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605B1 -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 Google Patents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605B1
KR102378605B1 KR1020200026752A KR20200026752A KR102378605B1 KR 102378605 B1 KR102378605 B1 KR 102378605B1 KR 1020200026752 A KR1020200026752 A KR 1020200026752A KR 20200026752 A KR20200026752 A KR 20200026752A KR 102378605 B1 KR102378605 B1 KR 102378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erforated
perforated block
polygonal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609A (ko
Inventor
김관수
Original Assignee
김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수 filed Critical 김관수
Priority to KR102020002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6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609A/ko
Priority to KR1020220034038A priority patent/KR2022003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유공 블록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유공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블록 고정핀을 포함하여, 상기 다각유공 블록을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유공 블록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Polygonal block assembly and tree protec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각유공 블록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유공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블록 고정핀을 포함하여, 상기 다각유공 블록을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유공 블록체에 관한 것이다.
도심 속에 생육하고 있는 수목에는 가로수, 공원수, 조경수 등이 있으며, 이들 도시수목들은 도시의 미관을 향상시키거나, 녹음을 제공하며, 그 밖의 온도 조절 및 인간 및 동물의 휴식지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수목은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주변 또는, 보행자들이 지나다니는 인도, 유동인구가 많은 산책로가 근접한 공원 등에 식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시수목 일부의 경우, 수목의 생육공간이 협소하거나 뿌리발달을 저해하는 도로구조(인도, 산책로)상의 장애요소로 생육이 부진하거나, 불투수성 포장재료 및 보행자의 답압으로 토양의 경화 및 수분 및 공기(산소) 공급이 부족한 관리상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분의 부족은 지수성의 뿌리가 수분을 찾아 계속적으로 성장함으로써 주변건물의 지하 시설물 피해와 보도블록, 아스팔트 등의 뿌리에 의한 들림 현상이 발생하여 보행자의 상해 및 구조물 유실 등의 피해를 유발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도시공원내의 수목들은 보행인들에 의한 답압으로 토양의 경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뿌리가 노출되는 등 토양의 유실도 진행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목을 보호하면서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도심 수목의 보존을 위한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37121호(2014.08.27)에서는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및 통기관 장치로서, 상측에 위치하여 물 또는 영양제가 공급되도록 개구된 입구부, 상기 입구부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영양제가 가로수로 공급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상기 입구부와 연통된 중공, 그리고 상기 중공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중공과 연통된 복수의 공급홀들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가로수에 물 또는 영양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물 또는 영양제 공급을 위해서는 입구부가 지표 가까이 위치해야 함에 따라, 상기 장치의 매설 깊이에 한계가 있어, 지중 깊이 위치한 세근으로는 충분한 물 또는 영양제를 공급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7300호(2011.11.21)는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관통부 내에 비치되고 동심원 및 편심원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한 다수의 덮개부를 포함하여, 가로수가 가로수 보호판 내의 어떠한 위치에 있다 하더라도 가로수 덮개나 가로수의 절단작업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가 가능한 보호판을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선행문헌의 경우, 가로수 보호판이 지표면 가까이에 위치함에 따라 가로수 보호에 한계에 있음은 물론이고, 더욱이 수분 또는 영양분 공급의 기능이 없어 겨울과 같은 건조기에 가로수의 수분 또는 영양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지면 또는 지중에 용이하게 고정되어 지지되어 밀림 현상 및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수목 보호대용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37121호(2014.08.2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7300호(2011.11.21)
이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지면 또는 지중에 용이하게 고정 및 지지되어 다각유공 블록의 밀림 현상 및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특히 수목 보호대 등으로 사용가능한 다각유공(多角有孔) 블록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다각유공 블록;과 상기 다각유공 블록을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 고정핀;을 포함하는 다각유공 블록체로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은 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다각형의 각각의 변의 두께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지지면을 형성하되,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내부는 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 고정핀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상단부;와, 상기 다각유공 블록내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체결지지부를 포함하는 하단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블록 고정핀의 하단부내 체결홈과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 부분이 결합되어 다각유공 블록이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유공 블록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내 다각유공 블록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내 다각유공 블록은 육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내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의 밑면은 막혀있거나 또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내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지면 또는 지중에서 수분 및/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내 다각유공 블록은 다수의 다각유공 블록이 수직으로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오목부 또는/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는 상기 블록 고정핀의 체결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말단에 포함하는 연결블록;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과 연결블록의 체결부가 각각 블록 고정핀내 체결홈에서 결합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블록의 단면은 일자형, 열십자형, X형, Y형, 육각별형(
Figure 112020022757470-pat00001
) 및 오각별형(
Figure 112020022757470-pat00002
)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 고정핀의 체결지지부 외측면에는 상기 블록 고정핀이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로 돌출된 쐐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 고정핀의 하단부는 다각유공 블록의 높이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기재된 다각유공 블록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는 제조가 용이한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과 블록 고정핀을 주요 구성요소로 함으로써, 생산공정이 매우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또한 다각유공 블록과 블록 고정핀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 및 변형될 수 있어, 수목의 뿌리 형태에 따라 가로수, 공원수, 조경수 등 다양한 수목식재지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으로 가지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다각유공 블록체는 지면 또는 지중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며, 설치 후 다각유공 블록체의 지면 또는 지중에서의 밀림 현상 및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는 수목 주변에 알맞은 형태 및 깊이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인접 토양의 토압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매설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행자나 시설물 등에 의한 토압 또는 답압과 빗물 등에 의한 토양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는 세근의 바로 위, 즉 지중 깊이까지 매설될 수 있어, 수목의 세근으로도 지속적인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하고, 지수성의 뿌리가 이상생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를 통해 수목주변 보도블록 등의 뿌리에 의한 들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의 (a) 평면도, (b) 정면도 및 (c) 사시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블록 고정핀(200)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b) 블록 고정핀(200)의 측면도 및 (c) 블록 고정핀의 하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다각유공 블록체내 블록 고정핀의 평면도, (b) 다각유공 블록체내 블록 고정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층의 다각유공 블록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다각유공 블록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다각유공 블록에 의한 수직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 및 돌출부를 구비한 다각유공 블록과 다각유공 블록간의 수직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직으로 결합된 다각유공 블록을 지중에 매설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블록의 구조 및 상기 연결 블록과 다각유공 블록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를 포함한 수목보호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를 포함한 수목보호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사이즈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고, 특징적 구성이 드러나도록 공지의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각유공 블록체(10)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유공 블록(100)과 상기 다각유공 블록을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 고정핀(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의 다양한 결합에 따른 구조체에 해당하는 다각유공 블록은 수목보호대의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10)의 각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다각유공 블록(100) 및 블록 고정핀(2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또한 이들 다각유공 블록(100) 및 블록 고정핀(200)에 의해 형성 또는 변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유공 블록체의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다각유공 블록(100)를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다각유공 블록의 (a) 평면도, (b) 정면도 및 (c) 투시도를 나타낸 그림으로, 본 발명은 상기 도 2에 따른 육각형 단면을 가지는 구조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다각유공 블록(100)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상기 블록 고정핀과 함께 결합되어 다각유공 블록체를 형성함으로써, 지면 또는 지중에 매설되어 수목으로 공기, 수분, 미생물을 포함한 영양성분 등을 공급함과 동시에 토사 등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며, 수목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유공 블록(100)은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다각형의 각각의 변(101)이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여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지지면(103)을 형성하되,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내부는 동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다각유공 블록(100)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인 경우, 다수의 다각유공 블록간의 측면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상기 다각유공 블록으로 다양한 형태를 형성 또는 변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다각유공 블록(100)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다각형 중에서 정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조립시 평면상의 빈 공간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미관상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100)은 바람직하게는 육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육각형의 경우에 블록 고정핀의 120도 각도를 가지며 조립될 수 있어 적절한 강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2차원 공간내 정육각형이 모두 채워짐으로써, 빈 공간을 없애고 조립될 수 있다.
이밖에도 상기 정육각형은 구조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가져, 다각유공 블록이 지면 또는 지중에 매설될 경우, 주변 토압에 의한 변형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다각유공 블록에 있어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유공 블록내 단면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각형의 각각의 변(101)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여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지지면(103)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지지면 각각이 다각유공 블록을 지표면 또는 지중에서 지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각형의 각각의 변(101)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면(10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면(103)이 1 mm 미만의 두께를 가질 경우, 다각유공 블록이 외부 압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고, 10 mm 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두께로 인해 단가가 상승하거나 또는 무게의 증가로 인해 운반 및 조립시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내부는 동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동공에 주변토, 수목 상태에 따른 수분보습제를 포함한 토양, 수목 생리증진을 위한 부식토, 생리증진제 등을 충진하여 지면 또는 지중에 매설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동공내의 충진된 토양속 공극사이로 공기 및 수분이 채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크기는 수목보호대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주변환경 또는 운반/설치시의 용이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가로 및 세로 길이의 범위가 3 내지 500 mm 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높이의 범위도 주변환경 또는 운반/설치시의 용이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500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102)가 형성되어, 지면 또는 지중에서 수분 및/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동공내 충진되는 토양을 포함한 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평이동이 가능하여 이웃한 다각유공 블록의 동공 또는 이웃한 주변 토양 간에 산소이동, 수분교류, 미생물 등의 영양성분이 원활하게 교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내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의 밑면은 막혀있거나 또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밑면이 막혀있는 예시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의 밑면이 막혀있는 경우에 내부에 형성된 동공내 채워진 토사, 공기 및 수분 등이 지면의 수직방향으로는 서로 이동하지 않게 되며, 상기 다각유공 블록은 내부 동공에 지중과 유사한 토양과 함께 수분 및 영양분을 저장한 후 이를 상기 개구부(102)를 통하여 지면 또는 지중으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도 2에서와는 달리 다각유공 블록의 밑면이 개방된 경우라면 다각유공 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동공내 채워진 토사, 공기 및 수분 등은 지면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내부 동공 및 개구부(102) 모두를 통하여 지면 또는 지중으로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밑면의 개방유무는 다각유공 블록의 결합형태, 매설되는 지중의 깊이, 주위환경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는 상기 다각유공 블록을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록 고정핀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블록 고정핀(200)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b) 블록 고정핀(200)의 측면도 및 (c) 블록 고정핀의 하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나타낸 그림으로서, 이를 참고하여, 블록 고정핀(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 고정핀(200)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상단부(201);와, 상기 다각유공 블록과 결합을 형성하는 하단부(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 고정핀(200)내 상단부(201)는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다각유공 블록을 고정시켜 지지하는 부분으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 고정핀이 다각유공 블록과 결합될 경우에 다각유공 블록의 최상부보다 더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 고정핀과 다각유공 블록이 결합되어 지상에 노출될 경우, 돌출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의 타이어 등의 이동수단에 걸리게 될 여지가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상단부(20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이 반원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호나 타원의 일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내부에 상징물, 형광물, 발광 LED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고정핀(200)내 상단부(201)의 형상으로서 평면도 상으로 보았을 때의 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정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블록 고정핀(200)내 하단부(202)는 상기 다각유공 블록내 지지면과 결합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내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205) 및 상기 체결홈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체결지지부(203)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고정핀의 하단부내 체결홈과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 부분이 결합되어 다각유공 블록이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 고정핀(200)내 체결지지부(203)는 상기 체결홈(205)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며, 체결홈(205)에 다각유공 블록(100)이 결합되는 경우에 이를 고정시킴으로써 다각유공 블록체를 형성하여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도 3에서는 예시적으로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다각유공 블럭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블록 고정핀을 도시하였으며, 따라서, 3개의 체결홈과, 이에 따른 상기 3개의 체결홈에 의해 이격되어 상기 체결홈의 빈 공간에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3개의 체결지지부를 포함하는 블록 고정핀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다각유공 블록이 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블록 고정핀이 4개의 체결홈이 열십(+)자로 구분되는 체결홈과 이에 대응하는 4개의 체결지지부를 가질 수 있고,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다각유공 블록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6개의 체결홈과 6개의 체결지지부를 포함하는 블록 고정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유공 블록이 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과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평면의 2차원 공간을 모두 채우지 않고 설치되는 경우로서, 단면이 120도 및 90도의 각도로 각각 벌어진 4개의 체결홈과 이에 대응하는 4개의 체결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내 상기 블록 고정핀이 다각유공 블록내 지지면과 결합되는 구조를 도 4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로서, 정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다각유공 블록내 지지면과 이에 대응하는 3개의 체결홈 및 3개의 체결지지부를 갖는 블록 고정핀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a)에서는 다각유공 블록체내 블록 고정핀이 다각유공 블록내 지지면과 결합되는 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하였고, 도 4의 (b)에서는 이의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고정핀(200)에 있어서 체결홈(205)은 상기 다각유공 블록내 지지면에 삽입되어 결합을 형성하는 홈으로서, 상기 체결홈의 너비(폭)는 각각의 체결홈마다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체결홈에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면(103)의 두께에 따라 체결홈의 너비(폭)가 의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홈의 너비(폭)는 상기 체결홈(205)에 삽입되는 다각유공 블록의 각 지지면(103) 두께의 합과 동일하거나 크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홈의 너비(폭)는 각각의 결합되는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103) 두께의 합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상기 지지면의 두께의 합보다 3 mm 이상 크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정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다각유공 블록의 하나의 변에 따른 지지면의 두께를 t라고 하는 경우에 2t의 두께를 갖는 체결홈이 다각유공 블록 2개와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 고정핀(200)은 지면 또는 지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해 상기 블록 고정핀의 체결지지부 외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쐐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 고정핀내 쐐기부(204)를 도시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쐐기부는 외측면에 지면 아래 방향으로 돌기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쐐기부(204)의 개수는 체결지지부당 1 내지 50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고정핀(200)이 다각유공 블록(100)과 결합되어 지면 또는 지중에 상기 다각유공 블록(100)을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블록 고정핀(200)의 하단부(202)는 다각유공 블록(100)을 보다 용이하게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시켜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각유공 블록(100)의 높이보다 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10)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유공 블록(100)과 적어도 하나의 블록 고정핀(200)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 고정핀(200)의 하단부(202)내 체결홈(205)과 상기 다각유공 블록(200)의 지지면(103) 부분이 결합되어 다각유공 블록체(10)가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항 형태로 제조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10)의 예시적인 구조로서, 복수의 다각유공 블록(100)과 복수의 블록 고정핀(200)의 조합에 따른 단층구조로서 평면상에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다각유공 블록체(10)를 도시하였다.
보다 상세하세는 상기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10)로서, 단면이 정육각형인 복수의 다각유공 블록(100)이 일 방향만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선형 배치가 되도록 각각의 블록 고정핀(200)과 각각 다각유공 블록(100)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도 5(b)는 단면이 정육각형인 복수의 다각유공 블록(100)이 2차원 공간의 적어도 일부의 평면을 채워서 이루어지는 면형 배치가 되도록 각각의 블록 고정핀(200)과 각각 다각유공 블록(100)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10)는 복수의 다각유공 블록(100)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10)내 다각유공 블록(100)은 필요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단층, 다층 또는 이들의 혼합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다공유공 블록은 지표는 물론이고 지중 깊은 곳까지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수직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이 정육각형인 복수의 다각유공 블록(100)이 수직방향으로 2층 구조로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는 일 방향만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선형 배치로 이루어지는 다각유공 블록체(10)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상기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확장하여, 본 발명은 2층 내지 20층, 바람직하게는 2층 내지 10층의 다각유공 블록체(10)로서, 수평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 또는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6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10)내의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100)의 수직결합을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나타내었다.
상기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10)내 블록 고정핀(200)의 하단부의 길이는 적어도 하나의 다각유공 블록(100)의 길이보다는 길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다층 구조의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서는 2층 구조의 다각유공 블록체(10)를 도시하였으며, 이때 도 6에 도시된 블록 고정핀(200)의 하단부의 길이는 다각유공 블록 2개가 수직으로 결합된 경우의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100)의 수직방향의 길이의 합보다 긴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내 다각유공 블록은 다수의 다각유공 블록이 수직으로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오목부 또는/및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 및 돌출부를 구비한 다각유공 블록과 다각유공 블록간의 수직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복수의 다각유공 블록(100)이 수직으로 결합되기 위해, 상부(위층)의 다각유공 블록(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의 하부에 하나이상의 오목부(104)가 구비되며, 하부(아래층)의 다각유공 블록(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의 상부에 하나이상의 돌출부(104)가 구비되어 서로 결합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내 다각유공 블록은 도 7에서와 같이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100)이 수직 결합되더라도 오목부 및/또는 돌출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도 8에서와 같이 수직방향의 다층구조를 위해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100)이 오목부 및/또는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의 포함여부는 사용되는 다각유공 블록체내 주변 환경과 경제성 및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목부 또는 돌출부의 개수는 다각유공 블록 1개당 1 내지 24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개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는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체가 수직방향으로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구비되어 다양한 변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수목의 뿌리 깊이와 주변의 토사, 암반 및 자갈 등 환경에 따라 다수의 다각유공 블록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도 9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직으로 결합된 다각유공 블록을 지중에 매설한 예시도로서, 도 9의 상부 그림은 다각유공 블록체(10)내 하나의 다각유공 블록(100)이 단일층으로 지중에 매립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의 하부의 그림은 다각유공 블록체(10)내 두 개의 다각유공 블록(100)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지중에 매립된 2층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각각의 다가유공 블록(100)은 오목부 및/또는 돌출부(104)를 구비하고, 이들이 서로 결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도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층 구조를 형성한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100)은 내부에 각각의 동공 및 각각의 개구부(102)를 가짐에 따라, 상기 내부 동공에 수분, 영양분 등의 물질을 충진한 후 이를 지중에 매설하여, 상기 동공에 충진된 물질을 다각유공 블록의 개구부(102)를 통해 세근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102)를 구비한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100)의 내부 동공은 주변토, 수목 상태에 따른 수분보습제를 포함한 사질토, 수목생리증진을 위한 부식토, 생리증진제 등을 포함하여 충진될 수 있고, 상기 내부 동공을 포함하는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100)은 지중의 지하 차표층(404), 즉 나무의 세근(601) 부분까지 매설될 수 있으며, 상기 매설된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100)은 개구부(102)를 통해 내부에 충진된 물질을 지중 및 나무의 세근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9에서는 지표에서 지하 차표층(404)의 세근(601)에 이르기까지 다각유공 블록체(10)내 다각유공 블록(100)의 내부 동공에 사질토(401), 사질토와 수분 보습제(402), 모래(405) 및 부식토(403)를 첨가하여, 상기 다각유공 블록(100)의 개구부(102)를 통해 지하 차표층(404)의 세근(601)으로 수분 및 보습성분 등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는 상기 블록 고정핀의 체결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말단에 포함하는 연결블록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다각유공 블록(100)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블록(700)을 블록 고정핀이 서로 연결시켜 얻어지는 다각유공 블록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10)는 상기 다각유공 블록(100)내 지지면과 연결블록(700)의 적어도 하나이상의 말단에 구비된 체결부가 각각 블록 고정핀(200)내 체결홈(205)에서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블록(700)은 말단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체결부가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블록 고정핀의 체결홈에 결합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소정의 수직방향의 길이(깊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에 동일한 구조로 블록 고정핀의 체결홈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 및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블록(700)의 말단에 구비된 체결부의 두께는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과 유사한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의 두께는 1 내지 10 ㎜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블록의 구조로서, 수직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연결블록의 단면은 일자형, 열십자형, X형, Y형, 육각별형(
Figure 112020022757470-pat00003
) 및 오각별형(
Figure 112020022757470-pat00004
)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과 조합되는 경우에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다각유공블록과 상기 일자형, 열십자형, X형, Y형, 육각별형(
Figure 112020022757470-pat00005
) 및 오각별형(
Figure 112020022757470-pat00006
)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를 블록 고정핀이 결합시킴으로써, 이들의 조합에 의해 다각유공 블록체가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조 및 변형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예시적으로, 단면이 일자형인 연결블록의 양 말단에 정육각형의 단면을 갖는 두 개의 다각유공 블록이 두 개의 블록 고정핀에 의해 서로 결합된 구조의 평면도(a) 및 사시도(b)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블록 고정핀내 체결홈의 두께는 3개의 체결홈 중 2개는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상기 지지면의 두께보다 3 mm 이상 크지 않도록 구비되며, 나머지 1개의 체결홈은 상기 연결블록의 말단의 체결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상기 체결부의 두께보다 3 mm 이상 크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블록의 측면에는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지면 또는 지중에서 수분 및/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어, 상기 연결블록을 기준으로 안쪽과 바깥쪽의 충진되는 토양을 포함한 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평이동이 가능하여 이웃한 다각유공 블록의 동공 또는 이웃한 주변 토양 간에 산소이동, 수분교류, 미생물 등의 영양성분이 원활하게 교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다각유공 블록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를 제공하며, 이를 도 11 및 도 12를 통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유공 블록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예시를 나타낸 그림으로서, 상기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대는 지표면을 비롯하여 지중, 특히 수목의 세근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수목의 생육환경, 식재형태, 배수상태, 토양의 답압여부, 수목의 세근위치 등을 고려하여 다각유공 블록체의 형태를 일렬로 결합된 선형, 수목근부를 원형이나 가변형으로 연결한 면형, 연속 비연속적으로 수직 결합된 다층 등으로 형성 및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보호대는 새로이 식재되는 수목에 경계석(301)과 혼용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기존 가로수의 경계석(301)내에 수목생육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대는 다각유공 블록체를 포함함에 따라, 수목 주변에 알맞은 형태 및 깊이로 제조 및 설치되어 인접 토양의 토압에 안정적으로 매설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행자나 시설물 등에 의한 토압 또는 답압과 빗물 등에 의한 토양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보호대는 세근의 바로 위, 즉 지중 깊이까지 매설될 수 있음에 따라, 수목의 세근으로도 지속적인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하고, 지수성의 뿌리가 이상생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를 통해 수목주변 보도블록 등의 뿌리에 의한 들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1: 수목
10 : 다각유공 블록체
100: 다각유공 블록
101: 다각유공 블록의 변
102: 다각유공 블록의 개구부
103: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
104: 오목부 또는/및 돌출부
200: 블록 고정핀
201: 블록 고정핀의 상단부
202: 블록 고정핀의 하단부
203: 체결지지부
204: 쐐기부
205: 체결홈
301: 경계석
401: 사질토
402: 사질토+수분보습제
403: 부식토
404: 지하차표층
405: 모래
601: 지하뿌리근(세근)
700: 연결블록

Claims (11)

  1. 복수의 다각유공 블록;과 상기 다각유공 블록을 지중에 지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블록 고정핀;을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용 다각유공 블록체로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은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육각형의 각각의 변의 두께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지지면을 형성하되,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내부는 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 고정핀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상단부;와, 상기 다각유공 블록내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체결지지부를 포함하는 하단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블록 고정핀의 하단부내 체결홈과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 부분이 결합되어 다각유공 블록이 지중에 지지되고,
    상기 블록 고정핀의 하단부는 다각유공 블록의 높이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대용 다각유공 블록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내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의 밑면은 막혀있거나 또는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대용 다각유공 블록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내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지면 또는 지중에서 수분 및/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대용 다각유공 블록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내 다각유공 블록은 다수의 다각유공 블록이 수직으로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오목부 또는/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대용 다각유공 블록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유공 블록체는 상기 블록 고정핀의 체결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말단에 포함하는 연결블록;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각유공 블록의 지지면과 연결블록의 체결부가 각각 블록 고정핀내 체결홈에서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대용 다각유공 블록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의 단면은 일자형, 열십자형, X형, Y형, 육각별형(
    Figure 112022024399915-pat00007
    ) 및 오각별형(
    Figure 112022024399915-pat00008
    )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대용 다각유공 블록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고정핀의 체결지지부 외측면에는 상기 블록 고정핀이 지면 또는 지중에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로 돌출된 쐐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대용 다각유공 블록체.
  10. 삭제
  11.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각유공 블록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KR1020200026752A 2020-03-03 2020-03-03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KR102378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752A KR102378605B1 (ko) 2020-03-03 2020-03-03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KR1020220034038A KR20220038651A (ko) 2020-03-03 2022-03-18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752A KR102378605B1 (ko) 2020-03-03 2020-03-03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038A Division KR20220038651A (ko) 2020-03-03 2022-03-18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609A KR20210111609A (ko) 2021-09-13
KR102378605B1 true KR102378605B1 (ko) 2022-03-23

Family

ID=777967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752A KR102378605B1 (ko) 2020-03-03 2020-03-03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KR1020220034038A KR20220038651A (ko) 2020-03-03 2022-03-18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038A KR20220038651A (ko) 2020-03-03 2022-03-18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86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063A (ja) * 2005-06-23 2007-01-11 Noriaki Kunimune 屋上緑化用植栽コンテナー
KR101879342B1 (ko) * 2016-12-23 2018-07-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목 바닥 보호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37A (ko) * 2009-04-01 2010-10-11 한주그린(주) 식생매트 고정용 생분해성 팩
KR101087300B1 (ko) 2009-04-20 2011-11-30 최대명 편심원을 이용한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KR101437121B1 (ko) 2011-12-23 2014-09-02 한경수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및 통기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063A (ja) * 2005-06-23 2007-01-11 Noriaki Kunimune 屋上緑化用植栽コンテナー
KR101879342B1 (ko) * 2016-12-23 2018-07-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목 바닥 보호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651A (ko) 2022-03-29
KR20210111609A (ko)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08178T3 (es) Módulo y conjunto para gestionar el flujo de agua
KR200436071Y1 (ko) 장애인 주차 표시용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
EP36812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e growth management
JP4856446B2 (ja) 階段構造物
KR102378605B1 (ko)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JP2009077687A (ja) 緑化駐車場
Nektarios et al. Substrate and drainage system selection and slope stabilization in an intensive-type roof garden park: case study of Athens Concert Hall
US20230263105A1 (en) Plant root management and protection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KR102318575B1 (ko)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JPH11103676A (ja) 植栽基盤
KR20090005754A (ko) 공간 잔디 블럭
CN113508700A (zh) 一种适于银杏的栽植系统及栽植方法
CN220364818U (zh) 蜂窝状树池篦子及其安装结构
Ely Thinking Like a Tree: Developing a Framework for Tree Sensitive Urban Design
KR101427336B1 (ko) 우수유입장치
CN220724750U (zh) 模块化树池篦子及其安装结构
KR100382256B1 (ko) 통나무제 보도 블록을 이용한 포장시공방법
JPH0310824Y2 (ko)
TWM558811U (zh) 土壤支撐單元及土壤支撐裝置
JP3144629U (ja) 舗装用ブロック
JP3864375B2 (ja) ユニット型ビオトープ
JP2010011809A (ja) 植栽基盤、緑地構造体、緑地造成方法
KR200304722Y1 (ko) 도로의 친환경 가로수 보호블록
KR20220108496A (ko) 블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