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276B1 - 옥상용 식재 장치 - Google Patents

옥상용 식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276B1
KR102142276B1 KR1020180123860A KR20180123860A KR102142276B1 KR 102142276 B1 KR102142276 B1 KR 102142276B1 KR 1020180123860 A KR1020180123860 A KR 1020180123860A KR 20180123860 A KR20180123860 A KR 20180123860A KR 102142276 B1 KR102142276 B1 KR 102142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lock
blocks
catchment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139A (ko
Inventor
박용순
한경수
Original Assignee
어스그린코리아(주)
박용순
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스그린코리아(주), 박용순, 한경수 filed Critical 어스그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8012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2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용 식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집수 블록에 저장된 물을 식생 블록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고, 집수 블록의 물 배출구를 통해 넘치는 물을 물가둠막의 물 배출홈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원활한 물 공급 및 물 배수가 가능하여 수도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옥상에서도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상용 식재 장치{Lawn planting apparatus for using on rooftop}
본 발명은 식생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옥상용 식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3950호(2017.09.26)에서 잔디 식재층 하부에 위치하여 강우시 빗물이 하부 토양층으로 투수되지 않으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수공간이 형성된 배수판을 구비하여 토양층의 유실을 방지하여 잔디 식재층의 함몰이나 하부 토양층의 공동 발생을 방지하고, 배수판 상부에 결합되는 완충재를 구비하여 잔디 식재층에 완충력을 제공토록 구성된 잔디 식재용 배수구조체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옥상에서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해서는 원활한 물 배수도 중요하지만, 물 공급 역시 매우 중요하다. 옥상에 수도 시설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도를 통해 원활한 물 공급이 가능하나, 수도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원활한 물 공급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원활한 물 공급 및 물 배수가 가능하여 수도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옥상에서도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옥상용 식재 장치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3950호(2017.09.26)
본 발명은 원활한 물 공급 및 물 배수가 가능하여 수도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옥상에서도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옥상용 식재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옥상용 식재 장치가 내부에 물이 집수되는 집수 블록과; 다수의 집수 블록들이 수납되며, 집수 블록들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 되는 물을 가두는 물가둠막과; 물가둠막에 수납된 다수의 집수 블록들 위에 배치되어 보온 및 보습시키되, 저면에 물 흡수를 위한 다수의 심지들이 형성되는 보온보습매트와; 보온보습매트 위에 배치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 블록과; 다수의 식생 블록들이 수납되며, 식생 블록들내의 흙 유실을 방지하는 흙 유실 방지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집수 블록이 내부에 물이 수납되는 물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면은 개구되고, 저면과 측면들은 폐쇄된 육각 형상을 가지되, 측면들의 상부가 일부 절개되어 물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웃하는 집수 블록과 서로 조립되는 인터록킹부를 구비하는 하부체와; 하부체 상부를 덮는 덮개와, 덮개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되 보온보습매트의 저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심지들이 수납되는 다수의 심지 유입 중공들과, 심지 유입 중공들 주변에 형성되어 하부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물 유입공들과, 덮개 하부 외곽 모서리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하부체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상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물가둠막이 하부체의 측면들 상부에 형성된 물 배출구가 노출되도록 집수 블록의 하부체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흙 유실 방지구가 식생 블록들내의 흙 유실을 방지하는 격벽들과; 격벽들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식생 블록 외곽 저면 일부를 지지하는 저면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저면 지지부가 집수 블록의 상부체의 덮개와 나사 결합을 위한 다수의 나사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식생 블록이 외곽에 이웃하는 집수 블록과 서로 조립되는 인터록킹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물가둠막이 하부에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물 배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활한 물 공급 및 물 배수가 가능하여 수도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옥상에서도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식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옥상용 식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식재 장치의 집수 블록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한 집수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집수 블록들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물 흡수를 위한 다수의 심지들이 집수 블록에 수납되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식재 장치의 식생 블록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도시한 식생 블록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식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옥상용 식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옥상용 식재 장치(10)는 집수 블록(100)과, 물가둠막(200)과, 보온보습매트(300)와, 식생 블록(400)과, 흙 유실 방지구(500)를 포함한다.
집수 블록(100)은 내부에 물이 집수된다. 이 때, 집수 블록(100) 내부에 흙이나 부엽토 또는 자갈 등이 채워진 상태에서 물이 집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비가 오면, 식생 블록(400)과 보온보습매트(300)를 통과한 빗물이 집수 블록(100)에 집수되어 저장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식재 장치의 집수 블록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3 에 도시한 집수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집수 블록들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 블록(100)이 하부체(110)과, 이에 결합되는 상부체(120)를 포함한다.
하부체(110)는 내부에 물이 수납되는 물 수납공간(111)을 형성하도록 상면은 개구되고, 저면과 측면들은 폐쇄된 육각 형상을 가지되, 측면들의 상부가 일부 절개되어 물 배출구(112)를 형성하고, 이웃하는 집수 블록과 서로 조립되는 인터록킹부(113)를 구비한다.
예컨대, 인터록킹부(113)가 상하 슬라이드 방식으로 다른 집수 블록(100)의 인터록킹부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부체(110)의 외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되, 홈과 돌기를 동시에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집수 블록(100) 하부체(110)의 인터록킹부(113)의 홈과 돌기에 다른 집수 블록 하부체의 인터록킹부의 돌기 및 홈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두 집수 블록(100)을 별도의 체결용 부품없이 체결할 수 있다.
상부체(120)는 하부체(110) 상부를 덮는 덮개(121)와, 덮개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되 보온보습매트(300)의 저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심지(310)들이 수납되는 다수의 심지 유입 중공(122)들과, 심지 유입 중공들 주변에 형성되어 하부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물 유입공(123)들과, 덮개 하부 외곽 모서리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하부체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돌기(124)를 구비한다.
이 때, 결합 돌기(124) 길이가 물 수납공간(111) 높이와 같도록 구현하고, 상부체(120)의 결합 돌기(124)를 하부체(110)의 물 수납공간(111)에 삽입시키면,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나의 집수 블록(100)이 완성되고, 집수 블록(100)들의 하부체(110)의 인터록킹부(113)를 통해 집수 블록(100)들을 서로 결합하면,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 블록들이 결합된 상태가 된다.
물가둠막(200)은 다수의 집수 블록(100)들이 수납되며, 집수 블록들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 되는 물을 가둔다. 이 때, 물가둠막(200)이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체(110)의 측면들 상부에 형성된 물 배출구(112)가 노출되도록 집수 블록(100)의 하부체(110)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비가 많이 내려서 집수 블록(100)의 하부체(110)의 물 수납공간(111)에 유입되는 물이 많아져 수위가 물 배출구(112)에 이르면, 물 배출구(112)를 통해 물이 오버플로우(Overflow) 되어 물가둠막(200)내에 채워지게 된다.
한편, 물가둠막(200)이 하부에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물 배출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집수 블록(100)의 하부체(110)의 물 배출구(112)를 통해 오버플로우(Overflow) 되어 물가둠막(200)내에 채워지는 물은 물 배출홈(210)을 통해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게 된다.
보온보습매트(300)는 물가둠막(200)에 수납된 다수의 집수 블록(100)들 위에 배치되어 보온 및 보습시키되, 저면에 물 흡수를 위한 다수의 심지(310)들이 부착된다.
보온보습매트(300) 위에 흙 유실 방지구(500)가 설치되고, 흙 유실 방지구(500)에 식생 블록(400)을 수납한 상태에서 흙을 채우고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을 심는데, 보온보습매트(300)에 의해 식생 블록(400)의 흙이 보온 및 보습된다.
이 때, 보온보습매트(300)의 저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심지(310)들을 통해 집수 블록(100)내에 저장된 물이 흡입되어 보온보습매트(300)로 유입됨으로써 보습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6 은 물 흡수를 위한 다수의 심지들이 집수 블록에 수납되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다수의 심지(310)들이 집수 블록(100)의 상부체(120)의 심지 유입 중공(122)에 삽입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6 에 도시한 심지(310)들은 보온보습매트(300)의 저면에 부착되어, 심지 유입 중공(122)에 수납된 심지(310)들을 통해 집수 블록(100)내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보온보습매트(300)로 유입시킨다.
식생 블록(400)은 보온보습매트(300) 위에 배치되며, 식물이 식재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식재 장치의 식생 블록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 은 도 7 에 도시한 식생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 블록(400)은 블록 본체(410)와,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420)와,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430)와, 저류부(440)와, 인터록킹부(450)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410)는 식물 뿌리가 활착되는 다수의 활착홀(411)이 구비되어, 활착홀(411)을 통해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이 식재된다. 이 때, 블록 본체(410)의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블록 본체(410)의 휨 강성 증대를 위하여 블록 본체(410)의 테두리가 안쪽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 본체(410)의 테두리가 안쪽보다 두꺼운 보강띠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활착홀(411)은 도면에 도시된 원형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 본체(410)가 식물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구현되어, 식물의 뿌리가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활착홀(411)을 통해 흙에 활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수의 생장점 보호돌기(420)는 블록 본체(410)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점을 보호한다. 생장점 보호돌기(420)는 사람이 블록 본체(410)에 식재된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을 밟을 때, 식물에 가해지는 압력(답압)에 의해 식물의 생장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생장점 보호돌기(420)가 활착홀(411)들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블록 본체(410)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생장점 보호돌기(420)의 높이는 식물의 생장점에 답압이 가해지지 않을 정도의 높이가 적당하다.
생장점 보호돌기(420)는 생장점의 보호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형상(원형, 각형 등)이 가능하지만, 여러 방향의 토압에 대한 버팀 강성의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돌기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방사형 구조의 생장점 보호돌기(420)는 빗물의 저류가 가능한 효과도 도출한다. 생장점 보호돌기(420)는 저부가 상부보다 큰 하중을 받는 것을 고려하여 저부가 상부보다 큰 단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부가 저부보다 뾰족하기 때문에 식재되는 식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생장점 보호돌기(420)들은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생장점 보호돌기(420)가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막지 않도록 생장점 보호돌기(420)들의 사이에 뿌리포복 유도부(421)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뿌리포복 유도부(421)는 생장점 보호돌기(420)들 사이가 막히지 않도록 의도적으로 공간을 확보한 것으로, 예컨대, 뿌리포복 유도부(421)가 생장점 보호돌기(420)들 사이의 빈 공간일 수 있다. 한편, 생장점 보호돌기(420)들의 간격은 발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일 수 있다.
다수의 뿌리 보호돌기(430)는 블록 본체(410)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를 보호한다. 뿌리 보호돌기(430)는 사람이 식생 블록을 밟더라도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눌리지 않도록 한다. 예컨대, 뿌리 보호돌기(430)는 생장점 보호돌기(420)와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하중에 대한 강성을 증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뿌리 보호돌기(430)는 지반에 대한 정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저부로 가면서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뿌리 보호돌기(430)는 여러 방향의 토압에 대한 버팀 강성의 확보를 위하여 생장점 보호돌기(420)와 같이 3개 이상의 돌기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저류부(440)는 블록 본체(410)의 활착홀(411) 주위에 형성되어, 식물에 급수되는 물을 저장한다. 예컨대, 저류부(440)가 블록 본체(410)의 활착홀(411) 주위에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개방된 오목한 공간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해 보면, 활착홀(411) 둘레를 따라 저류부(440)가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인터록킹부(450)는 블록 본체(410)의 둘레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식생 블록과 서로 조립된다. 예컨대, 인터록킹부(450)가 블록 본체(410)의 둘레에 다수개가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동시에 갖는 돌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 식생 블록들이 서로 조립될 때, 동일 라인을 유지하도록 인터록킹부(450)가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블록 본체(410)가 정착부(4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착부(419)는 블록 본체(410)를 집수 블록(100)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도면 도시 생략)가 삽입된다.
예컨대, 정착부(419)는 블록 본체(410)의 중앙 및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구(도면 도시 생략)가 삽입되는 정착홀(419a)이 상하로 관통된 판 형상일 수 있다. 정착홀(419a)은 고정구가 통과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를 가지며, 식재되는 식물 뿌리의 활착을 위한 활착홀(4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진다.
한편, 정착부(419)를 통해서도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이 이루어지도록 정착부(419)가 적어도 하나의 활착홀(419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활착홀(419b)이 정착홀(419a)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흙 유실 방지구(500)는 다수의 식생 블록(400)들이 수납되며, 식생 블록들내의 흙 유실을 방지한다. 예컨대, 흙 유실 방지구(500)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 블록들내의 흙 유실을 방지하는 격벽(510)들과, 격벽들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식생 블록 외곽 저면 일부를 지지하는 저면 지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저면 지지부(520)가 집수 블록(100)의 상부체(120)의 덮개(121)와 나사(도면 도시 생략) 결합을 위한 다수의 나사 결합홈(5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집수 블록(100) 위에 보온보습매트(300)를 배치하고, 그 위에 흙 유실 방지구(500)를 배치한 상태에서 나사 결합홈(521)에 나사를 삽입하여 조이면, 흙 유실 방지구(500)가 집수 블록(100)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흙 유실 방지구(500)에 다수개 조립된 식생 블록(400)들을 수납하면, 저면 지지부(520)에 외곽의 식생 블록(400)들의 저면 일부가 지지된다. 식생 블록(400)들이 수납된 흙 유실 방지구(500)에 흙을 채우고,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을 식재하면, 격벽(510)들에 의해 흙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식생 블록(400)들에 잔디 등과 같은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비가 오거나 물을 주면, 흙 유실 방지구(500)에 채워진 흙에 스며든 물이 보온보습매트(300)를 통과하여 집수 블록(100)의 상부체(120)의 심지 유입 중공(122)과 물 유입공(123)을 통해 하부체(110)의 물 수납공간(111)에 저장된다.
물 수납공간(111)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높아져서 수위가 물 배출구(112)에 이르면, 물 배출구(112)를 통해 물이 오버플로우(Overflow) 되어 물가둠막(200)내에 채워지게 되고, 물가둠막(200)의 물 배출홈(210)을 통해 물가둠막(200)내에 채워지는 물이 외부로 서서히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옥상용 식재 장치는 집수 블록(100)에 저장된 물을 식생 블록(40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고, 집수 블록(100)의 물 배출구(112)를 통해 오버플로우되는 물을 물가둠막(200)의 물 배출홈(210)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원활한 물 공급 및 물 배수가 가능하여 수도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옥상에서도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식생 관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 : 옥상용 식재 장치
100 : 집수 블록
110 : 하부체
111 : 물 수납공간
112 : 물 배출구
113 : 인터록킹부
120 : 상부체
121 : 덮개
122 : 심지 유입 중공
123 : 물 유입공
124 : 결합 돌기
200 : 물가둠막
210 : 물 배출홈
300 : 보온보습매트
310 : 심지
400 : 식생 블록
410 : 블록 본체
420 : 생장점 보호돌기
430 : 뿌리 보호돌기
440 : 저류부
450 : 인터록킹부
500 : 흙 유실 방지구
510 : 격벽
520 : 저면 지지부

Claims (7)

  1. 내부에 물이 집수되는 집수 블록과;
    다수의 집수 블록들이 수납되며, 집수 블록들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 되는 물을 가두는 물가둠막과;
    물가둠막에 수납된 다수의 집수 블록들 위에 배치되어 보온 및 보습시키되, 저면에 물 흡수를 위한 다수의 심지들이 부착되는 보온보습매트와;
    보온보습매트 위에 배치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사각형의 판재 형태의 블록 본체를 포함하는 식생 블록과;
    다수의 식생 블록들이 수납되며, 식생 블록들내의 흙 유실을 방지하는 흙 유실 방지구를;
    포함하되,
    흙 유실 방지구가:
    식생 블록들내의 흙 유실을 방지하는 격벽들과;
    격벽들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식생 블록 외곽 저면 일부를 지지하되, 집수 블록의 상부체의 덮개와 나사 결합을 위한 다수의 나사 결합홈을 포함하는 저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옥상용 식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집수 블록이:
    내부에 물이 수납되는 물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면은 개구되고, 저면과 측면들은 폐쇄된 육각 형상을 가지되, 측면들의 상부가 일부 절개되어 물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웃하는 집수 블록과 서로 조립되는 인터록킹부를 구비하는 하부체와;
    하부체 상부를 덮는 덮개와, 덮개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되 보온보습매트의 저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심지들이 수납되는 다수의 심지 유입 중공들과, 심지 유입 중공들 주변에 형성되어 하부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물 유입공들과, 덮개 하부 외곽 모서리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하부체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상부체를;
    포함하는 옥상용 식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물가둠막이:
    하부체의 측면들 상부에 형성된 물 배출구가 노출되도록 집수 블록의 하부체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옥상용 식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식생 블록이:
    외곽에 이웃하는 집수 블록과 서로 조립되는 인터록킹부를 구비하는 옥상용 식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물가둠막이:
    하부에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물 배출홈을 포함하는 옥상용 식재 장치.
KR1020180123860A 2018-10-17 2018-10-17 옥상용 식재 장치 KR102142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860A KR102142276B1 (ko) 2018-10-17 2018-10-17 옥상용 식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860A KR102142276B1 (ko) 2018-10-17 2018-10-17 옥상용 식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139A KR20200043139A (ko) 2020-04-27
KR102142276B1 true KR102142276B1 (ko) 2020-08-07

Family

ID=7046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860A KR102142276B1 (ko) 2018-10-17 2018-10-17 옥상용 식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2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3132A (ja) 2005-10-25 2009-04-02 ハウジング・アンド・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ボード 屋上緑化システムに使用する容器及び該容器を使用した屋上緑化システム
KR101315287B1 (ko) * 2013-07-17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97B1 (ko) * 2009-07-29 2011-09-30 한치근 실외 및 옥상 조경을 위한 조립식 구조물
KR20150006992A (ko) * 2013-07-10 2015-01-20 이상헌 옥상녹화 블록 및 이것을 이용한 옥상녹화 시공방법
KR101879342B1 (ko) * 2016-12-23 2018-07-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목 바닥 보호틀
KR101783950B1 (ko) 2017-02-24 2017-10-10 주식회사 금룡 잔디 식재용 배수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3132A (ja) 2005-10-25 2009-04-02 ハウジング・アンド・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ボード 屋上緑化システムに使用する容器及び該容器を使用した屋上緑化システム
KR101315287B1 (ko) * 2013-07-17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139A (ko)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713B2 (ja) 屋外用緑化装置及び屋外用緑化システム
JP2006262712A (ja) 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US20150082697A1 (en) Planter or gardening container
US20170223935A1 (en) Container for aquatic plants
US6038810A (en) Plant enclosure for outdoor use
KR102142276B1 (ko) 옥상용 식재 장치
US201702454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an urban environment
TWM507640U (zh) 蓄水種植箱
JP2010136662A (ja) 浮体ビオトープ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KR102038769B1 (ko) 급수화분을 갖는 식물재배화분
JP5075451B2 (ja) 緑化装置
KR101783409B1 (ko) 빗물 저장형 화분
JP2008067607A (ja) 屋根緑化用樹脂トレイおよび屋根緑化構造
WO2004077931A1 (ja) 緑化設備
JPH0829031B2 (ja) 街路性植栽ボックス及びこれを利用した樹木の固定方法
JP6006182B2 (ja) 栽培槽の給水装置
JP2005295876A (ja) 植栽用コンテナー
KR102633068B1 (ko) 가로수 물공급 가능한 비상저류조
KR102620171B1 (ko) 화분형 볼라드
JP5106799B2 (ja) 緑陰緑化構造及び緑陰緑化工法
JP2004305114A (ja) 緑化装置
KR102617557B1 (ko)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ES2715383T3 (es) Dispositivo de obturación de los depósitos de agua estancada
JP3782728B2 (ja) 緑化屋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