형성된 법면보호공(300)과 결합된다. 상기 법면보호공(300)은 하부에 배수로(320)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부로 흘러내리는 우수를 배수시킨다.
한편, 상기 몸체들(110)에 형성되는 식생홀(130)을 통하여 여러종류의 식물을 상기 경사면(S)에 심을 수 있다. 상기 식생홀(130)의 내부에 우수가 유입되면, 상기 유입되는 우수의 일부는 경사면(S)으로 흡수되고, 나머지의 우수는 식생홀(130)의 내부에 채워진다.
상기 채워지는 우수는 상기 식생홀(130)의 노출면에 형성된 통기홀(131)을 통하여 상기 몸체(1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다. 상기 통기홀(131)은 상기 몸체(110)의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기 때문에, 그 내부에 채워지는 우수는 상기 몸체(1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된다. 상기 배수되는 우수는 흘러내려 상기 법면 보호공(300)의 배수로(320)를 통하여 배수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옹벽블럭들을 서로 다중 결합시키고, 상기 옹벽블럭들을 경사면에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경사면에 고정하여, 우천시에 토사유출 및 옹벽블럭들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고, 우천시에 상기 식생공간에 물이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평상시에는 통기성을 부여하여 식물이 식생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중앙부에 중공형상의 식생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결합부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몸체의 하단 타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 2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양측부에 형성된 제 3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지지체를 포함하는 식생용 옹벽블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는 서로 둔각이 형성되는 제 1경사결합면과 제 1수평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경사결합면에는 상기 제 1경사결합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경사결합돌기와, 상기 제 1수평결합면에는 상기 수평결합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수평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옹벽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부는 상기 제 1경사결합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된 제 2경사결합면과 상기 제 1수평결합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 2경사결합면과 연결된 제 2수평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경사결합면에는 상기 경사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크기의 경사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수평결합면에는 상기 수평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크기의 수평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옹벽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는 원형의 체결돌기와, 상기 몸체의 타측부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지는 크기의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옹벽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 2결합부 측으로 상기 몸체의 저면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경사지고,
    상기 식생홀의 노출면에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연통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통기홀이 형성되되, 상기 통기홀은 상기 몸체의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옹벽블럭.
  5. 삭제
KR1020060072347A 2006-07-31 2006-07-31 식생용 옹벽블럭 KR10068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347A KR100681708B1 (ko) 2006-07-31 2006-07-31 식생용 옹벽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347A KR100681708B1 (ko) 2006-07-31 2006-07-31 식생용 옹벽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708B1 true KR100681708B1 (ko) 2007-02-12

Family

ID=3810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347A KR100681708B1 (ko) 2006-07-31 2006-07-31 식생용 옹벽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7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375B1 (ko) 2007-11-02 2009-04-10 주식회사 하은산업 조립식 호안블록
KR101072340B1 (ko) * 2009-05-22 2011-10-11 (주)대양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101597907B (zh) * 2009-06-16 2011-11-16 梁菊明 一种生态砌块
CN102587325A (zh) * 2012-03-29 2012-07-18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柔性生态护坡砌块
KR101313863B1 (ko) * 2011-10-10 2013-09-30 송도희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20160019316A (ko) * 2014-08-11 2016-02-19 김성규 에코 식생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274U (ko) * 1989-08-24 1991-04-11
KR200340941Y1 (ko) * 2003-10-22 2004-02-11 송기도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274U (ko) * 1989-08-24 1991-04-11
KR200340941Y1 (ko) * 2003-10-22 2004-02-11 송기도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375B1 (ko) 2007-11-02 2009-04-10 주식회사 하은산업 조립식 호안블록
KR101072340B1 (ko) * 2009-05-22 2011-10-11 (주)대양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101597907B (zh) * 2009-06-16 2011-11-16 梁菊明 一种生态砌块
KR101313863B1 (ko) * 2011-10-10 2013-09-30 송도희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CN102587325A (zh) * 2012-03-29 2012-07-18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柔性生态护坡砌块
CN102587325B (zh) * 2012-03-29 2014-06-18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柔性生态护坡砌块
KR20160019316A (ko) * 2014-08-11 2016-02-19 김성규 에코 식생블록
KR102338195B1 (ko) * 2014-08-11 2021-12-10 김정수 에코 식생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708B1 (ko) 식생용 옹벽블럭
US20050044781A1 (en) Ecological brick for slope lands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100684542B1 (ko) 도로용 법면 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1289723B1 (ko) 경관 기능이 구비된 사방댐
JP7075031B2 (ja) 法面の施工方法とそれに用いるシート体
KR102015296B1 (ko)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101086096B1 (ko) 간이형 생태수로
KR100542617B1 (ko) 담장 벽면 및 사면 녹화용 조립식 콘크리트 식생옹벽과그의 시공방법
KR101677180B1 (ko) 단위축조블록을 이용한 조경구조물
US20050120930A1 (en) Vegetation embankment block combined ad
KR102318575B1 (ko)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KR101334474B1 (ko) 채움블럭 및 식생재가 겸용으로 사용되는 블럭의 구조
KR20120058693A (ko)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그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수 구조물
KR20060095609A (ko) 식생공간을 구비하는 축조 블록
KR100833450B1 (ko) 사면 녹화용 식생기반 구조물을 고정하는 장치와 그시공방법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200422963Y1 (ko) 가로수 보호덮개
KR200240486Y1 (ko) 식생블럭
JPH08199529A (ja) 河川用覆土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ト覆土ブロック護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