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575B1 -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575B1
KR102318575B1 KR1020190088079A KR20190088079A KR102318575B1 KR 102318575 B1 KR102318575 B1 KR 102318575B1 KR 1020190088079 A KR1020190088079 A KR 1020190088079A KR 20190088079 A KR20190088079 A KR 20190088079A KR 102318575 B1 KR102318575 B1 KR 102318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eco
low
suppor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112A (ko
Inventor
한경수
박용순
Original Assignee
어스그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스그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어스그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9008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5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람들이 통행하는 도시의 보행로의 보도블록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수 식재블록과, 녹지블록 사이에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는 수로를 설치함으로써 도시 녹지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Eco-friendly urban walkway system based on the Low-Impact Development}
본 발명은 저영향 개발(LID : Low-Impact Development)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발전과 도시화로 인하여 수질문제가 제기되면서 세계의 많은 도시들이 수질보호를 위해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물순환 체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생태계 보호와 수질 관리에 있어 기존의 물 관리 시스템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저영향 개발(LID : Low-Impact Development)이라는 새로운 도시 계획 기법이 제안되었다. 저영향 개발(LID) 기술은 강우 유출 발생지에서부터 침투, 저류를 통해 도시화에 따른 수생태계를 최소화하여 개발 이전의 상태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기 위한 토지이용 계획 및 도시 개발 기법을 말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0988호(2014.09.05)에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한 침투형 빗물저류 시스템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빗물을 집수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상부공간, 상부공간의 하부쪽에 위치하여 집수된 빗물을 저장하는 저류공간 및 상부공간과 저류공간의 내부쪽으로 형성되며 식재를 할 수 있도록 토양이 채워지는 토양공간으로 이루지며, 저류공간과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류조가 설치된다.
본 발명자는 사람들이 통행하는 도시의 보행로의 보도블록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수 식재블록과, 녹지블록에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보행로 주변에 많은 빗물 유입시 효율적으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 순환 구조를 가진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0988호(2014.09.05)
본 발명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도시의 보행로의 보도블록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수 식재블록과, 녹지블록에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보행로 주변에 많은 빗물 유입시 효율적으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 순환 구조를 가진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이 보행로를 따라 설치되는 보도블록과; 보도블록 일측을 따라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로수 식재블록과; 보도블록 타측을 따라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녹지블록과; 보도블록과 녹지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가로수 식재블록이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로수 식재 영역과; 가로수 식재 영역 외곽의 지중에 적어도 2개 이상 매설되어 수목을 지중에서 지지하는 수목 지중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목 지중 지지대가 가로수 식재 영역에 식재된 수목 뿌리가 외연에 휘감겨 수목을 지중에서 지지하되, 내부가 통공되어 급수 및 급양이 가능한 수목 지지 통관과; 수목 지지 통관 외연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돌출 형성되어, 수목 지중 지지대가 지중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안정화하는 안정화 날개와; 수목 지지 통관 상부를 덮되, 빗물이 통과되어 수목 지지 통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부가 통공되는 상부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목 지중 지지대가 수목 지지 통관 외벽에 형성되어, 지중으로 급수 및 급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급수/급양 통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목 지중 지지대가 수목 지지 통관 상부에 형성되어, 지상에서 지중의 수목 뿌리분을 보호하는 동시에 토양 이격을 방지하는 뿌리분 보호덮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녹지블록이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녹지 형성 영역과; 녹지 형성 영역에 다수개 설치되는 식생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식생매트가 식물 뿌리가 활착되는 다수의 활착홀이 구비되어, 활착홀을 통해 식물이 식재되는 매트 본체와; 매트 본체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점을 보호하는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와; 매트 본체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는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와; 매트 본체의 활착홀 주위에 형성되어, 식물에 급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류부와; 매트 본체의 테두리에 다수개 형성되어, 다른 식생매트와 서로 조립되는 인터록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이 수로에서 분기되어 보도블록을 횡단하도록 형성되는 월류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월류관이 가로수 식재블록을 더 횡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도시의 보행로의 보도블록 주변을 따라 가로수 식재블록과, 녹지블록을 형성함으로써 도시 녹지를 조성할 수 있어 도시 미관을 유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도시의 보행로의 보도블록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수 식재블록과, 녹지블록 사이에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는 수로를 설치함으로써 도시 녹지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가로수 식재블록의 수목 지중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가로수 식재블록의 수목 지중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가로수 식재블록의 수목 지중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가로수 식재블록의 수목 지중 지지대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가로수 식재블록의 급수급양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녹지블록의 식생매트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녹지블록의 식생매트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녹지블록의 식생매트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은 보도블록(100)과, 가로수 식재블록(200)과, 녹지블록(300)과, 수로(400)를 포함한다.
보도블록(100)은 보행로를 따라 설치된다. 예컨대, 보도블록(100)이 시멘트 등과 같은 경화성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유연성 재질의 조립식 사각 블록들이 다수개 조립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로수 식재블록(200)은 보도블록(100) 일측을 따라 특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가로수 식재블록(200)이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로수 식재 영역(210)과, 가로수 식재 영역 외곽의 지중에 적어도 2개 이상 매설되어 수목을 지중에서 지지하는 수목 지중 지지대(220) 또는 급수급양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로수 식재블록(200)의 가로수 식재 영역(210)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보도블록(100)과 동일한 재질의 조립식 사각 블록들이 다수개 조립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녹지블록(300)은 보도블록(100) 타측을 따라 특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녹지블록(300)이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녹지 형성 영역(310)과, 녹지 형성 영역에 다수개 설치되는 식생매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식생매트(320)가 보행로를 따라 설치되는 보도블록(100) 내부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녹지블록(300)의 녹지 형성 영역(310)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보도블록(100)과 동일한 재질의 조립식 사각 블록들이 다수개 조립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로(400)는 보도블록(100)과 녹지블록(300) 사이에 형성된다. 예컨대, 수로(400)가 보도블록(100)과 녹지블록(300) 사이의 지면을 특정 넓이 및 깊이로 판 다음, 시멘트 등의 재료를 이용해 바닥과 양벽을 시공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수로(400)가 상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여 보행자가 빠지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이 빗물을 모아 저장하는 집수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집수정이 수로(400)들 사이 곳곳에 설치되어 빗물을 저장하고, 가로수 식재블록(200)이나 녹지블록(300)으로 저장된 빗물이 공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도시의 보행로의 보도블록 주변을 따라 가로수 식재블록과, 녹지블록을 형성함으로써 도시 녹지를 조성할 수 있어 도시 미관을 유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도시의 보행로의 보도블록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수 식재블록과, 녹지블록 사이에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는 수로를 설치함으로써 도시 녹지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이 월류관(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월류관(500)은 수로(400)에서 분기되어 보도블록(100)을 횡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월류관(500)이 가로수 식재블록(200)을 더 횡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월류관(500)이 보도블록(100) 또는/및 가로수 식재블록(200)을 횡단하도록 지면을 특정 넓이 및 깊이로 판 다음, 시멘트 등의 재료를 이용해 바닥과 양벽을 시공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월류관(500)이 수로(400)에서 분기되어 보도블록(100)을 횡단하여, 가로수 식재블록(200)의 가로수 식재 영역(210)까지 형성됨으로써, 수로(400)의 물이 가로수 식재블록(200)의 가로수 식재 영역(210)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가로수 식재블록(200)에 물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월류관(500)이 가로수 식재블록(200)의 가로수 식재 영역(210)들 사이에 가로수 식재블록(200)을 횡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로수 식재 영역(210)에서 넘치는 빗물이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가로수 식재블록(200)으로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가로수 식재블록(200)에 물이 과다 공급될 경우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도시 녹지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가로수 식재블록의 수목 지중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각각 평면 사시도, 저면 사시도,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목 지중 지지대(220)는 수목 지지 통관(221)과, 안정화 날개(222)와, 상부캡(223)을 포함한다.
수목 지지 통관(221)은 가로수 식재 영역에 식재된 수목 뿌리가 외연에 휘감겨 수목을 지중에서 지지하되, 내부가 통공되어 급수 및 급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수목 지지 통관(221)은 수목의 인공 뿌리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이 생분해성일 수도 있다.
이 때, 수목 지지 통관(221)이 지중에 박아 매립하기 용이하도록 상광 하협 형상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수목 지지 통관(221)이 큰 직경의 상부 통관, 중간 직경의 중부 통관, 작은 직경의 하부 통관으로 이루어진 단차 구조일 수 있으며, 상부 통관, 중부 통관, 하부 통관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안정화 날개(222)는 수목 지지 통관(221) 외연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돌출 형성되어, 수목 지중 지지대가 지중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안정화한다. 이 때, 안정화 날개(222)가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안정화 날개(222) 외연에 수목 지중 지지대 흔들림 방지를 위한 다수의 흔들림 방지 돌기(222a)가 형성될 수도 있다. 흔들림 방지 돌기(222a)에 의해 수목 지중 지지대가 지중에서 유동되지 않아 수목 지중 지지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캡(223)은 수목 지지 통관 상부를 덮되, 빗물이 통과되어 수목 지지 통관(221)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부가 통공된다. 예컨대, 상부캡(223)에 다수의 원형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부캡(223)에 의해 수목 지지 통관(221) 내부로 사람의 발, 조그만 동물, 각종 쓰레기 등이 빠지는 것이 방지되며, 상부캡(223)에 형성된 통공에 의해 빗물이 수목 지지 통관(221)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수목 지중 지지대(220)는 안정화 날개(222)에 의해 수목 지중 지지대가 회전 또는 유동되지 않으며, 수목의 뿌리가 생성되어 안착시까지 수목 지지 통관(221)이 수목의 인공 뿌리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수목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목 지중 지지대(220)가 다수의 급수/급양 통공(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급수/급양 통공(224)은 수목 지지 통관(221) 외벽에 형성되어, 지중으로 급수 및 급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목 지지 통관(221)은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수목 지지 통관(221) 상부에서 내부로 빗물이나 양분이 유입되고, 수목 지지 통관(221) 외벽에 형성된 다수의 급수/급양 통공(224)을 통해 빗물이나 양분이 지중으로 배출되므로, 지중의 수목 뿌리에 급수 및 급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수목 지중 지지대(220)는 안정화 날개(222)에 의해 수목 지중 지지대가 회전 또는 유동되지 않으며, 수목의 뿌리가 생성되어 안착시까지 수목 지지 통관(221)이 수목의 인공 뿌리 역할을 담당하게 되고, 다수의 급수/급양 통공(224)이 수목의 뿌리에 물, 산소, 양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삼통(물통, 숨통, 밥통) 기능을 담당하므로, 수목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목 지중 지지대(220)가 뿌리분 보호덮개(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뿌리분 보호덮개(225)는 수목 지지 통관(221) 상부에 형성되어, 지상에서 지중의 수목 뿌리분을 보호하는 동시에 토양 이격을 방지한다. 이 때, 뿌리분 보호덮개(225)가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뿌리분 보호덮개(225)가 빗물을 수목 지지 통관(221)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로(225a)가 형성될 수 있다. 뿌리분 보호덮개(225) 위로 떨어지는 빗물은 유로(225a)를 통해 흘러 수목 지지 통관(221)으로 유입되고, 다수의 급수/급양 통공(224)을 통해 지중으로 배출된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가로수 식재블록의 수목 지중 지지대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목 주위에 다수의 수목 지중 지지대(220)가 설치되고, 뿌리분 보호덮개(225)에 의해 지상에서 지중의 수목 뿌리분이 보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뿌리분 보호덮개(225)에 의해 토양 이격이 방지되어 수목 주변의 토양 유실을 방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목 지중 지지대(220)가 고정편(2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편(226)은 끈이나 체결구 등을 통해 다른 수목 지중 지지대(220)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목 지중 지지대는 수목의 뿌리가 생성되어 안착시까지 인공 뿌리 역할을 담당하는 동시에 수목의 뿌리에 물, 산소, 양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삼통(물통, 숨통, 밥통) 기능을 담당할 수 있어, 수목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수목 지중 지지대는 지중에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해체할 필요가 없어 항구적인 급수/급양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재활용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목재 지지대 사용에 비해 경제적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가로수 식재블록의 급수급양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급양관(230)은 입구부(231)와, 몸체부(232) 및 상부캡(233)을 포함한다.
입구부(231)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물 또는 영양제가 공급된다. 몸체부(232)는 수직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입구부(231)와 연통된 것으로, 입구부(231)로부터 공급된 물 또는 영양제를 지면으로 방출하여 가로수로 공급되도록 중공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공급홀(232a)이 측면에 형성된다.
입구부(231)를 통해 공급된 물 또는 영양제는 몸체부(232) 내에 채워지게 되고, 물 또는 영양제는 공급홀(232a)들을 통해 몸체부(232)의 최하단부터 최상단에 걸쳐 방출되어 지면을 지나 가로수의 뿌리에 골고루 공급된다.
여기서, 몸체부(232)의 길이는 나무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길게 형성하거나 짧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입구부(231) 및 몸체부(232)의 재질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알루미늄과 강화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보다 물에 대한 부식성이 우수하여 수분에 의해 쉽게 부식되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부식성이란 물에 의해 부식되는 정도이다.
몸체부(232)를 지면에 매설하는 방법은 지면에 몸체부(232)가 매설될 수 있을 정도 크기의 매설공간을 파낸 다음, 몸체부(232)를 매설한다. 또한, 몸체부(232)의 하측을 삼각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개구부에 상단에 압력을 가하여 몸체부(232)가 지면에 매설되게 한다.
한편, 몸체부(232)의 상측 또는 입구부(231)의 하측에는 걸림턱(232b)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32b)은 몸체부(232)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232b)은 상기 몸체부(232)가 지면에 과다하게 수용되어 입구부(231)가 지면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캡(233)은 입구부(231)를 덮되, 빗물이 통과되어 급수급양관(230)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부가 통공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급수급양관(230)은 지면에 흐르는 물이 가로수로 용이하게 공급되게 하여 가로수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가로수가 병드는 경우, 급수급양관(230)을 통해 영양제를 용이하게 공급하여 가로수가 빠르게 회복할 수 있게 한다.
도 8 내지 도 10 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의 녹지블록의 식생매트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320)는 매트 본체(321)와,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322)와,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323)와, 저류부(324)와, 인터록킹부(325)를 포함한다.
매트 본체(321)는 식물 뿌리가 활착되는 다수의 활착홀(321a)이 구비되어, 활착홀(321a)을 통해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이 식재된다. 이 때, 매트 본체(321)의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매트 본체(321)의 휨 강성 증대를 위하여 매트 본체(321)의 테두리가 안쪽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매트 본체(321)의 테두리가 안쪽보다 두꺼운 보강띠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활착홀(321a)은 도면에 도시된 원형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매트 본체(321)가 식물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구현되어, 식물의 뿌리가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활착홀(321a)을 통해 지중에 활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322)는 매트 본체(321)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점을 보호한다. 생장점 보호돌기(322)는 보행자 등이 매트 본체(321)에 식재된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을 밟을 때, 식물에 가해지는 압력(답압)에 의해 식물의 생장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생장점 보호돌기(322)가 활착홀(321a)들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매트 본체(321)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생장점 보호돌기(322)의 높이는 식물의 생장점에 답압이 가해지지 않을 정도의 높이가 적당하다.
생장점 보호돌기(322)는 생장점의 보호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형상(원형, 각형 등)이 가능하지만, 여러 방향의 토압에 대한 버팀 강성의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돌기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방사형 구조의 생장점 보호돌기(322)는 빗물의 저류가 가능한 효과도 도출한다. 생장점 보호돌기(322)는 저부가 상부보다 큰 하중을 받는 것을 고려하여 저부가 상부보다 큰 단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부가 저부보다 뾰족하기 때문에 식재되는 식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생장점 보호돌기(322)들은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생장점 보호돌기(322)가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막지 않도록 생장점 보호돌기(322)들의 사이에 뿌리포복 유도부(322a)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뿌리포복 유도부(322a)는 생장점 보호돌기(322)들 사이가 막히지 않도록 의도적으로 공간을 확보한 것으로, 예컨대, 뿌리포복 유도부(322a)가 생장점 보호돌기(322)들 사이의 빈 공간일 수 있다. 한편, 생장점 보호돌기(322)들의 간격은 발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일 수 있다.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323)는 매트 본체(321)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를 보호한다. 뿌리 보호돌기(323)는 보행자 등이 보행할 때 식생매트을 밟더라도 식재딘 식물의 뿌리가 눌리지 않도록 한다. 예컨대, 뿌리 보호돌기(323)는 생장점 보호돌기(322)와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하중에 대한 강성을 증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뿌리 보호돌기(323)는 지반에 대한 정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저부로 가면서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뿌리 보호돌기(323)는 여러 방향의 토압에 대한 버팀 강성의 확보를 위하여 생장점 보호돌기(322)와 같이 3개 이상의 돌기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저류부(324)는 매트 본체(321)의 활착홀(321a) 주위에 형성되어, 식물에 급수되는 물을 저장한다. 예컨대, 저류부(324)가 매트 본체(321)의 활착홀(321a) 주위에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개방된 오목한 공간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해 보면, 활착홀(321a) 둘레를 따라 저류부(324)가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인터록킹부(325)는 매트 본체(321)의 둘레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식생매트와 서로 조립된다. 예컨대, 인터록킹부(325)가 매트 본체(321)의 둘레에 다수개가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동시에 갖는 돌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 식생매트들이 서로 조립될 때, 동일 라인을 유지하도록 인터록킹부(325)가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동시에 갖는 돌기의 형태의 인터록킹부(325)를 통해 식생매트들을 상하 방향으로 간편하게 조립하거나 또는 분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매트들의 조립 및 분해가 매우 간단하여 조립식 식생 수로 형성 및 조립식 식생 수로의 식생매트들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식생매트는 취급(제조, 보관, 운반 등)의 편리함을 위해 적절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식생매트들이 서로 견고하게 구속되지 않고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면, 적은 외력에 의해서도 식생매트들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인터록킹부(325)를 통해 매트 본체(321)들을 견고하게 서로 조립하여 외력에 의해 서로 조립된 식생매트들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매트 본체(321)가 지반 응집부(321b)를 포함한다. 지반 응집부(321b)는 매트 본체(321) 저면에 활착홀(321a)을 중심으로 상협하광의 공간을 형성하여 지반을 응집함으로써 매트 본체 유동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식생매트가 지반에 설치될 때, 매트 본체(321) 저면에 활착홀(321a)을 중심으로 상협하광의 공간을 형성하는 지반 응집부(321b)에 의해 지반이 응집되어 매트 본체가 지면 좌우로 유동하지 않게 되므로, 식생매트가 견고하게 지반에 지지되게 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매트 본체(321)가 정착부(32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착부(321c)는 매트 본체(321)를 지면과 고정하기 위한 지면 고정구(326) 또는 서로 대향되는 두개의 식생매트 사이에 설치되어 매트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중앙 지지간(도면 도시 생략)이 삽입된다.
예컨대, 정착부(321c)는 매트 본체(321)의 중앙 및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면 고정구(326) 또는 중앙 지지간이 삽입되는 정착홀이 상하로 관통된 판 형상일 수 있다.
정착홀은 지면 고정구(326) 또는 중앙 지지간이 통과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를 가지며, 식재되는 식물 뿌리의 활착을 위한 활착홀(321a)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진다.
한편, 정착부(321c)를 통해서도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이 이루어지도록 정착부(321c)가 적어도 하나의 활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활착홀이 정착홀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도시의 보행로의 보도블록 주변을 따라 가로수 식재블록과, 녹지블록을 형성함으로써 도시 녹지를 조성할 수 있어 도시 미관을 유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도시의 보행로의 보도블록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로수 식재블록과, 녹지블록 사이에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는 수로를 설치함으로써 도시 녹지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저영향 개발(LID : Low-Impact Development) 관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보도블록
200 : 가로수 식재블록
210 : 가로수 식재 영역
220 : 수목 지중 지지대
230 : 급수급양관
300 : 녹지블록
310 : 녹지 형성 영역
320 : 식생매트
400 : 수로

Claims (10)

  1. 보행로를 따라 설치되는 보도블록과;
    보도블록 일측을 따라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로수 식재블록과;
    보도블록 타측을 따라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녹지블록과;
    보도블록과 녹지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를;
    포함하되,
    가로수 식재블록이: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로수 식재 영역과;
    가로수 식재 영역 외곽의 지중에 적어도 2개 이상 매설되어 수목을 지중에서 지지하는 수목 지중 지지대를;
    포함하고,
    수목 지중 지지대가:
    가로수 식재 영역에 식재된 수목 뿌리가 외연에 휘감겨 수목을 지중에서 지지하되, 내부가 통공되어 급수 및 급양이 가능한 수목 지지 통관과;
    수목 지지 통관 외연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돌출 형성되어, 수목 지중 지지대가 지중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안정화하는 안정화 날개와;
    수목 지지 통관 상부를 덮되, 빗물이 통과되어 수목 지지 통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부가 통공되는 상부캡과;
    수목 지지 통관 상부에 형성되어, 지상에서 지중의 수목 뿌리분을 보호하는 동시에 토양 이격을 방지하는 뿌리분 보호덮개를;
    포함하고,
    뿌리분 보호덮개가:
    빗물을 수목 지지 통관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수목 지중 지지대가:
    수목 지지 통관 외벽에 형성되어, 지중으로 급수 및 급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급수/급양 통공을;
    더 포함하는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가로수 식재블록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물 또는 영양제가 공급되는 입구부와;
    수직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입구부와 연통되되, 입구부로부터 공급된 물 또는 영양제를 지면으로 방출하는 복수의 공급홀이 측면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급수급양관을 더 포함하는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녹지블록이:
    특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녹지 형성 영역과;
    녹지 형성 영역에 다수개 설치되는 식생매트를;
    포함하는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식생매트가:
    식물 뿌리가 활착되는 다수의 활착홀이 구비되어, 활착홀을 통해 식물이 식재되는 매트 본체와;
    매트 본체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점을 보호하는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와;
    매트 본체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는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와;
    매트 본체의 활착홀 주위에 형성되어, 식물에 급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류부와;
    매트 본체의 테두리에 다수개 형성되어, 다른 식생매트와 서로 조립되는 인터록킹부를;
    포함하는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이:
    수로에서 분기되어 보도블록을 횡단하도록 형성되는 월류관을;
    더 포함하는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월류관이:
    가로수 식재블록을 더 횡단하도록 형성되는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KR1020190088079A 2019-07-22 2019-07-22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KR102318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79A KR102318575B1 (ko) 2019-07-22 2019-07-22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79A KR102318575B1 (ko) 2019-07-22 2019-07-22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12A KR20210011112A (ko) 2021-02-01
KR102318575B1 true KR102318575B1 (ko) 2021-10-28

Family

ID=7457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079A KR102318575B1 (ko) 2019-07-22 2019-07-22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5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87B1 (ko) * 2008-06-16 2009-03-17 한경수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장치 및 가로수 보호 조립체
KR200450449Y1 (ko) * 2010-03-29 2010-10-04 도기호 양액 주입기
KR101488139B1 (ko) * 2014-09-25 2015-01-2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KR101898630B1 (ko) * 2018-02-22 2018-10-04 어스그린코리아(주)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914B1 (ko) * 2007-03-02 2013-07-05 안승균 비투수성 도로의 배수시스템
KR101440988B1 (ko) 2013-04-04 2014-09-17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한 침투형 빗물저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87B1 (ko) * 2008-06-16 2009-03-17 한경수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장치 및 가로수 보호 조립체
KR200450449Y1 (ko) * 2010-03-29 2010-10-04 도기호 양액 주입기
KR101488139B1 (ko) * 2014-09-25 2015-01-2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KR101898630B1 (ko) * 2018-02-22 2018-10-04 어스그린코리아(주)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12A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6329T3 (es) Sistema para la recogida de fluidos.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JP5526418B2 (ja) 街路樹保護組立体
US7856755B2 (en) Garden or planter system with elevated bed and water reservoir
KR102233633B1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JP2008043241A5 (ko)
KR20090105791A (ko) 슬렌팅 보호덮개
KR20200043140A (ko) 다기능 가로수 보호 기구
KR100681708B1 (ko) 식생용 옹벽블럭
EP36812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e growth management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2318575B1 (ko)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KR101024843B1 (ko) 주택지 또는 도로의 법면에서 조경용 급,배수 장치
KR100443037B1 (ko) 법면보호블록
US11096339B2 (en) Drip irrigation system
JP2011050329A (ja)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101058340B1 (ko) 생태통로
KR102323550B1 (ko) 물 공급기능을 갖는 수목보호 조립체
US20160081284A1 (en) A modular drainage system
KR101086096B1 (ko) 간이형 생태수로
KR102378605B1 (ko)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JP2010239917A (ja) 緑化構造体
KR200263943Y1 (ko) 법면보호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