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771B1 -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771B1
KR101112771B1 KR1020110039759A KR20110039759A KR101112771B1 KR 101112771 B1 KR101112771 B1 KR 101112771B1 KR 1020110039759 A KR1020110039759 A KR 1020110039759A KR 20110039759 A KR20110039759 A KR 20110039759A KR 101112771 B1 KR101112771 B1 KR 101112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tree
cover member
protection assembly
inn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수
Original Assignee
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수 filed Critical 한경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수 주변에 설치되어 가로수에 수분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가로수 및 가로수 주변의 지면을 보호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로수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된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재는 각 테두리에 상호 짜맞춤되는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철무늬가 형성된 다수의 단위 덮개부로 이루어진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assembly for protecting street tre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수 주변에 설치되어 가로수에 수분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가로수 및 가로수 주변의 지면을 보호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로수는 도로, 공원 등에 심어져 조경을 미려하게 하며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가로수는 행인과 자동차 등이 자주 지나는 장소에 심어지기 때문에, 손상되기 쉽다. 또한, 폭우, 폭설, 태풍 등의 기상환경에 의해, 가로수가 뿌리째 뽑히는 경우도 발생한다.
가로수 보호 조립체는 가로수가 심어진 흙과 도로의 경계를 구획하고 행인이나 비 등에 의해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울타리 역할을 한다. 또한, 가로수 보호 조립체는 가로수를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하고 줄기의 곧은 성장을 돕는 등의 목적으로 설치된다.
종래의 가로수 보호 조립체는 가로수 주변의 지면에 일정 깊이 매설되도록 설치되고, 그 형상은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가로수 보호 조립체는 사각형의 각변이 하나의 조립 부재이며, 조립 부재들이 조립되어 가로수 보호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가로수 보호 조립체는 보행자가 자주 왕래하는 인도에 설치되므로, 보행자에 의해 조립부재의 일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파손된 부분만 수리하기가 어려움으로써 하나의 조립 부재를 교체해야 한다. 이에 따라, 많은 유지보수 비용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로수 보호 조립체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나의 조립 부재의 재질이 금속이나 나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조립 부재 하나의 무게가 작업자가 감당하기에 용이한 무게가 아니므로, 다수의 작업자가 작업해야 하거나, 조립 부재를 리프팅할 수 있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로수 보호 조립체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가로수 보호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의 가로수 보호 조립체는 가로수의 크기 및 가로수의 주변환경과 관계없이 균일화된 사이즈의 가로 보호 조립체를 설치해야만 함에 따라 효율적이지 못한 공간활용 및 가로수의 성장방해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다.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면서 결합력이 강한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가로수의 크기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해서 시공할 수 있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수를 비롯한 각종 수목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된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수목 보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각 테두리에 상호 짜맞춤되는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철무늬가 형성된 다수의 단위 덮개부로 이루어진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가로수 주변의 지반을 평탄하게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정리된 지반에 수목 보호 조립체가 매설되는 수용홈을 파내는 단계와, 상기 수용홈에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를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끼워지도록 사이즈에 맞춰 덮개부재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 조립체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부분만 분해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목 보호 조립체를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수목 보호 조립체의 분해 조립이 간단하여 가로수 주변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공되는 가로수의 크기와 주변환경에 따라 수목 보호 조립체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즉각적으로 절단하여 조절하기 때문에 최적 상태의 수목 보호 조립체를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보호 조립체의 부재들이 상호 맞물려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시공되어 안정감을 향상시켜 도난 및 분실의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의 부분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3은 내측 지지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외측 지지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덮개부재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의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내측 지지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외측 지지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덮개부재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10)는 가로수(20)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된 내측 지지부재(100)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100)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외측 지지부재(200)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100)와 외측 지지부재(200) 사이에 배치된 덮개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재(300)는 각 테두리에 상호 짜맞춤되는 조립홈(311)과 조립돌기(312)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철무늬(310)가 형성된 다수의 단위 덮개부(301, 302)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재(300)는 단위 덮개부(301, 302)가 조립하여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 덮개부(301, 302)는 일자형,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절곡형, 아치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지지부재(100)와 외측 지지부재(200)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덮개부재(300)에는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지면에 내린 비나 수분이 가로수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덮개부(301, 302)는 테두리에 요철무늬(310)가 형성되어 상기 요철무늬(310)의 조립돌기(312)가 조립홈(31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조립홈(311)과 조립돌기(312)는 동일한 형상을 취하며, 서로 체결되는 단위덮개부(301, 302)의 요철무늬(310)는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즉, 일측의 단위덮개부(301)의 요철무늬(310)가 조립홈(311)-조립돌기(312)-조립홈(311)-조립돌기(312)의 순서로 형성되면, 타측의 단위덮개부(302)의 요철무늬(310)는 조립돌기(312)-조립홈(311)-조립돌기(312)-조립홈(311)의 순서로 형성되어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수목 보호 조립체(10)의 설치 및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됨으로써, 수목 보호 조립체(10)의 설치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지지부재(100)와, 외측 지지부재(200) 및 덮개부재(300)의 일부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수목 보호 조립체(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수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덮개부재(300)가 다수의 단위 덮개부(301, 302)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덮개부재(300)의 일부분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단위 덮개부(301, 302)들 중 어느 하나만 교체하면 수리할 수 있으므로, 수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지지부재(100)와 상기 외측 지지부재(20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베이스 부재(110, 2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들의 양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120, 22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110, 210) 또는 연결부재(120, 220)는 상기 덮개부재(300)와 접하는 부위에 덮개부재(300)의 요철무늬(310)와 짜맞춤되는 요철무늬(113, 21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는 내측 지지부재(100) 또는 외측 지지부재(200)의 형태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110, 210)의 소재는 나무, 금속 및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 2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들의 양단을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0, 220)가 베이스 부재(110, 210)들을 연결함으로써, 내측 지지부재(100)와 외측 지지부재(20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취하며 그 중심부에 가로수가 위치하도록 가로수의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와 연결부재(120, 220)의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베이스부재(110, 210) 또는 연결부재(120, 220)는 상기 덮개부재(300)와 접하는 부위에 덮개부재(300)의 요철무늬(310)와 짜맞춤되는 요철무늬(113, 21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10, 210)의 요철무늬(113, 213)은 조립홈(113a, 213a)과 조립돌기(113b, 213b)가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20, 220)의 요철무늬도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요철무늬(113, 213)는 베이스부재(110, 21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10, 210) 또는 연결부재(120, 220)의 요철무늬(113, 213)와 덮개부재(300)의 요철무늬(310)는 상호 맞물려 체결 가능하도록 동일한 형태를 취하며, 결과적으로 내측 지지부재(100)와 외측 지지부재(200) 사이에 끼워진 덮개부재(3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지지부재(100)와 외측 지지부재(200)는 다수의 베이스 부재(110, 210) 및 연결부재(120, 220)가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목 보호 조립체(10)의 조립이 간단하여 설치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수목 보호 조립체(10)의 분해가 용이하여 가로수 주변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목 보호 조립체(10)가 일부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부분만 분해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측 지지부재(100) 및 외측 지지부재(200)의 형상의 일예로, 내측 지지부재(100) 및 외측 지지부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측 지지부재(100) 및 외측 지지부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측 지지부재(100)는 다각형이고, 외측 지지부재(200)는 원형이 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지지부재(100)는 원형이고, 외측 지지부재(200)는 다각형이 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10, 210) 및 연결부재(120, 220) 중 어느 하나는 돌출부(114, 214)를 포함하고, 베이스 부재(110, 210) 및 연결부재(120, 220) 중 나머지 하나에는 수용부(124, 22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부재(110, 210)에 돌출부(114, 214)가 형성되고, 연결부재(120, 220)에 수용부(124, 224)가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돌출부(114, 214)는 베이스 부재(110, 210)의 양측단부에 일정 길이 돌출형성된다. 반면 수용부(124, 224)는 돌출부(114, 214)와 맞닿는 연결부재(120, 220)의 양측단부에 내부로 요입된 형태를 취한다. 베이스 부재(110, 210)와 연결부재(120, 220) 결합되는 경우, 돌출부(114, 214)는 수용부(124, 224)에 끼워진다.
이러한 돌출부(114, 214)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14, 214)가 하나로 이루어진 것보다 돌출부(114, 214)와 수용부(124, 224)가 맞닿는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110, 210)와 연결부재(120, 2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14, 214)와 수용부(124, 224)는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이 베이스 부재(110, 210)와 연결부재(120, 2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수목 보호 조립체(10)가 지면에 설치된 후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조립 상태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재(300)는 수평방향으로 규칙적인 패턴을 형성하도록 높이방향으로 타공된 무늬부(320)와, 상기 무늬부(320)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30)는 무늬부(320)와 전단되면 요철무늬(310)로 작용한다.
상기 무늬부(320)는 정사각형, 원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꽃, 동물, 상표 등과 같이 미려한 각종 패턴을 규칙적으로 형성하며, 복수 배치된다. 또한, 덮개부재(300)의 상하로 관통되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지면에 내린 비나 수분이 무늬부(320)를 통해 통과되어 가로수(2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무늬부(320)들 사이에는 상기 무늬부(320)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330)는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여 양측이 무늬부(320)들에 연결되는 형태를 취한다.
상기 연결부(330)는 무늬부(320)와 전단되면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요철무늬(310)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부재(300)를 구성하는 단위덮개부(301, 302)들은 어떻게 절단하는지에 따라서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l'자형, 'ㄱ'자형, 'ㅁ'자 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연결부(330)의 패턴은 무늬부(320)의 양측에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무늬부(320)의 일측에 빈공간-연결부-빈공간-연결부-빈공간의 순서대로 연결부(330)가 형성되면, 무늬부(320)의 타측에는 연결부-빈공간-연결부-빈공간-연결부의 순서대로 연결부(330)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추후 연결부(330)가 무늬부(320)와 전단되어 요철무늬(310)로 작용할 경우, 연결부가 조립돌기로 작용하고, 빈공간이 조립홈으로 작용하여 서로 대응하고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지지부재(100)와 상기 외측 지지부재(200)는 상기 덮개부재(3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111, 121, 211, 221)과, 상기 측벽(111, 121, 211, 221)의 하단에 일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단턱(112, 122, 212, 222)을 구비하여 'L'자형의 단면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111, 121, 211, 221)의 높이는 상기 단턱(112, 122, 212, 222)의 높이보다 크게 설정된다.
상기의 경우, 측벽(111, 121, 211, 221)에 요철무늬(113, 213)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112, 122, 212, 222)의 상단에 덮개부재(300)가 안착되고, 덮개부재(300)의 측면은 상기 측벽(111, 121, 211, 22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단턱(112, 122, 212, 222)의 두께만큼 덮개부재(300)는 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벽(111, 121, 211, 221)의 높이는 상기 단턱(112, 122, 212, 222)의 높이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는 측벽(111, 121, 211, 221)의 높이를 높게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측벽(111, 121, 211, 221)과 단턱(112, 122, 212, 222)에 안착된 덮개부재(300)가 내측 지지부재(100)와 상기 외측 지지부재(20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도난 및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재(300)는 덮개부재(300) 사이에 배치되어 덮개부재(300)의 길이를 연장하는 확장부(340)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인 가로수(20)보다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가로수에 수목 보호 조립체(10)를 설치하는 경우, 전술한 수목 보호 조립체(10)보다 넓은 면적의 수목 보호 조립체(10)를 설치해야 한다.
이 경우, 덮개부재(300)를 구성하는 단위덮개부(301, 302) 사이에 배치되어 덮개부재(30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확장부(340)가 추가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확장부(340)는 'l'자 형을 취할 수 있으며, 아치형, 절곡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340)는 테두리에 단위덮개부(301, 302)와 조립가능하도록 요철무늬(310)를 형성하며, 상기 단위덮개부(301, 302)와 일체감을 주도록 무늬부(320) 및 연결부(3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재(300)는, 화분(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타공된 화분수용부(350)를 추가로 형성한다.
상기 화분수용부(350)는 화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로 타공된 형태를 취한다. 참고로, 상기 회분(30)은 상기 덮개부재(300)의 요철무늬(310)와 대응되는 요철무늬가 그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립홈(311)과 조립돌기(312)에 대응하는 조립돌기와 조립홈이 형성되어 상호 끼워지는 방식을 통해 상기 화분(30)이 화분수용부(35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수용부(350)는 상기 확장부(34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화분수용부(350)와 상기 화분수용부(350)에 끼워지는 화분 역시 그 테두리에 요철무늬를 형성하여 서로 짜맞춤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의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지지부재(100)와 상기 외측 지지부재(200)는 상기 덮개부재(3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111, 121, 211, 221)과, 상기 측벽(111, 121, 211, 221)의 하단에 상기 측벽(111, 121, 211, 221)과 수직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단턱(112, 122, 212, 222)을 구비하여 'L'자형의 단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지지부재(100)의 측벽(111, 121)의 높이는 상기 외측지지부재(200)의 측벽(211, 22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의 경우, 내측지지부재(100)의 측벽(111, 121)이 높게 형성되어 수목을 덮고 있던 흙이 덮개부재(300)로 이탈하거나, 빗물 등을 따라 외부로 유실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으며, 외부의 쓰레기 등과 같은 불순물이 수목 근처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재(300)의 높이는 상기 외측지지부재(200)의 측벽(211, 22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덮개부재(300)의 상단과 외측지지부재(200)의 상단은 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일체감을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덮개부재(300)를 빼내기가 어렵게 때문에 덮개부재(300)의 분실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턱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위험요소가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덮개부재(300)와 외측지지부재(200)는 지반 또는 보도 블럭 등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내측지지부재(100)만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형태를 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지지부재(100)는 상기 측벽(111, 121)의 외측 상단 모서리에 곡선 또는 직선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측지지부재(100)에 고인 물의 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될 경우 내측지지부재(100)에 고인 물이 경사면을 따라 덮개부재(300)로 원활이 원류되어 내측지지부재(100)의 토양 및 수목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한 다양한 실시 예에 해당하는 수목 보호 조립체를 가로수 주변에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가로수 주변의 지반을 평탄하게 정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정리된 지반에 수목 보호 조립체가 매설되는 수용홈을 파내는 제2단계와, 상기 수용홈에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를 매설하는 제3단계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끼워지도록 사이즈에 맞춰 덮개부재를 절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제1단계는 가로수 주변의 지반을 정리하는 단계로, 가로수 주변의 지반을 다지고 평탄화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정리된 지반에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가로수 주변에 도넛형태로 소정의 깊이만큼 지반을 파내서 수용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수용홈의 크기 및 형태는 가로수 보로 조립체의 형상 및 사이즈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수용홈에는 수용홈에 유입된 물을 가로수의 뿌리로 공급하는 급수관이 추가적으로 매설될 수 있다.
제3단계는 상기 수용홈에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를 매설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과 외주연에 각각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를 고정시킨다.
제4단계는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덮개부재를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재는 다수의 단위덮개부가 조립된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상기 단위덮개부를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끼워지도록 절단한다.
제 5단계는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위덮개부에는 무늬부와 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단위덮개부를 무늬부를 절단규격으로 절단하면, 연결부는 요철무늬로 작용해서 단위덮개부끼리 짜맞춤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지지부재 또는 외측 지지부재에 요철무늬가 형성된 경우, 상기 단위덮개부의 요철무늬와 짜맞춤되기 때문에 덮개부재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목 보호 조립체의 부재들이 상호 맞물려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시공되어 안정감을 향상시켜 도난 및 분실의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외측 지지부재 주변의 정리된 지반의 상단에 상기 외측지지부재 및 덮개부재의 상단과 평행하도록 이루도록 블럭이 설치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지반의 상단에 블럭이 설치될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공원, 인도 등에는 통상적으로 블럭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블럭과 본 발명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가 평면을 이루어 외관상 일체감을 주어 미려하고,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블럭이 설치되지 않은 일반적인 지반의 경우, 상기 지반에 수용홈을 형성할 때, 상기 수용홈의 깊이를 외측지지부재의 전체길이와 동일하게 맞춰 지반과 외측지지부재 및 덮개부재가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외측지지부재에서 덮개부재를 빼내기가 어렵게 때문에 덮개부재의 분실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턱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위험요소가 제거되며, 수목을 덮고 있던 흙이 내측지지부재를 넘어 덮개부재로 이탈하거나, 빗물 등을 따라 외부로 유실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으며, 외부의 쓰레기 등과 같은 불순물이 수목 근처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다.
전술한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수목 보호 조립체
100 : 내측 지지부재
110, 210 : 베이스 부재
111, 121, 211, 221 : 측벽
112, 122, 212, 222 : 단턱
113, 213 : 요철무늬
120, 220 : 연결부재
200 : 외측 지지부재
300 : 덮개부재
301, 302 : 단위덮개부
310 : 요철무늬
320 : 무늬부
330 : 연결부
340 : 확장부
350 : 화분수용부

Claims (11)

  1. 가로수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된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각 테두리에 상호 짜맞춤되는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철무늬가 형성된 다수의 단위 덮개부로 이루어진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외측 지지부재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들의 양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연결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와 접하는 부위에 덮개부재의 요철무늬와 짜맞춤되는 요철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수평방향으로 규칙적인 패턴을 형성하도록 높이방향으로 타공된 무늬부;
    상기 무늬부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무늬부와 전단되면 요철무늬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외측 지지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단에 상기 측벽과 수직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단턱을 구비하여 'L'자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측벽의 높이는 상기 단턱의 높이보다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덮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덮개부재의 길이를 연장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화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타공된 화분수용부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외측 지지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단에 상기 측벽과 수직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단턱을 구비하여 'L'자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내측지지부재의 측벽의 높이는 상기 외측지지부재의 측벽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의 높이는 상기 외측지지부재의 측벽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부재는
    상기 측벽의 외측 상단 모서리에 곡선 또는 직선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측지지부재에 고인 물의 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해당하는 수목 보호 조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로수 주변의 지반을 평탄하게 정리하는 제1단계;
    상기 정리된 지반에 수목 보호 조립체가 매설되는 수용홈을 파내는 제2단계;
    상기 수용홈에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를 매설하는 제3단계;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끼워지도록 사이즈에 맞춰 덮개부재를 절단하는 제4단계;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내측 지지부재 및 외측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외측 지지부재 주변의 정리된 지반의 상단에 상기 외측지지부재 및 덮개부재의 상단과 평행하도록 이루도록 블럭이 설치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시공방법.
KR1020110039759A 2010-12-20 2011-04-27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12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0814 2010-12-20
KR1020100130814 2010-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771B1 true KR101112771B1 (ko) 2012-03-13

Family

ID=4614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759A KR101112771B1 (ko) 2010-12-20 2011-04-27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91A (ko) * 2016-12-23 2018-07-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목 바닥 보호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434Y1 (ko) * 2005-04-08 2005-06-20 신희수 조립식 수목 보호판
KR100933215B1 (ko) 2007-10-26 2009-12-22 (주) 그린시티 가로수 보호판
KR100966108B1 (ko) * 2009-11-18 2010-06-28 (주) 그린엠티브이 수목 보호판
KR20110000595U (ko) * 2009-07-13 2011-01-20 이병식 수목보호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434Y1 (ko) * 2005-04-08 2005-06-20 신희수 조립식 수목 보호판
KR100933215B1 (ko) 2007-10-26 2009-12-22 (주) 그린시티 가로수 보호판
KR20110000595U (ko) * 2009-07-13 2011-01-20 이병식 수목보호판
KR100966108B1 (ko) * 2009-11-18 2010-06-28 (주) 그린엠티브이 수목 보호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91A (ko) * 2016-12-23 2018-07-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목 바닥 보호틀
KR101879342B1 (ko) * 2016-12-23 2018-07-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목 바닥 보호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490B2 (en)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KR101167716B1 (ko) 가로수 보호기구
JP4856446B2 (ja) 階段構造物
KR101112771B1 (ko)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101797588B1 (ko) 수목 보호 블럭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100853728B1 (ko)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KR101250001B1 (ko) 수목보호판
KR100332653B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KR200379935Y1 (ko) 교체 가능한 주차장 잔디 보호대
KR101179690B1 (ko) 수목 보호용 다기능 조립식 포장 블록
KR200199924Y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EP1468601B1 (en) Improved device for protecting tree and plant watering basins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KR100590422B1 (ko) 사면 보호용 식생 블록
KR100892256B1 (ko) 가로수 조경용 블록
KR101047043B1 (ko) 조립식 가로수보호판
CN210445091U (zh) 一种人行道树池根系防护装置
KR20100118456A (ko) 잔디블럭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615038B2 (ja) グリーン・フェンス・ブロック
KR20060000143U (ko) 가로수 보호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