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342B1 - 수목 바닥 보호틀 - Google Patents
수목 바닥 보호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9342B1 KR101879342B1 KR1020160177791A KR20160177791A KR101879342B1 KR 101879342 B1 KR101879342 B1 KR 101879342B1 KR 1020160177791 A KR1020160177791 A KR 1020160177791A KR 20160177791 A KR20160177791 A KR 20160177791A KR 101879342 B1 KR101879342 B1 KR 1018793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ver
- side wall
- block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Sewage (AREA)
Abstract
수목 바닥 보호틀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수분함유 블록을 결합한 조립체; 및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수분함유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측벽과 바닥벽에는 다수의 우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격자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분함유블록의 측벽 코너부에는 결합돌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분함유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여름에 도심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을 일정시간 동안 저장하면서 서서히 수분을 뿌리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목 바닥 보호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분함유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여름에 도심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을 일정시간 동안 저장하면서 서서히 수분을 뿌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 바닥 보호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목의 식재 방법은 수목의 뿌리 분 부분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해 뿌리 분이 정착될 수 지반을 일정한 깊이로 개토한 뒤 뿌리분을 넣고 지상에서 수목의 줄기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목을 적당하게 받쳐주고 개토된 지반을 다시 복토하는 방법으로 수목을 식재한다.
수목이 식재된 주변지면에는 보행자에 의한 흙의 유실을 방지하고 발판역활을 함과 아울러 우수를 유입시키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진 그레이팅 구조의 커버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버는 2개가 한조를 이루며 수목을 감싸면서 설치되고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설치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레이팅 구조로 형성되어 보행자가 커버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발생됨과 아울러 이물질이 끼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레이팅 구조의 커버는 우천시 빗물에 의해 흙이 튀어 유실되거나 주변환경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계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되며, 물의 공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분 함유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한 수목 바닥 보호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셀로 구성하여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단위셀별로 교환 또는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수목 바닥 보호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함 구조에 격자틀을 삽탈가능하게 수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물질들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수목 바닥 보호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은,
다수의 수분함유 블록을 결합한 조립체; 및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수분함유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측벽과 바닥벽에는 다수의 우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격자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분함유블록의 측벽 코너부에는 결합돌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부는 대경돌부와 그에 바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소경돌부를 가지며, 상기 대경돌부와 소경돌부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함유블록들 사이에는 상기 대경돌부의 길이만큼 공간(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은, 좌우 대칭구조를 가지며, 격벽들에 의해 형성되며 바닥벽에 다수의 관통홀(51)이 형성된 다수의 수납함을 구비하는 블록수용틀;
상가 각각의 수납함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단위블록;및
상기 단위블록의 개방된 상부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블록은,
측벽과 바닥벽에는 다수의 우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의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고, 그 상부 외벽에는 돌출테두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물이나 우수가 통과할 수 없는 제 1커버이고,
상기 제 1커버는, 상부면이 막힌 구조로서 물이나 우수가 통과할 수 없는 커버이며, 상기 제 1커버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4개의 지지다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물이나 우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 2커버이고,
상기 제 2커버는, 상부면에 다수의 슬롯공이 형성된 커버이며, 상기 제 2커버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4개의 지지다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함유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여름에 도심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을 일정시간 동안 저장하면서 서서히 수분을 뿌리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셀로 구성하여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단위셀별로 교환 또는 교체가 가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함 구조에 격자틀을 삽탈가능하게 수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물질들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이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목 바닥 보호틀의 단위셀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목 바닥 보호틀의 단위셀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이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목 바닥 보호틀의 단위셀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은 다수의 수분함유 블록(20)을 결합한 조립체(15)와 상부덮개(10)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수분함유블록(2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측벽과 바닥벽에는 다수의 우수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덮개(10)에는 물이나 우수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수공(21)은 수분함유블록(20)의 내부에 저정되는 우수가 서서히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의 미세한 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분함유블록(20)의 상부에는 격자형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이나 우수가 통과될 수 있는 구조이며, 수분함유블록(20)에 쌓일 수 있는 흙이나 이물질들을 빼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격자형 개구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분함유블록(20)의 측벽 코너부에는 결합돌부(25)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합돌부(25)는 수분함유블록(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탈착가능한 분리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부(25)는 대경돌부(27)과 그에 바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소경돌부(28)를 가지며, 상기 대경돌부(27)와 소경돌부(28)의 구조에 의해서 걸림턱(29)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분함유블록(20)을 또 다른 수분함유블록(20)에 결합시킬 때 상기 결합돌부(25)가 상기 수분함유블록(20)의 측벽에 형성된 우수공(21)에 삽입됨에 따라 결합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돌부(25)의 소경돌부(28)만이 상기 우수공(21)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턱(29)이 측벽에 막히면서, 상기 대경돌부(27)는 더 이상 우수공(21)에 삽입될 수 없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수분함유블록(20)들 사이에는 대경돌부(27)의 길이만큼 공간(G)이 생기게 되고, 이 공간(G)을 통해서 측벽의 우수공(21)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이나 우수가 땅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수분함유블록(20)의 바닥벽에 형성된 다수의 우수공(21)을 통해서도 물이나 우수가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수분함유블록(20)들이 결합되어서 조립체(15)가 조립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상부덮개(10)가 상기 조립체(15)에 배치되면, 최종적으로 수목 바닥보호틀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덮개(10)는 좌우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나무(100)를 심은 상태에서 수목 바닥보호틀(1)을 설치할 때, 블록 조립체(15)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덮개(10)를 원활하고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보호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보호틀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할 것이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보호틀은 블록수용틀(50)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수용틀(50)은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좌우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블록수용틀(50)은 내부에 다수의 격벽(53)을 구비하여, 다수의 직육면체 형상의 수납함(55)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바닥벽에는 다수의 관통홀(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수납함(55)에는 단위블록(6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단위블록(60)은 직육면체 박스 형상을 갖는 것으로 측벽과 바닥벽에는 다수의 우수공(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60)의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고, 그 상부 외벽에는 돌출테두리(6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블록(60)의 개방된 상부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제 1커버(71)가 설치될 수도 있고 제 2커버(73)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커버(71)는 상부면이 막힌 구조로서 물이나 우수가 통과할 수 없는 커버이며, 상기 제 1커버(71)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4개의 지지다리부(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커버(71)가 단위블록(60)에 설치되게 되면, 상기 4개의 지지다리부(73)에 의해서 단위블록(60)의 내부에 설치되게 되고, 물이나 우수를 통과시킬 수 없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제 2커버(75)는 상부면에 다수의 슬롯공(77)이 형성된 커버이며, 상기 제 2커버(75)에도 하방으로 돌출된 4개의 지지다리부(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커버(75)가 단위블록(60)에 설치되게 되면, 상기 4개의 지지다리부(73)에 의해서 단위블록(60)의 내부에 설치되게 되고, 물이나 우수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은 블록수용틀(50)의 수납함(55)에 단위블록(60)이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완성된다. 상기 단위블록(6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 1커버(71) 또는 제 2커버(75)는 지지다리부(73)에 의해서 그 높이가 결정되며 상기 단위블록(60)의 내부에 안정되게 지지되면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위블록(60)의 상부 외벽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테두리(63)에 의해서 상기 단위블록(60)과 상기 수납함(55)의 격벽(53) 사이에는 공간(S)가 형성되게 된다. 이 공간(S)를 통해서 상기 단위블록(60) 내부에 저장된 물이나 우수가 측벽의 우수공(61)을 통해서 배출될 때 물이나 우수가 땅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블록수용틀(50)의 상부 전체에는 상부덮개(10)가 설치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목 바닥 보호틀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수목 바닥보호틀 10: 상부덮개
11: 관통홀 21: 우수공
23: 격자형 개구부 25: 결합돌부
27: 대경부 28: 소경부
29: 걸림턱
11: 관통홀 21: 우수공
23: 격자형 개구부 25: 결합돌부
27: 대경부 28: 소경부
29: 걸림턱
Claims (7)
- 다수의 수분함유 블록을 결합한 조립체; 및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수분함유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측벽과 바닥벽에는 다수의 우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격자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분함유블록의 측벽 코너부에는 결합돌부가 설치되며,
상기 결합돌부는 대경돌부와 그에 바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소경돌부를 가지며,
상기 대경돌부와 소경돌부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바닥 보호틀.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함유블록들 사이에는 상기 대경돌부의 길이만큼 공간(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바닥 보호틀.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7791A KR101879342B1 (ko) | 2016-12-23 | 2016-12-23 | 수목 바닥 보호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7791A KR101879342B1 (ko) | 2016-12-23 | 2016-12-23 | 수목 바닥 보호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4091A KR20180074091A (ko) | 2018-07-03 |
KR101879342B1 true KR101879342B1 (ko) | 2018-07-17 |
Family
ID=6291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7791A KR101879342B1 (ko) | 2016-12-23 | 2016-12-23 | 수목 바닥 보호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934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029129A (ja) * | 2019-08-19 | 2021-03-01 | 北勢工業株式会社 | 保護盤 |
KR20210111609A (ko) * | 2020-03-03 | 2021-09-13 | 김관수 |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2276B1 (ko) * | 2018-10-17 | 2020-08-07 | 어스그린코리아(주) | 옥상용 식재 장치 |
CN112273095A (zh) * | 2020-11-19 | 2021-01-29 | 江苏海绵城市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海绵城市自动蓄补水生态树池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7103A (ja) * | 1997-11-07 | 1999-05-25 | Asuzakku Kk | 植樹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JP2003005810A (ja) * | 2001-06-20 | 2003-01-08 | Denso Corp |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
JP2003259747A (ja) * | 2002-03-07 | 2003-09-16 | Tomio Kanemitsu | 可給水植栽装置 |
KR100822057B1 (ko) * | 2007-09-06 | 2008-04-15 | 주식회사 세원뷰텍 | 담수형 가로수 보호 덮개 |
KR101028778B1 (ko) * | 2010-11-05 | 2011-04-14 | (주)거리엔 | 수목용 보호블럭틀 조립체 |
KR101112771B1 (ko) * | 2010-12-20 | 2012-03-13 | 한경수 |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35810A (ja) * | 2006-08-08 | 2008-02-21 | Mitsubishi Jisho Sekkei Inc | 樹木保護装置 |
KR101380489B1 (ko) | 2012-12-24 | 2014-04-04 | 장성기 | 수목 보호용 관수 틀 및 이를 이용 자동급수 시스템. |
-
2016
- 2016-12-23 KR KR1020160177791A patent/KR1018793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7103A (ja) * | 1997-11-07 | 1999-05-25 | Asuzakku Kk | 植樹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JP2003005810A (ja) * | 2001-06-20 | 2003-01-08 | Denso Corp |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
JP2003259747A (ja) * | 2002-03-07 | 2003-09-16 | Tomio Kanemitsu | 可給水植栽装置 |
KR100822057B1 (ko) * | 2007-09-06 | 2008-04-15 | 주식회사 세원뷰텍 | 담수형 가로수 보호 덮개 |
KR101028778B1 (ko) * | 2010-11-05 | 2011-04-14 | (주)거리엔 | 수목용 보호블럭틀 조립체 |
KR101112771B1 (ko) * | 2010-12-20 | 2012-03-13 | 한경수 |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029129A (ja) * | 2019-08-19 | 2021-03-01 | 北勢工業株式会社 | 保護盤 |
JP7165632B2 (ja) | 2019-08-19 | 2022-11-04 | 北勢工業株式会社 | 保護盤 |
KR20210111609A (ko) * | 2020-03-03 | 2021-09-13 | 김관수 |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
KR102378605B1 (ko) * | 2020-03-03 | 2022-03-23 | 김관수 | 다각유공 블록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4091A (ko) | 2018-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9342B1 (ko) | 수목 바닥 보호틀 | |
CN105309223A (zh) | 一种种植箱单体和一种可拼接种植箱 | |
US9668428B1 (en) | Sectional detachable flower pots | |
EP0215991A1 (fr) | Elément de construction pour murs de soutènement destiné à être garni de végétation | |
EP0183653A1 (fr) | Dispositif pour l'horticulture | |
KR200472746Y1 (ko) | 식물 재배 용기 | |
KR20160100582A (ko) |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 |
KR101471062B1 (ko) | 벽면 녹화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벽면 녹화 구조물 | |
KR200401368Y1 (ko) | 가로수 보호판 | |
US3631627A (en) | Forcing boxes for bulb plants | |
KR101638985B1 (ko) | 조립식 식생모듈 | |
JP3140775U (ja) | 墓の芝台構造 | |
RU219567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 |
JP2007197993A (ja) | 壁面取付け式プランター | |
JP2007259833A (ja) | 木製植木鉢 | |
KR101321965B1 (ko) | 식재 팔레트 및 이를 이용한 조경 시설 | |
CA2612927A1 (en) | Universal plant pot base | |
JP3917162B2 (ja) | 植物栽培装置 | |
KR100673387B1 (ko) | 공동주택용 비탈면 보호시설 설치구조 | |
CN221710591U (zh) | 种植盆和景观建筑 | |
KR102142276B1 (ko) | 옥상용 식재 장치 | |
KR100960460B1 (ko) | 식생용 담수블록 | |
KR101548155B1 (ko) | 기능성 화분 | |
KR102297778B1 (ko) | 플랜터 | |
JP2005333976A (ja) | 多目的植栽基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